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3252A - 공중전화 부스의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공중전화 부스의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3252A
KR19990013252A KR1019970063667A KR19970063667A KR19990013252A KR 19990013252 A KR19990013252 A KR 19990013252A KR 1019970063667 A KR1019970063667 A KR 1019970063667A KR 19970063667 A KR19970063667 A KR 19970063667A KR 19990013252 A KR19990013252 A KR 19990013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ublic telephone
pair
spac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3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6922B1 (ko
Inventor
윤강로
Original Assignee
윤강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강로 filed Critical 윤강로
Priority to KR1019970063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6922B1/ko
Publication of KR19990013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3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6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69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21S8/04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intended only for mounting on a ceiling or the like overhead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4Telephone cabi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4/00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 F21V14/02Controlling the distribution of the light emitted by adjustment of elements by movement of light sour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0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6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point-like light sources, e.g. incandescent or halogen lamps, with screw-threaded or bayonet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2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with provision for adjustment, e.g. for foc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중전화 부스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광고공간과 사용공간을 구획하는 천정벽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설치되어 광고공간과 사용공간을 조명하는 공중전화 부스의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천정벽에 형성된 구멍에 그 외주면이 접촉된 상태로 복수개의 탄성결합편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중앙부에 상기 구멍과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복수의 결합돌기를 가지는 전등갓 지지부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결합돌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의 전등갓 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등갓과; 상기 프레임의 결합부 상측에 회전수단에 의해 180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2개의 전구가 상하로 끼워지는 쌍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종래 방식에 비하여 설치 및 전구의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신속한 A/S가 가능하여 고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공중전화 부스의 조명장치
본 발명은 공중전화부스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중전화부스의 상측에 별도의 공간으로 구획된 광고공간과 전화기가 비치된 실제 사용공간을 동시에 조명하는 공중전화부스의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공중전화 부스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절제 단면도이며, 도 3은 종래 공중전화 부스의 상부에 설치된 조명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공중전화부스(1)는, 각종 광고물이 그 측면에 인쇄 및 부착된 광고를 위한 공간(2)과, 전화기(T)가 비치되어 실제 사용자가 들어가서 전화기를 사용하는 공간(3)으로 구획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광고를 위한 공간(2)과 실제 사용공간(3)은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천정벽(4)에 의해 구획되어 있고, 이 천정벽(4)에는 이들의 내부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종래 조명장치(5)의 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같이, 천정벽(4)에 구멍(4a)이 형성되고, 이 구멍(4a)을 중심으로 천정벽(4)의 상면 즉, 광고공간(2)의 바닥면 가장자리에 열십자 형상의 프레임(6)의 단부가 나사(10)에 의해 각각 고정되어 있고, 이 프레임(6)의 중앙부에는 쌍소켓(7)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쌍소켓(7)에는 상측의 광고공간(2)과 하측의 사용공간(3)을 각각 조명하기 위한 2개의 전구(8)(8')가 상하로 각각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천정벽(4)의 하면 즉, 사용공간(3)의 상면 가장자리에는 상기 구멍(4a)과 전구(8)(8')를 외부와 차단시키는 전등갓(9)이 복수의 나사(11)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 공중전화 부스의 조명장치(5)는, 전등갓(9)과 프레임(6)이 각각 복수의 나사(10)(11)에 의해 천정벽(4)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전등갓과 프레임의 설치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공중전화 부스의 조명장치(5)는 전구(8)(8')의 교체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전구(8)(8')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전등갓(9)을 고정하고 있는 나사(11)를 풀고 전등갓(9)을 분리한 다음, 전구(8)(8')를 교체하고, 다시 전등갓(9)을 복수의 나사(11)로 고정하여야 하므로 전구의 교체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열십자 형상의 프레임(6) 사이로 손을 넣은 상태에서 전구(8')를 돌려 전구(8')를 해체한 후, 해체된 전구(8')를 열십자 형상의 프레임(6) 사이로 빼내야 하는 상측의 전구(8') 즉, 광고공간을 조명하는 쌍소켓(7) 상측의 전구(8')를 교체하는 경우에는 그 교체작업이 더욱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설치작업이 간단하고 또한 전구의 교체작업이 간단한 공중전화 부스의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고공간과 사용공간을 구획하는 천정벽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설치되어 광고공간과 사용공간을 조명하는 공중전화 부스의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천정벽에 형성된 구멍에 복수개의 탄성결합편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중앙부에 상기 구멍과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복수의 결합돌기를 가지는 전등갓 지지부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결합돌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의 전등갓 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등갓과; 상기 프레임의 결합부 상측에 회전수단에 의해 180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2개의 전구가 상하로 끼워지는 쌍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부스의 조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중전화 부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절제 단면도.
