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4075U -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이터 지지체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이터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4075U
KR19990014075U KR2019970027398U KR19970027398U KR19990014075U KR 19990014075 U KR19990014075 U KR 19990014075U KR 2019970027398 U KR2019970027398 U KR 2019970027398U KR 19970027398 U KR19970027398 U KR 19970027398U KR 19990014075 U KR19990014075 U KR 199900140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er support
heater
terminal
cathode ray
ray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39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덕수
Original Assignee
김영남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오리온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201997002739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4075U/ko
Publication of KR199900140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4075U/ko

Link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이터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히이터지지체의 상측에 히이터의 단자가 용접되는 소정깊이의 요홈부가 형성되어 상기 요홈부에 히이터의 단자가 용접되어지는데, 이러한 히이터지지체는 상기 연결부에 형성된 요홈부에 히이터지지체의 단자를 용접하는 작업이 까다로움으로 인해 스팟용접(spot welding)을 하였으나 용접부의 접촉면적이 적어 열적인 충격에 의해 쉽게 탈락됨으로써 열원공급에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 음극선관용 전차총의 히이터 지지체는 히이터의 단자가 용접되어지는 히이터지지체의 상단에 상기 단자와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기위한 절곡부 또는 슬롯을 각각 형성함으로써 용접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으며 또한 열적인 충격에 의해 용접된 단자가 쉽게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도록 한것이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이터 지지체
본 고안은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캐소오드의 슬리이브에 내장되는 히이터와 히이터 지지체를 용접결합할 때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이터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벌브의 네크부에 설치되어 스크린면 상에 전자빔을 주사하는 것으로, 그 대략적인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자빔을 집속 및 가속시키는 복수의 전극(3)과, 전자빔을 방출하는 복수의 캐소오드(5)와, 각 히이터(10)를 지지하는 히이터 지지체(20) 및 상기 요소들을 지지하는 비이드글라스(2), 상기 각 히이터(10)에 전력을 공급하는 스템(1)등으로 이루어지는 바, 여기에서 상기 각 히이터(10)의 고정상태에 따라 음극선관의 특성이 변하므로 이를 지지고정하는 상기 히이터 지지체(20)는 전자총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것이다.
제 2도에는 이러한 종래의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이터 지지체(20)가 나타나 있다.
이는 한쌍의 비이드글라스(2)에 각각 한쌍씩의 고정편(4)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편(4)에 히이터지지체(20)의 하부가 용접결합된다.
상기 히이터지지체(20)의 상측에는 히이터(10)의 단자(11)가 용접되는 소정깊이의 요홈부(22)가 형성되어 상기 요홈부(22)에 히이터(10)의 단자(11)가 용접되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히이터지지체(20)는 상기 연결부(21)에 형성된 요홈부(22)에 상기 히이터지지체(20)의 단자(21)를 용접하는 작업이 까다로움으로 인해 스팟용접(spot welding)을 하였으나 열적인 충격에 의해 쉽게 탈락됨으로써 열원공급에 치명적인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이터 지지체는 히이터의 단자가 용접되어지는 히이터지지체의 상단에 상기 단자와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기위한 절곡부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용접이 용이하고 확실한 용접이 이루어지도록한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이터 지지체의 제공을 그 기술적과제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나타낸 일부절결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이터 지지체를 나타낸 사시도 및 요부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이터 지지체를 나타낸 사시도 및 요부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스템 2....비드글라스
3....전극 4....고정편
5....캐소오드 10....히이터
11....단자 20,30....히이터지지체
22....요홈부 32....절곡부
상기한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이터 지지체는 히이터지지체의 상단에 상기 단자와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기위한 절곡홈 또는 슬롯(SLOT)을 각각 형성하고 상기 절곡부 또는 슬롯에 히이터의 단자를 안착시켜 용접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이터 지지체를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이터 지지체를 나타낸 사시도 및 요부확대 단면도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비이드글래스(2) 내측으로 각각 한쌍씩의 고정편(4)이 설치되고, 상기 고정편(4)에 히이터지지체(30)의 하부가 각각 용접결합된다.
상기 히이터지지체(30)의 상단에는 히이터(10)의 단자(11)가 용접되는 소정깊이의 'V'자형 절곡홈(32)을 형성하고 상기 절곡홈(32)에 히이터(10)의 단자(11)를 안착시켜 스팟용접을 실시함으로써 결합되어진다.
상기 절곡홈(32)은 상기 히이터지지체(30)의 상단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 길이만큼 프레스가공되어 형성된 절곡홈(32)으로써 상기 히이터(10)의 단자(11)를 용접할 때 상기 히이터지지체(30)와 접촉되는 면적을 넓게 하는 것이다.
다른 예로서, 상기 히이터지지체(30)에 상기 히이터(10)의 단자(11)와 대응되는 반원형의 단면을 가진 슬롯(SLOT)을 요홈형성하여 그 내측에 상기 히이터(10)의 단자(11)를 매설하고 스팟용접을 실시하여 상기 히이터(10)의 단자(11)와 히이터지지체(30)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이터 지지체는 히이터의 단자가 용접되어지는 히이터지지체의 상단에 상기 단자와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기위한 절곡부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고정력이 향상되고 용접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있으며 또한 열적인 충격에 의해 용접된 단자가 쉽게 탈락되는 것을 방지할수 있도록한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이터 지지체에 있어서,
    히이터(10)의 단자(11)가 결합되는 히이터지지체(30)의 상단에 상기 단자(11)와의 접촉면적을 넓게 하여 상기 단자(11)가 수납될 수 있는 수납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이터 지지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히이터지지체(30)의 소정위치에 상기 단자(11)가 수납될 수 있는 'V'자형의 절곡홈(32)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이터 지지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상기 히이터지지체(30)의 소정위치에 상기 단자(11)가 수납될 수 있는 슬롯(SLOT)을 요홈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이터 지지체.
KR2019970027398U 1997-09-30 1997-09-30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이터 지지체 KR1999001407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398U KR19990014075U (ko) 1997-09-30 1997-09-30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이터 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398U KR19990014075U (ko) 1997-09-30 1997-09-30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이터 지지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4075U true KR19990014075U (ko) 1999-04-26

