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7425A - 카바메이트 작용성 아크릴 중합체 또는 카바메이트 작용성 노볼락 중합체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코팅 조성물 - Google Patents

카바메이트 작용성 아크릴 중합체 또는 카바메이트 작용성 노볼락 중합체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코팅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7425A
KR19990007425A KR1019980024814A KR19980024814A KR19990007425A KR 19990007425 A KR19990007425 A KR 19990007425A KR 1019980024814 A KR1019980024814 A KR 1019980024814A KR 19980024814 A KR19980024814 A KR 19980024814A KR 19990007425 A KR19990007425 A KR 199900074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arbamate functional
layer
group
pri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4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해리스 폴 제이
쥐. 메노브식 그레고리
Original Assignee
칼트 안시바허
바스프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885,638 external-priority patent/US5866259A/en
Priority claimed from US08/884,613 external-priority patent/US5888655A/en
Application filed by 칼트 안시바허, 바스프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칼트 안시바허
Publication of KR199900074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742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20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09D201/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 C09D201/025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specified groups, e.g. terminal or pendant functional groups containing nitroge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4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59/1405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inorga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4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59/1494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followed by a further chemical treatment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1/00Compositions of 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1/20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 C08L61/26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 C08L61/28Condensation polymers of aldehydes or ketones with only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attached to nitrogen of aldehydes with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elam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9D1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the oxygen atom being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9D133/062Copolymers with monomers not covered by C09D133/06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henolic Resins Or Amino Resin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재, 상기 기재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프라이머 코팅층 및 상기 최외곽 프라이머 코팅층에 위치한 상부코트층을 포함하는 복합 코팅에 관한 것이다. 이 때, 상기 최외곽 프라이머 코팅층은 일차 카바메이트 작용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 또는 노볼락 수지와 아미노플라스트 수지의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카바메이트 작용성 아크릴 중합체 또는 카바메이트 작용성 노볼락 중합체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코팅 조성물
본 발명은 가교성 프라이머(primer) 코팅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특히 프라이머 조성물에 아미노플라스트 가교제와 카바메이트 작용성 아크릴 중합체 또는 카바메이트 작용성 노볼락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산업에서 코팅 마무리(finish), 특히 외부 코팅 마무리는 일반적으로 2개 이상의 구별된 층에 도포한다. 프라이머 코팅 조성물의 하나 이상의 층을 먼저 코팅되지 않은 기재에 도포한 후 하나 이상의 상부코트(topcoat) 층을 도포할 수 있다. 각각의 층은 복합 코팅 마무리의 내구성과 외관에 중요한 특성을 제공한다. 프라이머 코팅층은 여러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1 목적으로, 프라이머 코팅을 도포하여 기재와 코팅 사이의 접착을 촉진시킬 수 있다. 제2 목적으로, 프라이머 코팅을 도포하여 코팅 시스템의 물리적 특성, 예를 들어, 내식성 또는 충격 강도(예, 자갈 치핑(chipping)에 대한 내성을 개선)을 개선시킬 수 있다. 제3 목적으로, 프라이머 코팅을 도포하여 상부코트층이 도포될 수 있는 평활층(smooth layer)을 제공하므로써 코팅의 외관을 개선시킬 수 있다. 상부코트 층(들)은 색상, 외관 및 광안정성과 같은 기타 특성에 기여한다.
현재 자동차 외부의 마무리 공정에서, 일반적으로 금속 기재를 전기코트(electrocoat) 프라이머로 우선 코팅한다. 전자코트 프라이머는 우수한 표면 접착력과 부식 방지 특성을 제공하지만, 종종 제2 프라이머 층에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프라이머 층은 마무리의 부식 방지를 증가시킬 수 있지만, 또한 전기코트 프라이머보다 평활한 표면을 제공한다. 이 제2 프라이머 층은 전기코트 표면의 오렌지 껍질같은 표면이 최종 상부코트 층의 표면을 소정 평활도 미만이 되도록 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프라이머는 또한 전기코트 프라이머층과 상부코트 사이의 차단층을 제공하는 작용을 하며, 전기코트 프라이머 층은 일반적으로 태양광선에 노출될 때 황변을 유발하는 방향족 화합물과 기타 물질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2 프라이머 층은 전기코트 층으로부터 상부코트 층으로 저분자량의 감광성 화학 물질이 통과하는 것을 차단하도록 보조하며, 이러한 저분자량의 감광성 화학 물질은 색상 변화(황변) 또는 기타 문제를 유발한다.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한 미국 특허 제5,474,811호(레퍼스 등)에는 카바메이트 작용성 아크릴 중합체를 개시하고 있다. 상기 문헌에서는 카바메이트 작용성 아크릴 중합체를 색상을 지닌 투명 복합코팅(color-plus-clear composite coatings)의 투명코트(clearcoat)에 사용할 수 있다고 개시되어 있다. 이 투명코트 조성물은 개선된 환경적 에칭 내성을 나타낸다. 상기 문헌에 프라이머 조성물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미국 특허 제5,431,791호(디셈버 등)에는 다수의 산-염화 일차 아민기를 갖는 수지와 다수의 시클릭 카르보네이트기를 갖는 경화제와의 수성 혼합물을 포함하는 전착 코팅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 조성물은 전기적으로 전도성이 있는 기재에 코팅층을 전착시키기 위해서 사용한다. 침착된 층을 경화시켜 경화된 코팅층을 형성한다. 일반적으로 프라이머-서페이서(surfacer)와 하나 이상의 상부코트층으로 전기코트 프라이머를 상도처리한다.
현재 프라이머 조성물은 카바메이트 작용성 아크릴 수지 또는 카바메이트 작용성 노볼락 수지와 멜라민 수지 가교제와 같은 아미노플라스트 가교제를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프라이머 조성물은 기재에 복합 코팅을 제조하기 위해서 사용하며, 이 복합 코팅은 하나 이상의 프라이머층 및 하나 이상의 상부코트층을 포함하며, 최외각 프라이머층은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고 반응시켜 얻고, 상부코트 층은 최외각 프라이머 코팅층에 도포한다.
