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608A -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07608A KR19990007608A KR1019980042540A KR19980042540A KR19990007608A KR 19990007608 A KR19990007608 A KR 19990007608A KR 1019980042540 A KR1019980042540 A KR 1019980042540A KR 19980042540 A KR19980042540 A KR 19980042540A KR 19990007608 A KR19990007608 A KR 199900076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ste
- food
- waste food
- wastewater
- sink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10794 food wast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15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8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5
- 239000010813 municipal solid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7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0249 desinf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3307 optical fi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10806 kitchen was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5000019645 odor Nutrition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851 dish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749 cleanli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107 ferment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67 refi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65 sew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1/00—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개시된다. 개시된 본 발명은, 싱크대 개수대의 배수공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배수공으로 배출되는 오물을 폐수와 폐음식물로 분리하는 수단; 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폐수를 하수도로 배수하는 수단; 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폐음식물을 받아 임시 저장하며, 일정량의 폐음식물이 쌓이면 이를 분쇄하여 배출하는 수단; 상기 폐음식물 분쇄배출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폐음식물을 받아 저장하는 쓰레기통을 갖춘 폐음식물 수거수단; 상기 폐음식물 수거수단의 쓰레기통에 일정량의 폐음식물이 쌓이면 이를 경보하여 알려주는 경보수단; 및 상기 폐음식물 분쇄배출수단 및 경보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기판을 갖춘 전원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면, 폐음식물이 폐수와 자동으로 분리되고, 분리된 폐음식물은 분쇄기에서 분쇄되어 쓰레기통에 자동으로 낙하되면서 적재된다. 따라서, 폐음식물이 자동으로 분리되어 쓰레기통에 투입되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주방의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가 하수구로 배출되지 않으므로 하수구가 막히는 일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가 싱크대의 내부에서 소정의 처리과정을 통하여 처리되므로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방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찌꺼기 등과 같은 오물을 위생적으로 처리하여 수거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 가정에서 배출되는 생활하수와 음식물 쓰레기는 환경오염의 주범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 중 음식물 쓰레기는 주부의 손에 의해 수거되므로 수거를 기피하여 폐수와 함께 하수구로 흘려 보내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의해 하수구가 막히는 경우가 종종 발생될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의 부패에 의한 심한 악취가 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최근에는 환경오염을 줄이고자 음식물 쓰레기를 철저히 분리하여 수거하라는 각종 단체의 계몽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대한 각종 행정적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이에 부응하여 각 가정에서는 싱크대의 개수대에 그물망 구조의 폐음식물 분리통을 설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리하여 수거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수거방식은, 사람이 직접 음식물 찌거기를 수거하여 쓰레기 봉투에 담아야 하므로 비위생적이고, 또한 주부 스스로 기피함으로써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많은 종류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들이 제공되어 있으나, 이 또한 대부분 수작업에 의존해야 하는 등 여전히 많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어 젖은 음식물 쓰레기를 모아 두었다가 압착기로 압착하여 수분을 제거하여 처리하는 압착식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있다. 그러나 이 장치에서도 수분을 제거한 음식물 찌꺼기를 수작업으로 쓰레기 봉투에 넣어야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발효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도 알려지고 있으나, 이는 많은 시간(대략 8시간 이상)의 발효시간을 필요로 할 뿐만 아니라 장치의 크기가 크고, 발효시간 동안 악취가 나는 등 가정에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발효된 음식물 쓰레기는 수작업에 의해 쓰레기 봉투에 넣어야 하므로 비위생적인 것은 마찬가지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주방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폐수와 자동으로 분리하여 분쇄하거나 건조시켜 처리하고, 처리된 음식물 쓰레기를 자동으로 쓰레기통에 투입시킴으로써, 음식물 쓰레기를 위생적으로 수거할 수 있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가 싱크대 내부에서 자동으로 이루어지면서 수거됨으로써 악취가 발생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주방의 청결함 및 쓰레기 처리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폐수 분리수단의 구조를 보인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a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
도 4a는 개수대에 설거지를 위한 물을 받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b는 개수대에 별도의 설거지통을 설치하여 물을 받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폐음식물 분쇄배출수단의 구조를 보인 도 1의 C-C선 단면도.
