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10265U - 헤어드라이어 - Google Patents

헤어드라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10265U
KR19990010265U KR2019970023608U KR19970023608U KR19990010265U KR 19990010265 U KR19990010265 U KR 19990010265U KR 2019970023608 U KR2019970023608 U KR 2019970023608U KR 19970023608 U KR19970023608 U KR 19970023608U KR 19990010265 U KR19990010265 U KR 1999001026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hair dryer
motor
air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36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한제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236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10265U/ko
Publication of KR1999001026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10265U/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And Drying Hai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내에 수용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을 구동시키는 팬구동모터를 갖는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싱내에 설치되는 열차단부재와; 상기 케이싱내에 설치되어 상기 팬구동모터를 수용지지하는 모터지지부재와; 상기 열차단부재와 상기 모터지지부재사이에 형성되어 상호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열차단부재의 임의 이탈 및 유동을 방지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헤어드라이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헤어드라이어
본 고안은,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내에 수용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을 구동시키는 팬구동모터를 갖는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케이싱내에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열차단부재의 이탈 및 유동이 방지되도록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헤어드라이어에 관한 것이다.
도 2는 종래의 헤어드라이어의 분해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어드라이어는 공기를 흡입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송풍하는 송풍부(50)와 손잡이부(51)를 가진다. 손잡이부(51)는 송풍부(50)에 상대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손잡이부(51)의 일측연부에는 온/오프기능과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스위치노브(52)가 설치되어 있다.
송풍부(50)는 공기흡입구(56)와 공기토출구(55)가 각각 형성되도록 별도로 제작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호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케이싱(53, 54)과, 케이싱(53)의 공기토출구(55)에 상대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접속노즐(57)을 가진다. 공기흡입구측 케이싱(54)내에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팬(59)과 흡입팬(59)을 구동시키는 팬구동모터(60)가 설치되어 있다. 팬구동모터(60)는 모터지지부재(61)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모터지지부재(61)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팬구동모터(60)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모터수용부(62)와, 케이싱(54)의 내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며 모터수용부(62)의 외측에 상호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고리형상의 림부재(65)를 가진다. 모터수용부(62)의 외표면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복수의 보강리브(63)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보강리브(63)의 단부는 림부재(65)의 내벽면에 연결되어 모터수용부(62)를 지지한다. 공기토출구측 케이싱(53)내에는 흡입팬(59)에 의하여 케이싱(53, 54)내로 흡입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히터(67)가 구비되어 있다. 히터(67)는 거의 “+”형상을 가지도록 결합되는 코일지지부재(69)와 코일지지부재(69)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상으로 배치되는 히터코일(70)을 가진다.
한편, 히터(67)의 외측에는 히터(67)로부터의 열이 케이싱(53)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거의 원통형상을 가지는 열차단부재(71)가 설치되어 있다. 열차단부재(71)의 공기토출구측에는 케이싱(53)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보호망(72)이 결합되며, 열차단부재(71)의 타측단부는 림부재(65)의 단부연부를 둘러싸도록 결합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헤어드라이어에 있어서는 히터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열차단부재는 일측이 림부재의 외측에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것 이외에는 별도의 고정수단이 마련되어 있지않아 작업중 열차단부재가 림부재로부터 임의적으로 이탈되어 작업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열차단부재의 임의 이탈 및 유동을 방지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헤어드라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헤어드라이어의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14 : 케이싱 15 : 공기토출구
16 : 공기흡입구 19 :흡입팬
20 : 팬구동모터 21 : 모터지지부재
22 : 모터수용부 23 : 보강리브
25 : 림부재 31 : 열차단부재
33 : 걸림턱수용홈 36 : 걸림턱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내에 수용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을 구동시키는 팬구동모터를 갖는 헤어드라이어에 있어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싱내에 설치되는 열차단부재와, 상기 케이싱내에 설치되어 상기 팬구동모터를 수용지지하는 모터지지부재와, 상기 열차단부재와 상기 모터지지부재사이에 형성되어 상호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에 의하여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모터지지부재의 외측표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 상호 맞물리도록 상기 열차단부재에 형성된 걸림턱수용홈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의 분해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헤어드라이어도 종래와 마찬가지로 공기를 흡입하여 일정한 방향으로 송풍하는 송풍부(10)와 손잡이부(11)를 가진다. 손잡이부(11)는 송풍부(10)에 상대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손잡이부(11)의 일측연부에는 온/오프기능과 송풍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스위치노브(12)가 설치되어 있다.
송풍부(10)는 공기흡입구(16)와 공기토출구(15)가 각각 형성되도록 분리제작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상호 결합되는 원통형상의 케이싱(13, 14)과, 케이싱(13)의 공기토출구(15)의 연부에 착탈가능하고 상대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는 접속노즐(17)을 가진다. 케이싱(14)내 공기흡입구(16)영역에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흡입팬(19)이 설치되어 있으며, 흡입팬(19)은 팬구동모터(20)에 연결되어 있다.
팬구동모터(20)는 모터지지부재(21)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모터지지부재(21)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팬구동모터(20)의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모터수용부(22)와, 케이싱(14)의 내면에 밀착되게 결합되며 모터수용부(22)의 외측에 상호 동심적으로 배치되는 고리형상의 림부재(25)를 가진다. 모터수용부(22)의 외표면에는 반경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복수의 보강리브(23)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보강리브(23)의 단부는 림부재(25)의 내벽면에 연결되어 모터수용부(62)를 지지한다.
케이싱(13)의 토출구(15)측 영역에는 케이싱(13, 14)내로 흡입된 공기를 가열할 수 있도록 히터(27)가 마련되어 있으며, 히터는 상호 “+”형상으로 결합되는 코일지지부재(29)와 코일지지부재(29)의 길이방향을 따라 나선상으로 배치되어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코일(30)을 가진다. 히터(27)와 케이싱(13)사이에는 히터(27)로부터의 열이 케이싱(14)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원통형상을 가지는 열차단부재(31)가 설치되어 있다. 열차단부재(31)의 공기토출구측 단부에는 케이싱(13)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호망(32)이 결합되어 있다.
한편, 림부재(25)의 외표면에는 표면으로부터 돌출된 한쌍의 걸림턱(36)이 상호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각 걸림턱(36)은 공기토출구(15)측을 향하여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열차단부재(31)의 공기흡입구측 단부영역에는 림부재(25)에 형성된 걸림턱(36)을 수용할 수 있도록 판면을 관통하여 걸림턱수용홈(3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케이싱(14)의 공기흡입구영역에 설치된 모터지지부재(21)에 팬구동모터(20)가 수용되도록 결합한다. 그리고, 림부재(25)의 외측에 형성된 걸림턱(36)과 걸림턱수용홈(33)이 대응하도록 열차단부재(31)를 대고 가압하면, 열차단부재(31)가 탄성적으로 변형되면서 걸림턱(36)이 걸림턱수용홈(33)내로 간단히 결합되어 열차단부재(31)의 임의이탈이 방지될 뿐만 아니라, 유동이 방지된다.
전술 및 실시예에서는 모터지지부재의 림부재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열차단부재에 걸림턱을 수용할 수 있도록 걸림턱수용홈을 형성하여 설명하고 있지만, 열차단부재에 걸림턱을 형성하고 모터지지부재의 림부재에 걸림턱을 수용할 수 있도록 걸림턱수용홈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히터를 둘러싸도록 설치되는 열차단부재와 팬구동모터를 수용지지하는 모터지지부재사이에 상호 간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탈방지수단을 마련함으로써, 열차단부재의 임의 이탈 및 유동을 방지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열차단부재의 임의 이탈 및 유동을 방지하여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한 헤어드라이어가 제공된다.

