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2181A - 디지털방식 가변저항기 - Google Patents

디지털방식 가변저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2181A
KR19990012181A KR1019970035491A KR19970035491A KR19990012181A KR 19990012181 A KR19990012181 A KR 19990012181A KR 1019970035491 A KR1019970035491 A KR 1019970035491A KR 19970035491 A KR19970035491 A KR 19970035491A KR 19990012181 A KR19990012181 A KR 199900121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resistor
resistance value
switch
present
digital vari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5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인근
유영동
Original Assignee
이우복
사단법인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우복, 사단법인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filed Critical 이우복
Priority to KR1019970035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2181A/ko
Publication of KR199900121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2181A/ko

Links

Landscapes

  • Adjustable Resis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방식 가변저항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식 가변저항기에 의하면 종래의 아날로그방식의 가변저항기에 사용되는 조절나사 대신에 스위치부의 온/오프동작에 의해 저항값이 결정됨으로 정밀한 저항값의 조정이 가능하고 수명이 연장된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지털방식 가변저항기
본 발명은 디지털방식 가변저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변저항기는 전자회로내에서 변화되는 저항값이 요구될 때 주로사용되는 전자부품으로서 저항값을 변화하기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가변저항기내에 장착된 조절용 나사를 돌려서 원하는 저항값으로 변화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가변저항기는 미세조정을 하기가 어렵고 장시간 사용될 경우 조절용 나사가 손상되기 쉬워 자주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저항값의 미세조정이 용이하고 수명이 긴 디지털방식 가변저항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방식 가변저항기는 입출력단자사이에 사다리모양으로 배치접속된 한 개이상의 저항과, 상기 저항사이에 접속된 한 개이상의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의 온/오프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방식 가변저항기의 상세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Ra,Rb : 저항 SW1내지 SWn: 스위치부
10 : 스위치구동수단 a,b : 입출력단자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방식의 가변저항기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방식 가변저항기의 상세회로도로서, 참조부호 a,b는 입출력단자이고, Ra는 상기 입출력단자(a,b)에 직렬접속된 저항이며, Rb는 상기 저항(Ra)과 병렬접속관계에 있는 저항이다.
SW1,SW2,SW3,...SWn-1,SWn은 상기 저항(Ra)과 단자(b)사이 또는 저항(Rb)과 단자(b)사이에 접속되는 스위치부로서 후술되는 스위치구동수단(10)에 의해 온/오프동작되어 가변저항기의 저항값을 가변하는 스위칭소자이다.
상기 스위치구동수단(10)은 컴퓨터의 버스라인에 접속되어 컴퓨터에 의해 제어 되어 상기 스위치부(SW1,SW2,SW3,...SWn-1,SWn)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거나, 수동으로 상기 스위치부(SW1,SW2,SW3,...SWn-1,SWn)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지털방식 가변저항기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입출력단자(a,b)에서 체크되는 전체 저항값 Rn은 스위치구동수단(10)이 스위치부(SW1,SW2,SW3,...SWn-1,SWn)를 스위칭조작함으로써 결정되는데, 이때 이 저항값은 다음의 예와같이 구할 수 있다.
먼저, Dn은 n번째 스위치부의 상태를 나타내며, 온 동작시는 0 이고, 오프동작시는 1 이라고 가정하며, Rsw는 스위치부의 오프동작시 저항값이라 가정한다.
도 1에서 저항값 Rn은 스위치 SWn쪽을 바라본 저항값과 동일함으로 각각의 스위치 SW1,SW2,SW3,...SWn-1,SWn를 바라본 저항값을 순차적으로 계산하면 그 값을 구할 수 있다.
저항값(R1): D1*Rsw, 저항값(R2): (Ra+R1)//(Rb+D2*Rsw), 저항값(Rn): (Ra+Rn-1)//(Rb+Dn*Rsw)=(Ra+Rn-1)*(Rb+Dn*Rsw)/(Ra+Rb+Dn*Rsw+Rn-1)..(여기서 //는 병렬연결을 표시함)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방식 가변저항기의 스위치부의 온/오프동작에 따른 저항값(Rn)이 결정된다.
한편, 상기 저항(Ra, Rb)은 저항값이 모두 다를 수 있고, 저항의 배치가 상기 입출력단자(a,b)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저항의 개수는 한 개이상이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SW1,SW2,SW3,...SWn-1,SWn)의 배치는 상기 저항(Ra,Rb)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수는 한 개이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지털식 가변저항기에 의하면 종래의 아날로그방식의 가변저항기에 사용되는 조절나사 대신에 스위치부의 온/오프동작에 의해 저항값이 결정됨으로 정밀한 저항값의 조정이 가능하고 수명이 연장된다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입출력단자사이에 사다리모양으로 배치접속된 한 개이상의 저항과, 상기 저항사이에 접속된 한 개이상의 스위치부와, 상기 스위치부의 온/오프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치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방식 가변저항기.
KR1019970035491A 1997-07-28 1997-07-28 디지털방식 가변저항기 KR199900121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491A KR19990012181A (ko) 1997-07-28 1997-07-28 디지털방식 가변저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35491A KR19990012181A (ko) 1997-07-28 1997-07-28 디지털방식 가변저항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2181A true KR19990012181A (ko) 1999-02-25

Family

ID=66040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5491A KR19990012181A (ko) 1997-07-28 1997-07-28 디지털방식 가변저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218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840A (ko) * 2000-12-07 2002-06-19 김형벽ㅂ 자동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저항 제어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4840A (ko) * 2000-12-07 2002-06-19 김형벽ㅂ 자동제어가 가능한 디지털 저항 제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0007826A3 (en) Variable resistors
KR930001597A (ko) 저항회로망을 갖는 디지탈-아나로그 변환기
JPH07249501A (ja) 電子回路
KR19990012181A (ko) 디지털방식 가변저항기
JP3856599B2 (ja) 電圧出力回路装置
US6455952B1 (en) Adjustment circuit for voltage division
JPH07254830A (ja) 電子ボリューム回路
JPS6387809A (ja) 演算増幅器
US3264551A (en) Multiple stage d. c. signal control device
JPS63299699A (ja) 切換回路装置
KR19990079320A (ko)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JPS56166616A (en) Filter switching circuit
JP2005117489A (ja) 電子ボリューム回路
JP2002039875A (ja) 検出装置
JP3591040B2 (ja) アーク溶接装置
KR100218351B1 (ko) 외부전압에 의해 제어되는 가변저항기
JPH02206908A (ja) オペアンプ回路
KR100307624B1 (ko) 디지탈음량조절장치
JPH0450646Y2 (ko)
JPS60134218A (ja) 液晶表示装置
KR950004593Y1 (ko) 엘씨디 브라이트니스 및 콘트라스트 조절회로
KR100213163B1 (ko) 자동차의 오디오 리모콘 제어장치
KR19980028457A (ko) 차량용 풍향 제어 장치
KR20010053677A (ko) 프로그램 가능한 지연회로
KR0134223Y1 (ko) 마이콤의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단자를 이용한 기능 및 기종별 선택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