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943A - 스트래들 다우웰 - Google Patents

스트래들 다우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943A
KR19990013943A KR1019980028867A KR19980028867A KR19990013943A KR 19990013943 A KR19990013943 A KR 19990013943A KR 1019980028867 A KR1019980028867 A KR 1019980028867A KR 19980028867 A KR19980028867 A KR 19980028867A KR 19990013943 A KR19990013943 A KR 199900139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ddle
dowel
bore
region
dowe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8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메이어 프란츠-폴
Original Assignee
빌디 롤란드, 오티거 안드레아
힐티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빌디 롤란드, 오티거 안드레아, 힐티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빌디 롤란드, 오티거 안드레아
Publication of KR199900139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94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2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3/00Dowels or other devices fastened in walls or the like by inserting them in holes made therein for that purpose
    • F16B13/12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 F16B13/122Separate metal or non-separate or non-metal dowel sleeves fastened by inserting the screw, nail or the like made from a sheet-metal bl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owels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방향 슬롯 (45) 이 제공된 스트래들 영역 (44) 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래들 영역 (44) 에 마주 놓인 후방 섹션 (42) 에 하중 작용 부재 (43), 바람직하게는 암나사를 포함하는, 관통 보어 (36) 가 제공된 부시 형태의 다우웰 본체 (41) 를 포함하는 충격 스트래들 다우웰 타입의 스트래들 다우웰에 관한 것이다. 스트래들 부재 (47) 는 관통 보어 (46) 내에 지지되어 스트래들 영역 (44) 이 방사 방향으로 확대될 때 관통 보어 (46)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스트래들 부재 (47) 는, 콤팩트한 하나의 본체로 롤링되고 스트래들 영역 (44) 에 있는 관통 보어 (46) 에 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이즈가 큰 박판 천공 굽힘 부재이다.

Description

스트래들 다우웰
본 발명은, 관통 보어가 제공된 부시 형태의 다우웰 본체 및 스트래들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다우웰 본체는 종방향 슬롯이 제공된 스트래들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래들 영역에 마주 놓인 후방 섹션에 하중 작용 부재, 바람직하게는 암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래들 부재는 관통 보어내에 지지되어 스트래들 영역이 방사 방향으로 확대될 때 관통 보어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스트래들 다우웰, 특히 충격 스트래들 다우웰에 관한 것이다.
스트래들 다우웰에 제기되는 한가지 요구 사항은 상기 다우웰의 간단한 세팅 가능성이다. 이러한 요구 사항은 특히 세팅 과정이 충격 확대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지된 스트래들 다우웰에 의해 충족된다. 상기 방식의 충격 스트래들 다우웰은 종방향 슬롯이 제공된 스트래들 영역을 갖는 강으로 이루어진 부시 형태의 다우웰 본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강으로 이루어진 스트래들 부재는 세팅 방향으로 원추형으로 가늘어지는 중앙 보어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예컨대 콘크리트, 벽돌 등과 같은 수용 재료의 보어 호울 (bore hole) 내에 있는 부시형 다우웰 본체를 확대하기 위해, 스트래들 부재는 바람직하게 축방향 충격 작용하에서 중앙 보어의 가늘어지는 섹션내로 드라이브 인 (drive in) 된다. 공지된 상기 스트래들 다우웰은 제조 비용이 비교적 비싸다. 상기 방식의 스트래들 다우웰은 재료비용이 비싼데, 특히 가늘어지는 중앙 보어의 제조 비용은 상당히 비싸다.