조성물의 복합 코팅은 하나의 층으로서 카바메이트 작용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 또는 노볼락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과 아미노플라스트 수지를 반응시켜 얻은 프라이머 코팅층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아크릴 수지 또는 노볼락 수지의 카바메이트 작용기는 일차 카바메이트 작용기이다. 카바메이트 작용성 아크릴 수지 또는 노볼락 수지는 평균 분자당 2개 이상의 카바메이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카바메이트기는 분자당 2개를 초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볼락 수지의 경우 분자당 카바메이트기가 평균 5개 또는 6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바메이트 작용기는 하기의 구조로 표시할 수 있다.
-OC(=O)-NHR
상기 식에서, R은 H 또는 알킬, 바람직하게는 C1-4알킬이다. 바람직하게는 R은 H 또는 메틸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R은 H이다. R이 H인 경우, 카바메이트기는 일차 카바메이트기이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카바메이트 작용기는 β-히드록시 카바메이트 작용기이다. β-히드록시 일차 카바메이트기는 하기의 구조로 표시할 수 있다.
-CH(OH)-CH2-O-C(=O)-NHR
상기 식에서 R은 전술한 바와 같다. 또, R은 H 또는 메틸이 바람직하며, R이 H(β-히드록시 일차 카바메이트기)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카바메이트 작용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는 3가지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제1 방법에서, 하나 이상의 카바메이트기를 갖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로 공중합시켜 아크릴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카바메이트 작용성 불포화 단량체는 하나 이상의 일차 카바메이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바메이트 작용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를 얻을 수 있는 제2 방법에서, 아크릴 수지는 중합 반응 후에 이미 형성된 수지에 카바메이트 작용기를 결합시키도록 반응하는 작용기를 갖을 수 있다. 이어서, 제2 방법에 따라서, 카바메이트 작용기, 바람직하게는 일차 카바메이트 작용기로 전환될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에틸렌계 불포화된 단량체를 공중합시켜 아크릴 중합체를 형성한다.
카바메이트 작용기를 혼입시키는 한 방법은 에스테르 부분에 카바메이트 작용기를 보유하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단량체는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3,479,328호, 제3,674,838호, 제4,126,747호, 제4,279,833호, 제4,340,497호 및 제5,412,049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들 모두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하였다. 특히, 카바메이트 작용기를 갖는 바람직한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로는 2-히드록시에틸 카바메이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카바메이트(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히드록시부틸 카바메이트(메타)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카바메이트 작용성 단량체는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기술을 사용하여 기타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와 함께 중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α,β-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합성하는 방법중 하나는 히드록시 에스테르와 우레아를 반응시켜 카바밀옥시 카르복실레이트를 형성하는 것이다. 카바밀옥시 카르복실레이트를 형성하는 또 다른 방법은 α,β-불포화 산과 히드록시 카바메이트 에스테르를 반응시키는 것이다. 카바메이트기를 형성하는 또 다른 방법은 암모니아 또는 일차 아민이나 일차 디아민을 시클릭 카르보네이트(예, 에틸렌 카르보네이트 또는 프로필렌 카르보네이트)와 반응시킨 후, 히드록시기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으로 에스테르화시켜 단량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바람직한 아크릴산은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한 미국 특허 제5,474,811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한 미국 특허 제4,758,632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카바메이트 작용성 아크릴 수지는 이미 형성된 중합체와 중합체 골격에 부가되는 카바메이트 작용기를 형성하는 또 다른 성분을 반응시켜 제조할 수 있다. 카바메이트로 전환될 수 있는 기로는 히드록시기, 이소시아네이트기, 시클릭 카르보네이트기, 옥시란기 및 불포화 결합을 들 수 있다. 이를 수행할 수 있는 방법 중 유용한 기술은 히드록시 작용성 중합체의 존재하에 우레아를 HNCO로 열적 분해시키는 것이다. HNCO와 히드록시기를 반응시키면 카바메이트기가 형성된다. 또 다른 기술은 히드록시프로필 카바메이트와 같은 히드록시알킬 카바메이트의 히드록시기를 중합체의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시키는 것이다. 이소시아네이트 작용성 아크릴 중합체는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한 미국 특허 제4,301,257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비닐 단량체는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그 예로는 불포화 m-테트라에틸 크실렌 이소시아네이트(상표명 TMI(등록상표), 아메리칸 시안아미드사의 시판품)를 들 수 있다.
제3 기술은 아크릴 수지의 히드록시기를 알킬 카바메이트로 에스테르화시키는 것이다. 저급 알킬기를 갖는 카바메이트 화합물은 에스테르 교환반응이 더 신속하게 일어난다. 루이스 산, 주석 또는 티탄산염 촉매로 에스테르화 반응을 촉진(catalyze)시킨다. 유용한 촉매의 예로는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 옥사이드 및 이소부톡시 티타네이트가 있다. 또한 브뢴스테드 산, 예를 들어 파라 톨루엔 설폰산으로 반응을 촉진시킨다.
시클릭 카르보네이트기는 암모니아 또는 일차 아민과 반응하여 카바메이트기로 전환될 수 있으며, 암모니아 또는 일차 아민과의 반응으로 시클릭 카르보네이트가 개환되어 β-히드록시 카바메이트를 형성한다. 우선 대기압 내지 초임계 CO2압, 바람직하게는 약 60 psi 내지 약 150 psi의 압력과, 통상 약 실온 내지 최대 약 20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약 150℃의 온도하에서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 시클릭 카르보네이트로 전환시키므로써 에폭시기를 카바메이트기로 전환시킬 수 있다. 촉매를 사용할 수 있다. 유용한 촉매는 옥시란 고리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임의의 것, 예를 들어 테트라메틸암모늄 브로마이드를 비롯한 3차 아민 또는 4차 아민염; (CH3)3SnI, Bu3SnI, Bu4PI 및 (CH3)4PI과 같은 착물 유기주석 할라이드 및 알킬 포스포늄 할라이드의 배합물; 탄산 칼륨 및 요오도 칼륨과 같은 칼륨 염, 바람직하게는 크라운 에테르, 옥토산 주석 또는 옥토산 칼슘과의 배합물 등이 있다. 이어서, 시클릭 카르보네이트기를 전술한 바와 같이 카바메이트로 전환시킬 수 있다. 불포화 결합을 카바메이트기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이는 먼저 과산화물과 불포화기를 반응시켜 에폭시기를 형성한 후 CO2와 반응시켜 시클릭 카르보네이트를 형성하고, 마지막으로 암모니아 또는 일차 아민과 반응시켜 카바메이트를 형성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아크릴 수지는 옥시란 작용기 또는 시클릭 카르보네이트 작용기를 갖는 단량체를 사용하여 제조한다. 시클릭 카르보네이트 작용성 아크릴 중합체는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본원에서 참고로 인용한 미국 특허 제2,979,514호에 개시되어 있다.
