KR19990014220U - 폐유 방제선 - Google Patents

폐유 방제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220U
KR19990014220U KR2019980025923U KR19980025923U KR19990014220U KR 19990014220 U KR19990014220 U KR 19990014220U KR 2019980025923 U KR2019980025923 U KR 2019980025923U KR 19980025923 U KR19980025923 U KR 19980025923U KR 19990014220 U KR19990014220 U KR 199900142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oil
belt conveyor
roller
ship
b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59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석교상
Original Assignee
석교상
주식회사 중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교상, 주식회사 중앙 filed Critical 석교상
Priority to KR20199800259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4220U/ko
Publication of KR199900142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220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2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llecting pollution from open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onveyers, e.g. of endless-belt or screw-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6Collection of oil using vessels, i.e. boats, bar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1Means floating loosely on the water absorbing the 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4Conveyors; Paddle wheels; Endless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02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65G23/04Drums, rollers, o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24Gearing between driving motor and belt- or chain-engag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 B65G2812/02178Belt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해난 사고시 선박으로부터 유출되는 폐유를 신속히 제거하여 해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폐유 방제선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폐유 방제선은 내유성 섬유를 직조하여 제조된 벨트와 주름형 구조를 가지는 흡착포가 일체로부착된 벨트 컨베어를 가지며, 상기 벨트 컨베어의 내측으로는 2개의 종동롤러 및 1개의 구동롤러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롤러가 위치한 벨트컨베어의 외측으로는 소정의 구동력을 회전하는 고무롤러가 맞물려 설치된 것이다.