EP-A-0 171 354 호에는 보다 간단한 제조 가능성을 특징으로 하는, 동일한 고정 원리를 기초로 하는 스트래들 다우웰이 공지되어 있다. 상기 스트래들 다우웰은 종방향 슬롯이 제공된 고정 영역을 갖는 부시 형태의 다우웰 본체 및 상기 다우웰 본체와 일체로 결합된 나선형 본체 형태의 스트래들 부재를 포함한다. 스트래들 부재는 부시 형태의 다우웰 본체의 중앙 보어내에 배치되고, 축방향 업세팅에 의해 방사 방향으로 확대될 수 있다. 스트래들 부재의 방사 방향 확대로 인해 부시 형태의 다우웰 본체의 스트래들 영역이 확대되어 스트래들 다우웰이 보어내에 고정된다. 부시 형태의 다우웰 본체 및 일체로 형성된 스트래들 부재는 하나의 박판 천공 굽힘부로 만들어진다. 상기 방식으로 형성된 스트래들 다우웰은 단단한 재료로 제조된 충격 스트래들 다우웰에 비해 제조 기술적인 면에서 장점을 갖지만, 축방향 업세팅시 나선형 스트래들 부재가 방사 방향 내부로 벗어날 위험이 있다. 상기와 같은 위험으로 인해서는, 부시 형태의 다우웰 본체가 방사 방향으로 불충분하게 확대되어 스트래들 부재가 원하는 하중값에 도달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단점들을 제거하는 동시에, 부시 형태의 다우웰 본체의 확대를 신뢰할만하게 보장함으로써 원하는 하중값에 도달되도록 상기 유형의 스트래들 다우웰을 개선하는 것이다. 이 경우 스트래들 다우웰은 간단하고도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들 다우웰의 제 1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따른 스트래들 세그먼트의 전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들 다우웰의 제 2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3 에 따른 스트래들 세그먼트의 전개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들 다우웰의 제 3 실시예의 종단면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따른 스트래들 세그먼트의 전개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들 다우웰의 다른 변형예의 개략도이다.
도 8 은 도 5 를 화살표 VII 에서 바라본 다우웰 본체의 스트래들 영역의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1,31,41 : 다우웰 본체 2,22,32,42 : 다우웰 본체의 후방 섹션
3,23,33,43 : 하중 작용 부재 4,24,34,44 : 스트래들 영역
5,25,35,45 : 종방향 슬롯 6,26,36,46 : 관통 보어
7,27,37,47 : 스트래들 부재 8,38,48 : 장부 (tenon)
10 : 스트래들 섹션 11,12,13 : 박판 천공 굽힘부
29, 39, 49 : 공칭 브레이킹 포인트
50 : 원추형 전방 섹션 51 : 슬립 챔퍼 (slip chamfer)
d : 스트래들 부재의 외경 F : 포울딩된 부분
l : 다우웰 본체의 전체 길이 r : 다우웰 본체의 후방 섹션의 직경
s : 관통 보어의 직경 t : 다우웰 본체의 벽두께
W : 스트래들 영역의 후방 섹션의 벽두께
x : 스트래들 부재의 축방향 길이
y : 암나사의 축방향 연장부
상기 목적은 특징부에 기술된 장점을 갖는 스트래들 다우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만들어진 스트래들 다우웰은 특히 충격 스트래들 다우웰 타입으로서 관통 보어가 제공된 부시 형태의 다우웰 본체를 포함하는데, 상기 다우웰 본체는 종방향 슬롯이 제공된 스트래들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래들 영역을 마주보고 있는 후방 섹션에 하중 작용 부재, 특히 암나사를 포함한다. 스트래들 부재는 관통 보어내에 지지되어서 스트래들 영역이 방사 방향으로 확대될 때 상기 관통 보어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스트래들 부재는 콤팩트한 하나의 본체로 롤링되고, 스트래들 영역에 있는 관통 보어에 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이즈가 큰 박판 천공 굽힘부이다. 스트래들 부재가 콤팩트한 하나의 본체로 롤링되는 박판 천공 굽힘부로 이루어짐으로써, 스트래들 영역이 관통 보어내로 삽입될 때 스트래들 부재가 더 이상 방사 방향으로 벗어날 수 없게 된다. 그럼으로써, 스트래들 다우웰에 원하는 하중값이 제공되도록 스트래들 영역이 원하는 사이즈로 확대된다. 스트래들 부재는 기계적으로 단단한 부재처럼 작동하며, 간단하고도 저렴하게 원하는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변형예에서 스트래들 부재는 부시 형태의 다우웰 본체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방식의 형성에 의해 스트래들 부재 및 다우웰 본체가 동일하게 박판 천공 굽힘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것은 특히 제조 비용 면에서 바람직한 영향을 미친다. 또한, 스트래들 부재가 다우웰 본체의 관통 보어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특수한 조치들이 생략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스트래들 부재가 손실되지 않도록 다우웰 본체와 결합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결합 영역에는, 스트래들 부재가 충격 방식으로 전진 드라이브될 때 전단되는 공칭 브레이킹 포인트 (nominal breaking point) 가 있다.
