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739U - Out deck of moving walkway - Google Patents

Out deck of moving walkwa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739U
KR19990013739U KR2019970027015U KR19970027015U KR19990013739U KR 19990013739 U KR19990013739 U KR 19990013739U KR 2019970027015 U KR2019970027015 U KR 2019970027015U KR 19970027015 U KR19970027015 U KR 19970027015U KR 19990013739 U KR19990013739 U KR 1999001373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out deck
connecting member
frame
m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7015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향석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20199700270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3739U/en
Publication of KR1999001373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739U/en

Link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아웃데크의 외관을, 단순함에서 벗어나 1단 이상의 단턱을 형성하여 외관의장을 개선하고, 또한 연결부재는 양 아웃데크를 끼워 맞추는 것에 만족하도록 하고 아웃데크를 스크루를 통해 프레임에 직접 설치되게 하여 조립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보도의 아웃데크를 제공하는 것으로, 적어도 1단 이상의 단턱을 갖고 형성된 아웃데크와, 상기 아웃데크의 단면과 동일 단면을 갖고 형성되어 양 아웃데크에 단순히 끼워맞춤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아웃데크의 단턱 수직부에 고정수단을 삽입하여 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브래킷을 통해 아웃데크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earance of the outdeck is improved from the simplicity by forming one or more steps, which improves the appearance of the exterior, and the connecting member is satisfied to fit both the outdeck and the outdeck is directly installed on the frame through the screw. To provide an out deck of the moving walk to greatly improve the, the out deck formed with at least one step or more stepped, the connection is formed with the same cross section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out deck simply fitted to both out decks The member and the fixing means is inserted into the vertical step portion of the out deck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 deck can be fixed through the support bracket formed in the frame.

Description

이동보도의 아웃데크Out deck of moving walkway

본 고안은 에스컬레이터나 움직이는 보도(이하, 이동보도라 한다)에 공통적으로 설치될 수 있는 아웃데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웃데크의 외관의장성 및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보도의 아웃데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ut deck that can be commonly installed on an escalator or a moving walkway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moving walkwa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out deck of a moving walkway that can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deck and its assembly. It is about.

에스컬레이터나 이동보도는 층과 층 사이에서 승객을 연속적으로 실어 나르기 위한 기계장치이다.An escalator or moving walkway is a mechanism for carrying passengers continuously between floors.

이와 같은 에스컬레이터나 이동보도는 구동기에 의해 움직여지는 이동발판과, 이 이동발판의 좌우에 진행방향으로 연속해서 배치되는 난간과, 상기 난간의 상면에 설치되어 이동발판과 동일속도로 이동하는 이동손잡이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발판과 이동손잡이에 의해 승객을 실어 나르게 된다.Such escalators and moving walks include moving scaffolds that are moved by a driver, handrails that are continuously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ving scaffold, and moving handle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rail and moving at the same speed as the moving scaffold. It is configured to carry the passenger by the moving scaffold and the moving handle.

그리고 에스컬레이터나 이동보도의 난간 외측에는 장치의 내부를 커버하는 목적과 함께 의장성을 고려하는 아웃데크가 길이 재로 제공 설치된다.In addition, an outer deck is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handrail of the escalator or the moving walkway to provide the length of the outer deck considering the design.

그런데 지금까지의 아웃데크는 평평한 길이 재로 제공되어 의장성이 떨어지고, 또한 조립에 따른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어 왔다.However, until now, the out deck has been provided with a flat length of the material is poor design, and also has a problem that takes a long time due to the assembly.

도 1은 종래 이동보도의 아웃데크 설치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ut deck installation state of a conventional moving walkway.

도면부호 50은 구동기에 의해 움직여지는 이동발판, 이 이동발판(50)의 좌우에 진행방향으로 연속해서 배치되는 난간(52), 상기 난간(52)의 상면에 설치되어 이동발판(50)과 동일속도로 이동하는 이동손잡이(54), 승객을 이동발판(50)으로 유도하는 안내발판(56), 그리고 상기 난간(52)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프레임(58)에 고정되는 아웃데크(60) 등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발판(50)과 이동손잡이(54)에 의해 승객을 실어 나르게 된다.Reference numeral 50 is a moving scaffold which is moved by a driver, handrails 52 continuously disposed in the traveling directio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oving scaffold 50, and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andrail 52 to be the same as the moving scaffold 50. A moving handle 54 moving at a speed, a guide scaffold 56 for guiding a passenger to the moving scaffold 50, and an out deck 60 disposed outside the handrail 52 and fixed to the frame 58, etc. It is configured to carry the passenger by the moving scaffold 50 and the movable handle 54.

