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2465A - 사설 교환기의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를 위한 제어 메시지포맷 방법 - Google Patents

사설 교환기의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를 위한 제어 메시지포맷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2465A
KR19990012465A KR1019970035864A KR19970035864A KR19990012465A KR 19990012465 A KR19990012465 A KR 19990012465A KR 1019970035864 A KR1019970035864 A KR 1019970035864A KR 19970035864 A KR19970035864 A KR 19970035864A KR 19990012465 A KR19990012465 A KR 19990012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message
message service
voice
message
private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5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7713B1 (ko
Inventor
최도연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70035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7713B1/ko
Publication of KR19990012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77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77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3Voice mail systems
    • H04M3/53333Message receiving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14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in private branch excha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2213/0002Serial port, e.g. RS232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의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를 위한 제어 메시지 포맷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등록한후,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녹음 메시지를 청취하기 위한 음성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억세스 내선 번호가 다이얼링되고, 음성 메시지 서비스 채널을 점유하면, 링 신호가 송출되므로, 입출력 프로세서는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에 따라 CONF XX YYYY CRLF”으로 포맷 정의된 데이터를 음성 메시지 서비스 장비로 전송함에 따라 커스터머 그룹에서 음성 데이터를 청취하므로, 확인 메시지 정보 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고, 해당 커스터머 그룹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설 교환기의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를 위한 제어 메시지 포맷 방법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Private eXchange)에 관한 것으로, 특히 DPX-100 사설 교환기에 있어서, 음성 메시지 서비스(Voice Message Service : 이하, VMS라 약칭함) 장비와 정합할 때, 음성 메시지를 확인 요구할 수 있도록 한 사설 교환기의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를 위한 제어 메시지 포맷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설 교환기는 회사나 동일 건물내의 구내 가입자를 상호 연결시켜주며, 구내 가입자를 공중 전화 교환망의 외부 가입자와 연결 시켜주는 교환기이다.
이와같이 사설 교환기는 기업, 공공기관 및 기타 단체의 업무용 통신의 큰 부분을 담당하고 있으며, 앞으로 이것이 차지하는 비율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 구내 가입자와의 상호 연결과, 구내 가입자와 외부가입자를 연결해주는 여러 가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종래 사용하고 있는 사설 교환기에 있어서, 음성 메시지 서비스가 등록된 가입자가 음성 메시지를 확인하기 하기 위해 사설 교환기내로 요구하는 제어 메시지 포맷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설 교환기와 T-bus로 연결된 입출력 프로세서, 이러한 입출력 프로세서와 RS-232C 케이블로 연결된 음성 메시지 서비스 장비와 정합할 때 음성 메시지의 확인 요구를 위한 제어 메시지 포맷(CONF XX YYYY CRLF”)을 정의할 수 있도록 한 사설 교환기의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를 위한 제어 메시지 포맷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설 교환기의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를 위한 제어 메시지 포맷 방법에 관한 것으로, 맨 머신 통신을 이용하여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등록하는 단계와;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녹음 메시지를 청취하기 위한 음성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억세스 내선 번호가 다이얼링되는 단계와; 음성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채널을 점유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판단 단계에서 음성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채널을 점유하면, 다이얼링에 의한 링 신호가 송출되는 단계와; 링 신호가 송출되면, 입출력 프로세서는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에 따라 CONF XX YYYY CRLF”으로 포맷 정의된 데이터를 음성 메시지 서비스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와;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에 대한 CONF XX YYYY CRLF”으로 포맷 정의된 데이터중 CONF는 메시지 확인 메시지 정보 요소와,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에 대한 CONF XX YYYY CRLF”으로 포맷 정의된 데이터중 CONF 다음 스페이스는 확인 메시지 정보 요소와 커스터머 그룹 번호를 구분하는 구분자와,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에 대한 CONF XX YYYY CRLF”으로 포맷 정의된 데이터중 XX는 커스터머 그룹 번호로서, 0∼15개의 커스터머 그룹과,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에 대한 CONF XX YYYY CRLF”으로 포맷 정의된 데이터중 XX 다음 스페이스는 커스터머 그룹 번호와 음성 메시지 서비스 채널 고유 내선 번호를 구분하는 구분자와,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에 대한 CONF XX YYYY CRLF”으로 포맷 정의된 데이터중 YYYY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 채널의 고유 내선 번호로서 최대 8자리까지 수용 가능한 내선번호와, CONF XX YYYY CRLF”으로 포맷 정의된 데이터를 음성 메시지 서비스 장비로 전송하므로, 음성 메시지를 커스터머 그룹에서 청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설 교환기의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를 위한 제어 메시지 포맷 방법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사설 교환기의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를 위한 제어 메시지 포맷 방법에 대한 본 발명의 상세 흐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PLS 20 : IOP
30 : VM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발명의 목적 및 특징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사설 교환기의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를 위한 제어 메시지 포맷 방법의 블록 구성도로서, 사설 라인 서브 시스템(Private Line Subsystem : 이하, PLS라 약칭함)(10)과, 입출력 프로세서(Input Output Processor : 이하, IOP라 약칭함)(20)와, VMS(30)로 구성된다.