박판 천공 굽힘부를 포울딩 (folding) 함으로써, 부시 형태의 다우웰 본체의 스트래들 영역이 후방 섹션 보다 더 큰 벽두께를 갖게 된다. 상기 조치에 의해, 스트래들 영역내에서는 다우웰 본체의 더 큰 압축 응력이 고려된다. 박판 천공 굽힘부를 포울딩 함으로써, 스트래들 영역에 있는 관통 보어의 직경은 다우웰 본체의 후방 섹션의 내경에 비해 감소된다. 이것은 내부로의 포울딩에 의해 달성되고, 스트래들 영역의 방사 방향 압착에 의해 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변형 실시예에서는 스트래들 부재가 대체로 원통형 외부 윤곽을 갖는다. 상기 스트래들 부재의 외경은 스트래들 영역에 있는 관통 보어의 직경에 비해서 0.5 ㎜ 내지 1.5 ㎜ 만큼 더 크다. 선택된 상기 직경 비율에서는 요구되는 드라이브 인 파워 (drive in power) 및 도달될 수 있는 하중값이 탁월한 상태이다.
스트래들 영역에 있는 관통 보어가 세팅 방향으로 가늘어지도록 형성됨으로써, 보어 호울이 가장 깊은 영역에서는 주변 보오벽상에 가장 큰 확대력이 가해진다. 바닥 영역중에서 표면에 가까운 영역에는 단지 적은 확대력만이 나타나거나 또는 확대력이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 그럼으로써, 바닥 재료가 보호되어 표면에 가까운 영역의 파괴가 방지된다. 관통 보어의 가늘어지는 부분은, 다우웰 본체를 롤링하기 전에 박판 천공 굽힘부의 포울딩된 섹션을 스탬핑함으로써 매우 간단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변형예에서 스트래들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팅 방향으로 원추형으로 가늘어지는 외부 윤곽을 포함한다. 원추형 외부 윤곽을 갖는 스트래들 부재는 원통형 또는 원추형으로 가늘어지는 관통 보어와 결합될 수 있다. 원추형 외부 윤곽의 장점은 특히, 다우웰 본체의 스트래들 영역에 있는 직경이 더 작은 관통 보어내로 보다 쉽게 삽입될 수 있다는 점이다.
스트래들 부재가 스트래들 영역내로 전진 이동되는 것을 쉽게 하기 위해서, 후방 섹션으로부터 관통 보어내에 있는 다우웰 본체의 스트래들 영역으로 변환되는 영역에는 상기 스트래들 부재를 위해 대체로 깔때기 모양의 슬립 챔퍼가 제공될 수 있다.
