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512A - Centrifugal separator - Google Patents

Centrifugal separ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512A
KR19990006512A KR1019980019683A KR19980019683A KR19990006512A KR 19990006512 A KR19990006512 A KR 19990006512A KR 1019980019683 A KR1019980019683 A KR 1019980019683A KR 19980019683 A KR19980019683 A KR 19980019683A KR 19990006512 A KR19990006512 A KR 199900065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parator
centrifugal separator
separation
centrifugal
inw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6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도요시게 모우리
Original Assignee
도요시게 모우리
호료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요시게 모우리, 호료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요시게 모우리
Publication of KR19990006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512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5/00Other centrifuges
    • B04B5/02Centrifug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parate bowls rotating round an axis situated between the b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4CENTRIFUGAL 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OUT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 B04BCENTRIFUGES
    • B04B11/00Feeding, charging, or discharging bowls

Landscapes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는 적어도 일단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수직 축선을 가지는 분리통과, 분리통을 그 자체의 축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수직선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공전(公轉) 수단과, 분리통을 그 자체의 축선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자전(自轉) 수단과, 분리할 처리물을 분리통 내에 도입하는 도입 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다.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eparator having an opening formed at least at one end and having a vertical axis, an idler means for rotating the separator by a vertical line away from its own axis by a predetermined axis, and a separator. It is equipped with the rotation means which rotates its own axis to an axis | shaft, and the introduction means which introduce | transduces the to-be-processed object to separate into a separating cylinder.

Description

원심 분리 장치Centrifugal separator

본 발명은 원심 분리 장치, 예컨대, 하천, 호수, 늪에 퇴적되어 있는 진흙, 제철 공장에서 배출되는 철분, 석탄 등을 포함하는 오수(汚水), 토목 공사에 따른 오염된 흙탕물과 같은 오염된 흙탕 원수(原水)를 수분과 반탈수 고형물로 분리하는데 사용되거나, 또는, 시멘트와 같은 분체를 혼입한 기체를 분체와 공기로 분리하는데 사용되는 원심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entrifugal separator, for example, contaminated muddy raw water, such as mud deposited in rivers, lakes, swamps, sewage containing iron, coal, etc., and contaminated muddy water from civil work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entrifugal separator used for separating water into water and semi-dehydrated solids, or for separating gas containing powder such as cement into powder and air.

종래 기술에 있어서, 필터 프레스, 원심 드럼식 탈수기와 같은 각종 타입의 장치가 이러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In the prior art, various types of devices such as filter presses and centrifugal drum dehydrators have been used for this purpose.

상기 종래의 장치에서는 어떤 타입의 장치도 필터를 사용하고 있고, 이와 같은 필터는 막힘이 일어나기 쉽기 때문에, 단기간에 필터를 청소하거나, 교환해야 할 필요가 있어 번거로왔다.In the conventional apparatus, any type of apparatus uses a filter, and since such a filter is likely to be clogged, it is cumbersome because it is necessary to clean or replace the filter in a short time.

또한, 필터를 사용한 경우, 예컨대, 분리후의 수분과 반탈수 고형물이 다시 혼합되지 않도록 양자를 처리해야 하지만, 특히, 반탈수 고형물은 유동성을 잃어버리기 때문에, 그 처리가 번거로왔다.In addition, when a filter is used, both must be treated such that, for example, the water after separation and the semi-dehydrated solids are not mixed again, but in particular, since the semi-dehydrated solids loses fluidity, the treatment is cumbersome.

본 발명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는 고형물이 혼입된 처리물을 번거로운 조작이나 처리를 하지 않고, 고형물과 액체 또는 기체로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다.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liably separate solids from liquids or gases without cumbersome manipulations or treatment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의 수직 파쇄 종단면도.1 is a vertical fracture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의 수직 종단면도.Figure 2 is a vertical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의 분리통의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parator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의 수평 횡단면도.4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에 의한 분리 작용의 타임 챠트.5 is a time chart of the separating action by 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에 의한 분리 작용 설명도.Figure 6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separating action by 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 2에 상당하는 분리통 주변의 수직 파쇄 종단면도.Fig. 7 is a vertical crushing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periphery of a separation vessel corresponding to Fig. 2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의 분리통의 사시도.8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parator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의 분리통에 의한 분리 작용 설명도.9 is an explanatory view of a separation action by a separation cylinder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의 분리통에 의한 분리 작용의 타임 챠트.10 is a time chart of the separating action by the separating cylinder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는 도 7에 상당하는 분리통 주변의 수직 파쇄 종단면도.Fig. 11 is a vertical crushing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periphery of a separation vessel corresponding to Fig. 7 showing another modification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의 분리통의 사시도.12 is a perspective view of a separator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의 분리통에 의한 분리 작용 설명도.Figure 13 is an explanatory view of the separating action by the separating cylinder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의 분리통의 필터의 막힘(loading) 방지 작용의 설명도.14 is an explanatory view of a blocking effect of a filter of a separation cylinder of a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의 필터의 확대 단면도.1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filter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의 분리통에 있어서 필터를 2단으로 한 경우를 도시하는 도 11에 상당하는 단면도.FIG. 16 is a cross-sectional view corresponding to FIG. 11 showing the case where the filter is two stages in the separating cylinder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의 분리통에 의한 분리 작용의 타임 챠트.Fig. 17 is a time chart of the separating action by the separating cylinder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101 : 본체101: body

102 : 회전체102: rotating body

103 : 분리통103: separator

165 : 처리물 통과 구멍165: processing through hole

166 : 배플166: baffle

201 : 칸막이판201: partition plate

211 : 필터211: filter

본 발명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는 적어도 일단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수직 축선을 가지는 분리통과, 분리통을 그 자체의 축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수직선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공전 수단과, 분리통을 그 자체의 축선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자전 수단과, 분리해야 할 처리물을 분리통내에 도입하는 도입 수단을 구비한다.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eparator having at least one opening and having a vertical axis, an idler means for rotating the separator to a vertical line a predetermined distance away from its own axis, and the separator itself. 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axis of the shaft to an axis, and introducing means for introducing a processing object to be separated into the separating cylinder.