카바메이트 작용기를 갖거나 또는 반응이 종결된 중합체의 카바메이트 작용기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외에, 1종 이상의 기타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본 발명의 아크릴 수지를 형성하기 위한 공단량체로서 사용한다. 공단량체는 히드록시 작용성 수지의 제조에 유용한 것으로 전술한 형태의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카바메이트 작용성 아크릴 중합체 또는 카바메이트기를 형성하도록 부가된 아크릴 중합체는 전술한 방법에 따라 중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카바메이트기 또는 카바메이트기로 전환될 수 있는 기를 갖는 단량체를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기타 불포화 공중합성 단량체와 함께 중합시킬 수 있다. 이 공중합성 단량체의 예로는 C3-5를 포함하는 α,β-에틸렌계 불포화 모노카르복실산 및 이들 산의 에스테르, 니트릴 또는 아미드; C4-6를 포함하는 α,β-에틸렌계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및 이들 산의 무수물, 모노에스테르 및 디에스테르; 비닐 에스테르, 비닐 에테르, 비닐 케톤, 비닐 아미드 및 방향족 비닐 화합물 또는 헤테로시클릭 지방족 비닐 화합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아미드 및 아미노알킬 아미드의 대표적인 예로는 N-(1,1-디메틸-3-옥소부틸)-아크릴아미드와 같은 아크릴 아미드, 메틸올아미드와 같은 N-알콕시 아미드; n-부톡시 아크릴아미드와 같은 N-알콕시 아크릴아미드; N-아미노알킬 아크릴레이트 또는 N-아미노알킬 메타크릴레이트, 예를 들어 아미노메틸아크릴아미드, 1-아미노에틸-2-아크릴아미드, 1-아미노프로필-2-아크릴아미드, 1-아미노프로필-2-메타크릴아미드, N-1-(N-부틸아미노)프로필-(3)-아크릴아미드 및 1-아미노헥실-(6)-아크릴아미드와 1-(N,N-디메틸아미노)-에틸-(2)-메타크릴아미드, 1-(N,N-디메틸아미노)-프로필-(3)-아크릴아미드 및 1-(N,N-디메틸아미노)-헥실-(6)-메타크릴아미드와 같은 화합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또는 크로톤산 에스테르의 대표적인 예로는 C1-20를 포함하는 포화 지방족 알코올 및 시클로지방족 알코올과의 반응으로 형성된 에스테르, 예를 들어 및 이소보르닐 아크릴레이트; 및 이소보르닐 메타크릴레이트; 및 및 이소보르닐 크로토네이트;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아크릴레이트 및 폴리알킬렌 글리콜 메타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기타 에틸렌계 불포화 중합성 단량체의 대표적인 예로는 푸말산·말레산 및 이타콘산 무수물; 푸말산·말레산 및 이타콘산 모노에스테르;및 푸말산·말레산 및 이타콘산 디에스테르를 들 수 있으하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중합성 비닐 단량체의 대표적인 예로는 비닐 아세테이트, 비닐 프로피오네이트, 비닐 에테르(예, 비닐 에틸 에테르), 비닐 할라이드 및 비닐리덴 할라이드와 비닐 에틸 케톤과 같은 화합물이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방향족 비닐 화합물 또는 헤테로시클릭 지방족 비닐 화합물의 대표적인 예로는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비닐 톨루엔, t-부틸 스티렌 및 2-비닐 피롤리돈과 같은 화합물을 들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한 아크릴 중합체는 유리 라디칼 중합반응, 양이온 중합반응 또는 음이온 중합반응과 같은 종래 기술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회분식 공정 또는 반-회분식 공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과산화물 또는 아조 화합물과 같은 유리 라디칼 공급원 및 임의적으로 회분식 공정을 위한 사슬 연장제의 존재하에 괴상(bulk)으로 또는 유기 용액 또는 수성 분산액 중에 에틸렌계 불포환 단량체를 가열하여 중합반응시키거나; 또는 대안적으로 반-회분식 공정에서 가열된 반응기내로 단량체, 개시제(들) 및 사슬 연장제를 용매와 함께 제어된 속도로 장입시켜 중합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전형적인 유리 라디칼 공급원으로는 디-3차-부틸 퍼옥사이드 및 디쿠밀 퍼옥사이드와 같은 디알킬 과산화물, 3차-부틸 퍼옥시 2-에틸헥사노에이트 및 3-부틸 퍼옥사이드 피발레이트와 같은 퍼옥시에스테르; 디-2-에틸헥실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및 디시클로헥실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와 같은 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및 디라우로일 퍼옥사이드와 같은 디아실 퍼옥사이드; 쿠멘 히드로퍼옥사이드 및 3차-부틸 히드로퍼옥사이드와 같은 히드로퍼옥사이드; 시클로헥사논 퍼옥사이드 및 메틸이소부틸 케톤 퍼옥사이드와 같은 케톤 퍼옥사이드; 및 1,1-비스(3차-부틸 퍼옥시)-3,5,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및 1,1-비스(3차-부틸 퍼옥시)시클로헥산을 비롯한 유기 과산화물과; 2,2'-아조비스(3차-메틸부탄니트릴) 및 1,1'-아조비스(시클로헥산카르보니트릴)과 같은 아조 화합물이 있다. 전형적인 사슬 연장제로는 옥틸 머캅탄, n-도데실 머캅탄 또는 3차-도데실 머캅탄, 티오살리실산, 머캅토아세트산, 및 머캅토에탄올과 같은 머캅탄; 할로겐화 화합물; 및 이량체성 α-메틸 스티렌이 있다.