스트래들 부재의 하중 작용 부재를 향한 측면에는 중심에서 돌출하는 장부가 제공될 수 있다. 강도가 높은 콘크리트에서는 관통 보어의 내벽과 스트래들 부재 사이의 마찰 저항이 콤팩트하게 감겨진 스트래들 부재의 와인딩 사이의 마찰 저항을 초과한다. 그럼으로써, 콤팩트하게 감겨진 스트래들 부재내로 장부가 삽입된다. 이것은 스트래들 부재의 영역 중에서 세팅 방향으로 전방 영역을 보강하기 위한 것이다. 장부의 마아킹 (marking) 에 의해 세팅 장치가 원하는 사이즈로 다우웰 본체내로 삽입될 수 있고, 상기 다우웰의 전면에 세팅 마아킹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다우웰 본체의 스트래들 영역은 볼록하게 휘어진 외부면을 갖는 대체로 3 각형의 외부 윤곽을 갖는다. 스트래들 영역은 3 개의 축방향 슬롯에 의해 3 개의 스트래들 섹션들로 나누어진다. 선택된 구조는 보어 호울 구조에 매칭된다는 점에서 장점이 된다. 이 때 최대 확대면이 유지된다.
안정된 고정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스트래들 부재의 축방향 길이가 암나사의 축방향 연장부 만큼 감소되어 다우웰 본체의 전체 길이에 상응하게 되는 경우가 바람직하다. 스트래들 부재와 다우웰 사이의 선택된 상기 사이즈 비율에서 원하는 보어 호울 깊이가 최상이 된다. 전체 스트래들 영역은 스트래들 다우웰을 고정하기 위해 이용된다.
본 발명은 개략도로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하기에 자세히 설명된다. 각 도면들은 상이한 척도로 도시되었다.
도 1 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들 다우웰의 제 1 실시예는 관통 보어 (6) 를 갖는 부시 형태의 다우웰 본체 (1) 를 포함한다. 상기 다우웰 본체 (1) 의 후방 섹션 (2) 에는 예컨대 암나사와 같은 하중 작용 부재 (3) 가 제공된다. 다우웰 본체 (1) 는 종방향 슬롯 (5) 이 제공된 스트래들 영역 (4) 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관통 보어 (6) 는 스트래들 영역 (4) 에서 다우웰 본체 (1) 의 선단으로 가면서 가늘어진다. 상기 다우웰 본체 (1) 는 예를 들어 콜드 포밍 (cold forming) 프로세스에 의해 원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관통 보어 (6) 내에는 콤팩트하게 감겨진 박판 천공 굽힘부로 이루어진 스트래들 부재 (7) 가 배치되어 있는데, 상기 부재는 도 2 에서 전체적으로 도면부호 11 로 표기되었다. 스트래들 부재 (7) 는 대체로 원통형 외부 윤곽을 갖는다. 상기 스트래들 부재의 후방 전면의 대략 중심으로부터 장부 (8) 가 돌출된다. 상기 장부 (8) 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박판 천공 굽힘부가 그것의 종방향 연장부에 걸쳐서 상이한 폭을 가짐으로써 상기 박판 천공 굽힘부 (11) 의 절단면으로 만들어진다. 장부 (8) 의 중앙 배치는 박판 천공 굽힘부 (11) 의 더 넓은 단부에서 스트래들 부재 (7) 가 감겨지기 시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스트래들 영역 (4) 을 확대하기 위해 스트래들 부재 (7) 는 통상적으로 가늘어지는 관통 보어 (6) 내로 축방향 충격에 의해 전진 드라이빙된다. 이 때 콤팩트하게 감겨진 스트래들 부재 (7) 는 공지된 단단한 금속부와 같이 동작한다. 특히 와인딩의 밀집도 때문에 박판 재료는 방사 방향 내부로 벗어날 수 없다.
도 3 및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들 다우웰의 제 2 실시예를 보여준다. 도 1 과 유사한 또는 동일한 부분들은 각각 20 만큼 증가된 도면부호로 표기되었다. 예를 들어 다우웰 본체는 도면부호 21 로, 후방 섹션은 도면부호 22 로, 암나사는 도면부호 23 으로, 종방향 슬롯 (25) 이 제공된 스트래들 영역은 도면부호 24 로 표기되었다. 관통 보어는 도면부호 26 이다. 스트래들 부재에는 도면부호 27 로 표기되었고, 상기 부재는 대체로 원통형의 외부 윤곽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특성은, 다우웰 본체 (21) 및 스트래들 부재 (27) 가 서로 일체로 결합되고, 결합 영역에 공칭 브레이킹 포인트 (29) 가 있다는 점이다.