본 발명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에 있어서, 분리통 내에 처리물이 도입되면, 도입된 처리물은 공전으로 인한 원심력에 의해 처리물 중의 고형물과 액체 또는 기체가 비중차에 의해 분리되어 고형물이 분리통의 내면에 부착되며 동시에, 액체 또는 기체가 그 표면에서 층을 이루고, 층을 이룬 액체 또는 기체는 분리통의 개구를 통하여 배출되고, 한편, 이 사이에, 자전에 의해 분리통이 회전 방향을 바꾸면, 고형물은 분리통의 내면에 부착된 채로 원심력에 저항하여 그 방향을 바꾸고, 원심력이 고형물의 부착력보다 크면, 고형물은 분리통의 내면으로부터 박리된다.In 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treatment product is introduced into a separation container, the introduced processing product is separated by a specific gravity difference between solids and liquids or gases in the processing material by centrifugal force due to idle, and the solids are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container. At the same time, the liquid or gas is layered on its surface, and the layered liquid or gas is discharged through the opening of the separator, while, in between, if the separator changes the direction of rotation by rotation, The solids resist the centrifugal force and change its direction while being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separator. If the centrifugal force is greater than the adhesive force of the solid, the solid is peeled off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parator.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고형물이 혼입된 처리물을 번거로운 조작이나 처리를 하지 않고, 고형물과 액체 또는 기체로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다.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cessed material in which the solid matter is mixed can be reliably separated into the solid material and the liquid or gas without any troublesome operation or treatment.

더욱이, 분리통의 둘레벽에 처리물 통과 구멍이 형성되고, 처리물 통과 구멍이 내향인 상태로 정지되도록 자전 수단이 간헐적으로 제어되고, 처리물 통과 구멍이 내향인 상태로 정지되어 있을 때에 처리물이 도입되도록 도입 수단이 간헐적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the workpiece is formed in the peripheral wall of the separator, the rotating means is intermittently controlled so that the workpiece passing hole is stopped inward, and the workpiece is stopped inward. The introduction means is preferably controlled intermittently so that it is introduced.

처리물 통과 구멍이 내측을 향하는 동안에, 처리물은 고형물과 액체 또는 기체로 효율적으로 분리되고, 처리물 통과 구멍이 외측을 향하면, 분리통의 내면으로부터 고형물이 박리되고, 박리된 고형물은 원심력에 의해 처리물 통과 구멍으로 배출된다.While the workpiece through-hole is inward, the workpiece is efficiently separated into solids and liquid or gas, and when the workpiece through-hole is outward, the solids are peeled off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parator, and the solids are separated by centrifugal force. It is discharged through the processing through hole.

또한, 도입 수단이 분리통의 내측에 배치되고 또한 분리통과 동시에 공전되는 중공형 도입체를 구비하고 있고, 도입체가 내향의 처리물 통과 구멍과 서로 대응되는 출구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Further, the introduction means is provided with a hollow introduction body which is disposed inside the separation cylinder and revolves simultaneously with the separation cylinder, and the introduction body can have an inwardly processed object through hole and an outlet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처리물은 공전으로 인한 원심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바깥쪽으로 날려보내지고, 날려보내진 처리물은 정체를 일으키지 않고, 내향의 처리물 통과 구멍을 통하여 분리통 내에 도입된다. 예컨대, 처리물의 도입 통로가 굴곡되어져 있으면, 굴곡부에서 처리물이 준비되지 않은 상태로 분리되고, 분리된 고형물이 통로의 벽면에 부착되어 통로가 막힐 우려가 있지만, 처리물이 일직선상으로 날려보내지면, 그러한 우려는 없다.The treatment discharged from the outlet is forcibly blown out by the centrifugal force due to idle, and the blown treatment is introduced into the separator through the inward treatment passage hole without causing congestion. For example, if the passage of the treatment product is bent, the treatment material is separated from the bend at the unprepared state, and the separated solids are attached to the wall of the passage and the passage may be blocked, but the treatment material is blown straight. There is no such concern.

더욱이, 분리통 내의 상하 복수단에 배플(baffle)이 설치되어 있으면, 분리통내에서의 처리물의 통로를 길게 할 수 있다.Moreover, when the baffles are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stages in the separating cylinder, the passage of the processed object in the separating cylinder can be lengthened.

또한, 배플이 수평판형이고, 분리통의 축방향에서 보았을 때, 이웃한 배풀이 부분적으로 오버랩하도록 배플이 배열되어 있으면, 처리물의 통로가 한층 더 길어져, 처리물의 분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affles are of a horizontal plate shape and the baffles are arranged so that neighboring baffles partially overlap 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of the separator, the passage of the treatment is further increased, and the separation efficiency of the treatment can be improved.

또한, 분리통 상단에 배출 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분리통 하단에 유출 방지벽이 설치되어 있으면, 분리통의 공전에 의해 분리통 내의 처리물의 상승 흐름이 생긴다.In addition, when the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upper part of the separation container, and the outflow prevention wall is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separation container, ascending flow of the processing material in the separation container occurs due to the idle of the separation container.

또한, 분리통 내의 칸막이판이 도입 수단의 처리액 출구보다 윗쪽 레벨에 위치함과 동시에 분리통의 횡단면을 부분적으로 점유하도록 설치되고, 도입 수단의 1사이클의 작용으로 분리통 내에 도입된 처리물의 공전으로 인한 원심력에 의해 상승 흐름을 처리물 통과 구멍이 내향인 상태에서 칸막이판이 제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으면, 처리물 통과 구멍이 내향이고 분리통의 자전이 정지되어져 있는 상태에서, 분리통 내의 처리물의 분리 작용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artition plate in the separating cylinder is located at a level above the outlet of the processing liquid of the introducing means and partially occupies the cross section of the separating cylinder. If the partition plate is capable of restraining the ascending flow by the centrifugal force caused by the processing passage hole inward, the separating action of the processing material in the separating container with the processing passage hole inward and the rotation of the separator is stopped. Can be surely performed.