Claims (2)

  1.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내에 수용되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과, 상기 흡입팬을 구동시키는 팬구동모터를 갖는 헤어드라이어에 있어서,
    공기를 가열하는 히터를 둘러싸도록 상기 케이싱내에 설치되는 열차단부재와;
    상기 케이싱내에 설치되어 상기 팬구동모터를 수용지지하는 모터지지부재와;
    상기 열차단부재와 상기 모터지지부재사이에 형성되어 상호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수단은 상기 모터지지부재의 외측표면으로부터 돌출형성된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에 상호 맞물리도록 상기 열차단부재에 형성된 걸림턱수용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드라이어.
KR2019970023608U 1997-08-28 1997-08-28 헤어드라이어 KR1999001026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608U KR19990010265U (ko) 1997-08-28 1997-08-28 헤어드라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608U KR19990010265U (ko) 1997-08-28 1997-08-28 헤어드라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10265U true KR19990010265U (ko) 1999-03-15

Family

ID=69688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3608U KR19990010265U (ko) 1997-08-28 1997-08-28 헤어드라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1026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759B1 (ko) * 2011-08-19 2013-04-23 홍원배 헤어드리이기
KR20210146171A (ko) * 2020-05-26 2021-12-03 (주)대경아이엔씨 헤어 드라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759B1 (ko) * 2011-08-19 2013-04-23 홍원배 헤어드리이기
KR20210146171A (ko) * 2020-05-26 2021-12-03 (주)대경아이엔씨 헤어 드라이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47685B (zh) 包括附件的空气移动装置
EP1992267B1 (en) Suction brush of vaccum cleaner for both vaccum cleaning and steam cleaning
WO2007043732A1 (en) Hair dryer capable of blowing blasts of cold air and hot air separatly and simultaneously
KR100365478B1 (ko) 전동송풍기 및 그것을 사용한 전기청소기
US4135080A (en) Portable electric heat gun
US6591516B2 (en) Hair dryer
JP5792909B1 (ja) 乾燥装置
US11576538B2 (en) Electric blower, electric vacuum cleaner, and hand drier
US4683370A (en) Hot air gun with air directing housing
EP3651610B1 (en) Hair dryer
US6827560B2 (en) Two-piece motor cooling and exhaust diluting blower housing
KR10122934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H0716113A (ja) ヘアドライヤー
US7604463B2 (en) Motor cooling and exhaust diluting blower housing with heat shield and noise muffler
KR19990010265U (ko) 헤어드라이어
CN112303904B (zh) 风道组件、风轮装置及吹风设备
CN108852242A (zh) 用于洗碗机的干燥装置及具有其的洗碗机
JP2018183632A (ja) 乾燥装置
EP1008756A2 (en) Device for cooling a motor in a climate control system
EP0170974A2 (en) Hand held hot air blower
CN217785281U (zh) 一种易于拆卸的浴霸主机
JP7220893B2 (ja) ヘアードライヤー
KR200197789Y1 (ko) 공기조화기의 난방 보조용 히터 조립체
KR19990009930A (ko) 헤어 드라이어
JP2002009474A (ja) 一体型プレナム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