도 4 에 도시된 전개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우웰 본체 (21) 및 스트래들 부재 (27) 는 하나의 박판 천공 굽힘부 (12) 로 제조된다. 부시 형태의 다우웰 본체 (21) 를 형성하는 상기 박판 천공 굽힘부 (12b) 의 섹션은 대체로 직사각형으로 형성된다. 나중에 스트래들 영역 (24) 을 형성하는 상기 박판 (12b) 의 부분에는 종방향 슬롯 (25) 이 제공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박판의 나중 후방 섹션 (22) 내에서는 나중 나선 (23) 의 윤곽이 새겨진다. 스트래들 부재 (27) 를 형성하는 상기 박판 천공 굽힘부 (12) 의 섹션은 도면부호 12a 로 표기되었다. 상기 섹션은 결합 영역을 통해 다우웰 본체 섹션 (12a) 과 연결되고, 그곳에 공칭 브레이킹 포인트 (29) 를 갖는다. 상기 공칭 브레이킹 포인트 (29) 는 예를 들어 재료 약화, 천공 등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스트래들 부재 (27) 를 형성하는 박판 섹션 (12a) 은 그것의 종방향 연장부에 걸쳐 동일한 폭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다. 콤팩트하게 감겨진 스트래들 부재는 그에 상응하게 돌출 장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도 3 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다우웰 본체 (21) 는 스트래들 영역 (24) 에서 암나사 (23) 가 제공된 후방 섹션 (22) 에서의 벽두께 (W) 보다 더 큰 벽두께 (t) 를 갖는다. 이것은 다우웰 본체 (21) 를 형성하는 박판 천공 굽힘부 (12) 의 섹션 (12b) 을 포울딩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포울딩 부분은 도 4 에서 (F) 로 표기되었다. 관통 보어 (26) 는 스트래들 영역 (24) 에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재료를 포울딩함으로써, 스트래들 영역 (24) 에 있는 관통 보어 (26) 가 후방 섹션에서의 직경 (r) 보다 더 작은 직경 (s) 을 갖게 된다. 스트래들 영역 (24) 에 있는 관통 보어 (26) 의 직경 (s) 은 스트래들 부재 (27) 의 외경 (d) 보다 더 작다. 바람직하게는, 관통 보어 (26) 의 직경과 스트래들 부재 (27) 의 직경차는 약 0.5㎜ 내지 1.5 ㎜ 이다. 상기와 같은 직경차에서는, 스트래들 부재 (27) 가 다우웰 본체 (21) 의 스트래들 영역 (24) 에 있는 관통 보어 (26) 내로 삽입될 수 있고, 충분한 방사 방향 확대에 도달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들 다우웰의 제 3 실시예는 대부분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여 기술된 제 2 실시예와 일치한다. 제 2 실시예의 표시 방법에 상응하게 동일 부분은 30 만큼 증가된 도면부호로 표시되었다. 따라서, 다우웰 본체는 도면부호 31 로, 관통 보어는 도면부호 36 등으로 표기되었다. 제 2 실시예와 다른 점은, 스트래들 부재 (37) 가 다우웰 본체 (31) 의 후방 단부를 향한 전면의 대략 중심에서 돌출하는 장부 (38) 를 포함한다는 점이다. 상기 장부에 의해, 스트래들 부재 (37) 의 외부 윤곽은 도면부호 7 로 표시된 도 1 의 스트래들 부재와 일치하게 된다. 도 6 은 제 3 실시예를 위해 필요한 박판 천공 굽힘부 (13) 의 절단면을 보여준다. 다우웰 본체 (31) 및 스트래들 부재 (37) 를 위한 섹션들은 각각 도면부호 13b 및 13a 로 표기되었다. 공칭 브레이킹 포인트 (39) 가 제공된 결합 장소가 표시되어 있다. 상기 공칭 브레이킹 포인트에 마주 놓인, 박판부 (13a) 의 넓은 단부에서 장부 (38) 가 제공된 스트래들 부재 (37) 의 와인딩이 시작된다.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들 다우웰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준다. 지금까지의 제 2 및 제 3 실시예의 표기에 따라 동일한 또는 유사한 부분은 40 만큼 증가된 도면부호로 표기하였다. 