또한, 처리물 통과 구멍이 내향인 상태에서 외향인 상태로 되는 도중에 분리통의 자전이 일시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처리물 통과 구멍으로부터 배출되기 전의 처리물의 분리 작용은 촉진된다.In addition, if the rotating part of the separation cylinder is temporarily stopped while the processing object passage hole is turned inward and outward, the separating action of the processing object before being discharged from the processing passage hole is promoted.

또한, 분리통의 개구에 필터가 형성되어 있으면, 분리통의 개구로부터 배출되는 수분이 필터에 의해 여과되기 때문에, 분리 작용이 한층 더 촉진된다. 또한, 고형물이 필터에 부착되려고 하더라도, 부착되려고 하는 고형물이 원심력에 의해 이동되기 때문에, 필터가 막힐 우려가 없다.In addition, when a filter is formed in the opening of the separating cylinder, the water discharged from the opening of the separating cylinder is filtered by the filter, so that the separating action is further promoted. In addition, even if the solids are to be attached to the filter, the solids to be attached are moved by the centrifugal force, so that the filter is not likely to be clogged.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에 설명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next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원심 분리 장치는 중공 장치 본체(101)와, 본체(101)내에 수용되어 있는 회전체(102)와, 회전체(102)에 설치되어 있는 4개의 수직 원통형 분리통(103)을 구비하고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centrifugal separator includes a hollow apparatus body 101, a rotating body 102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01, and four vertical cylindrical separating cylinders 103 provided in the rotating body 102. ).

장치 본체(101)는 수직한 통형의 몸통벽(111)과, 이것의 상단 개구를 덮고잇는 평판형 상부벽(112)으로 이루어진다.The apparatus main body 101 consists of a vertical cylindrical body wall 111 and a flat top wall 112 covering its upper opening.

몸통벽(111)의 내면 높이의 중간 정도보다 약간 위에는 홈통(113)이 설치되며 동시에, 홈통(113)과 연통하도록 배출 파이프(114)가 설치되어 있다. 몸통벽(111)의 하단에는 수평을 이루는 띠형 지지바(145)가 몸통벽의 축선을 따라 몸통벽 하단 개구를 가로지르도록 걸쳐져 고정되어 있다. 지지바(145)의 상면 중앙에는 하부의 메인 베어링(144)이 몸통벽의 축선과 동심을 이루도록 설치되어 있다.The trough 113 is provided slightly above the middle of the inner surface height of the trunk wall 111, and at the same time, the discharge pipe 114 is installed to communicate with the trough 113. A horizontal band-shaped support bar 145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trunk wall 111 so as to cross the lower opening of the trunk wall along the axis of the trunk wall. In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ar 145, the lower main bearing 144 is provided to be concentric with the axis of the trunk wall.

몸통벽(111)의 외면 상단 가까이에 메인 모터(171)가 수직 상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메인 모터(171)의 출력축에는 메인 구동 스프로킷(172)이 고정되어 있다.The main motor 171 is installed vertically upward near the top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dy wall 111. The main drive sprocket 172 is fix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main motor 171.

상부벽(112)의 중앙부에는 축 삽입 관통 구멍(115)이 형성되고, 이것에 상부의 메인 베어링(116)이 끼워넣어져 있다.The shaft insertion through-hole 115 is formed in the center part of the upper wall 112, and the upper main bearing 116 is inserted in this.

회전체(102)는 상부 메인 베어링(116)을 통과하는 회전축(121)과, 회전축(121)의 하단에 직접 장착되어 있는 상부벽(122)과, 상부벽(122)의 아래쪽에 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동시에 분리통(103)에 의해 상부벽(122)과 일체화된 하부벽(123)을 구비한다. 상부벽(122)의 외주에는 홈통(113) 내에 들어간 스커트(124)가 연속되어 있다.The rotating body 102 is spaced apart from the rotating shaft 121 passing through the upper main bearing 116, the upper wall 122 directly mounted to the lower end of the rotating shaft 121, and the upper wall 122. It is disposed and provided with a lower wall 123 integrated with the upper wall 122 by the separating cylinder 103. Skirts 124 entered into the troughs 113 are continuous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wall 122.

회전축(121)은 상부에 있는 소경의 중실 축부(131) 및 하부에 있는 대경의 중공 축부(132)로 이루어진다. 중실 축부(131)는 상부의 메인 베어링(116)을 통과하여 윗쪽으로 돌출되고, 그 돌출부에 메인 종동 스프로킷(173)이 고정되어 있다. 메인 종동 스프로킷(173)은 벨트(174)에 의해 메인 구동 스프로킷(172)에 연결되어 있다. 중공 축부(132)는 상부의 메인 베어링(116)으로 지지되어 있다.The rotating shaft 121 is composed of a solid shaft portion 131 of the small diameter in the upper portion and a hollow shaft portion 132 of the large diameter in the lower portion. The solid shaft portion 131 protrudes upward through the upper main bearing 116, and the main driven sprocket 173 is fixed to the protruding portion. The main driven sprocket 173 is connected to the main drive sprocket 172 by a belt 174. The hollow shaft portion 132 is supported by the upper main bearing 116.

중공 축부(132)내에는 회전체 상부벽(122)에 고정된 서브 모터(181)가 수용되어 있다. 서브 모터(181)의 회전축은 회전체 상부벽(122)을 관통하여 그 아래쪽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서브 베어링(143)으로 지지되어 있다. 서브 모터(181)의 회전축에는 서브 구동 스프로킷(182)이 고정되어 있다.The sub-motor 181 fixed to the upper wall 122 of the rotor is accommodated in the hollow shaft portion 132. The rotating shaft of the sub-motor 181 penetrates through the upper wall 122 of the rotor, projects downward, and is supported by the sub-bearing 143. The sub drive sprocket 182 is fix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sub motor 181.