PLS(10)는 사설 라인 서브 시스템 블록으로, 도시되지 않은 라인 프로세서에 속해있고, 라인 제어 서브 시스템(Line Control Subsystem : 이하, LCS라 약칭함)과 접속되어 도시되지 않은 단말기와의 자국호 제어와 출중계호 제어 및 입중계호 제어 처리를 수행하며, 과금 정보 생성 및 통계 데이터를 수집하여 스위칭 번호 번역 서브 시스템(Switching Number Transration Subsystem : 이하, SNS라 약칭함)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자국호 제어는 단말기를 사용하는 발신 가입자가 자국의 착신 가입자를 호출하는 일련의 호 제어 과정으로써, 호의 발생, 발신음 송출, 디지틀 송출, 디지틀 분석, 통화로 배정, 호출신호 송출, 통화로 접속, 복구의 순서에 따라 호가 진행되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출중계호 제어는 단말기를 사용하는 발신 가입자가 타국의 착신 가입자를 호출하는 일련의 호 제어 과정이고, 입중계호 제어는 타국의 가입자가 자국의 입중계선을 통하여 자국의 착신 가입자를 호출하는 일련의 호 제어 과정이다.
도시되지 않은 SNS는 PLS(10)로부터 중계호 처리에 따라 전송된 전화 번호를 전송받고, 내부적으로 번호 번역(Number Translation)과, 시분할 스위치(Time Switch)와, 전화 장치 제어기(Telephony Device Control)와, 가입자 데이터 정합부(Subscriber Data Handling)를 구비하고, 도시 되지 않은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자신의 녹음 메시지를 청취하기 위한 제어 메시지 포맷에 대한 데이터를 IOP(20)로 전송한다.
IOP(20)는 입출력 포트 제어를 담당하는 입출력 프로세서로서, 입출력 포트를 통해 입력 및 출력되는 메시지에 대한 분석 및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메시지 데이터 정합(Message Data Handling)과, 각 입출력 포트에 대한 상태 관리 및 입출력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입출력 프로세스 관리(Input Output Process Management)와, IOP PC내의 하드디스크에 대한 파일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크 정합(Disk Handling)과, 시스템의 국데이터에 대한 생성 및 시스템 소프트 웨어와의 정합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발생(Data Generation)과, 운용중인 시스템 패키지로부터 국데이터를 축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데이터 익스트랙션(Data Extraction)으로 구성되어 메인 프로세서와 연결되어 있으며, IOP(20)와 연결된 맨머신 컴뮤니케이션을 이용하여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사설 교환기내의 메모리에 등록한후, IOP(20)는 RS-232C 케이블로 연결된 VMS(30)에게 내선 번호에 해당되는 링(Ring) 송출과,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를 위한 제어 메시지 포맷(CONF XX YYYY CRLF)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RS-232C 케이블은 공중 전화망을 통한 데이터 전송에 필요한 변복조기와 컴퓨터를 접속시켜주는 표준 인터페이스이다.