따라서, 도면부호 41 은 다우웰 본체를 나타내고, 46 은 관통 보어를, 47 은 스트래들 부재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다른 점은, 관통 보어 (46) 가 후방 섹션 (42) 으로부터 다우웰 본체의 스트래들 영역 (44) 으로 넘어가는 부분에 대체로 깔때기 모양으로 형성된 스트래들 부재 (47) 용 슬립 챔퍼 (51) 가 있다는 점이다. 상기 슬립 챔퍼 (51) 는 예를 들어 다우웰 본체 (41) 가 아직 둥글게 말리지 않은 상태에서 포울딩된 스트래들 영역 (44) 을 스탬핑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 경우 관통 보어 (46) 는 전방으로 가면서 가늘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스트래들 부재 (47) 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 섹션 (50) 은 원추형으로 가늘어질 수도 있다. 자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대안적인 변형 실시예에서는, 상기 원추형 섹션이 스트래들 부재의 더 넓은 영역에 걸쳐 연장되거나 또는 스트래들 부재가 전체적으로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스트래들 부재 (47) 의 축방향 길이 (x) 는 암나사 (43) 의 축방향 연장부 (y) 만큼 감소되어 다우웰 본체 (41) 의 전체 길이 (l) 에 상응한다.
도 8 은 본 발명에 따른 도 5 의 스트래들 다우웰을 화살표 (VIII)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시선은 관통 보어 (36) 를 통해 스트래들 부재 (37) 의 전면에 미친다. 도면에서는, 외부면이 볼록하게 휘어진 스트래들 영역 (34) 이 대체로 3 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분명하게 알 수 있다. 스트래들 섹션 (34) 은 종방향 슬롯 (35) 에 의해 3 개의 스트래들 섹션 (10) 으로 나누어진다. 포울딩 라인 (F) 은 파선으로 표시되었고, 상기 라인을 따라 박판 천공 굽힘부가 스트래들 영역에서 포울딩된다.
도 3 내지 도 8 을 참조하여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들 다우웰의 실시예의 세팅 과정은 도 1 및 도 2 에 따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통상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다우웰 본체는 미리 준비된 수용 재료의 보어내로 삽입된다. 그 다음에, 스트래들 부재에 장치된 세팅 공구상에 가해지는 축방향 충격에 의해 스트래들 부재가 공칭 브레이킹 포인트에서 다우웰 본체로부터 분리되어 스트래들 영역내로 드라이빙되며, 그에 의해 스트래들 영역이 방사 방향으로 확대되어 스트래들 다우웰이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트래들 다우웰에 의해, 스트래들 다우웰에 소정의 하중값이 제공되도록 스트래들 영역이 소정의 사이즈로 확대되며, 스트래들 부재는 기계적으로 단단한 부재처럼 작동하고 간단하고도 저렴하게 소정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스트래들 부재는 부시 형태의 다우웰 본체에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스트래들 부재 및 다우웰 본체가 동일하게 박판 천공 굽힘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조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0)

  1. 관통 보어 (6) 가 제공된 부시 형태의 다우웰 본체 (1;21;31;41) 및 스트래들 부재 (7;27;37;47) 를 포함하며, 상기 다우웰 본체는 종방향 슬롯 (5;25;35;45) 이 제공된 스트래들 영역 (4;24;34;44) 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래들 영역 (4;24;34;44) 에 마주 놓인 후방 섹션 (2;22;32;42) 에 하중 작용 부재 (3;23;33;43) , 바람직하게는 암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스트래들 부재는 관통 보어 (6;26;36;46) 내에 지지되어 스트래들 영역 (4;24;34;44) 이 방사 방향으로 확대될 때 관통 보어 (6;26;36;46) 내에서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 스트래들 다우웰, 특히 충격 스트래들 다우웰에 있어서,