유리 라디칼 중합반응은 일반적으로 약 20℃ 내지 약 20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약 90℃ 내지 약 170℃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이 반응은 환류가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통상적으로 환류하에 수행할 수 있다. 개시제는 상기 반응 온도에서 반감기가 30분 이하인 것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크릴 중합체는 일반적으로 약 1000 내지 약 40,000, 바람직하게는 약 2000 내지 약 1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00 내지 약 5000의 수평균 분자량을 갖는다. 수평균 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표준물질을 사용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할 수 있다. 카바메이트 당량은 일반적으로 약 200 내지 1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340이다. 이론적인 유리 전이 온도는 공단량체를 선택하고 배분하여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방법으로 조정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카바메이트 작용성 아크릴의 이론적인 Tg는 약 -20℃ 내지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0℃ 내지 +10℃이다. 아크릴 수지의 분자량 및 이론적인 Tg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행해지는 스톤 칩 내성(stone chip resistance) 또는 샌드적합성(sandability)과 같은 특성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또한 히드록시기와 같이 아미노플라스트 가교제와 반응성이 있는 기타 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가 사용가능하다. 예를 들어, 아크릴 중합체를 1 종 이상의 히드록시 작용성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를 카바메이트기를 갖는 1종 이상의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 임의적으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기타 중합성 공단량체와 함께 공중합시켜 제조할 수 있다.
노볼락 에폭시 수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폭시 페놀 노볼락 수지 또는 에폭시 크레졸 노볼락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식에서, R1은 H 또는 메틸이고, R2는 H 또는 글리시딜기이며, 단 분자당 평균 2개 이상의 R2기가 글리시딜기이며, n은 0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더욱 바람직하게는 3 또는 4이다. 또한 노볼락 수지는 하기 화학식 2 또는 화학식 3을 갖는 방향족 노볼락 비스페놀 A 수지일 수 있다.
상기 식들에서, R2는 H 또는 글리시딜기이고, 단 분자당 평균 2개 이상의 R2기는 글리시딜기이며, m은 0 내지 4, 바람직하게는 0 내지 2이다.
모든 옥시란기가 전환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지만, 옥시란기 전체가 카르보네이트기로 전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옥시란기는 2 단계 합성에 의해 카바메이트기로 전환될 수 있다. 제1 단계에서, 시클릭 카르보네이트기는 이산화탄소의 반응으로 형성된다. 이는 대기압 내지 초임계 CO2압중 임의의 압력에서 수행할 수 있으나, 상승된 압력(예, 60 psi∼150 psi)에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 온도는 실온 내지 약 200℃, 바람직하게는 약 60℃ 내지 약 150℃일 수 있다. 유용한 촉매는 옥시란 고리를 활성화시키는 임의의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테트라메틸 암모늄 브로마이드과 같은 3차 아민 또는 4차염; (CH3)3SnI, Bu3SnI, Bu4PI 및 (CH3)4PI과 같은 착물 유기주석 할라이드 및 알킬 포스포늄 할라이드의 배합물; 탄산 칼륨 및 요오도 칼륨과 같은 칼륨 염, 바람직하게는 크라운 에테르, 옥토산 주석 또는 옥토산 칼슘과의 배합물 등이 있다.
옥시란기로부터 카바메이트기를 합성하는 제2 단계에서, 제1 단계에서 형성된 시클릭 카르보네이트기를 암모니아 또는 일차 아민과 반응시켜 카바메이트기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암모니아 또는 일차 아민과의 반응으로 시클릭 카르보네이트가 개환되어 β-히드록시 카바메이트를 형성한다. 적절한 아미노 화합물로는 메틸아민, 에틸아민, n-프로필아민, n-부틸아민, 기타 알킬아민 및 이들의 혼합물을 비롯한 일차 아민기를 들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차 아민기 및 상이한 작용기를 갖는 아민 화합물, 예를 들어 알칸올아민도 적합하다. 예로는 에탄올아민 및 이소프로필아민이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암모니아가 시클릭 카르보네이트기와 반응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대기압 및 온화한 온도, 예를 들어 약 50℃ 이하에서 반응 혼합물내로 암모니아의 기류를 유입시켜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일차 아민, 일차 아민의 혼합물 또는 일차 아민과 암모니아의 혼합물을 시클릭 카르보네이트기와 반응시키는 경우, 약 일차 아민의 비등점 이하에서 반응을 수행할 수 있다.
카바메이트 작용성 노볼락 수지의 수평균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약 1000 내지 40,000, 바람직하게는 약 2000 내지 약 1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4000 내지 약 5000이다. 분자량은 폴리스티렌 표준물질을 사용하여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할 수 있다. 카바메이트 당량은 일반적으로 약 200 내지 1500,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0 내지 340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아미노플라스트 수지를 포함한다. 적절한 아미노플라스트 수지는 아민/알데히드 축합반응물,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테르화된 것, 가장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에테르화된 것이다. 멜라민 및 우레아는 바람직한 아민이지만, 기타 트리아진, 트리아졸, 디아진, 구아니딘 또는 구아나민도 알킬화된 아민/알데히드 아미노플라스트 수지 가교제를 제조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아미노플라스트 수지는 아세트알데히드, 크로톤알데히드 및 벤즈알데히드와 같은 알데히드를 사용할 수 있지만 아민/포름알데히드 축합반응물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아미노플라스트 수지의 예로는 헥사메톡시 메틸화된 멜라민과 같이, 바람직하게는 C1-6알콜, 더욱 바람직하게는 C1-4알콜을 사용하여 부분적으로 알킬화된 멜라민 수지 또는 전체적으로 알킬화된 멜라민 수지를 비롯한 단량체성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지 또는 중합체성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지; 메틸올 우레아 및 실록시 우레아를 포함하는 우레아 포름알데히드 수지, 예를 들어 부틸화된 우레아 포름알데히드 수지, 알킬화된 벤조구아니민, 구아닐 우레아, 구아니딘, 비구아니딘, 폴리구아니딘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량체성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지는 특히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알킬화된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수지는 시판품이며, 예를 들어 상표명 RESIMENE(미국, 미주리, 세인트 루이스에 소재하는 몬산토 코오포레이숀) 또는 상표명 CYMEL(미국, 뉴저지, 웨스트 패터슨에 소재하는 사이텍 인더스트리즈)가 있다.