Description

폐유 방제선
본 고안은 해난사고로 인한 해양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해난사고시 선박으로부터 유출되는 폐유를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폐유 방제선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강이나 바다 등에서 발생하는 해난 사고는 막대한 해양오염을유발시키며, 특히 선박들의 충돌로 인해 발생하는 폐유는 해양오염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해양 생태계까지도 파괴시켰다.
따라서 이러한 폐단을 조속히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벙커-CU, 오일 등의 폐유가 뜨있는 해상에 유화제를 뿌려서 폐유를 유화시켜 제거하였으며, 이는 유화제와 오일 성분등이 해수 바닥면에 침투되어 해양 생태계를 파괴시키는 문제점을유발시켰다. 또한 흡착포가 부착된 수동식 제거기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또한 폐유 제거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을 내포하고 있다. 그리고 종래의 또다른 방법으로는 펌프 등으로 폐유를 흡입하여 처리하는 방법이 있지만, 이는 기상악화로 인해 수면이 일정하지 않을 때 해수 및 폐유뿐만 아니라 공기까지도 함께 흡입되기 때문에 폐유 제거효율이 저하되고 또한 높은 파도로 인해 작업을 제대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해난 사고시 선박으로부터 유출되는 폐유를 신속히 제거하여 해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폐유 방제선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폐유를 제거함으로 2∼3차해난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폐유 방제선을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기상 악화시에도 해수상의 폐유를 말끔히 제거할수 있는 폐유 방제선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폐유 방제선은 내유성 섬유를 직조하여 제조된 벨트와 주름형 구조를 가지는 흡착포가 일체로 부착된 벨트 컨베어를 가지며, 상기 벨트 컨베어의 내측으로는 2개의 종동롤러 및 1개의 구동롤러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고, 상기 구동롤러가 위치한 벨트 컨베어의 외측으로는 소정의 구동력을 회전하는 고무롤러가 맞물려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해난사고 발생시 선박으로부터 유출되는 폐유를 제거하기 위한 방제선의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상기 도 1에서 A-A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폐유 방제선의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벨트 컨베어 14 : 흡착포
16,18 : 종동롤러 24 : 구동롤러
30 : 고무롤러 36 : 분리탱크
44,56 : 구동모터 100 : 방제선
48,50,52,54,60,62,64,66 : 베벨기어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리지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해난사고 발생시 선박으로부터 유출되는 폐유를 신속히 제거할 수 있는 방제선의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상기 폐유 방제선 100의 전방부는 디긋(ㄷ)자 모양의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개구부에는 본 고안의 벨트 컨베어 10이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벨트 컨베어 10은방제선 100의 개구부 사이에서 상/하로 유동하며, 바람직하게는 해수면에서 파도의흐름에 따라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도록 조립된다. 상기 벨트 컨베어 10은 내유성섬유로 직조된 벨트 12를 가지며, 상기 벨트 12의 외부 전체면에는 적당한 크기의주름형 구조로 형성된 흡착포 14가 일체로 직조된다. 그리고 상기 벨트 컨베어 10의 내측으로는 3개의 롤러, 바람직하게는 전방 끝으로 구동롤러 16이 설치되며 후방 끝으로는 구동롤러 24가 설치되고, 상기 종동롤러 16과 구동롤러 24 사이에는 종동롤러 18이 아래쪽에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2개의 종동롤러 16,18과 1개의구동롤러 24는 벨트 컨베어 10이 삼각형 모양을 이루도록 위치하고 있다. 이때 상기 종동롤러 16은 벨트 컨베어 10의 양측단에 위치한 고정 프레임 20에 브라켓 38a로 조립되고, 상기 종동롤러 18은 브라켓 38b에 의해 고정 프레임 20에 조립된다.
또한 상기 구동롤러 24의 양측단, 바람직하게는 구동롤러의 샤프트 25는 상기 고정프레임 20을 관통하여 방제선 100에 조립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롤러의 샤프트 25의 양측단은 브라켓 40a,40b에 의해 방제선 100에 조립되고 그 끝단에는 베벨기어 54와 64가 각각 조립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롤러 24의 후방(도 3에서 우측방향)으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롤러 24가 조립된 벨트 컨베어 10의 후방 끝으로는 소정의 텐션을 가지는 고무롤러 30이 맞물려 있다. 상기 고무롤러 30의 중심에는 구동력을 전달받는 샤프트 32가 조립되고, 상기 샤프트 32의 양측은 방제선 100의 양측단에 브라켓42a,42b로 조립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 32의 양측단에는 베벨기어 52와 66이 조립된다. 여기서, 전술한 베벨기어 54는 베벨기어 50과 맞물리고, 상기 베벨기어 52는 베벨기어 48과 맞물려 있다. 이때 상기 베벨기어 50과 48은 소정의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44의 구동축 46에 일체로 조립된다. 마찬가지로, 전술한 베벨기어 64는 베벨기어 62와 맞물리고 상기 베벨기어 66은 베벨기어 60과 맞물려 있으며, 상기 베벨기어 60과 62는 소정의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56의 구동축 58에 일체로 조립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모터 44와 56은 서로 반대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발생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모터 44는 시계방향으로의 구동력을, 상기 구동모터 56은 반시계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발생한다. 이는 상기 구동롤러 24와 고무롤러 30이 서로 맞물려 회전하면서 벨트 컨베어의 흡착포 14에 묻어있는 폐유를 소정압으로 짜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 44는 브라켓 45에 의해 방제선 100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 56은 브라켓 55에 의해 방제선 100에 고정 설치된다.
끝으로, 상기 벨트 컨베어 10의 후방으로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무롤러 30의 하측으로는 집유구 28을 가지는 집유실 29가 형성되고, 여기서 상기 집유실 29를 형성하는 지지 프레임 26은 벨트 컨베어 10의 아랫부분을 받치고 있다. 즉, 상기 벨트 컨베어 10의 처짐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벨트 컨베어 10의 아래쪽에는지지 프레임 26이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벨트 컨베어 10의 상부 내측으로는 보강프레임 22가 고정 프레임 20에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집유실 29의 바닥면에는 구동롤러 24와 고무롤러 30에 의해 짜여진 폐유를 방제선의 분리탱크 36으로 공급시키기 위한 펌프 33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펌프 33에는 폐유를 이송시키는 덕트 34가 부착되고, 상기 덕트 34의 끝에는 폐유를 분사시키는 노즐 34a가 일체로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리탱크 36은 노즐 34a를 통해 공급된 폐유와 해수의 흐름을 억제하여 중력식 분리를 유도하는 다공 격벽(도시하지 않음)이 부착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폐유 방제선을 이용하여 해수상에 있는 폐유를 제거하는 과정을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선박의 충돌로 인해 해수면 상에 벙커-CU, 오일 등의 폐수가 유출되면, 본 고안의 방제선 100은 폐유가 있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이후, 구동모터44와 56을 구동시키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모터 44는 시계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발생하고 상기 구동모터 56은 반시계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발생하게 되면, 상기구동력들은 샤프트 46을 통해 베벨기어 48,50에 전달되고 동시에 샤프트 58을 통해베벨기어 60,62에 전달된다. 이어서 상기 베벨기어 48,60과 맞물려 있는 베벨기어52,66은 구동력을 전달받아 고무롤러 30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며, 이와 동시에상기 베벨기어 50,62와 맞물려 있는 베벨기어 54,64는 구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롤러24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벨트 컨베어 10은 반시계 방향으로 작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해수상에 있는 폐유는 흡착포 14에 흡수되면서 이송된다. 이어서 상기 흡착포에 묻어있는 폐유는 구동롤러 24와 고무롤러 30에 의해 소정의 압력으로 짜여지게 되고, 다음에 짜여진 폐유는 집유구 28을 통해 집유실 29에 충진된다. 이후 상기 집유실 29에 충진된 폐유는 펌프 33의 구동력에 의해 덕트 34로공급되고, 상기 덕트 34로 공급된 폐유는 노즐 34a를 통해 분리탱크 36이 저장된다. 다음에 상기 분리탱크 36에 저장된 폐유는 다공격벽에 의해 해수로부터 분리되며, 즉 해수는 분리탱크 36의 아랫부분에 형성되고 폐유는 위로 뜨게 된다. 이어서 2차 분리된 폐유는 분리공정을 거쳐 도시하지 않은 저장실로 이송된다. 이때 분리된 해수는 수위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작동되는 펌프에 의해 방제선 100밖으로 배출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해난사고시 동반되는 폐유를 신속하게 수거하여 해양오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또한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해양 생태계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벨트 컨베어는 파도의 흐름에 따라 유동적으로 움직이기 때문에 기상 악화시에도 방제 효율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해난사고 발생시 선박으로부터 유출되는 폐유를 제거하기 위한 방제선에 있어서,
    상기 방제선의 전방으로는 해수상에 있는 폐유를 흡수하여 이송시키기 위한 흡착포가 부착된 벨트 컨베어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 방제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어의 내측으로는 2개의 종동롤러 및 1개의구동롤러가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며, 상기 구동롤러가 위치한 벨트 컨베어의 외측으로는 소정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고무롤러가 맞물려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 방제선.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컨베어는 내유성 섬유를 직조하여 제조된 벨트를 가지며, 상기 벨트의 외부 전체면에는 주름형 구조를 가지는 흡착포섬유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 방제선.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와 고무롤러의 샤프트 양측단에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베벨기어들이 직각을 이루면서 조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 방제선.
  5.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와 고무롤러의 하측으로는 상기롤러에 의해 집진된 폐유를 저장하는 집유실이 형성되고, 상기 집유실의 일측에는해수로부터 상기 폐유를 분리시키기 위한 다공 격벽이 부착된 분리탱크가 상기 방제선에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 방제선.
KR2019980025923U 1998-12-17 1998-12-17 폐유 방제선 KR1999001422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923U KR19990014220U (ko) 1998-12-17 1998-12-17 폐유 방제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5923U KR19990014220U (ko) 1998-12-17 1998-12-17 폐유 방제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220U true KR19990014220U (ko) 1999-04-26

