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678A - 적어도 방출 튜브와 복귀 튜브를 각각 액체 용기의 마개 연결부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적어도 방출 튜브와 복귀 튜브를 각각 액체 용기의 마개 연결부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678A
KR19990013678A KR1019980027416A KR19980027416A KR19990013678A KR 19990013678 A KR19990013678 A KR 19990013678A KR 1019980027416 A KR1019980027416 A KR 1019980027416A KR 19980027416 A KR19980027416 A KR 19980027416A KR 19990013678 A KR19990013678 A KR 19990013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stopper
tube
connecting means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7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아힘라이펠스
판데르하이즈덴
Original Assignee
제이 에이 피 판 데르 하이즈덴
비파페르팍킨겐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이 에이 피 판 데르 하이즈덴, 비파페르팍킨겐비.브이 filed Critical 제이 에이 피 판 데르 하이즈덴
Publication of KR19990013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67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67D7/34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 B67D7/344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by checking a correct coupling or coded inform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598With repair, tapping, assembly, or disassembly means
    • Y10T137/612Tapping a pipe, keg, or apertured tank under pressure
    • Y10T137/613With valved closure or bu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598With repair, tapping, assembly, or disassembly means
    • Y10T137/612Tapping a pipe, keg, or apertured tank under pressure
    • Y10T137/613With valved closure or bung
    • Y10T137/6137Longitudinal movement of val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292System with plural openings, one a gas vent or access opening
    • Y10T137/86324Tank with gas vent and inlet or outlet
    • Y10T137/86332Vent and inlet or outlet in unitary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Cartons (AREA)
  • Feeding And Controlling Fuel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Thermally Insulated Containers For Foods (AREA)

Abstract

원통 외벽 상에 형성되어 마개와 상호 작용하는 나삿니를 구비하며 게다가 적어도 2개의 개구가 제공된 바닥을 구비하는 원통형 삽입체와, 이러한 개구와 정렬되는 방출 튜브와 복귀 튜브용 통로가 제공되고 하부면에 의해 이러한 바닥 위에 위치되는 튜브 연결 마개와, 연결 수단을 통해 원통형 삽입체 내에 연결 마개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편을 포함하며, 소정 패턴으로 배치된 돌기와 이들 돌기를 수용하는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고, 마개 연결부에는 내부 나삿니가 합체된, 적어도 방출 튜브와 복귀 튜브를 액체 등을 위한 용기의 마개 연결부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체결편이 마개에 대해 축방향으로 활주가 불가능하게 연결되지만 마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며, 삽입체 내의 연결 수단이 챔버를 형성하기 위해 바닥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며, 리세스가 삽입체 내의 챔버 위에 위치되며, 돌기가 체결편의 하방 연장부 상에 그리고 연결 수단 아래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놓여있으며, 용기 상에 연결된 튜브는 인장력 없는 상태로 유지된다.