도 3은 종래 공중전화 부스의 상부에 설치된 조명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전화 부스의 조명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발췌 분리사시도.
도 6은 도 4의 결합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전화 부스의 조명장치의 전구 교환동작을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광고공간 3 : 사용공간
4 : 천정벽 7 : 쌍소켓
8,8' : 전구 30 : 프레임
31 : 결합부 32 : 탄성걸림편
33 : 전등갓 지지부 36 : 결합돌기
40 : 전등갓 42 : 결합홈
44 : 돌기 50 : 회전수단
51 : 쌍소켓 지지부 52 : 한쌍의 지지판
53 : 결합공 54 : 결합돌기
55 : 돌기 56 : 쌍소켓 회전부
57 : 원형플랜지 58 : 회전축
59 : 결합홈 60 : 반원형 장홈
61 : 지지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공중전화 부스의 조명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요부발췌 분리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결합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공중전화 부스 조명장치의 전구 교환동작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공중전화 부스에 설치되는 조명장치(2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광고공간(2)과 사용공간(3)을 구획하는 천정벽(4)에 형성된 사각구멍(4a)에 설치되는 프레임(30)과, 프레임(3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등갓(40)과, 프레임(30)의 상측에 회전수단(50)에 의해 180도 정역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쌍소켓(7)으로 대별된다.
그리고 프레임(30)은, 천정벽(4)에 형성된 사각구멍(4a)에 그 외주면 즉, 4개의 측면이 접촉된 상태로 끼워지고, 이 4개의 측면에는 천정벽(4)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탄성결합편(32)이 소정간격으로 2개씩 절개 형성된 상부와 하부가 트인 사각틀 형상의 결합부(31)와, 이 결합부(31)의 하부에 형성되며 복수의 결합돌기(36)를 가지는 전등갓 지지부(33)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전등갓 지지부(33)는, 결합부(31)의 하부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천정벽(4)과 접촉되는 사각형상의 플랜지부(34)와, 이 플랜지부(34)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그 외측면에 결합돌기(36)가 형성된 스커트부(35)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프레임(30)의 하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등갓(40)은, 전등갓 지지부(33)에 형성된 결합돌기(36)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42)이 내측면에 형성되고, 그 상단부에 이로부터 외측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상면이 천정벽(4)과 접촉되는 플랜지부(43)가 형성된 캡 형상의 몸체(41)로 이루어지며, 몸체(41)의 외측면에는 취급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44)가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다.
그리고 쌍소켓을 프레임(30)의 상측 즉, 결합부(31)에 180도 정역회전 가능하게 설치하기 위한 회전수단(50)은, 프레임(30)의 결합부(31)에 형성되는 쌍소켓 지지부(51)와, 이 쌍소켓 지지부(51)에 180도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쌍소켓 회전부(56)를 구비한다.
그리고 쌍소켓 지지부(51)는, 프레임(30)의 결합부(31)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소정길이 연장되는 한쌍의 지지판(52)과, 이 한쌍의 지지판(52)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는 결합공(53)과 결합돌기(5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쌍소켓 회전부(56)는, 한쌍의 지지판(52)에 형성된 결합공(53)과 결합돌기(54)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58)과 180도 간격을 두고 형성된 2개의 결합홈(59)을 가지는 한쌍의 원형플랜지(57)와, 이 한쌍의 원형플랜지(57)를 일체로 연결하며 그 중앙부에 쌍소켓(7)이 설치되는 지지대(6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한쌍의 지지판(52)에 형성된 결합돌기(54)는, 지지판(52)를 도 4 및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같이 부분 절개한 절개편의 단부(자유단)에 형성되고, 또한 한쌍의 지지판(52)과 원형플랜지(57)에는 지지판(52)에 형성된 결합돌기(54)와 원형플랜지(57)에 180도 간격을 두고 형성된 2개의 결합홈(59)의 결합 위치를 한정함과 동시에 쌍소켓 회전부(56)가 180도 범위내에서만 회전되도록 한정하는 돌기(55)와 반원형 장홈(60)이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판(52)의 결합공(53) 주위에는 쌍소켓 회전부(56)의 원형플랜지(57)에 형성된 원형홈에 끼워지는 원형돌기가 형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공중전화 부스의 조명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치된다.