도 2는 종래 아웃데크의 연결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종래 아웃데크의 연결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connection state of the out deck, Figure 3 shows a connection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nventional out deck.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데크(60)는, 상면이 평평한 모양을 갖는 평탄부(60a)와, 이 평탄부(60a)의 양측이 절곡된 앵글플랜지(60b)로 이루어져 길이 재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out deck 60 includes a flat portion 60a having a flat top surface and an angle flange 60b in which both sides of the flat portion 60a are bent.

상기와 같이 구성된 아웃데크(60)는 이와 동일한 아웃데크(60)를 서로 단차없이 연결하기 위해 상기 아웃데크(60)의 앵글플랜지(60b)를 통해 삽입되는 연결부재(70)를 이용하게 된다.The outdeck 6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uses the connection member 70 inserted through the angle flange 60b of the outdeck 60 to connect the same outdeck 60 without step difference.

상기 연결부재(7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평평한 모양을 갖고 그 양측이 절곡되어 상기 앵글플랜지(60b)를 통해 삽입되는 플랜지(70a)와, 연결부재(70)의 저면 중앙으로 돌출되고 그 하부에 슬롯을 갖는 볼트안내레일(70b)로 이루어진다.2 and 3, the connecting member 70 has a flat top surface, both sides of which are bent to be inserted through the angle flange 60b, and the flange 70a and the connecting member 70. It consists of a bolt guide rail (70b) protruding toward the bottom center and having a slot at the bottom thereof.

이에 따라 양 아웃데크(60)의 앵글플랜지(60b)를 통해 연결부재(70)를 삽입시킨 다음 연결부재(70)의 일 측 플랜지(70a)를 스크루(72)와 너트(74)로 양 아웃데크(60)에 고정하여 상기 연결부재(70)를 통해 연결된 양 아웃데크(60)의 연결단부가 단차없이 연결되게 하고, 상기 연결부재(70)의 볼트안내레일(70b)을 통해 볼트(76)를 삽입시켜 이를 도 1에 도시된 프레임(58)에 너트(도시안됨)로 고정시켜 연결부재(70)를 통해 연결된 아웃데크(60)가 프레임(58)에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Accordingly, the connecting member 70 is inserted through the angle flange 60b of both out decks 60, and then the flange 70a of one 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70 is both out of the screw 72 and the nut 74. It is fixed to the deck 60 so that the connecting end of both the out deck 60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70 is connected without a step, the bolt 76 through the bolt guide rail 70b of the connecting member 70 ) Is inserted into the frame 58 by fixing the nut (not shown) to the frame 58 shown in FIG. 1 so that the out deck 60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70 is installed in the frame 58.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종래의 아웃데크(60)에 의하면, 아웃데크(60)의 상면이 평탄부(60a)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외장면이 단순하여 의장성이 떨어지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out deck 60 configured and operat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upper surface of the out deck 60 is formed of the flat portion 60a, the exterior surface is simple and the design is inferior.

그리고 연결부재(70)를 양 아웃데크(60)에 나사 조립하고, 또한 프레임(58)에 볼트 조립할 때 그 조립이 연결부재(70)의 안쪽에서 이루어져야 하므로 체결작업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조립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것이다.And when assembling the connecting member 70 to both the out deck 60, and also bolt assembly to the frame 58, the assembly must be made inside the connecting member 70, so the fastening operation is very difficult. Therefore, assemblability will be reduce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아웃데크의 외관을, 단순함에서 벗어나 1단 이상의 단턱을 형성하여 외관의장을 개선하고, 또한 연결부재는 양 아웃데크를 끼워 맞추는 것에 만족하도록 하고 아웃데크를 스크루를 통해 프레임에 직접 설치되게 하여 조립성을 크게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보도의 아웃데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improves the appearance of the outer deck by forming one or more steps, out of simplicity, and the connecting member to fit both the out deck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outdeck of a moving walkway that satisfies the requirements and allows the outdeck to be directly installed to the frame through screws to greatly improve the assemblability.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적어도 1단 이상의 단턱을 갖고 형성된 아웃데크와, 상기 아웃데크의 단면과 동일 단면을 갖고 형성되어 양 아웃데크에 단순히 끼워맞춤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아웃데크의 단턱 수직부에 고정수단을 삽입하여 프레임에 형성된 지지브래킷을 통해 아웃데크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ut deck formed with at least one step and a connecting member formed with the same cross section as the cross section of the out deck and simply fitted to both out decks, Inserting the fixing means in the stepped vertical por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 deck can be fixed through the support bracket formed in the frame.