멜라민 수지와 카바메이트 작용성 아크릴 수지를 합한 중량을 기준으로 멜라민 수지는 프라이머 조성물의 약 15 중량% 내지 약 40 중량%를 차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약 20 중량% 내지 약 30 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35 중량%이다. 카바메이트기:가교제 반응성기의 바람직한 당량비는 1:1 내지 1.12이다.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유용한 촉매로는 블록화된 산 촉매, 예컨대 파라 톨루엔 설폰산, 도데실벤젠 설폰산, 디노닐나프틸렌 디설폰산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특히 이들 산은 경화 반응 중에 휘발되는 기로 블록화된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한 것은 블록화된 도데실벤젠 설폰산이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분말형 코팅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코팅 조성물은 1종 이상의 용매, 바람직하게는 유기 용매에서 선택된 용매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조성물은 용매계 코팅 조성물이다. 코팅 조성물은 유기 용매 용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는 약 15 중량% 내지 약 99 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20 중량% 내지 약 8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0 중량% 내지 약 50 중량%의 함량으로 존재할 수 있다.
특정 용매의 선택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행할 수 있다. 최적 용매 또는 용매들의 혼합물은 특정 혼합물의 간단한 시험에 의해 결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용한 용매의 예로는 에스테르, 특히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 부티레이트, 알콜, 케톤, 방향족 용매, 글리콜 에테르, 글리콜 에스테르, 비양성자성 아미드, 비양성자성 설폭사이드 및 비양성자성 아민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유용한 용매의 예로는 메틸 에틸 케톤, 메틸 이소부틸 케톤, 아밀 아세테이트, 부틸 아세테이트, 에틸렌 글리콜 부틸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크실렌, 톨루엔,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나프타와 방향족 탄화수소의 기타 혼합물, N-메틸피롤리돈, 이소부틸 이소부티레이트 및 물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크릴 수지 또는 노볼락 수지 중 하나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비수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의 수성 코팅 조성물은 용매로서 물을 사용하고, 분산액 또는 현탁액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1종 이상의 유기 용매를 임의로 사용함으로써 제제화될 수 있다.
노볼락 수지는 개질되어 비이온성 안정화기 또는 산기 또는 아민기를 포함할 수 있고, 이들 기는 염화되어 수지의 분산액 또는 현탁액을 안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노볼락 수지를 포함하는 코팅 조성물은 비수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노볼락 수지는 옥시란기, 카르보네이트기, 카바메이트기 및 히도록시 카바메이트기, 특히 일차 카바메이트기 또는 히드록시 카바메이트기에서 각각 선택된 작용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코팅 조성물은 색상 안료, 부식 억제 안료, 전도성 안료 및 충전제 안료를 비롯한 당해 기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것과 같은 안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들의 예로는 금속 산화물, 크롬산염, 몰리브덴산염, 인산염, 실리케이트, 카본 블랙 및 실리카를 들 수 있다. 안료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방법 및 장치, 예컨대 마멸기 및 샌드 밀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수지에 분산시키고,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카바메이트 작용성 아크릴 또는 멜라민 수지, 분산제 및 용매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분산시켜서 안료 페이스트를 형성한다.
염료, 유동(flow) 조절제 또는 레올로지(rheology) 조절제 등과 같은 기타 통용되는 물질도 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목재, 금속, 유리, 직물, 플라스틱, 포옴 및 탄성중합체를 비롯한 다양한 기재에 도포될 수 있다. 이들은 자동차 물품, 예컨대 금속 차체 또는 탄성중합체성 계기판의 프라이머로서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물품이 금속계 물품인 경우에, 상기 물품은 본 발명의 프라이머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에 전기코트(electrocoat) 프라이머층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코팅 조성물은 기재에 직접 도포되거나, 또는 전기코트 프라이머와 같은 하나 이상의 다른 프라이머층 위에 직접 도포된다. 이어서, 도포된 프라이머 코팅 조성물은 경화시켜 프라이머 코팅층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코팅 조성물로부터 형성된 프라이머 코팅층은 복합 코팅의 최외곽 프라이머층이다. 상부코트 조성물은 프라이머 코팅층 위에 도포되고, 경화되어 상부코트층을 형성한다. 이 때, 기재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유도된 하나 이상의 프라이머 코팅층과 하나 이상의 상부코트층을 갖는 복합 코팅으로 커버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본 발명의 코팅 조성물은 색상을 지닌 투명한(베이스코트-투명코트) 상부코트로서 도포된 상부코트로 상도처리된다. 이러한 유형의 코팅은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면, 상부코트는 미국 특허 제5,474,811호에서 따라 베이스코트 조성물의 층 위에 이중습식(wet-on-wet)으로 도포한 투명코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당한 착색 칼라 코트 조성물 또는 베이스코트 조성물은 당해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베이스코트 조성물 및 투명코트 조성물로 유용하다고 당해 기술 분야에 알려진 중합체의 예로는 아크릴, 비닐, 폴리우레탄,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스테르, 알키드 및 폴리실록산을 들 수 있으나, 이들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아크릴 및 폴리우레탄이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베이스코트 조성물 및 투명코트 조성물 또한 바람직하고, 바람직한 중합체는 1종 이상의 가교성 작용기, 예컨데 카바메이트, 히드록시, 이소시아네이트, 아민,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비닐, 실란, 아세토아세테이트 등을 포함하는 것이다. 중합체는 자체 가교될 수 있거나, 또는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전술한 종류의 아미노플라스트 수지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가교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복합 코팅의 각각의 층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다수의 기술 중 임의의 방법에 의해 코팅하고자 하는 물품에 도포될 수 있다. 이들의 예로는 분무 코팅, 침지 코팅, 롤 코팅, 커튼 코팅 등을 들 수 있다. 초기 전도코트 프라이머층을 금속계 기재에 도포하는 경우에, 전기도장 프라이머는 전기침착법에 의해 도포된다. 자동차 용도에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코팅 조성물과 상부코트층(들)은 분무 코팅, 특히 정전기식 분무법으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mil 이상의 코팅층들은 통상 2개 이상의 코트들에 도포되고, 도포된 층으로부터 용매의 일부가 증발 또는 플래쉬(flash)되기에 충분한 시간에 의해 분리된다. 플래쉬는 실온 또는 고온에서 수행될 수 있고, 예를 들면 플래쉬는 방사선 열을 사용할 수 있다. 코트는 0.5 mil 내지 3 mil의 건조 두께로 도포될 수 있고, 충분한 수의 코트를 도포하여 소정의 최종 코팅 두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을 반응시킴으로써 형성된 최외곽 프라이머층은 상부코트를 도포하기 전에 반응시킨다. 색상을 지닌 투명한 상부코트는 일반적으로 이중습식으로 도포한다. 상기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은 플래쉬, 또는 색상 조성물의 마지막 코트와 투명한 제1 코트 사이에 일어나는 플래쉬에 의해 분리된 코트들에 도포한다. 이어서, 두 개의 코팅층을 동시에 경화시킨다. 경화된 베이스코트층의 두께는 0.5 mil 내지 1.5 mil이고, 경화된 투명코트층은 1 mil 내지 3 mil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6 mil 내지 2.2 mil이다.