하부벽(123)의 상면 중앙부에는 분배 챔버(141)가 장착되어 있다. 분배 챔버(141)의 상부벽 상면에는 지지 부재(142)를 통해 서브 베어링(143)이 설치되어 있다. 하부벽(123)의 하면 중앙부는 하부의 메인 베어링(14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The distribution chamber 141 is mount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wall 123. The sub bearing 143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wall of the distribution chamber 141 through the support member 142. The lower center portion of the lower wall 123 is supported by the lower main bearing 144.

분배 챔버(141)의 하부벽 및 회전체(102)의 하부벽에 상하 파이프 삽입 관통 구멍(151, 152)이 서로 일직선이 되도록 형성되고, 이들에 원수(原水) 공급 파이프(153)가 관통되어 있다. 상부 파이프 삽입 관통 구멍(151)의 가장자리부에는 수직 고리형 턱(154, dike)이 형성되어 있다. 원수 공급 파이프(153)의 상단에는 턱(154)을 둘러싸도록 횡단면이 역 L자형인 밀봉부(155)가 설치되어 있다. 분배 챔버(141)의 둘레벽에는 4개의 도입 파이프(156)가 등간격이고 방사상으로 설치되어 있다. 4개의 도입 파이프(156)는 4개의 분리통(103)의 축 중심을 향하여 신장하고 또한 선단에 출구(157)를 가지고 있다.The upper and lower pipe insertion through holes 151 and 152 are formed on the lower wall of the distribution chamber 141 and the lower wall of the rotating body 102 so that the raw water supply pipe 153 penetrates them. have. At the edge of the upper pipe insertion through hole 151, a vertical annular jaw 154 is formed. The upper end of the raw water supply pipe 153 is provided with a sealing portion 155 having an inverted L-shaped cross section so as to surround the jaw 154. Four introduction pipes 156 are provided at equal intervals and radially on the circumferential wall of the distribution chamber 141. The four introduction pipes 156 extend toward the axis center of the four separation cylinders 103 and have an outlet 157 at the tip.

분리통(103)은 도 2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위쪽이 넓어지는 상부 테이퍼부(161) 및 하부 스트레이트부(162)로 이루어진다. 테이퍼부(161)는 회전체 상부벽(122)에, 스트레이트부(162)는 회전체 하부벽(123)에 각각 베어링(163, 164)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스트레이트부(162)에는 세로로 긴 직사각형의 처리물 통과 구멍(165)이 형성되어 있다. 처리물 통과 구멍(165)은 내향으로 되어 있을 때에, 도입 파이프(156)의 출구(157)와 서로 대응한다.As shown in detail in FIG. 2, the separating tube 103 includes an upper tapered portion 161 and a lower straight portion 162 widened upward. The taper portion 161 is supported by the rotating body upper wall 122 and the straight portion 162 is supported by the bearings 163 and 164, respectively. The straight portion 162 is provided with a vertically long rectangular through-hole 165. The workpiece through hole 165 corresponds to the outlet 157 of the introduction pipe 156 when it is inward.

배플(166)은 스트레이트부(162)의 상하 복수단에 설치되어 있다. 배플(166)은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반원형이다. 상하 이웃하는 배플(166)은 전체의 2/3씩 각각 오버랩된다.The baffle 166 is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stages of the straight part 162. The baffle 166 is horizontal semicircular as detailed in FIG. 3. The upper and lower neighboring baffles 166 overlap each other by 2/3 of the total.

테이퍼부(161)의 외면 상단에는 서브 종동 스프로킷(183)이 고정되어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브 구동 스프로킷(182) 및 서브 종동 스프로킷(183)에는 체인(184)이 감겨져 있다.The sub driven sprocket 183 is fixed to the upper end of the outer surface of the taper part 161. As shown in FIG. 4, the chain 184 is wound around the sub drive sprocket 182 and the sub driven sprocket 183.

메인 모터(171)를 작동시키면, 회전체(102)가 그 회전축(12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회전체(102)의 회전에 따라, 분리통(103)이 회전축(121)의 축선 주위를 공전하게 된다. 한편, 서브 모터(181)를 작동시키면, 체인(184)이 이동되고, 이것에 의해, 4개의 분리통(103)은 일제히 각각 자체의 축선을 중심으로 자전한다.When the main motor 171 is operated, the rotating body 102 rotates about its rotating shaft 121, and as the rotating body 102 rotates, the separating cylinder 103 moves around the axis of the rotating shaft 121. To be idle. On the other hand, when the sub-motor 181 is operated, the chain 184 is moved, whereby the four separation cylinders 103 rotate around their own axis at the same time.