Family

ID=42102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5923U KR19990014220U (ko) 1998-12-17 1998-12-17 폐유 방제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4220U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669B1 (ko) 2008-02-28 2008-08-18 김주회 유출유 확산방지 및 회수장치
KR200452158Y1 (ko) * 2008-04-18 2011-02-10 조병호 해상 오염 크리닝 장치
KR101354437B1 (ko) * 2013-07-22 2014-01-24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물갈퀴 추력 모듈 및 물갈퀴 추력 보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669B1 (ko) 2008-02-28 2008-08-18 김주회 유출유 확산방지 및 회수장치
WO2009107995A2 (ko) * 2008-02-28 2009-09-03 이영춘 유출유 확산방지 및 회수장치
WO2009107995A3 (ko) * 2008-02-28 2009-12-23 이영춘 유출유 확산방지 및 회수장치
KR200452158Y1 (ko) * 2008-04-18 2011-02-10 조병호 해상 오염 크리닝 장치
KR101354437B1 (ko) * 2013-07-22 2014-01-24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물갈퀴 추력 모듈 및 물갈퀴 추력 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21884A (en) Apparatus for removing a surface layer from a body of liquid
US3730346A (en) Skimming system
US20190242087A1 (en) Oil film recovery apparatus and oil film recovery method
RU212918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бсорбирования плавающих на водной поверхности загрязняющих жидкостей
US5066407A (en) Petrochemical recovery machine
CA1151783A (en) Integrated flotation filtration process
KR100944399B1 (ko) 부상수문이 구비된 청항선
US9199249B2 (en) Suction float and collecting device, and collection vessel
KR19990014220U (ko) 폐유 방제선
KR101789070B1 (ko) 해양 이물질 제거와 나노 메쉬를 구비한 유수 분리 모듈
US7326354B2 (en) Active barrier for polluted waters and method for its installation
KR19990031453A (ko) 해상 유출기름 수거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20150046730A (ko) 수상오염물 제거장치
US4614582A (en) Automatic and autonomous floating purifier with rotary belt separation and external radial circulation
KR102204377B1 (ko) 유수분리장치를 이용한 방제시스템
CN109808846A (zh) 一种电动-脚踏两用式的水面清洁船
KR101684362B1 (ko) 해양유출기름 회수장치용 유수분리팩 및 이를 이용한 유수분리장치
KR20080014127A (ko) 유류제거용 선박
KR0178109B1 (ko) 하천 및 해양에 유출된 기름 수거장치
ITMO20100210A1 (it) Dispositivo per la raccolta di sostanze inquinanti
KR20170076991A (ko) 수상오염물 제거장치에 의한 제거방법
JP3131169B2 (ja) バージ搭載型油水分離装置
CN113774872B (zh) 一种海上溢油微生物处理回收系统
RU204042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от нефти
KR102464417B1 (ko) 수면 부유층 제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