전술한 코팅 조성물은 열로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블록화되지 않은 산 촉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경화 온도는 약 70℃ 내지 약 180℃가 바람직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약 170℉ 내지 약 200℉이며, 블록화된 산 촉매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에는 약 240℉ 내지 약 275℉이다. 상기 온도 범위에서 통상 경화 시간은 15분 내지 60분이고, 온도는 경화 시간이 약 15분 내지 약 30분이 되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코팅된 물품은 자동차 차체 또는 부품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예시하고자 한다. 하기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만을 목적으로하는 바,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
실시예 1
카바메이트 작용성 아크릴 중합체의 제법
교반기, 질소 라인, 열전대 및 단량체 첨가 라인이 장착된 둥근 바닥 유리 플라스크에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511.2 g을 넣었다. 상기 플라스크의 내용물을 106℃로 가열하였다.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카르보네이트(미국, 미시간, 미드랜드 소재의 다우 케미칼 컴패니에서 시판함) 469.6 g, 스티렌 192.5 g,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467.0 g, 에틸헥실 메타크릴레이트 152.0 g 및 VAZO(등록 상표) 67(아조 개시제, 미국, 델라웨어, 윌밍톤 소재의 E.I.듀퐁 드 네무어에서 시판함) 103 g의 혼합물을 약 4시간에 걸쳐 일정한 속도로 첨가하였다. 온도는 106℃로 유지하였다. 첨가 라인은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20 g으로 세정(flush)하였다. 단량체를 첨가한 후,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44 g 중의 VAZO(등록 상표) 67 19.2 g의 용액을 25분에 걸쳐 첨가하였다. 첨가 라인을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10 g을 사용하여 다시 세정하였다. 생성물을 106℃로 한시간 45분 간 유지시켰다. 측정된 고형분 함량은 68.55 중량%(비휘발성 물질)이었다.
교반기가 장착된 둥근 바닥 유리 플라스크에 제1 합성 생성물 800 g과 메탄올 213 g을 넣었다. 암모니아의 완만한 기류를 중합체 용액에서 6 시간 동안 버블화시키고, 2 시간 후에 39℃에서 발열 피크가 있었다. 상기 용액을 18 시간 방치한 후, 카르보네이트와 아민 간의 반응이 완결되었는지 적외선 분광 분석 스캔을 조사하였다. 중합체 용액을 메탄올이 증류될때까지 가열시켰다. 메탄올 195 g을 회수하였다.
실시예 2
카바메이트 작용성 아크릴 중합체와 멜라민 가교제를 포함하는 코팅 필름
두 개의 상이한 멜라민 수지와 멜라민 수지:아크릴 수지를 세가지 다른 비율로 사용하여 실시예 1의 카바메이트 작용성 아크릴 중합체를 코팅 조성물로 제제화하였다.
A B C D E F
실시예 1의 아크릴 120 g 112.9 g 105.9 g 120.0 g 112.9 g 105.9 g
RESIMENE 7171 17.9 23.8 29.8
RESIMENE 7551 15.0 20.0 25.0
첨가제2 0.25 0.25 0.25 0.25 0.25 0.4
촉매3 5.6 5.4 5.4
EGBE4 55.6 56.7 57.8 55.7 57.8 59.8
1. 미국, 미주리, 세인트 루이스 소재의 몬산토에서 시판함2. 크실렌 중의 폴리부틸 아크릴레이트의 60 중량% 용액3. 이소프로필아민 블록화 도데실벤젠 설폰산의 용액4.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코팅 조성물을 전기코트된 포스페이트화 강철 패널에 분무법으로 도포하였다. 두 개의 패널을 각각의 시료로 준비하였다. 제1 패널은 270℉에서 20분 간 소성하였고, 제2 패널은 325℉에서 25분 간 소성하였다. 코팅된 패널을 다음과 같은 시험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터콘(Tukon) 경도, ASTM D 1475(방법 A); 테이프 접착력, ASTM D 3395; 자갈(gravel) 칩 시험, ASTM D 3170 및 SAE J400.