분리통(103)의 공전 속도는 분리하는 원수의 성상(性狀)에 따라 적절히 설정된다. 예컨대, 분리통(103)의 공전 속도의 주속(周速)은 500∼1000m/min으로 설정된다. 공전의 회전 반경이 400mm 정도이면, 공전 속도는 600rpm이 된다.The revolving speed of the separating cylinder 103 is appropriately set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raw water to be separated. For example, the circumferential speed of the revolution speed of the separating cylinder 103 is set to 500-1000 m / min. If the rotation radius of revolution is about 400 mm, the revolution speed will be 600 rpm.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통(103)의 공전은 연속적으로 행하여진다. 이 사이에, 펌프를 ON-OFF 운전함으로써, 원수가 간헐적으로 공급된다. 그 간격은 예컨대, 1분간 공급하고, 1분간 공급 정지하는 간격이다. 원수가 공급되고 있는 동안은 분리통(103)의 자전은 정지되어 있고, 처리물 통과 구멍(165)은 공전의 회전 반경 내측을 향하고 있다. 원수의 공급이 정지되어 있는 동안에, 분리통(103)은 1회만 자전되고, 이것에 의해, 내측으로 향하고 있던 처리물 통과 구멍(165)은 외측을 향하고, 그 후, 다시 내측으로 향한다. 분리통(103)의 자전 개시는 원수 공급 정지와 동시인 것도 가능하고, 정지후 또는 소정 시간이 경과하고 나서라도 가능하다. 분리통(103)의 자전은 연속하여 360°회전하여도 좋고, 180°회전하여 정지하고, 소정 시간 정지한 후, 반대 방향으로 180°회전하여도 좋다.As shown in FIG. 5, the revolving cylinder 103 is continuously operated. During this time, the raw water is intermittently supplied by turning the pump on and off. The interval is, for example, an interval of supplying for 1 minute and stopping supply for 1 minute. While the raw water is being supplied, the rotation of the separating cylinder 103 is stopped, and the processing passage hole 165 faces the rotation radius inside of the revolution. While the supply of raw water is stopped, the separating cylinder 103 is rotated only once, whereby the processing object passage hole 165 facing inward is directed outward and then inward again. The rotation of the separating cylinder 103 can be started at the same time as stopping the supply of raw water, even after stopping or after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The rotation of the separating cylinder 103 may be rotated 360 degrees continuously, or may be rotated 180 degrees to stop, and may be rotated 180 degre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fter stopping for a predetermined time.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통(103)의 처리물 통과 구멍(165)과 도입 파이프(156)의 출구(157)가 서로 대응된 상태에서 공급 파이프(153)를 통하여 분배 챔버(141)에 원수(B)가 공급되면, 공급된 원수(B)는 회전체(102)의 공전에 의한 원심력에 의해서 분배 챔버(141)의 주위면으로 밀려나 도입 파이프(156)를 통하여 그 출구(157)로부터 배출된다. 출구(157)로부터 배출되는 원수(B)는 원심력에 의해 더욱 속도가 증가하여 일직선상으로 날려보내지고, 분리통(103)내에 처리물 통과 구멍(165)을 통하여 유입된다. 원수(B)가 일직선상으로 날려보내지기 때문에, 분리통(103)의 처리물 통과 구멍(165)의 가장자리부와 도입 파이프(156)의 출구(157) 가장자리부 사이에 약간의 빈틈이 있어도, 그 빈틈으로 원수(B)가 넘쳐흐를 우려는 없다.As shown in FIG. 6 (a), the distribution chamber through the supply pipe 153 in a state where the processing passage hole 165 of the separation tube 103 and the outlet 157 of the introduction pipe 156 correspond to each other. When the raw water B is supplied to the 141, the supplied raw water B is pushed to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distribution chamber 141 by centrifugal force by the revolution of the rotating body 102, and the outlet of the raw water B is introduced through the introduction pipe 156. Is discharged from 157. The raw water B discharged from the outlet 157 is further increased by the centrifugal force and blown straight, and flows in through the processing passage hole 165 in the separating cylinder 103. Since the raw water B is blown in a straight line, even if there is a slight gap between the edge of the processing passage hole 165 of the separation cylinder 103 and the edge of the outlet 157 of the introduction pipe 156, There is no fear that the enemy B will overflow in the gap.

분리통(103)내에 원수(B)를 도입한 후, 소정 시간 경과하면, 원수(B)는 고형물(D)과 수분(W)으로 분리되고, 수분(W)은 분리통(103)의 상단 개구로부터 배출되고,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리통(103)을 180°회전시키면, 분리된 고형물(D)은 처리물 통과 구멍(165)을 통하여 분리통(103)으로부터 배출된다.After the introduction of the raw water B into the separating tank 103, when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the raw water B is separated into the solid D and the water W, and the water W is the upper end of the separating cylinder 103. 6 (b), when the separating cylinder 103 is rotated 180 degrees, the separated solids D are discharged from the separating cylinder 103 through the processing passage hole 165. do.

또한, 도 7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원심 분리 장치의 다른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변형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의 기본 구조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원심 분리 장치와 동일하다.In addition, with reference to FIGS. 7-10, another modification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is demonstrated. The basic structure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is modification is the same as the centrifugal separator shown in Figs.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통(103)내에는 칸막이판(201)이 상하 복수단에 설치되어 있다. 칸막이판(201)은 상기 배플(166)과 동일한 형상으로서, 수평 반원형이지만, 모든 칸막이판(201)은 각각 전체가 오버랩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처리물 통과 구멍(165)이 내측을 향한 상태에서, 칸막이판(201)은 분리통(103)의 횡단면에 있어서의 처리물 통과 구멍(165)의 반대측에 해당하는 반원의 부분을 점유하고, 칸막이판(201)의 선단면은 처리물 통과 구멍(156)과 서로 대응하여 내외 방향과 수직을 이룬다.As shown in FIG. 7 and FIG. 8, a partition plate 201 is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plural stages in the separating cylinder 103. The partition plate 201 is the same shape as the baffle 166 and is a horizontal semicircle, but all the partition plates 201 are arranged so that the whole overlaps with each other. In the state where the workpiece through-hole 165 faces inward, the partition plate 201 occupies a portion of a semicircle corresponding to the opposite side of the workpiece through-hole 165 in the cross section of the separating cylinder 103, and the partition The distal end surface of the plate 201 is perpendicular to the inward and outward direc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with the workpiece through-hole 156.

이어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서, 분리 작용을 설명한다.Next, the separating ac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nd 10.