도 6은 도 5의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폐음식물 수거수단의 구조를 보인 도 1의 D-D선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음식물 처리장치의 요부 구성을 보인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싱크대 케이스 2;개수대
2a;배수공 2';별도 설거지통
3;개폐기 3';보조 개폐기
4;폐수 분리통 5;폐수 받이통
6;폐음식물 안내관 7;폐수 안내 케이스
10;지지판 11;누름판
12;지지대 13;연결봉
14;외통 15;스프링
20;처리기 케이스 21;분쇄기 케이스
22;분쇄 스크류 23;센서
30;전원부 31;회로기판
40;폐음식물 배출 안내관 50;쓰레기통
52;쓰레기통 이동상자 61;상판 플레이트
62;하판 플레이트 63;스프링
64;부저 70;분리관
71;광섬유 망체 81;배수관
82;폐음식물 배출관 90;쓰레기통
100;히터 101;배기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싱크대 개수대의 배수공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배수공으로 배출되는 오물을 폐수와 폐음식물로 분리하는 수단;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폐수를 하수도로 배수하는 수단;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폐음식물을 받아 임시 저장하며, 일정량의 폐음식물이 쌓이면 이를 자동 분쇄하여 배출하는 수단; 이 폐음식물 분쇄배출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폐음식물을 받아 저장하는 쓰레기통을 갖춘 폐음식물 수거수단; 폐음식물 수거수단의 쓰레기통에 일정량의 폐음식물이 쌓이면 이를 경보하여 알려주는 경보수단; 및 폐음식물 분쇄배출수단 및 경보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기판을 갖춘 전원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분리수단은, 개수대의 배수공 하부에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부재로써, 그 외주면에는 다수의 폐수 방출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폐음식물이 배출되는 경사 배출구가 형성된 폐수 분리통; 상기 폐수 분리통의 경사 배출구에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을 반시계 방향(닫히는 방향)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개수대의 배수공에 개폐기가 장착되는 것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판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배출구를 개방시키는 배출구 개폐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구 개폐수단은, 폐수 분리통의 상부에 이 폐수 분리통의 상단부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된 환형의 누름판; 상기 누름판의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그 단부가 지지판의 회전 중심에서 편심되게 설치된 연결봉에 연결된 한 쌍의 지지대; 상기 지지대를 감싸도록 설치된 외통; 및 상기 외통에 내향 돌설된 하부 스톱퍼와 이 하부 스톱퍼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지지대에 외향 돌설된 상부 스톱퍼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대를 상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수수단은, 폐수 분리통의 폐수 방출구를 에워 싸도록 그 주위에 설치된 폐수 받이통; 및 상기 폐수 받이통과 폐수 안내 케이스를 연결하는 폐수 통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폐음식물 분쇄배출수단은, 폐음식물 안내관에 의해 폐수 분리통의 경사 배출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경사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폐음식물을 받아 내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케이스에 쌓인 폐음식물을 분쇄하여 배출하는 분쇄 스크류; 및 상기 케이스내에 일정량 이상의 폐음식물이 쌓이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분쇄 스크류를 회전 구동시키는 센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폐음식물 수거수단은, 쓰레기통; 폐음식물 분쇄배출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음식물을 상기 쓰레기통으로 안내하는 폐음식물 배출 안내관; 및 상기 쓰레기통을 지지하며, 싱크대에 서랍식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쓰레기통 이동상자를 포함한다.
상기 경보수단은, 쓰레기통의 밑면에 설치되며, 배선에 의해 전원부의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판 플레이트; 상기 쓰레기통을 지지하는 쓰레기통 이동상자의 상면에 설치되며, 배선에 의해 전원부의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판 플레이트; 상기 상판 플레이트와 하판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판 플레이트를 적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 및 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상,하판 플레이트의 접촉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부저를 포함한다. 이러한 경부수단은, 쓰레기통에 투입되는 폐음식물 쓰레기의 무게에 의해 상,하판 플레이트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부저가 울린다. 상기 부저의 동작시에는 폐음식물 분쇄배출수단의 분쇄 스크류의 작동이 정지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싱크대 개수대의 배수공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배수공으로 배출되는 오물을 폐수와 폐음식물로 분리하는 수단; 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폐수를 하수구로 배수하는 수단; 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폐음식물을 받아 임시 저장하며, 일정량의 폐음식물이 쌓이면 이를 건조시켜 배출하는 건조기; 상기 건조기에 의해 배출되는 폐음식물을 받아 저장하는 쓰레기통을 갖춘 폐음식물 수거수단; 상기 폐음식물 수거수단의 쓰레기통에 일정량의 폐음식물이 쌓이면 이를 경보하여 알려주는 경보수단; 및 상기 건조기 및 경보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기판을 갖춘 전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싱크대 개수대의 배수공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배수공으로 배출되는 오물을 폐수와 폐음식물로 분리하는 수단; 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폐수를 하수구로 배수하는 수단; 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폐음식물을 받아 임시 저장하며, 일정량의 폐음식물이 쌓이면 이를 탈수하여 배출하는 탈수기; 상기 탈수기에 의해 배출되는 폐음식물을 받아 저장하는 쓰레기통을 갖춘 폐음식물 수거수단; 상기 폐음식물 수거수단의 쓰레기통에 일정량의 폐음식물이 쌓이면 이를 경보하여 알려주는 경보수단; 및 상기 탈수기 및 경보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기판을 갖춘 전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싱크대 개수대의 배수공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배수공으로 배출되는 오물을 폐수와 폐음식물로 분리하는 수단; 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폐수를 하수구로 배수하는 수단; 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폐음식물을 받아 임시 저장하며, 일정량의 폐음식물이 쌓이면 이를 화학적으로 분해하여 배출하는 생화학분해기; 상기 생화학분해기에 의해 배출되는 폐음식물을 받아 저장하는 쓰레기통을 갖춘 폐음식물 수거수단; 상기 폐음식물 수거수단의 쓰레기통에 일정량의 폐음식물이 쌓이면 이를 경보하여 알려주는 경보수단; 및 상기 생화학분해기 및 경보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기판을 갖춘 전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싱크대 개수대의 배수공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배수공으로 배출되는 오물을 폐수와 폐음식물로 분리하는 수단; 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폐수를 하수구로 배수하는 수단; 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폐음식물을 받아 저장하는 쓰레기통; 및 상기 쓰레기통의 하부에 설치되어 쓰레기통에 투입된 폐음식물을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히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분리수단은, 상기 개수대의 배수공으로부터 쓰레기통에 이르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분리관; 및 상기 분리관의 대략 중앙부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광섬유로 이루어진 망체를 포함하며, 이에 의해 배수공으로 배출되는 오물 중 폐수는 분리관의 망체를 중심으로 하부관을 따라 하수도루 배수되고, 폐음식물은 분리관의 망체를 중심으로 상부관을 따라 쓰레기통으로 자유 낙하한다.