Description

적어도 방출 튜브와 복귀 튜브를 각각 액체 용기의 마개 연결부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
본 발명은 원통 외벽 상에 형성되어 마개와 상호 작용하는 나삿니를 구비하며 게다가 적어도 2개의 개구가 제공된 바닥을 구비하는 원통형 삽입체와, 이러한 개구와 정렬되는 방출 튜브와 복귀 튜브용 통로가 제공되고 하부면에 의해 이러한 바닥 위에 위치되는 튜브 연결 마개와, 연결 수단을 통해 원통형 삽입체 내에 연결 마개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편을 포함하며, 소정 패턴으로 배치된 돌기와 이들 돌기를 수용하는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고, 마개 연결부에는 내부 나삿니가 합체된, 적어도 방출 튜브와 복귀 튜브를 액체 등을 위한 용기의 마개 연결부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장치는 본 출원인의 네덜란드 특허 출원 제9400563호에 이미 설명되어 있다.
그러한 연결 장치는 용기 밖으로 액체를 방출하는 역할을 하며, 여기서 소정의 액체를 포함한 용기 상에만 끼워지도록 마개 연결부를 코딩(coding)하는 것이 권장된다. 단 하나의 특별한 연결 장치가 용기의 하나의 특별한 삽입체 상에 끼워지는 것을 보장하는 돌기와 이러한 돌기와 상호 작용하는 리세스가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삽입체는 액체 공급자에 의해 설치된다.
기존의 장치에 대한 단점은 상이한 구성 요소가 서로 별개로 구성되어, 실제에 있어 여전히 연결 에러를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된 단점을 피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체결편이 마개에 대해 축방향으로 활주가 불가능하게 연결되지만 마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므로 구별되며, 삽입체 내의 연결 수단이 챔버를 형성하기 위해 바닥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며, 리세스가 삽입체 내의 챔버 위에 위치되며, 돌기가 체결편의 하방 연장부 상에 그리고 연결 수단 아래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놓여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축방향 변위가 불가능한 체결편의 마개에 대한 회전 가능 연결과, 상호 작용하는 돌기 및 리세스의 특별한 배치로 인해, 전술된 연결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방지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개 연결부를 구비한 마개는 삽입체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된 특징 및 다른 특징은 이하의 실시예의 도면 설명에서 추가로 설명된다. 첨부된 도면은 부분적으로 절결된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부분 단면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삽입체
5 : 상호 작용 나삿니
9 : 나삿니
11 : 마개
14 : 환상 채널형 리세스
16 : 체결편
17 : 환상 플랜지
20, 21 : 돌기
23, 24 : 리세스
30 : 비복귀 밸브
용기의 상부 벽만 개략적으로 도시된 액체 용기가 도면 부호 1에 의해 지시되어 있다. 나삿니가 형성된 통 주둥이(3)가 연결되는 개구(2)가 상부 벽 내로 만입되어 있다. 상호 작용 나삿니(5)가 제공된 삽입체(4)가 이러한 통 주둥이 내에 위치된다.
삽입체에는 그 작동 및 기능이 이하에서 추가로 설명되는 통로 개구(6)와 제2 오리피스(7)가 합체되어 있다. 이하에서 추가로 나타나는 목적을 위해 챔버를 형성하는 공간(10)이 나삿니(9)와 바닥(8) 사이에서 자유롭게 남아 있도록 나삿니(9)는 삽입체의 바닥(8)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원통형 내부에 형성된다.
방출 튜브용 마개 연결부(12)와 상부에서 바닥까지 관통하는 구멍(13)이 제공된 마개(11)가 삽입체(4) 내로 위치된다.
마개(11)에는 채널형(channel-like) 리세스(14)가 외부 외주 상에 합체되어 있다.
외향 플랜지(15)가 바닥 단부 상에 추가로 형성된다.
마개(11)의 환상 채널형 리세스(14)에 끼워지는 환상 플랜지(17)를 환상 내부 상에서 구비한 체결편(16)은 마개(11) 둘레에 위치된다. 환상 플랜지(17)와 체결편(16)의 원통부(19)의 밑면 사이의 거리는 이러한 체결편의 원통형부의 밑면이 마개의 돌출 플랜지(15) 바로 위에서 종료되도록 하는 거리이다.
채널형 리세스(14) 및 돌출 환상 플랜지(17)에 의해 형성되는 연결의 특성 때문에, 체결편(16)은 마개(11)에 대해 화살표 P1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지만 축방향으로는 활주가 불가능하다. 일단 장착되면, 체결편(16)은 마개(11) 상에 고정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라, 체결편(16)의 원통 외벽 부분 상에 형성된 나삿니(22) 아래의 체결편(16)의 원통 외벽 부분 상에 배치된 돌기(lug)(20, 21) 수단이 형성된다.
돌기(20, 21) 수단들 사이의 거리와 일치하는 사이 거리를 갖는 2개의 리세스(23, 24)들이 나삿니(9)에 근접하여 삽입체(4)의 내부에 추가로 형성된다. 리세스(23, 24)의 폭도 돌기(20, 21)의 대응 폭과 일치한다.
삽입체(4) 내로 마개(11)를 위치시키기 위해, 마개(11)와 체결편(16)의 조립체는 삽입체(4)의 원통형 개구 내로 삽입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돌기(20, 21)가 리세스(23, 24)에 대향하여 놓이게 되도록 체결편(16)은 상향 체결링(25)에 의해 화살표 P1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 후에, 조립체는 화살표 P2 방향으로 하방 이동될 수 있어 돌기(20, 21)가 나삿니(9) 아래의 삽입부(4) 내의 공간(10)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체결편(16)은 마개(11) 및 삽입체(4)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나삿니(22)가 나삿니(9)와 결합하도록 추가적인 회전이 이뤄질 수 있고, 이후에 체결편(16)이 삽입체(4) 내로 단단히 조여진다. 따라서, 마개(11)는 액체 용기(1)의 방출 구멍 내에서 고정적으로 체결된다.
최종 체결 전에, 마개는 계속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음으로써, 반작용력 또는 비틀림이 마개 연결부에 결합된 방출 튜브 상에 생성되지 않는다.
마개(11)의 마개 연결부(12)의 통로 내에서의 비복귀(non-return) 밸브(30)는 추가 선택 사양이다.
밸브(30)는 가압 스프링(31)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되며 마개(11)의 개구를 하방 방향으로 폐쇄시킨다. 마개를 위치시키는 동안, 밸브(30)의 배면부(33)는 삽입체(4)의 통로 개구(6) 내의 정지부(34)에 맞닿게 되고, 밸브는 마개(11)의 배치에 의해 밸브 시트로부터 상승된다.
마개(11) 내의 개구(13)가 환기 목적으로 삽입체(4) 내의 환상 챔버(34)를 통해 제2 오리피스(7)와 연통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끼워지는 밀봉 링(35)은 액체 통로와 마개를 통한 환기 사이의 분리를 보장한다.
다른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가능하다는 것을 더불어 알아야 한다. 돌기(20, 21) 및 관련 리세스(23, 24)의 위치는 물론 일례로서만 역할하며 돌기(22, 21)의 상이한 위치 및 폭에 의해 완전히 상이한 코딩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체결편이 마개에 대해 축방향으로 활주가 불가능하게 연결되지만 축방향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며, 삽입체 내의 연결 수단이 챔버를 형성하기 위해 바닥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며 리세스가 삽입체 내의 챔버 위에 위치되며 돌기가 체결편의 하방 연장부 상에 그리고 연결 수단 아래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놓여 있다. 따라서, 상이한 구성 요소가 서로 별개로 구성되어 실제에 있어 여전히 연결 에러를 야기할 수 있는 종래의 단점을 피할 수 있으며, 축방향 변위가 불가능한 체결편의 마개에 대한 회전 가능 연결과, 상호 작용하는 돌기 및 리세스의 특별한 배치로 인해, 연결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방지된다.