도 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처리물 통과 구멍(165)이 내향이고 분리통(103)이 정지되어져 있을 때, 분리통(103)에 원수(B)가 공급된다. 원수(B)의 공급 레벨은 최하위의 칸막이판(201)의 레벨 부근이다. 공급된 원수(B)는 공전으로 인한 원심력에 의해 분리통(103)내에 있어서 상승 흐름을 발생시키고, 최하위의 칸막이판(201)으로부터 그 윗쪽의 칸막이판(201)에 걸쳐서, 칸막이판(201)을 잇달아 넘어가지만, 1사이클의 작용으로 공급되는 원수(B)의 양은 최상위의 칸막이판(201)은 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도 7 참조). 이렇게 하여, 최상위의 칸막이판(201)의 아래쪽에는 1사이클의 작용으로 공급된 원수가 저장된다.As shown in Fig. 9 (a), when the workpiece through-hole 165 is inward and the separator cylinder 103 is stopped, the raw water B is supplied to the separator cylinder 103. The supply level of the raw water B is near the level of the lowermost partition plate 201. The supplied raw water B generates an ascending flow in the separating cylinder 103 by centrifugal force due to idle, and divides the partition plate 201 from the lower partition plate 201 to the upper partition plate 201. After the above, the amount of raw water B supplied by the action of one cycle is set so as not to exceed the partition plate 201 of the uppermost level (see FIG. 7). In this way, the raw water supplied by the action of one cycle is stored below the partition plate 201 of the uppermost level.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위의 칸막이판(201)의 아래쪽에 저장된 원수(B)는 분리통(103)의 자전 시작전에, 분리통(103)이 정지되어 있는 동안에, 고형물(D)과 수분(W)으로 완전히 분리된다.As shown in FIG. 7, the raw water B stored below the uppermost partition plate 201 is formed from the solids D while the separation cylinder 103 is stopped before the rotation of the separation cylinder 103 starts. Completely separated by water (W).

분리통(103)이 자전을 시작하면, 분리통(103)과 동시에 칸막이판(201)도 회전되지만, 칸막이판(201)의 선단면이 도 9(b)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내외 방향에 대하여 각도를 가지게하여 분리된 수분(W)내에 빠지면, 9(b)에 ●으로 도시된 지점(P)을 기점으로 하여 분리된 수분(W)은 칸막이판(201)을 잇달아 넘어 상승하여 분리통(103)의 상단으로부터 배출된다.When the separating cylinder 103 starts to rotate, the partition plate 201 is also rotated at the same time as the separating cylinder 103, but as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201 is shown by an imaginary line in FIG. 9 (b), When the water falls into the separated water W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inside and the outside directions, the separated water W rises over the partition plate 201 after the point P indicated by ● in 9 (b). Is discharged from the upper end of the separator (103).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통(103)이 90°회전되면, 그 회전은 일단 중단된다. 이 회전에 요하는 시간은 비교적 짧지만, 분리된 고형물(D)과 수분(W)의 점착력 또는 유동성의 차에 의해, 받는 원심력에 의해 분리된 수분(W)은 분리통(103)의 회전에 따라서 그 위치가 시시각각 변화되도록 이동하기 때문에, 수분(W)은 분리통(103)으로부터 배출되지만, 고형물(D)은 그 장소에 머물고자 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고형물(D)은 분리통(103)의 내면에 부착된 채로 분리통(103)내에 잔존된다.As shown in Fig. 9 (c), when the separation cylinder 103 is rotated by 90 degrees, the rotation is stopped once. Although the time required for this rotation is relatively short, the water (W) separated by the centrifugal force received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adhesive force or fluidity of the separated solid (D) and the water (W) is affected by the rotation of the separation cylinder (103). Therefore, since the position moves to change from time to time, the water (W) is discharged from the separation container 103, but the solid material (D) has a property to stay in the place, the solid material (D) is the separation container 103 It remains in the separation cylinder 103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분리통(103)이 90°회전된 후, 정지된 상태에서, 고형물(D)은 원심력을 받으므로, 고형물(D)의 분리 작용은 더욱 촉진되고, 분리된 수분(W)은 분리통(103)의 상단으로부터 배출된다.After the separation cylinder 103 is rotated 90 °, in the stopped state, the solid D is subjected to centrifugal force, so that the separation action of the solid D is further promoted, and the separated water W is separated from the separation cylinder 103. Is discharged from the top.

분리통(103)이 90°회전된 후, 소정 시간 경과하면, 분리통(103)의 자전이 재개된다. 도 9(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전 재개후, 분리통(103)이 90°를 다시 회전하면, 처리물 통과 구멍(165)이 외향이 되고, 원심력을 받은 고형물(D)은 이 외향이 된 처리물 통과 구멍(165)으로부터 배출된다.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separating cylinder 103 is rotated 90 degrees, the rotating of the separating cylinder 103 is resumed. As shown in Fig. 9 (d), when the separation cylinder 103 rotates 90 ° again after the resumption of rotation, the workpiece through-hole 165 is turned outward, and the solid D subjected to centrifugal force is turned outward. It discharges from the processed material through-hole 165 which became.

분리통(103)이 외향된 시점에서 분리통(103)의 자전을 정지하도록 하여도 좋지만, 고형물(D)의 배출은 신속히 행하여지기 때문에, 그럴 필요는 없다. 더욱이, 분리통(103)이 자전을 계속하여, 처리물 통과 구멍(103)이 외향인 상태에서 180°회전하여 처리물 통과 구멍(165)이 내향이 되면, 분리통(103)의 1사이클의 작용이 완료된다. 분리통(103)을 1사이클로 360°회전시키는 대신, 분리통(103)을 180°씩 가역(可逆)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Although the rotation of the separation cylinder 103 may be stopped at the time when the separation cylinder 103 is outward, it is not necessary to discharge since the solids D are discharged quickly. Moreover, when the separation cylinder 103 continues to rotate and rotates 180 degrees while the processing passage hole 103 is outward and the processing passage hole 165 is turned inward, one cycle of the separation cylinder 103 is performed. The action is complete. Instead of rotating the separating cylinder 103 by 360 degrees in one cycle, the separating cylinder 103 can be reversibly rotated by 180 degrees.