상기 쓰레기통의 상부에는 쓰레기통으로 자유낙하된 폐음식물을 자외선을 이용하여 소독하는 자외선 소독기가 설치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전체 구성을 보인 개략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폐수 분리수단의 구조를 보인 도 1의 A-A선 단면도 이며, 도 3a는 도 2의 B-B선 단면도 이고, 도 3b는 도 3a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4a는 개수대에 설거지를 위한 물을 받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고, 도 4b는 개수대에 별도의 설거지통을 설치하여 물을 받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폐음식물 분쇄배출수단의 구조를 보인 도 1의 C-C선 단면도 이고, 도 6은 도 5의 횡단면도 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폐음식물 수거수단의 구조를 보인 도 1의 D-D선 단면도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1은 싱크대 케이스 이고, 2는 수도꼭지로부터 물을 받아 설거지 등을 행할 수 있는 개수대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수대(2)는 싱크대 케이스(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있다. 개수대(2)의 바닥면 중앙부에는 폐수 및 폐음식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공(2a)이 형성되어 있다. 이 배수공(2a)은 개폐기(3)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개폐기(3)로 배수공(2a)을 막아 개수대(2)에 물을 받아 설거지를 할 수 있고, 설거지가 끝난 후에는 개폐기(3)를 제거하여 폐수를 배수공(2a)으로 배수시킬 수 있다.
상기 배수공(2a)에는 이를 통하여 배출되는 폐수와 폐음식물을 분리하여 배출시키는 페수 분리통(4)이 설치되어 있다. 이 폐수 분리통(4)은 원통체로 이루어져 있으며, 그 외주면에는 그물망 구조의 폐수 방출구(4a)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폐음식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경사 배출구(4b)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개수대(2)의 배수공(2a)을 통하여 배출되는 폐수는 폐수 분리통(4)의 폐수 방출구(4a)를 통하여 배수되고, 폐음식물은 폐수 분리통(4)의 경사 배출구(4b)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 폐수 분리통(4)의 폐수 방출구(4a) 주위에는 이를 통하여 배수되는 폐수를 받아내는 폐수 받이통(5)이 설치되어 있으며, 폐수 분리통(4)의 하부에는 이를 통하여 배출되는 폐음식물의 배출을 안내하는 폐음식물 안내관(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폐수 받이통(5)은 폐수 통로(5a)에 의해 하부측의 폐수 안내 케이스(7)와 연결되어 있고, 이 폐수 안내 케이스(7)는 그의 배관(7a)이 싱크대 케이스(1)의 연결구(1a)를 통하여 하수도관(8)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폐수 분리통(4)에 의해 분리된 폐수는 하수도로 신속히 배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폐수 분리통(4)의 경사 배출구(4b)에는 개수대(2)의 배수공(2a)을 통하여 배출되는 폐음식물이 곧바로 배출되지 않고 소정량 수집되도록 경사 배출구(4b)를 선택적으로 막는 지지판(10)이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폐수 분리통(4)의 상부에는 환상의 누름판(11)이 폐수 분리통(4)의 상면과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누름판(11)의 대향하는 방향의 양단부에는 한 쌍의 지지대(12)가 하부로 연장되어 있고, 이 지지대(12)는 그 단부가 상기 지지판(10)의 회전축(10a)과 편심을 이루도록 설치된 연결봉(13)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12)의 외주에는 외통(14)이 설치되어 있고, 이 외통(14)에 내향 돌설된 하부 스톱퍼(14a)와 이 스톱퍼(14a)와 소정 간격 두고 상기 지지대(12)에 외향 돌설된 상부 스톱퍼(12a)와의 사이에는 지지대(12)를 상측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15)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지지판(10)은 외력이 가해지지 않는 한 항시 반시계 방향으로 탄지되어, 경사 배출구(4b)를 막고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 2 및 도 4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수대(2)에 물을 받기 위하여 개폐기(3)로 배수공(2a)을 막으면, 개폐기(3)에 의해 누름판(11)이 눌려지면서 하강하게 되고, 이에 따라 누름판(11)에 일체로 연결된 지지대(12)가 지지판(10)의 일측을 누름으로써, 지지판(10)은 회전축(10a)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의해 폐수 분리통(4)에 모여 있던 폐음식물이 개방된 경사 배출구(4b)을 통하여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개수대(2)의 배수공(2a)을 통하여 배출되는 폐음식물을 포함한 폐수가 자동으로 폐수와 폐음식물로 분리되어 별도로 각각 배수 및 배출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20은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배출되는 폐음식물을 처리하는 장치의 케이스 이고, 30은 전원부이다.