    상기 스트래들 부재 (7;27;37;47) 는, 콤팩트한 하나의 본체로 롤링되고 스트래들 영역 (4;24;34;44) 에 있는 관통 보어 (6;26;36;46) 에 비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사이즈가 큰 박판 천공 굽힘부 (11;12a;13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래들 다우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래들 부재 (27;37;47) 는 부시 형태의 다우웰 본체 (21;31;41) 에 일체로 형성되며, 이 경우 스트래들 부재 (27;37;47) 및 다우웰 본체 (21;31;41) 는 동일하게 박판 천공 굽힘부 (12a,12b;13a,13b) 로 이루어지고, 결합 영역에는 공칭 브레이킹 포인트 (29;39;49) 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래들 다우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 형태의 다우웰 본체 (21;31;41) 는 스트래들 영역 (24;34;44) 에서 박판 천공 굽힘부 (11b;12b) 를 포울딩함으로써 후방 섹션 (22;32;42) 보다 더 큰 벽두께 (t) 를 가지며, 이 경우 스트래들 영역 (24;34;44) 에 있는 관통 보어 (26;36;46) 의 직경 (s) 은 다우웰 본체 (21;31;41) 의 후방 섹션 (22;32;42) 의 내경 (r) 에 비해 축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래들 다우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래들 부재 (7;27;37;47) 는 대체로 원통형 외부 윤곽을 가지며, 이 경우 스트래들 부재 (7;27;37;47) 의 외경 (d) 은 스트래들 영역 (4;24;34;44) 에 있는 관통 보어의 직경 (s) 보다 약 0.5 ㎜ 내지 약 1.5 ㎜ 만큼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래들 다우웰.
  5. 제 4 항에 있어서, 관통 보어 (46) 는 스트래들 영역 (44) 에서 세팅 방향으로 가늘어지도록 형성되며, 이 경우 관통 보어 (46) 의 가늘어짐은 바람직하게는 박판 천공 굽힘부의 포울딩된 섹션을 스탬핑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래들 다우웰.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래들 부재 (47) 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세팅 방향으로 원추형으로 가늘어지는 외부 윤곽 (50)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래들 다우웰.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후방 섹션으로부터 다우웰 본체 (41) 의 스트래들 영역 (44) 으로 넘어가는 영역의 관통 보어 (46) 내에는 상기 스트래들 부재 (47) 를 위해 대체로 깔때기 모양의 슬립 챔퍼 (51) 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래들 다우웰.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래들 부재 (7;37;47) 는 하중 작용 부재 (3;33;43) 를 향한 그것의 측면에 중심에서 돌출하는 장부 (8;38;4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래들 다우웰.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우웰 본체 (31) 는 스트래들 영역 (34) 에서 외부면이 볼록하게 휘어진 대체로 3 각형의 외부 윤곽을 가지고, 3 개의 축방향 슬롯 (35) 에 의해 3 개의 스트래들 섹션 (10) 으로 나누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래들 다우웰.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트래들 부재 (7;27;37;47) 의 축방향 길이 (x) 는 암나사 (3;23;33;43) 의 축방향 연장부 (y) 만큼 감소되어 다우웰 본체 (1;21;31;41) 의 전체 길이 (l) 에 상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래들 다우웰.