이 실시예에 있어서, 분리통 내에 원수의 전부를 정지 상태로 저장한 상태에서 분리 작용을 행하는데, 이 점이 상기 실시예와 크게 다른 점이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분리통 내에 원수가 공급되고, 분리 작용과 동시에 분리된 수분이 분리통의 상단으로부터 점차 배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원심력을 받고 있을 때에, 처리액을 이동시키면, 이동하는 수분에 고형물이 함께 섞여가게 되므로 분리 능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분리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 원심력을 크게 하면, 수분이 고형물을 가지고 갈 가능성이 커지게 되므로, 원심력을 크게 하여도, 분리 능력의 향상은 그다지 기대할 수 없다. 이 때문에, 이 실시예에서는 원수가 분리 작용중에 분리통내에서 정지되어 있으므로, 높은 분리 능력을 기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separation action is performed in a state in which all of the raw water is stored in the stationary state in a stationary state, which is very different from the above embodiment. In the above embodiment, raw water is supplied into the separating container, and the separated water is gradually discharged from the upper end of the separating container at the same time as the separating action. In this manner, when the treatment liquid is moved while the centrifugal force is applied, the solid matter is mixed with the moving water, which may lower the separation ability. In addition, if the centrifugal force is increased in order to increase the separation ability, the possibility of water taking solids increases, so even if the centrifugal force is increased, the improvement of the separation ability is not very expected. For this reas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raw water is stopped in the separating barrel during the separating action, high separation ability can be expected.

또한, 도 1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원심 분리 장치의 또 다른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In addition, with reference to FIGS. 11 to 17, another modification of the centrifugal separator will be described.

도 11을 참조하면, 이 변형예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분리통(103)내의 칸막이판(201) 대신에, 필터(211)가 사용되고 있다. 필터(211)는 처리물 통과 구멍(165)의 바로 위에 있고, 분리통(103)의 상단 개구 전체를 덮고 있는 수평 원판형이다.Referring to FIG. 11, in 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is modification, a filter 211 is used instead of the partition plate 201 in the separation tube 103 shown in FIG. 7. The filter 211 is just above the workpiece through-hole 165 and has a horizontal disc shape that covers the entire upper opening of the separation tube 103.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211)는 소위 웨지·와이어(wedge wire)라 불리우는 것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병렬형 통로(221)를 가지고 있다. 처리물 통과 구멍(165)이 공전의 중심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통로(221)의 길이 방향은 공전의 반경 방향쪽으로 향해져 있다. 도 15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통로(221)의 횡단면의 윤곽은 웨지(wedge)형을 이루고 있다. 통로(221)의 하단 최소폭(C)은 30μ 정도이다.As shown in FIG. 12, the filter 211 consists of what is called a wedge wire, and has the parallel channel | path 221. As shown in FIG. In the state where the workpiece through-hole 165 is toward the center of revolu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assage 221 is directed toward the radius of revolution. As shown in detail in FIG. 15, the cross section of the passage 221 has a wedge shape. The bottom minimum width C of the passage 221 is about 30 mu.

회전체(102)를 공전시키는 동안에, 처리물 통과 구멍(165)이 내향의 상태에서 도입 파이프(156)의 출구(157)를 통하여 분리통(103)내에 원수를 공급하면(도 13a), 공급된 원수는 필터(211)의 아래쪽에 저장된다. 공전으로 인한 원심력에 의해, 필터(211)의 아래쪽에 저장된 원수는 곧이어, 수분과 고형물로 분리되고, 분리된 수분과 고형물 중 수분은 필터(211)를 통과하여 분리통(103)의 상단 개구로부터 배출된다(도 13b). 한편, 고형물은 필터(211)를 통과하지 못하고 그 아래쪽에 저장된 채로 있다(도 13c). 수분이 분리통(103)으로부터 배출된 시간에 맞추어 분리통(103)을 자전시킨다. 이것에 의해, 처리물 통과 구멍(103)이 내향의 상태에서 외향의 상태가 되지만, 이 실시예의 경우,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분리통(103)의 자전을 도중에 정지시킬 필요는 없다. 처리물 통과 구멍(165)이 외향의 상태가 되면, 회전체(102)의 공전으로 인한 원심력에 의해, 고형물이 분리통(103) 내면으로부터 박리되어 분리통(103)으로부터 처리물 통과 구멍(165)을 통하여 배출된다(도 13d). 이후, 처리물 통과 구멍(165)을 재차 내향으로 하여 분리통(103)에 처리액을 공급하면 된다. 이상의 분리 작용의 타임 챠트를 도 17에 도시하고 있다.While idling the rotating body 102, if raw water is supplied into the separating tube 103 through the outlet 157 of the introduction pipe 156 in the state where the processing passage hole 165 is inward (Fig. 13A), The raw water is stored under the filter 211. By centrifugal force due to the revolution, the raw water stored under the filter 211 is soon separated into water and solids, and the water of the separated water and solids passes through the filter 211 from the upper opening of the separation tube 103. Is discharged (FIG. 13B). On the other hand, the solids do not pass through the filter 211 and remain stored underneath (FIG. 13C). The separators 103 are rotated in accordance with the time when water is discharged from the separators 103. As a result, the workpiece through-hole 103 is in the outward state from the inward state. However, in this embodiment, as in the case of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There is no need to stop it. When the workpiece through-hole 165 is in the outward state, the solid matter is separa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parator cylinder 103 by centrifugal force due to the revolution of the rotating body 102, and the workpiece through-hole 165 is separated from the separator cylinder 103. Is discharged through (Fig. 13D). Subsequently, the treatment liquid may be supplied to the separating cylinder 103 with the treatment passage hole 165 facing inward again. The time chart of the above separation operation is shown in FIG.

도 14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작용을 시작할 때, 처리액과 접촉하고 있는 필터(211) 부분의 전면에 고형물이 부착되고, 필터(211)의 수분 통과부에도 고형물이 부착되지만, 부착된 고형물은 공전으로 인한 원심력에 의해서 상기 수분 통과부의 외측으로 밀려나가기 쉽기 때문에, 상기 수분 통과부가 고형물로 인하여 막힐 우려는 없으므로, 분리된 수분은 상기 수분 통과부를 순조롭게 통과한다.As shown in detail in FIG. 14, when the separation action is started, a solid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portion of the filter 211 that is in contact with the treatment liquid, and a solid is attached to the water passage of the filter 211, but Since the solid is easily pushed out of the water passage by the centrifugal force due to the idle, the water passage is not likely to be blocked by the solid, so the separated water passes smoothly through the water passage.