상기 처리기 케이스(20)는 폐음식물 안내관(6)과 연결되는 연결관(20a)을 가지고 있으며, 폐수 안내 케이스(7)와 결합되어 있다. 또 상기 케이스(20)의 연결관(20a)에는 분쇄기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폐음식물 안내관(6)을 통하여 배출되는 폐음식물은 분쇄기에서 잘게 분쇄된다.
상기 분쇄기는 외부의 분쇄기 케이스(21)와, 이 분쇄기 케이스(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분쇄 스크류(2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분쇄기 케이스(21)의 내부 일측에는 이 케이스(21)로 유입되는 폐음식물의 양을 감지하는 한 쌍의 센서(23)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분쇄 스크류(22)는 상기 센서(23)에 의해 작동하면서 폐음식물을 분쇄한다. 상기 센서(23)는 분쇄기 케이스(21) 내에 일정량의 폐음식물이 유입될 때 분쇄 스크류(22)를 작동시킨다. 분쇄 스크류(22)에 의해 분쇄되는 폐음식물은 분쇄기 케이스(21)의 일측에 마련된 배출구(21a)를 향하여 이동되고, 결국에는 상기 배출구(21a)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센서(23)는 배선(24)에 의해 전원부(30)의 회로기판(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소정의 신호를 송,수신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회로기판(31)에는 전원 플러그(32)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쇄기 케이스(21)의 일측, 예컨대 센서(23)가 설치된 부위에는 A/S를 위한 도어(25)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분쇄기 케이스(21)의 하단부 일측에는 이 케이스(21)에 폐음식물과 함께 유입된 폐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보조폐수 안내관(21b)이 연결되어 있으며, 이 보조폐수 안내관(21b)에는 이 안내관(21b)을 통하여 폐음식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망(21c)이 설치되어, 폐음식물의 수분을 2차로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술한 분쇄기는 폐음식물을 처리하기 위한 수단의 한 예로서, 본 발명에 있어서, 폐음식물 처리수단은 도시하고 설명한 분쇄기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폐음식물을 받아 건조시켜 배출하는 건조기로 구성할 수도 있고, 또 폐음식물을 탈수시켜 배출하는 탈수기, 또는 생화학분해기 등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그외에도 폐음식물의 부피를 줄이거나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것이면 어떤 것이어도 무방하다.
한편, 도면에서 참조부호 40은 분쇄기로부터 배출되는 폐음식물을 소요의 방향으로 안내하는 폐음식물 배출 안내관 이며, 부호 50은 상기 폐음식물 배출 안내관(40)에 의해 안내되어 배출되는 폐음식물을 수거하는 쓰레기통이다.
상기 쓰레기통(50)에는 쓰레기 봉투(51)가 설치되어 있어, 수거된 폐음식물을 간단하게 내다 버릴 수 있다. 또한 상기 쓰레기통(50)은 싱크대 케이스(1)의 내부에 서랍식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쓰레기통 이동상자(52)에 지지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쓰레기통(50)은 싱크대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쓰레기통(50)에 얼마만큼의 폐음식물이 쌓여 있는지 알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쓰레기통(50)에 적정량의 폐음식물이 적재되면, 이를 경보하여 알려주는 경보수단을 채용하였다.