도 1은 종래 이동보도의 아웃데크 설치상태를 예시한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out deck installation state of a conventional moving walkway.

도 2는 종래 아웃데크의 연결상태를 예시한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connection state of the out deck.

도 3은 종래 아웃데크의 연결 단면도.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out deck.

도 4는 본 고안의 아웃데크와 연결부재의 연결상태를 예시한 분리사시도.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out deck and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고안의 아웃데크와 연결부재의 연결상태를 예시한 사시도.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out deck and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고안의 아웃데크의 고정상태를 예시한 사시도.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fixed state of the out deck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아웃데크 10a : 단턱10: out deck 10a: step

10b : 앵글플랜지 20 : 연결부재10b: angle flange 20: connecting member

30 : 지지브래킷 32 : 스크루30: support bracket 32: screw

58 : 프레임58: frame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부호로 병기하여 설명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as in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도 4는 본 고안의 아웃데크와 연결부재의 연결상태를 예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아웃데크와 연결부재의 연결상태를 예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아웃데크의 고정상태를 예시한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outdeck and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nection state of the outdeck and the connection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fixed state is shown.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데크(10)는, 외관을 구성하는 상부가 1단으로 절곡된 단턱(10a)이 형성되고, 아웃데크(10)의 양측이 절곡된 앵글플랜지(10b)로 이루어져 길이 재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out deck 10 has a stepped portion 10a formed by bending the upper end of the outer deck 10, and both sides of the out deck 10 are formed of an angle flange 10b bent. do.

그리고 상기 양 아웃데크(10)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20)는, 상기 아웃데크(10)의 단면과 동일한 단면을 이루도록 구성하여 이 연결부재(20)를 양 아웃데크(10)에 끼워맞춤 함으로서 양 아웃데크(10)는 단차없이 연결되게 구성한다.The connecting member 20 for connecting the both out decks 10 is configured to have the same cross section as that of the out deck 10,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20 is fitted to both out decks 10. Both out decks 10 are configured to be connected without a step.

그리고 프레임(58)에는 상기 아웃데크(10)를 설치할 수 있는 지지브래킷(30)을 설치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데크(10)의 단턱(10a) 수직부에 스크루(32)의 고정수단을 삽입하여 상기 지지브래킷(30)에 형성된 나사공(30a)에 나사 조립하여 상기 아웃데크(10)가 지지브래킷(30)에 고정되도록 구성한 것이다.In addition, the frame 58 is provided with a support bracket 30 for installing the out deck 10 to fix the screw 32 to the vertical part of the step 10a of the out deck 10 as shown in FIG. 6. By inserting the means and screw assembly to the screw hole (30a) formed in the support bracket 30 is configured to the out deck 10 is fixed to the support bracket (30).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하면 연결부재(20)를 아웃데크(1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형상을 갖도록 하여 양 아웃데크(10)를 연결부재(20)를 통해 끼워맞춤 함으로서 양 아웃데크(10)들은 서로 단차없이 연결되게 되고, 스크루(32)를 외부에서 체결하여 아웃데크(10)를 프레임(58)에 설치된 지지브래킷(30)에 고정되게 함으로서 설치작업을 매우 간단하게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by having the connecting member 20 to have the same shape a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out deck 10 by fitting both out deck 10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20 both out deck 10 ) Are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without a step, by fastening the screw 32 from the outside to fix the out deck 10 to the support bracket 30 installed on the frame 58 can be very simple installation work. .