Claims (5)

  1. 원통 외벽 상에 형성되어 마개와 상호 작용하는 나삿니를 구비하며 게다가 적어도 2개의 개구가 제공된 바닥을 구비하는 원통형 삽입체와, 이러한 개구와 정렬되는 방출 튜브와 복귀 튜브용 통로가 제공되고 하부면에 의해 이러한 바닥 위에 위치되는 튜브 연결 마개와, 연결 수단을 통해 원통형 삽입체 내에 연결 마개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편을 포함하며, 소정 패턴으로 배치된 돌기와 이들 돌기를 수용하는 리세스가 형성되어 있고, 마개 연결부에는 내부 나삿니가 합체된, 적어도 방출 튜브와 복귀 튜브를 액체 등을 위한 용기의 마개 연결부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체결편이 마개에 대해 축방향으로 활주가 불가능하게 연결되지만 마개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며,
    삽입체 내의 연결 수단이 챔버를 형성하기 위해 바닥으로부터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며, 리세스가 삽입체 내의 챔버 위에 위치되며, 돌기가 체결편의 하방 연장부 상에 그리고 연결 수단 아래에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놓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삽입체 내의 그리고 마개 상의 연결 수단은 나삿니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마개가 환상 채널을 갖고 체결편이 환상 내부 플랜지를 갖거나, 마개가 환상 내부 플랜지를 갖고 체결편이 환상 채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삽입체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대하여 딥 튜브(dip tube)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마개에는 적어도 하나의 개구에 대하여 비복귀 밸브가 합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80027416A 1997-07-08 1998-07-08 적어도 방출 튜브와 복귀 튜브를 각각 액체 용기의 마개 연결부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 KR1999001367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1006510 1997-07-08
NL1006510A NL1006510C2 (nl) 1997-07-08 1997-07-08 Inrichting voor het verbinden van althans een afvoer- en retourbuis aan een aansluitstomp van een vloeistofv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678A true KR19990013678A (ko) 1999-02-25