상기 경보수단은 쓰레기통(50)의 밑면에 설치되며 배선(61a)에 의해 전원부(30)의 회로기판(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판 플레이트(61)과, 상기 쓰레기통(50)을 지지하는 쓰레기통 이동상자(52)의 상면에 설치되며 배선(62a)에 의해 전원부(30)의 회로기판(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판 플레이트(62)와, 상기 상판 플레이트(61)와 하판 플레이트(62)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판 플레이트(61)(62)를 적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63)과, 상기 회로기판(31)에 설치되며 상기 상,하판 플레이트(61)(62)의 접촉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부저(6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쓰레기통(50)에 투입되는 폐음식물의 무게에 의해 상,하판 플레이트(61)(62)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부저(64)가 울리며, 이 때, 상기 부저(64)의 동작시에는 분쇄기의 분쇄 스크류(22)의 작동은 정지한다.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2'는 별도 설거지통 이고, 3'는 상기 별도 설거지통(2')을 사용하여 물을 받을 때, 기존의 개폐기(3)를 대신하여 개수대(2)의 배수공(2a)을 막는 보조 개폐기이다. 상기 보조 개폐기(3')는 도 4b에서와 같이, 별도 설거지통(2')을 사용하여 물을 받을 때 개폐기(3)로는 본 발명 장치의 작용효과를 기대할 수 없으므로, 즉 누름판(11)을 눌러 주지 못하므로 개폐기(3)를 대신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미설명 부호 53은 쓰레기통 이동상자 보호 케이스 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도 4a에서와 같이, 개수대(2)에 물을 받아 설거지 등을 할 때를 설명한다.
개수대(2)에 물을 받기 위하여, 개수대(2)의 배수공(2a)에 개폐기(3)를 장착하면, 이 개폐기(3)가 그 하부의 누름판(11)을 누르게 되고, 이에 의해 누름판(11)에 연결된 지지대(12)가 폐수 분리통(4)의 경사 배출구(4b)를 막고 있는 지지판(10)을 누름으로써, 지지판(1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폐수 분리통(4)의 경사 배출구(4b)가 개방되게 된다. 따라서 폐수 분리통(4)에 수집되어 있던 일정량의 폐음식물이 경사 배출구(4b)를 통하여 분쇄기 케이스(21)로 유입된다. 이와 같이 분쇄기 케이스(21)로 유입되는 폐음식물이 점점 증가하게 되면, 센서(23)가 이를 감지하여 분쇄 스크류(22)를 작동시킴으로써 유입된 폐음식물은 분쇄되기 시작한다. 분쇄되는 폐음식물은 분쇄기 케이스(21)의 배출구(21a)로 배출되고, 이는 다시 폐음식물 배출 안내관(40)을 통하여 쓰레기통(50)으로 투입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분쇄된 폐음식물의 투입으로 쓰레기통(50)이 어느 정도 채워지게 되면, 그 무게에 의해 쓰레기통(50)이 스프링(63)의 탄력을 이기며 하강하게 되고, 이에 의해 쓰레기통(50)에 설치된 상판 플레이트(61)와 쓰레기통 이동상자(52)에 설치된 하판 플레이트(62)가 접촉되면서 부저(64)가 울리게 된다. 이와 동시에 분쇄 스크류(22)의 작동은 멈추게 되며, 이 때 쓰레기통 이동상자(52)를 밖으로 인출하여 모아진 음식물 쓰레기가 담긴 쓰레기봉투를 수거하여 내다 버린다.
한편, 설거지를 마친 후, 개수대(2)의 개폐기(3)를 재거하면, 누름판(11)이 스프링(15)의 복원력에 의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지지판(10)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폐수 분리통(4)의 경사 배출구(4b)를 막는다. 이 때 개수대(2)의 배수공(2a)으로 배출되는 폐수는 폐수 분리통(4)의 폐수 방출구(4a)를 통하여 폐수 안내 케이스(7)로 배수되며, 폐음식물은 폐수 분리통(4)에 다시 모아지게 된다. 그리고 다시 개폐기(3)를 설치하면, 상기와 같은 작용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폐음식물이 처리되어, 쓰레기통으로 수거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폐음식물이 자동으로 폐수와 분리되어 모아지고, 모아진 폐음식물이 자동으로 분쇄 처리되어 쓰레기통으로 수거된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를 보다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개수대에 별도의 설거지통을 설치하여 물을 받을 때를 보면, 이 때에는 기존의 개폐기(3)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누름판과 설거지통 사이에 틈이 생겨서 누름판을 누르게 할 수 없으므로, 도 4b에서와 같이, 보조 개폐기(3')를 개수대(2)의 배수공(2a)에 넣어서 사용하면 설거지통과 누름판 사이의 틈을 메우게 되므로 기존의 개폐기를 사용하는 경우와 동일하게 작동하게 된다. 이후의 작용은 앞서 설명한 경우와 같게 이루어진다.
첨부한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주방용 음식물 처리장치의 요부 구성을 보인 개략도로서, 폐수 분리수단과 폐음식물 처리수단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달리 구성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참조부호 2는 개수대, 3은 개수대(2)의 배수공(2a)을 막는 개폐기 이며, 70은 분리관, 81은 배수관, 82는 폐음식물 배출관 이고, 90은 쓰레기통, 100은 상기 쓰레기통(90)을 가열하는 히터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관(70)은 개수대(2)의 배수공(2a)으로부터 쓰레기통(90)에 이르도록 설치되어 있고, 분리관(70)의 대략 중앙부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광섬유로 이루어지는 그물망 구조의 망체(71)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배수공(2a)을 통하여 배출되는 오물 중 폐수는 분리관(70)의 망체(71)를 중심으로 하부관을 통하여 배수되고, 폐음식물은 분리관(70)의 망체(71)를 중심으로 상부관을 통하여 배출된다. 즉 상기 망체(71)에 의해 폐수와 폐음식물이 자동으로 분리되는 것이다.