먼저, 프레임(30)의 결합부(31)에 형성된 쌍소켓 지지부(51)의 지지판(52)을 약간 벌린 상태에서, 쌍소켓 회전부(56)의 양측 원형플랜지(57)에 형성된 회전축(58)을 한쌍의 지지판(52)에 형성된 결합공(53)에 끼움과 동시에, 한쌍의 지지판(52)에 형성된 돌기(55)를 원형플랜지(57)에 형성된 반원형 장홈(60)에 끼움으로써 쌍소켓 지지부(51)에 쌍소켓 회전부(56)가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쌍소켓 회전부(56)를 회전시켜 원형플랜지(57)에 180도 간격을 두고 형성된 2개의 결합홈(59)중 어느 하나의 결합홈(59)에 지지판(52)에 형성된 결합돌기(54)를 결합시키면, 쌍소켓 회전부(56)가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쌍소켓 지지부(51)에 위치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프레임(30)을 광고공간(2)과 사용공간(3)을 구획하는 천정벽(4)에 형성된 사각구멍(4a)에 대고 상방으로 밀어넣으면, 프레임(30)의 결합부(31) 4측면에 형성된 복수의 탄성결합편(32)이 천정벽(4)의 구멍(4a)을 통해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탄성적으로 결합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프레임(30)의 하부에 형성된 전등갓 지지부(33)에 전등갓(40)을 대고 상방으로 밀어올리면, 전등갓 지지부(33)에 형성된 결합돌기(36)가 전등갓(40)의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홈(42)에 결합된 상태로 전등갓(40)이 전등갓 지지부(33)에 고정되게 됨으로써 조명장치의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나사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조명장치를 천정벽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종래 복수의 나사를 사용하여 조명장치를 천정벽에 설치하던 방식에 비하여 조명장치의 설치작업이 간단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등갓(40)의 외주면에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길이방향의 돌기(44)가 복수개 형성되어 있으므로, 취급시 전등갓(40)이 작업자의 손에서 미끄러져 지면으로 떨어짐으로 인해 발생되는 전등갓의 파손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공중전화 부스에 설치된 조명장치의 전구를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프레임(30)의 전등갓 지지부(33)에 결합된 전등갓(40)을 하방으로 잡아당기면, 전등갓(40)의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홈(42)과 전등갓 지지부(33)에 형성된 결합돌기(36)가 분리되면서 전등갓(40)이 전등갓 지지부(33)로부터 분리되게 된다. 이때 전등갓(40)의 외주면에 복수의 돌기(44)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전등갓의 분리작업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전등갓(40)이 분리된 상태에서, 쌍소켓(7)중 하부에 결합된 사용공간(3)을 조명하는 전구(8')를 교체하는 경우에는, 바로 전구(8')를 돌려서 쌍소켓(7)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새것으로 교체하게 된다.
그리고 쌍소켓(7)중 상부에 결합된 광고공간(2)을 조명하는 전구(8)를 교체하는 경우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쌍소켓 회전부(56)를 화살표방향으로 180도 회전시켜 상측에 위치하던 전구(8)를 하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쌍소켓 회전부(56)를 밀면, 지지판(52)의 결합돌기(54)로부터 원형플랜지(57)의 결합홈(59)이 분리되면서 쌍소켓 회전부(56)가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쌍소켓 회전부(56)는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같은 원형플랜지(57)의 반원형 장홈(60)과 이에 결합된 지지판(52)의 돌기(55)에 의해 180도 범위내에서만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쌍소켓 회전부(56)가 180도 회전되어 상측에 위치하던 전구(8)가 하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지지판(52)의 결합돌기(54)가 원형플랜지(57)에 형성된 다른 결합홈(59)에 결합됨으로써 쌍소켓 회전부(56)가 180도 회전된 상태로 위치고정되고, 이 상태에서 전구(8)를 새것으로 교체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열십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프레임 사이로 손을 넣어 전구를 교체하던 방식에 비하여 전구의 교체작업이 간단하게 된다.