KR1019980028867A 1997-07-18 1998-07-16 스트래들 다우웰 KR1999001394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30843.0 1997-07-18
DE19730843A DE19730843A1 (de) 1997-07-18 1997-07-18 Spreizdüb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943A true KR19990013943A (ko) 1999-02-25

Family

ID=7836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8867A KR19990013943A (ko) 1997-07-18 1998-07-16 스트래들 다우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919017A (ko)
EP (1) EP0892181B1 (ko)
JP (1) JPH1193922A (ko)
KR (1) KR19990013943A (ko)
DE (2) DE1973084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12645A1 (de) 2000-03-15 2001-09-20 Hilti Ag Spreizdübel
KR100875776B1 (ko) 2006-05-24 2008-12-24 푸-추안 흐수 매립식 팽창 체결구의 구조체 및 성형방법
DE102007039947A1 (de) * 2007-06-20 2009-03-12 Fischerwerke Gmbh & Co. Kg Spreizbare Dübelhülse
DE102007028844A1 (de) * 2007-06-20 2009-01-02 Fischerwerke Gmbh & Co. Kg Spreizbare Dübelhüls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2008A (en) * 1984-07-09 1987-02-10 Hilti Aktiengesellschaft Expansion dowel
US4690598A (en) * 1984-07-09 1987-09-01 Hilti Aktiegesellschaft Expansion dowel
JPS63280904A (ja) * 1987-03-12 1988-11-17 ソシエテ・デ・プロスペクシヨン・エ・ダンヴエンシヨン・テクニツク・エス・ペー・イー・テー 膨張止め釘
JPH0953617A (ja) * 1995-08-04 1997-02-25 Artur Fischer Gmbh 打込み式アンカ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577638A5 (ko) * 1974-06-05 1976-07-15 Tuflex A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2008A (en) * 1984-07-09 1987-02-10 Hilti Aktiengesellschaft Expansion dowel
US4690598A (en) * 1984-07-09 1987-09-01 Hilti Aktiegesellschaft Expansion dowel
JPS63280904A (ja) * 1987-03-12 1988-11-17 ソシエテ・デ・プロスペクシヨン・エ・ダンヴエンシヨン・テクニツク・エス・ペー・イー・テー 膨張止め釘
JPH0953617A (ja) * 1995-08-04 1997-02-25 Artur Fischer Gmbh 打込み式アン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193922A (ja) 1999-04-06
DE19730843A1 (de) 1999-01-21
EP0892181B1 (de) 2000-11-08
DE59800327D1 (de) 2000-12-14
EP0892181A1 (de) 1999-01-20
US5919017A (en) 1999-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2149B1 (ko) 팽창성 금속앵커 및 그 제조방법
US5493833A (en) Welding stud and method of forming same
AU610044B2 (en) Blind rivet
KR20090023718A (ko) 펀치리벳 및 다이
EP3620669B1 (de) Spreizanker
KR100451475B1 (ko) 자체절삭식언더컷앵커
US6712572B2 (en) Expansion dowel
KR19990013943A (ko) 스트래들 다우웰
CN100414122C (zh) 螺旋式锚定件
JPH0454087B2 (ko)
CA2453374C (en) Striking plug
KR19980079744A (ko) 팽창 앵커
CA2327822A1 (en) Self-cutting expansion anchor
US4109556A (en) Expansion dowel
US4659270A (en) Expansion dowel formed of an expansion sleeve and a wedge-shaped expansion element
US6715976B2 (en) Expansion anchor
US4906149A (en) Wall plug anchor assembly for mounting in a preformed hole
RU2112892C1 (ru) Забиваемый анкер
US6135688A (en) Undercut self-cutting dowel
US6846141B2 (en) Expansion bolt
JPS61218818A (ja) 拡張栓
US6010288A (en) Drive-in dowel
US4642008A (en) Expansion dowel
JPS5997310A (ja)
JPS62167912A (ja) 円錐状に内向きに拡大された袋穴に固定するための打撃拡張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