상기 분리관(70)의 단부에는 그 하부관에는 배수관(81)이 연결되어 있고, 그 상부관에는 폐음식물 배출관(82)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배수관(81)은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하수도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폐음식물 배출관(82)은 쓰레기통(9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분리관(70)에서 분리되어 배출되는 폐음식물은 쓰레기통(90)으로 유입되어, 여기서 히터(100)에 의해 가열되어 건조되게 된다.
도면에서 부호 81a 및 82a는 밸브이며, 101은 배기관이다. 상기 밸브(81a)(82a)는 각각 배수관(81)과 폐음식물 배출관(82)에 설치되어 있으며, 항시 상기 관(81)(82)를 막고 있다. 이 때 그 상부로부터 폐수나 폐음식물이 유입되게 되면, 그의 자중에 의해 밀려 열리면서 폐수나 폐음식물을 통과시킨다. 폐수나 폐음식물이 통과되고 난 후에는 자동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다시 배수관(81) 및 배출관(82)을 막는다. 이에 의해 쓰레기통(90)을 통하여 냄새가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기관(101)은 쓰레기통(90)에 투입된 폐음식물의 건조시 악취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 악취를 배수관(81)을 통하여 하수도로 유도함으로써 싱크대로 냄새가 들어오지 못하게 하기 위하여 설치한 것이다.
상기 쓰레기통(90)의 상부에는 이에 투입된 폐음식물에 자외선을 방사하여 소독하는 자외선 소독기가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개수대의 배수공으로 배출되는 폐수와 폐음식물이 자동으로 분리되고, 분리된 폐수는 하수도로 배수되며, 분리된 폐음식물은 처리기, 예컨대 분쇄기나 건조기 및 탈수기 등과 같은 처리기에서 분쇄되거나 건조 및 탈수 처리되어 쓰레기통에 자동으로 수거된다. 따라서 주방에서 발생되는 폐음식물을 수작업없이 수거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위생적이고, 청결하며,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주방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가 하수구로 방출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하수구가 막히는 경우가 거의 없으며, 음식물 쓰레기로 인한 환경 오염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폐음식물을 수거하는 쓰레기통이 싱크대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음식물 쓰레기를 분쇄하여 탈수시키거나 건조시켜 처리하므로 악취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리고, 폐음식물이 쓰레기통의 쓰레기 봉투에 자동으로 유입되므로, 일반 쓰레기와 섞이는 일이 없으며, 음식물 쓰레기를 수거하기 위한 별도의 수작업이 필요없으므로 매우 편리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 이며, 그와 같은 변형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Claims (14)
- 싱크대 개수대의 배수공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배수공으로 배출되는 오물을 폐수와 폐음식물로 분리하는 수단;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폐수를 하수구로 배수하는 수단;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폐음식물을 받아 임시 저장하며, 일정량의 폐음식물이 쌓이면 이를 분쇄하여 배출하는 수단;상기 폐음식물 분쇄배출수단에 의해 배출되는 폐음식물을 받아 저장하는 쓰레기통을 갖춘 폐음식물 수거수단;상기 폐음식물 수거수단의 쓰레기통에 일정량의 폐음식물이 쌓이면 이를 경보하여 알려주는 경보수단; 및상기 폐음식물 분쇄배출수단 및 경보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기판을 갖춘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은,개수대의 배수공 하부에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부재로써, 그 외주면에는 다수의 폐수 방출구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음식물 쓰레기가 배출되는 경사 배출구가 형성된 폐수분리통;상기 폐수분리통의 경사 배출구에 회동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지지판; 및상기 지지판을 닫히는 방향으로 지지함과 동시에 개수대의 배수공에 개폐기가 장착되는 것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지지판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배출구를 개방시키는 배출구 개폐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개폐수단은,폐수 분리통의 상부에 이 폐수 분리통의 상단부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된 환형의 누름판;상기 누름판의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그 단부가 지지판의 회전 중심에서 편심되게 설치된 연결봉에 연결된 한 쌍의 지지대;상기 지지대를 감싸도록 설치된 외통; 및상기 외통에 내향 돌설된 하부 스톱퍼와 이 하부 스톱퍼와 일정 간격을 유지하여 지지대에 외향 돌설된 상부 스톱퍼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지지대를 상방향으로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수단은,폐수 분리통의 폐수 방출구를 에워 싸도록 그 주위에 설치된 폐수 받이통; 및상기 폐수 받이통과 폐수 안내 케이스를 연결하는 폐수 통로를 포함하며,상기 폐수 안내 케이스는 하수도관에 의해 하수도와 연결되어, 분리된 폐수를 하수도로 배수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음식물 분쇄배출수단은,폐음식물 안내관에 의해 폐수 분리통의 경사 