소성: 270℉에서 20분
시험 A B C D E F
필름 두께 1.0 6.06 7.07 10.3 11.7 12.8
터콘 경도 5.66 5.66 6.06 7.07 10.3 11.7
ICA (제거율%) 95P 80P 80P 95T 100T 100T
자갈 칩 등급 1 1 1 5 3 3
소성: 325℉에서 25분
시험 A B C D E F
필름 두께 1.0 0.8 0.8 1.0 1.0 1.0
터콘 경도 7.57 9.01 10.70 11.3 13.4 14.3
ICA (제거율%) 5T 1 1 100T 100T 80T
자갈 칩 등급 6 7 7 6 4 4~5
실시예 3
노볼락 에폭시 카바메이트의 제조
교반기가 장착된 둥근 바닥 유리 플라스크에 시판용 에폭시 노볼락 수지(분자당 평균 3.6개의 에폭사이드기, 미국, 뉴욕, 호돈 소재의 시바 가이기 코오포레이숀에서 시판함) 1667.5 g, 테트라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 30.0 g 및 프로필렌 글리콜의 모노메틸 에테르 565.8 g을 투입하였다. 플라스크의 내용물을 이산화탄소의 가압 대기(120 psi)하에서 약 101℃ 내지 약 107℃의 온도로 6 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카르보네이트화 노볼락 에폭시의 생성물을 아세톤 337.3 g을 사용하여 71% 비휘발 물질로 환원시켰다.
교반기가 장착된 둥근 바닥 유리 플라스크에 카르보네이트화 노볼락 에폭시의 용액 800 g과 메탄올 200 g을 투입하였다. 암모니아의 완만한 기류를 중합체 용액에 4 시간 동안 버블화시켰고, 33℃에서 발열 피크를 얻었다. 카르보네이트와 아민과의 반응이 완결되었는지를 적외선 분광 분석 스캔으로 조사하였다. 상기 플라스크를 질소로 퍼지하였다. 중합체 용액을 물 약 3 ml와 혼합한 다음, 가열하여 메탄올과 아세톤을 증류시키고, 증류물 197 g을 회수하였다. 카바메이트 작용성 생성물은 61% 비휘발성 물질이었다.
실시예 4
카바메이트 노볼락과 멜라민 가교제를 포함하는 코팅 필름
실시예 3의 카바메이트 작용성 노볼락을 두 개의 상이한 멜라민 수지와 멜라민 수지:노볼락 수지의 세가지 다른 비율을 사용하여 코팅 조성물로 제제화하였다.
A B C D E F
실시예 3의 노볼락 139.3 g 131.1 g 122.9 g 139.3 g 131.1 g 122.9 g
RESIMENE 7171 17.9 23.8 29.8
RESIMENE 7551 15.0 20.0 29.8
첨가제2 0.25 0.25 0.25 0.25 0.25 0.25
촉매3 5.4 5.4 5.4
EGBE4 36.2 38.5 40.7 36.4 39.5 42.7
1. 미국, 미주리, 세인트 루이스 소재의 몬산토에서 시판함2. 크실렌 중의 폴리부틸 아크릴레이트 60 중량% 용액3. 이소프로필아민 블록화 도데실벤젠 설폰산의 용액4. 에틸렌 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코팅 조성물 A~C를 전기코트된 포스페이트화 스틸 패널에 분무법으로 도포하였다. 두 개의 패널을 각각의 시료로 준비하였다. 제1 패널은 270℉에서 20분 간 소성하였고, 제2 패널은 325℉에서 25분 간 소성하였다. 코팅된 패널을 다음과 같은 시험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터콘 경도, ASTM D 1475(방법 A); 테이프 접착력, ASTM D 3395; 자갈 칩 시험, ASTM D 3170 및 SAE J400.
소성: 270℉에서 20분
시험 A B C
필름 두께 1.0 1.0 1.0
터콘 경도 18.92 19.42 19.42
테이프 접착력(제거율%) 95P 95P 95P
자갈 칩 등급 0 0 0
소성: 325℉에서 25분
시험 A B C
필름 두께 1.0 1.0 1.1
터콘 경도 28.02 28.02 29.85
ICA (제거율%) 1 1 1
자갈 칩 등급 7 7 7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변경 및 수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코팅층은 일차 카바메이트 작용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 또는 노볼락 수지와 아미노플라스트 수지의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다. 그 결과 얻어진 복합 코팅의 물성이 향상된다.

Claims (18)

  1. 기재, 상기 기재 위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프라이머 코팅층 및 최외곽 프라이머 코팅층의 위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상부코트층을 포함하는 복합 코팅으로서, 상기 최외곽 프라이머 코팅층은
    (a) 일차 카바메이트 작용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와 카바메이트 작용기를 갖는 노볼락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수지와,
    (b) 아미노플라스트 수지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것이 특징인 복합 코팅.
  2. 제1항에 있어서, 기재와 최외곽 프라이머 코팅층 사이에 존재하는 전기코트 프라이머층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복합 코팅.
  3. 제1항에 있어서, 상부코트로서 베이스코트의 내층과 투명코트의 외층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복합 코팅.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a)의 카바메이트 작용기가 β-히드록시 카바메이트 작용기인 것이 특징인 복합 코팅.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플라스트 수지가 멜라민 수지인 것이 특징인 복합 코팅.
  6. 제5항에 있어서, 수지(a)는 아크릴 수지이고, 멜라민 수지는 단량체성 멜라민 수지인 것이 특징인 복합 코팅.
  7. 제5항에 있어서, 수지(a)는 아크릴 수지이고, 멜라민 수지는 중합체성 멜라민 수지인 것이 특징인 복합 코팅.
  8. 제1항에 있어서, 수지(a)는 일차 카바메이트 작용기를 갖는 노볼락 수지인 것이 특징인 복합 코팅.
  9. 제1항에 있어서, 수지(a)가 분자당 평균 2개 이상의 카바메이트 작용기를 갖는 노볼락 수지인 것이 특징인 복합 코팅.
  10. 제1항에 있어서, 카바메이트 작용기를 갖는 노볼락 수지가
    (a) 노볼락 에폭시와 이산화탄소를 반응시켜 카르보네이트기를 지닌 수지를 형성하고,
    (b) 상기 카르보네이트기를 암모니아, 하나 이상의 일차 아민을 갖는 아미노 수지 및 이들의 혼합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화합물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것인 복합 코팅.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이 암모니아인 것이 특징인 복합 코팅.
  12. 제1항에 있어서, 수지(a)가 상기 카바메이트기를 통해 실질적으로 반응하여 최외곽 프라이머 코팅층을 형성하는 노볼락 수지인 것이 특징인 복합 코팅.