또한, 9.6[Kbps]이하의 속도로 최대 15m이내의 거리에서 연결하고자 할 때 널리 사용되고, 케이블의 커넥터는 25핀으로 구성되어 이중 2번 핀과 3번 핀이 데이터 송/수신에 관계되며, 나머지 핀들은 타이밍과 공중 전화망을 통한 연결을 관리하기 위한 각종 제어 신호들을 주고 받기 위한 기능들을 갖는다.
VMS(30)는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할 수 있는 장비로써, 내부적으로 메모리가 있으므로, 음성에 해당되는 데이터를 저장한후, 가입자로부터 메시지 확인 요구가 입력되면, 메시지 확인 요구에 따라 저장된 음성 데이터를 다시 PLS(10)를 통해 가입자에게 전송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설 교환기의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를 위한 제어 메시지 포맷 방법을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IOP(20)는 T-bus로 PLS(10)와 연결되어 있으며, 맨 머신 통신(Man Marchine Communication)을 이용하여 VMS를 등록(200)한 가입자가 자신의 녹음 메시지를 청취하기 위해 임의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VMS 억세스 내선 번호를 PLS(10)로 다이얼링한다.(201)
여기서, T-bus는 T-레벨 장치(Level Unit)간의 하이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High level Data Link Control) 프로토콜에 따른 직렬방식 통신을 하기 위한 회로를 구성하고, 메인 프로세서와 IOP(20)는 라운드 로빈(Round Robin)방식으로 버스 점유권을 부여 받아, 자신의 차례에서 전송할 정보가 있으면, 상대방 프로세서로 송신을 할 수 있고, 하이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직렬 통신시 전송 속도는 409.6Kbps를 사용하며, 최대 1Mbps까지 증가시켜 전송할 수 있다.
PLS(10)는 VMS 채널을 점유하였는가를 판단하여(202) VMS 채널을 점유하며, 다이얼링에 따른 링(Ring) 신호를 송출한다.(203)
링 신호가 송출되면, IOP(20)는 RS-232C 케이블을 통해 VMS(30)로 CONF XX YYYY CRLF”으로 포맷 정의된 데이터를 전송한다.(204)
여기서, CONF XX YYYY CRLF” 데이터는 본 발명으로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를 위한 제어 메시지 포맷을 지칭하는 정의이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CONF는 Confirm의 약어로서, 원뜻은 메시지 확인을 말하며, 추후의 확장성을 고려하여 4자리를 사용한다.(또는, 확인 메시지 정보 요소라고 말한다.)
CONF 다음 스페이스(Space)는 확인 메시지 정보 요소와 커스터머 그룹 번호(Customer Group No)를 구분하는 구분자로 사용한다.
XX는 DPX-100 사설 교환기내부의 커스터머 그룹 번호로서, 0∼15 커스터머 그룹을 갖는다.
XX 다음 스페이스는 커스터머 그룹 번호와 VMS 채널(Channel) 고유 내선 번호(Identification)를 구분하는 구분자로 사용한다.
YYYY는 헌팅(Hunting)된 VMS 채널의 고유 내선 번호(ID)로서 최대 8자리까지 수용이 가능하다.