배출구와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경사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는 폐음식물을 받아 내는 케이스;상기 케이스내에 설치되어 케이스에 쌓인 폐음식물을 분쇄하여 배출하는 분쇄 스크류; 및상기 케이스내에 일정량 이상의 폐음식물이 쌓이면 이를 감지하여 상기 분쇄 스크류를 회전 구동시키는 센서를 포함하며,상기 센서는 전원부의 회로기판에 연결되어 소정의 신호를 송,수신 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 케이스의 센서 설치부에는 A/S를 위한 도어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스의 하부 일측에는 이 케이스에 폐음식물과 함께 유입된 폐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보조폐수 안내관이 연결되며, 이 보조폐수 안내관에는 이 안내관을 통하여 폐음식물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조망이 설치되어, 폐음식물의 수분을 2차로 제거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폐음식물 수거수단은,쓰레기통;상기 폐음식물 분쇄배출수단으로부터 배출되는 폐음식물을 상기 쓰레기통으로 안내하는 폐음식물 배출 안내관; 및상기 쓰레기통을 지지하며, 싱크대에 서랍식으로 출,몰 가능하게 설치된 쓰레기통 이동상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경보수단은,쓰레기통의 밑면에 설치되며, 배선에 의해 전원부의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판 플레이트;상기 쓰레기통을 지지하는 쓰레기통 이동상자의 상면에 설치되며, 배선에 의해 전원부의 회로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하판 플레이트;상기 상판 플레이트와 하판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개재되어 상,하판 플레이트를 적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탄력 지지하는 스프링; 및상기 회로기판에 설치되며, 상기 상,하판 플레이트의 접촉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부저를 포함하여, 쓰레기통에 투입되는 폐음식물의 무게에 의해 상,하판 플레이트가 접촉하는 것에 의해 부저가 울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부저의 동작시에는 폐음식물 분쇄배출수단의 분쇄 스크류의 작동이 정지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싱크대 개수대의 배수공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배수공으로 배출되는 오물을 폐수와 폐음식물로 분리하는 수단;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폐수를 하수구로 배수하는 수단;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폐음식물을 받아 임시 저장하며, 일정량의 폐음식물이 쌓이면 이를 건조시켜 배출하는 건조기;상기 건조기에 의해 배출되는 폐음식물을 받아 저장하는 쓰레기통을 갖춘 폐음식물 수거수단;상기 폐음식물 수거수단의 쓰레기통에 일정량의 폐음식물이 쌓이면 이를 경보하여 알려주는 경보수단; 및상기 건조기 및 경보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기판을 갖춘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싱크대 개수대의 배수공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배수공으로 배출되는 오물을 폐수와 폐음식물로 분리하는 수단;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폐수를 하수구로 배수하는 수단;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폐음식물을 받아 임시 저장하며, 일정량의 폐음식물이 쌓이면 이를 탈수하여 배출하는 탈수기;상기 탈수기에 의해 배출되는 폐음식물을 받아 저장하는 쓰레기통을 갖춘 폐음식물 수거수단;상기 폐음식물 수거수단의 쓰레기통에 일정량의 폐음식물이 쌓이면 이를 경보하여 알려주는 경보수단; 및상기 탈수기 및 경보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기판을 갖춘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싱크대 개수대의 배수공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배수공으로 배출되는 오물을 폐수와 폐음식물로 분리하는 수단;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폐수를 하수구로 배수하는 수단;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폐음식물을 받아 임시 저장하며, 일정량의 폐음식물이 쌓이면 이를 화학적으로 분해하여 배출하는 생화학분해기;상기 생화학분해기에 의해 배출되는 폐음식물을 받아 저장하는 쓰레기통을 갖춘 폐음식물 수거수단;상기 폐음식물 수거수단의 쓰레기통에 일정량의 폐음식물이 쌓이면 이를 경보하여 알려주는 경보수단; 및상기 생화학분해기 및 경보수단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기판을 갖춘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싱크대 개수대의 배수공과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배수공으로 배출되는 오물을 폐수와 폐음식물로 분리하는 수단;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폐수를 하수구로 배수하는 수단;상기 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폐음식물을 받아 저장하는 쓰레기통; 및상기 쓰레기통의 하부에 설치되어 쓰레기통에 투입된 폐음식물을 가열하여 건조시키는 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단은,상기 개수대의 배수공으로부터 쓰레기통에 이르도록 경사지게 설치된 분리관; 및상기 분리관의 대략 중앙부에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광섬유로 이루어진 망체를 포함하며,이에 의해 배수공으로 배출되는 오물 중 폐수는 분리관의 망체를 중심으로 하부관을 따라 하수도루 배수되고, 폐음식물은 분리관의 망체를 중심으로 상부관을 따라 쓰레기통으로 자유 낙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쓰레기통의 상부에는 쓰레기통으로 자유낙하된 폐음식물을 자외선을 이용하여 소독하는 자외선 소독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42540A KR100292430B1 (ko) | 1998-10-12 | 1998-10-12 |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80042540A KR100292430B1 (ko) | 1998-10-12 | 1998-10-12 |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07608A true KR19990007608A (ko) | 1999-01-25 |