  13. 제1항에 있어서, 수지(a)가
    (a) 옥시란기를 갖는 아크릴 중합체를 형성하고,
    (b) 상기 옥시란기를 이산화탄소와 반응시켜 카르보네이트기를 형성하며,
    (c) 상기 카르보네이트기를 암모니아와 반응시킴으로써 얻은 일차 카바메이트 작용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인 것이 특징인 복합 코팅.
  14. 제1항에 있어서, 수지(a)가 상기 일차 카바메이트기를 통해 실질적으로 반응하여 최외곽 프라이머 코팅층을 형성하는 아크릴 수지인 것이 특징인 복합 코팅.
  15. (a) (i) 카바메이트 작용기를 갖는 노볼락 수지와 일차 카바메이트 작용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수지와,
    (ii) 아미노플라스트 수지
    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코팅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b) 도포된 프라이머 코팅 조성물을 경화시켜 프라이머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 위에 상부코트를 도포하는 단계, 및
    (d) 상기 도포된 상부코트 조성물을 경화시켜 상부코트층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바와 같은 코팅된 기재를 제조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프라이머 코팅 조성물이 전기코트 프라이머층 위에 도포되는 것이 특징인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부코트 조성물을 베이스코트층 위의 투명코트층과 같이 두 개의 층에 이중습식 도포하는 것이 특징인 방법.
  18. (a) 카바메이트 작용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 또는 노볼락 수지와,
    (b) 아미노플라스트
    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인 코팅 조성물.
KR1019980024814A 1997-06-30 1998-06-29 카바메이트 작용성 아크릴 중합체 또는 카바메이트 작용성 노볼락 중합체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코팅 조성물 KR199900074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885,638 1997-06-30
US08/885,638 US5866259A (en) 1997-06-30 1997-06-30 Primer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carbamate-functional acrylic polymers
US8/884,613 1997-06-30
US08/884,613 US5888655A (en) 1997-06-30 1997-06-30 Primer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carbamate-functional novolac resi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7425A true KR19990007425A (ko) 1999-01-25

Family

ID=27128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4814A KR19990007425A (ko) 1997-06-30 1998-06-29 카바메이트 작용성 아크릴 중합체 또는 카바메이트 작용성 노볼락 중합체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코팅 조성물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0889103A3 (ko)
JP (1) JP4357609B2 (ko)
KR (1) KR19990007425A (ko)
CN (1) CN1152935C (ko)
AU (1) AU713782B2 (ko)
BR (1) BR9802388A (ko)
CA (1) CA22398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268410A1 (en) 1999-12-30 2003-01-02 Eastman Chemical Company Beta-hydroxy butenyl carbamate, functional oligomers and coatings therefrom
KR100893134B1 (ko) * 2001-04-10 2009-04-15 도오레 화인케미칼 가부시키가이샤 경화성 도료 조성물
DE10129969A1 (de) 2001-06-21 2003-01-09 Basf Coatings Ag Carbamat- und/oder Allophanatgruppen enthaltende, thermisch und mit aktinischer Strahlung härtbare Gemische
CN101191031B (zh) * 2006-11-30 2010-06-1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汽车罩光清漆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56669A (en) * 1992-10-23 1994-10-18 Basf Corporation Composite color-plus-clear coating utilizing carbamate-functional polymer composition in the clearcoat
TW242644B (ko) * 1992-10-30 1995-03-11 Ppg Industries Inc
DE69308585T2 (de) * 1992-10-30 1997-09-11 Ppg Industries Inc Durch aminoplast härtbare filmbildende zusammensetzungen zu filmen mit säure-ätzungsbeständigkeit
US6165618A (en) * 1994-11-03 2000-12-26 Basf Corporation Curable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carbamate resin and additives
US5756213A (en) * 1995-10-06 1998-05-26 Basf Corporation Curable coating composition having carbonate-containing component
US5709950A (en) * 1994-04-29 1998-01-20 Ppg Industries, Inc. Color-plus-clear composite coatings that contain polymers having carbamate functionality
US5593785A (en) * 1995-06-26 1997-01-14 Ppg Industries, Inc.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acrylic polymers with pendant carbamate groups exhibiting improved intercoat adhesion
CA2192231C (en) * 1995-12-20 2003-12-02 Youssef Moussa Coating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39893A1 (en) 1998-12-30
MX9804641A (es) 1998-12-31
JPH1170620A (ja) 1999-03-16
EP0889103A3 (en) 1999-01-13
JP4357609B2 (ja) 2009-11-04
BR9802388A (pt) 1999-09-08
AU713782B2 (en) 1999-12-09
CN1228458A (zh) 1999-09-15
EP0889103A2 (en) 1999-01-07
AU7395398A (en) 1999-01-14
CN1152935C (zh) 2004-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66259A (en) Primer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carbamate-functional acrylic polymers
US6346591B1 (en) Monomer and polymerization process
EP1453921B1 (en) Clearcoat composition
US7342071B2 (en) Clearcoat paint composition
EP1042402B1 (en) Curable film-forming compositions
US4605719A (en) Liquid, curable coating composition based on a hydroxyl groups-containing addition polymer as binder
EP0850986B1 (en) Amino crosslinking agents functionalized with carbamate groups and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US6657007B2 (en) Clearcoat composition with improved adhesion
US20040087731A1 (en) Method of making a curable 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a carbamate functional reactive additive
US5888655A (en) Primer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carbamate-functional novolac resins
MXPA97009952A (en) Aminoresin functionalized with carbamate groups and coating compositions that contains them
US5073602A (en) Thermosetting resin composition
KR19990007425A (ko) 카바메이트 작용성 아크릴 중합체 또는 카바메이트 작용성 노볼락 중합체를 포함하는 프라이머 코팅 조성물
US20090053420A1 (en) Thermosetting coating compositions with multiple cure mechanisms
WO1998010006A1 (en) Carbamate functional polymers and compositions containing same
MXPA98004641A (en) Applied co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lymers, acrylic or novolac, carbam functio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801 Dismissal of trial

Free format text: REJECTION OF TRIAL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60321

Effective date: 2006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