CR은 케리지 리턴(Carriage Return)의 약어이고, LF는 라인 피드(Line Feed)의 약어이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메시지 확인 요구 포맷인 CONF XX YYYY CRLF” 데이터가 VMS로 전송되면 해당 커스터머 그룹에 속해있는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VMS가 등록된 가입자가 녹음 메시지를 청취하기 위해 메시지 확인 요구 포맷 데이터인 CONF XX YYYY CRLF”을 전송함에 따라 확인 메시지 정보 요소라는 것을 알 수 있고, 해당 커스터머 그룹에 저장된 음성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입출력 프로세서와 임의의 단말기와 맨 머신 통신과 음성 메시지 서비스 장비를 구비하며, 사설 교환기의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를 위한 제어 메시지 포맷 방법에 있어서,
    상기 맨 머신 통신을 이용하여 음성 메시지 서비스를 등록하는 단계;
    상기 임의의 단말기로부터 녹음 메시지를 청취하기 위한 상기 음성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억세스 내선 번호가 다이얼링하는 단계;
    상기 음성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채널을 점유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단계에서 상기 음성 메시지 서비스에 대한 채널을 점유하면, 상기 다이얼링에 의한 링 신호가 송출하는 단계;
    상기 링 신호가 송출되면, 상기 입출력 프로세서는 상기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에 따라 CONF XX YYYY CRLF”으로 포맷 정의된 데이터를 상기 음성 메시지 서비스 장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CONF XX YYYY CRLF”으로 포맷 정의된 데이터를 상기 음성 메시지 서비스 장비로 전송하므로, 상기 음성 메시지를 커스터머 그룹에서 청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 교환기의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를 위한 제어 메시지 포맷 방법.
KR1019970035864A 1997-07-29 1997-07-29 사설 교환기의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를 위한 제어 메시지포맷 방법 KR1002477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864A KR100247713B1 (ko) 1997-07-29 1997-07-29 사설 교환기의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를 위한 제어 메시지포맷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864A KR100247713B1 (ko) 1997-07-29 1997-07-29 사설 교환기의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를 위한 제어 메시지포맷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465A true KR19990012465A (ko) 1999-02-25
KR100247713B1 KR100247713B1 (ko) 2000-10-02

Family

ID=19516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5864A KR100247713B1 (ko) 1997-07-29 1997-07-29 사설 교환기의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를 위한 제어 메시지포맷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7713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7236B1 (ko) * 1990-12-31 1993-08-04 한국전기통신공사 전전자 교환기의 출력메시지 구성방법
KR960027979A (ko) * 1994-12-29 1996-07-22 김준성 음성메시지 전송장치 및 그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7713B1 (ko) 2000-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38237B2 (ja) インタネット電話発信者番号通知装置
US6473423B1 (en) Method and system for inter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wo telephone sets via the internet
US7369544B2 (en) Internet telephone system with hunting diversion
EP0195051B1 (en) Trunk call processing services for host computer interconnections
JPH01279666A (ja) 電話交換装置を改良する装置及び方法
JPH03209958A (ja) 呼出処理方法とスイッチ・システム
AU6516594A (en) Telemetry arrangement
US6175620B1 (en) Compatibility between a telephone service with server and a calling line identification service
JP3021630B2 (ja)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3303776B2 (ja) Lan電話端末を接続する交換機およびその接続方法
US6490344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channel coupling method
KR100247713B1 (ko) 사설 교환기의 음성 메시지 확인 요구를 위한 제어 메시지포맷 방법
JPH10285285A (ja) 収容交換機を変更したとき変更前の加入者電話番号を用いることを可能にした呼の接続方法
KR19990012466A (ko) 사설 교환기의 음성 메시지 저장 요구를 위한 제어 메시지포맷 방법
KR20000046326A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주파수 편이 방식을 이용한 가입자 정보송출방법
KR100284042B1 (ko) 지능망에서의 여론 조사 서비스를 위한 호처리 방법
KR940007906B1 (ko) 정보 검색 이용을 위한 전화망 정합장치 및 방법
KR20010036115A (ko) 발신 가입자 번호 및 이름 표시방법
KR100295414B1 (ko) 이동전화 리콜 서비스 방법
JP3003644B2 (ja) 小規模加入者向けpbx接続方式
KR100214648B1 (ko) 종합정보통신망의 클립 기능을 이용한 선택적 음성 메시지 녹음 및 송출 제어방법
SU849552A1 (ru) Устройство избирательной телефоннойСВ зи
KR100302335B1 (ko) 사설교환 시스템의 큐 시그널링을 이용한 국선 공유 방법
KR20010035929A (ko) 발신 가입자 전화번호 표시장치 및 방법
JPH0451748A (ja) 端末装置間接続通信システム及び送受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