Family

ID=197652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7416A KR19990013678A (ko) 1997-07-08 1998-07-08 적어도 방출 튜브와 복귀 튜브를 각각 액체 용기의 마개 연결부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021802A (ko)
EP (1) EP0890546B1 (ko)
KR (1) KR19990013678A (ko)
AT (1) ATE242749T1 (ko)
CA (1) CA2242454A1 (ko)
DE (1) DE69815445T2 (ko)
DK (1) DK0890546T3 (ko)
ES (1) ES2201404T3 (ko)
NL (1) NL1006510C2 (ko)
PT (1) PT890546E (ko)
SG (1) SG67520A1 (ko)
TW (1) TW43417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581B1 (ko) * 2010-12-10 2013-01-21 주식회사 모리스 튜브 용기의 자동 밀폐 구조형 마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44962B3 (de) * 2003-09-27 2005-04-07 Protechna S.A. Entnahmearmatur aus Kunststoff für Transport- und Lagerbehälter für Flüssigkeiten
US8561855B2 (en) 2005-04-08 2013-10-22 Entegris, Inc. High-volume fluid dispense system
SG11201504188WA (en) * 2012-11-29 2015-06-29 Entegris Inc Single use dispense head with key code
US11421495B2 (en) 2014-01-28 2022-08-23 Stemlock, Incorporated Fluid release mechanism for a chemically-inflatable bag
US9677358B2 (en) * 2014-01-28 2017-06-13 Stemlock, Incorporated Fluid release mechanism for a chemically-inflatable bag
US10450818B2 (en) 2014-01-28 2019-10-22 Stemlock, Incorporated Fluid release mechanism for a chemically-inflatable bag
CN109848919A (zh) * 2017-11-30 2019-06-07 杜也兵 用于净水机机座与活动模块之间水口对接的旋接装置
AU2019461478B2 (en) * 2019-08-09 2024-01-04 Ecolab Usa Inc. Connection apparatus for establishing a fluidic connection between a storage container and another fluidic device and a corresponding ring element for coding the storage container
CN112046001B (zh) * 2020-07-10 2022-03-08 西安铂力特增材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3d打印机成形缸体拖动对接调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57412A1 (de) * 1968-05-04 1970-08-13 Rijkhoek Karel Willem Gefaess wie Flasche,Dose,Topf u.dgl. mit Sicherheitsverschluss
US3734332A (en) * 1971-12-01 1973-05-22 N Grulich Safety closure
US4509663A (en) * 1982-03-29 1985-04-09 Draft Systems, Inc. Locking mechanism and valve assembly
US4699298A (en) * 1985-03-20 1987-10-13 Fsi Corporation Bung connection
NL9400563A (nl) * 1994-04-08 1995-11-01 Micro Image Technology Ltd Inrichting voor het verbinden van een afvoer- en retourbuis aan een vat voor vloeistoffen.
GB9503045D0 (en) * 1994-09-07 1995-04-05 Bytheway Quinn J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ap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4581B1 (ko) * 2010-12-10 2013-01-21 주식회사 모리스 튜브 용기의 자동 밀폐 구조형 마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90546A1 (en) 1999-01-13
DE69815445D1 (de) 2003-07-17
ATE242749T1 (de) 2003-06-15
US6021802A (en) 2000-02-08
DE69815445T2 (de) 2004-05-13
SG67520A1 (en) 1999-09-21
CA2242454A1 (en) 1999-01-08
EP0890546B1 (en) 2003-06-11
ES2201404T3 (es) 2004-03-16
TW434171B (en) 2001-05-16
PT890546E (pt) 2003-10-31
DK0890546T3 (da) 2003-10-06
NL1006510C2 (nl) 1999-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5164A (en) Nozzle for dispensing container and receptacle for receiving same
US5004127A (en) Cap with a rotating casing for flasks, tubes and similar containers
EP0089727B1 (en) Valve unit for liquid container
US3596810A (en) Keg-tapping system
US6637725B2 (en) Universal quick-disconnect coupling and valve
US4210263A (en) Valve for batchwise withdrawing liquid from a container
KR19990013678A (ko) 적어도 방출 튜브와 복귀 튜브를 각각 액체 용기의 마개 연결부에 연결하기 위한 장치
US3596809A (en) Keg-tapping device
RU2263059C2 (ru) Бутылочная крышка с однонаправленным вентилем
US6435380B1 (en) Self-sealed spout
US6913162B2 (en) Tank cap and tank cap apparatus
SK138494A3 (en) Neck with thread on outlets of liquid containers from sheet
KR20060002876A (ko) 이중 슬라이더 밸브 부속품
JPS6344455A (ja) 計量カツプ式の蓋及び蓋を取り付けるための方法
EA012397B1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дозатором
US6357494B1 (en) Container closure
US5549224A (en) Liquid medicine container structure
US4113300A (en) Filler connection for vehicles driven by internal combustion engines
US7198180B2 (en) Container closure with biased closed tube valve
CA1282747C (en) Fluid dispensing apparatus
JP3285869B2 (ja) 飲み物容器の弁挿入体のための安全装置
ITMC20070061A1 (it) Sistema di fissaggio e sicurezza per tappi, valvole o simili a serbatoi.
US5097990A (en) Device for affixing a valve to a pressurized container, and container equipped with such a device
US6705592B2 (en) Closure for a container to be pressurized, as well as such a container
EP0768275A1 (en) An adaptor for a dispensing device to a bott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