이와같은 본 발명 조명장치는 공중전화 부스 이외에도 예를 들어 팝콘 자판기등과 같이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구획된 공간을 조명하는데 사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 공중전화 부스의 조명장치에 의하면, 설치작업이 간단하고 또한 전구의 교체작업이 간단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 방식에 비하여 설치 및 전구의 교체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게 되고, 또한 신속한 A/S가 가능하여 고객의 만족도를 높일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4)

  1. 광고공간과 사용공간을 구획하는 천정벽에 형성된 구멍을 통해 설치되어 광고공간과 사용공간을 조명하는 공중전화 부스의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천정벽에 형성된 구멍에 그 외주면이 접촉된 상태로 복수개의 탄성결합편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그 중앙부에 상기 구멍과 연통되는 공간부가 형성된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복수의 결합돌기를 가지는 전등갓 지지부로 이루어진 프레임과;
    상기 결합돌기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홈을 가지고 상기 프레임의 전등갓 지지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전등갓과;
    상기 프레임의 결합부 상측에 회전수단에 의해 180도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2개의 전구가 상하로 끼워지는 쌍소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부스의 조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결합부로부터 각각 상방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지지판의 상호 마주보는 면에 각각 결합공과 결합돌기가 형성된 쌍소켓 지지부와;
    상기 지지판에 형성된 결합공과 결합돌기에 각각 결합되는 회전축과 180도 간격을 두고 형성된 한쌍의 결합홈이 형성된 한쌍의 원형플랜지와, 상기 한쌍의 원형플랜지를 연결하며 그 중앙부에 쌍소켓이 설치되는 지지대로 이루어진 쌍소켓 회전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부스의 조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는 결합돌기는 상기 지지판을 부분절개한 절개편의 선단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과 원형플랜지에는 상기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결합위치를 한정함과 동시에 쌍소켓 회전부의 회전각도를 한정하는 돌기와 반원형 장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부스의 조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벽에 형성된 구멍과 상기 프레임 및 이에 형성된 공간부와 상기 전등갓이 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등갓의 외측면에 취급시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한 돌기가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중전화 부스의 조명장치.
KR1019970063667A 1997-11-28 1997-11-28 공중전화 부스의 조명장치 KR100236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667A KR100236922B1 (ko) 1997-11-28 1997-11-28 공중전화 부스의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3667A KR100236922B1 (ko) 1997-11-28 1997-11-28 공중전화 부스의 조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3252A true KR19990013252A (ko) 1999-02-25
KR100236922B1 KR100236922B1 (ko) 2000-02-01

Family

ID=195258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3667A KR100236922B1 (ko) 1997-11-28 1997-11-28 공중전화 부스의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692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709B1 (ko) * 2007-09-03 2009-10-06 이동근 엘이디를 이용한 양방향 조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709B1 (ko) * 2007-09-03 2009-10-06 이동근 엘이디를 이용한 양방향 조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6922B1 (ko) 200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5389B2 (en) Luminaire, particularly of the ceiling-mounted type or of the type for recessed fitting in ceilings and walls
US4225906A (en) Luminaire apparatus with multiple light sources and methods of operating same
US20070165398A1 (en) Directional adjustable swivel lighting-fixture
KR20010044139A (ko) 조명장치
EP0985870A3 (en) Lamp with faceted reflector and spiral lens
US4587600A (en) Lighting fixture
KR100236922B1 (ko) 공중전화 부스의 조명장치
USD470262S1 (en) Fluorescent lamp with rotatable lamp fixture
KR100682074B1 (ko) 회전 반사판을 갖는 조명등
US4831755A (en) Back illuminated frame for translucent plates
US7163310B2 (en) Under-cabinet light fixture
KR200408793Y1 (ko) 매입등 기구의 본체와 유니트 하우징 연결구조
WO2011008779A1 (en) Dual switch, multi-lamp make-up mirror
KR200418939Y1 (ko) 착탈이 용이한 반사커버를 갖는 각도 조절등
KR200325083Y1 (ko) 실내등 겸용 스탠드
KR200255739Y1 (ko) 형광램프조명방향조절구조
JP2904703B2 (ja) 照明器具
KR200264386Y1 (ko) 독서실용 스탠드
CN218409682U (zh) 一种射灯
KR102262767B1 (ko) 레일 조명등 고정장치
KR940001319Y1 (ko) 조명기구
KR200183764Y1 (ko) 램프교환이 용이한 조명등
CN214249349U (zh) 一种模块化灯具
KR200289439Y1 (ko) 조명등의 커버 고정장치
KR200314438Y1 (ko) 천장 직부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