Family

ID=69675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398U KR19990014075U (ko) 1997-09-30 1997-09-30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이터 지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407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7542B1 (ko) 전자관용 함침형 음극 구조체
KR19990014075U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이터 지지체
KR0114335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비드글라스
US7358673B2 (en) Electric lamp which is closed on two sides
US5117153A (en) Cathode structure for electron gun
KR200247695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EP0778604B1 (en) Cathode structure for cathode ray tube
KR920008501Y1 (ko) 초소형 음극선관용 직열형 음극구조체
KR100362766B1 (ko) 음극선관과 그의 음극 구조체 및 전자총
KR200147983Y1 (ko) 브라운관의 캐소드 스트랩
KR200142907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음극구조체
KR910005187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이터 고정구조
KR200145254Y1 (ko) 전자총 어셈블리의 히이터 스트랩
KR100777711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드 구조체
KR910005837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이터 지지체
KR970004126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히터 지지체
JPS5816121Y2 (ja) カラ−受像管におけるヒ−タ支持装置
KR100759546B1 (ko) 음극선관 전자총의 히터 지지체 및 이를 구비한 전자총
US5341064A (en) Cathode assembly of an electron gun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KR100261736B1 (ko) 음극선관용캐소드구조체
KR100309767B1 (ko) 전자총의히이터지지체
KR200200876Y1 (ko) 음극선관용음극의슬리브지지체
KR100683651B1 (ko) 캐소오드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32726Y1 (ko) 전자총의 히터탭/히터스트랩 결합구조
KR930005787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핀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