한편 상기 아웃데크(10)의 단차(10a)를 2단 혹은 3단 이상의 단차를 이루를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연결부재(20)도 이에 부합되는 동일 단면을 이루게 되는 것은 물론이다.On the other hand, the step 10a of the out deck 10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two or more steps or three steps. Accordingly, of course, the connecting member 20 also forms the same cross section corresponding thereto.

그리고 상기 아웃데크(10)에 스크루(32)를 체결할 때 그 체결부위를 수직부에서 수평부로 할 수도 있는 것이다.When the screw 32 is fastened to the out deck 10, the fastening part may be a horizontal part from a vertical part.

한편 상기 연결부재(20)는 경질 플라스틱재 또는 스레인리스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the connection member 20 is preferably made of a hard plastic material or a strainless material.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이동보도의 난간 외측에 설치되는 아웃데크는, 그 상면이 적어도 1단 이상의 단턱이 형성되어 외관의장을 개선시키는 효과를 갖게 되고, 양 아웃데크를 단차없이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가 아웃데크와의 동일 단면으로 하여 끼워 맞추는 것으로 연결되어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게 되며, 프레임에 설치된 지지브래킷을 통해 외부에서 고정수단으로 아웃데크를 프레임에 설치되게 됨으로서 설치작업이 매우 간단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out deck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handrail of the moving walkway, the upper surface of which has at least one step or more stepped to have an effect of improving appearance appearance, and to connect both out decks without steps. The connec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same cross section with the out deck to be connected to have an effect of improving the assemblability, and the installation work is very much possible because the out deck is installed on the frame by fixing means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support bracket installed on the frame. It will have a simple effect.

Claims (1)

적어도 1단 이상의 단턱(10a)을 갖고 그 양측에 앵글플랜지(10b)가 형성된 아웃데크(10)와, 상기 아웃데크(10)의 단면과 동일 단면을 갖고 형성되어 양 아웃데크(10)에 단순히 끼워맞춤되는 연결부재(20)와, 상기 아웃데크(10)의 단턱(10a) 에 고정수단을 삽입하여 아웃데크(10)를 프레임(58)에 설치된 지지브래킷(30)을 매개로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보도의 아웃데크.An out deck 10 having at least one step 10a and an angle flange 10b formed on both sides thereof, and having the same cross section as that of the out deck 10, are simply formed on both out decks 10. The fixing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member 20 to be fitted and the step 10a of the out deck 10 to fix the out deck 10 through the support bracket 30 installed on the frame 58. Out deck of moving walkway to do.
KR2019970027015U 1997-09-29 1997-09-29 Out deck of moving walkway KR19990013739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015U KR19990013739U (en) 1997-09-29 1997-09-29 Out deck of moving walkw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7015U KR19990013739U (en) 1997-09-29 1997-09-29 Out deck of moving walkw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739U true KR19990013739U (en) 1999-04-26

Family

ID=696758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7015U KR19990013739U (en) 1997-09-29 1997-09-29 Out deck of moving walkwa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3739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19781A (en) Passenger conveyor with unitary balustrade panel support members
JP2006131418A (en) Escalator or moving walk
US4871056A (en) Balustrade for passenger conveyer
JP2007518650A (en) Moving walkway, moving slope, or escalator
EP1454869B1 (en) Passenger conveyor
KR19990013739U (en) Out deck of moving walkway
JP2000211871A (en) Handrail supporting device of man conveyor
EP1751047A2 (en) Travelator, moving ramp or escalator
KR100302697B1 (en) Balustrade mounting structure of escalator
KR200167961Y1 (en) Inner deck of moving walk way and combined structure of skirt guard
KR100240955B1 (en) Escalator hand rail structure and its combining method
KR200184500Y1 (en) Escalator outside deck structure.
KR200158711Y1 (en) Structure of fixing connector for escalator outside deck
CN1315714C (en) Passenger conveyor
JP3453879B2 (en) escalator
JP3143818B2 (en) Passage equipment
JPH07315743A (en) Safety equipment for passenger conveyer
JPH07291569A (en) Safety device for passenger conveyer
JP3612468B2 (en) Stairway facility with intermediate landing
KR200222142Y1 (en) Deck fixing structure of passenger transport device
KR19990027988A (en) Escalator Handrail Frame Fixed Structure
JP6557195B2 (en) Passenger conveyor
JPH07179283A (en) Passageway facility
JP2009120394A (en) Safety apparatus for escalator
JPS6127894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