KR100292430B1 KR100292430B1 (ko) | 2001-12-01 |
Family
ID=37526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42540A KR100292430B1 (ko) | 1998-10-12 | 1998-10-12 |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292430B1 (ko)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6427B1 (ko) * | 1999-11-05 | 2002-03-07 | 김수곤 | 가정음식물 찌꺼기 자동처리방법 및 그장치 |
KR20020036811A (ko) * | 2002-03-29 | 2002-05-16 | 한창희 | 쓰레기통 |
KR20030080397A (ko) * | 2002-04-08 | 2003-10-17 | 조송준 |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분리장치 |
KR100766014B1 (ko) * | 2005-08-04 | 2007-10-10 | 한빛테크원 (주) | 음식물 처리기 |
KR101468721B1 (ko) * | 2012-11-30 | 2014-12-08 | 이은산 |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
CN107008736A (zh) * | 2017-05-22 | 2017-08-04 | 佛山市利汇森家用电器有限公司 | 餐余垃圾回收处理器 |
CN112064736A (zh) * | 2020-09-27 | 2020-12-11 | 广州富港万嘉智能科技有限公司 | 水槽垃圾处理装置及带垃圾处理功能的智能厨房设备 |
CN112573678A (zh) * | 2019-09-28 | 2021-03-30 | 成都市赛沃德意环保科技有限公司 | 带有可旋转滤框以及自动报警装置的油水分离器 |
-
1998
- 1998-10-12 KR KR1019980042540A patent/KR100292430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26427B1 (ko) * | 1999-11-05 | 2002-03-07 | 김수곤 | 가정음식물 찌꺼기 자동처리방법 및 그장치 |
KR20020036811A (ko) * | 2002-03-29 | 2002-05-16 | 한창희 | 쓰레기통 |
KR20030080397A (ko) * | 2002-04-08 | 2003-10-17 | 조송준 | 싱크대용 음식물찌꺼기 분리장치 |
KR100766014B1 (ko) * | 2005-08-04 | 2007-10-10 | 한빛테크원 (주) | 음식물 처리기 |
KR101468721B1 (ko) * | 2012-11-30 | 2014-12-08 | 이은산 | 음식물 쓰레기 거름망 |
CN107008736A (zh) * | 2017-05-22 | 2017-08-04 | 佛山市利汇森家用电器有限公司 | 餐余垃圾回收处理器 |
CN112573678A (zh) * | 2019-09-28 | 2021-03-30 | 成都市赛沃德意环保科技有限公司 | 带有可旋转滤框以及自动报警装置的油水分离器 |
CN112064736A (zh) * | 2020-09-27 | 2020-12-11 | 广州富港万嘉智能科技有限公司 | 水槽垃圾处理装置及带垃圾处理功能的智能厨房设备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292430B1 (ko) | 2001-1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32941B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100292430B1 (ko) |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0410006Y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101792113B1 (ko) | 탈수기능이 구비된 싱크대의 음식물쓰레기 감량장치 | |
KR200241647Y1 (ko) | 싱크대용 음식물쓰레기 분쇄 및 탈수장치 | |
KR100821554B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19980043079A (ko) | 씽크대 오물(음식물쓰레기) 자동처리기 | |
KR100425758B1 (ko) |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 |
KR200250147Y1 (ko) | 싱크대의 음식물 쓰레기 압축탈수 처리장치 | |
KR100225389B1 (ko) | 음식쓰레기 탈수장치 | |
KR100397450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0225145Y1 (ko) | 싱크대의 음식쓰레기 분쇄 및 탈수 건조장치 | |
KR200197005Y1 (ko) | 싱크대용 오수처리장치 | |
KR200315803Y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KR200240024Y1 (ko) | 음식물찌꺼기 처리장치 | |
KR100434120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0216991Y1 (ko) | 다목적 주방용 씽크대 | |
CN210753043U (zh) | 一种垃圾处理设备 | |
KR100621136B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JPH0686945A (ja) | 厨芥処理装置 | |
JPH0329000B2 (ko) | ||
KR200148359Y1 (ko) | 주방 음식물쓰레기의 물기제거기 | |
KR200224309Y1 (ko) | 주방쓰레기 간편처리기 | |
JPH0975766A (ja) | 厨芥処理装置 | |
KR20100122569A (ko) | 음식물 처리가 용이한 싱크대용 배수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