도 16에 필터를 2단으로 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아래쪽의 필터(231)를 초벌 여과로 하고, 위쪽의 필터(232)를 마무리 여과로 하도록 양 필터(231, 232)의 간극이 설정되어 있다.FIG. 16 shows an example of two stages of filters. In this case, the gap between the filters 231 and 232 is set so that the lower filter 231 is the primary filtration and the upper filter 232 is the final filtration.

또한, 1개의 분리통내에서 필터를 2단으로 하는 대신에, 원심 분리 장치 그 자체를 2단으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위쪽 원심 분리 장치에는 초벌 여과용 필터를 사용하고, 아래쪽 원심 분리 장치에는 마무리용 여과용 필터를 사용한다.In addition, instead of making the filter two stages in one separation cylinder, the centrifugal separator itself may be two stages. In this case, the primary filtration filter is used for the upper centrifugal separator, and the finishing filtration filter is used for the lower centrifugal separator.

필터(232)의 간극으로서는, 5∼50μ 정도가 유효할 것이다. 필터의 재질로서는, 전술한 웨지·와이어 이외에, 철망, 포, 나일론 섬유, 세라믹 등이 사용된다.As a clearance of the filter 232, about 5-50 micrometers may be effective. As the material of the filter, in addition to the wedge wire described above, a wire mesh, fabric, nylon fiber, ceramic, and the like are used.

이 변형예에 있어서도, 상기 변형예에서 사용한 배플 및 칸막이판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Also in this modification, it is possible to use the baffle and partition plate used by the said modification.

이상에서 액체의 분리 작용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에 의한 기본 원리는 액체뿐만 아니라 기체의 분리 작용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액체와 기체의 성상차에 기초하여, 전술한 원심 분리 장치에 약간의 설계 변경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한 예로는 기체의 반송 수단, 기체의 밀봉 수단 등이 있다.Although the separation action of the liquid has been described above, the basic princip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separation action of the gas as well as the liquid. In this case, based on the difference in the properties of the liquid and the gas, the above-described centrifugal separator will require some design changes. Examples thereof include gas conveying means, gas sealing means and the like.

본 발명에 따른 원심 분리 장치는 고형물이 혼입된 처리물을 번거로운 조작이나 처리를 하지 않고, 고형물과 액체 또는 기체로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다.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liably separate solids from liquids or gases without cumbersome manipulations or treatments.

Claims (14)

적어도 일단에 개구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수직 축선을 가지는 분리통과,A separation passage having an opening at least one end and having a vertical axis, 분리통을 그 자체의 축선으로부터 소정 거리 떨어진 수직선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공전 수단과,Idle means for rotating the separator barrel in a vertical line away from its own axi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분리통을 그 자체의 축선을 축으로 회전시키는 자전 수단과,Rotating means for rotating the separating barrel about its own axis, 분리할 처리물을 분리통 내에 도입하는 도입 수단Introduction means for introducing the processing material to be separated into the separation container 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 장치.Centrifugal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제1항에 있어서, 분리통의 둘레벽에 처리물 통과 구멍이 형성되고,According to claim 1, Process through-holes are formed in the peripheral wall of the separator, 처리물 통과 구멍이 내향의 상태로 정지되도록 자전 수단이 간헐적으로 제어되고,The rotating means is intermittently controlled so that the workpiece through hole stops in an inward state, 처리물 통과 구멍이 내향의 상태로 정지되어 있을 때에 처리물이 도입되도록 도입 수단이 간헐적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 장치.A centrifugal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troduction means is intermittently controlled so that the workpiece is introduced when the workpiece passage hole is stopped inwar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 수단은 분리통의 내측에 배치되고 또한 분리통과 동시에 공전되는 중공형 도입체를 구비하고 있고,The said introduction means is provided with the hollow introduction body arrange | positioned inside an isolation | separation cylinder, and revolves simultaneously with a separation | separation cylinder, 도입체는 내향의 처리물 통과 구멍과 서로 대응되는 출구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 장치.The introduction body has an inwardly processed workpiece passage hole and an outlet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통 내에 상하 복수단에 배플(baffle)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 장치.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baffle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stages in the separation cylinder.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수평판형이고,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baffle is horizontal plate type, 분리통의 축방향에서 보았을 때, 이웃하는 배플이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도록 배플이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 장치.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of the separator, the baffles are arranged so that neighboring baffles partially overlap.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통 상단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분리통 하단에는 유출 방지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 장치.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discharge port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parating cylinder, and an outflow prevention wall is formed at a lower end of the separating cylind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통 내의 칸막이판은 도입 수단의 처리액 출구보다 윗쪽 레벨에 위치되고 또한 분리통의 횡단면을 부분적으로 점유하도록 설치되며, 처리물 통과 구멍이 내향인 상태에서 도입 수단의 1사이클의 작용으로 분리통 내에 도입된 처리물의 공전으로 인한 원심력에 의한 상승 흐름을 칸막이판이 제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 장치.7. The partition plate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partition plate in the separator is positioned at a level above the outlet of the treatment liquid of the introduction means and partially occupies a cross section of the separator, and with the treatment passage hole inward, A centrifugal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ition plate is capable of restraining the upward flow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due to the revolution of the processing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separator by the action of one cycle.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물 통과 구멍이 내향인 상태에서 외향인 상태로 되는 도중에 분리통의 자전은 일시 정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 장치.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claim 7, wherein the rotation of the separator is temporarily stopped while the processing passage hole is inward and outward.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통의 개구에는 필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 장치.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a filter is formed in the opening of the separato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통 내의 상하 복수단에 배플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 장치.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baffles are provided at upper and lower plural stages in the separation cylind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수평판형이고,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baffle is horizontal plate type, 분리통의 축방향에서 보았을 때, 이웃하는 배플이 부분적으로 오버랩되도록 배플이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 장치.When viewed from the axial direction of the separator, the baffles are arranged so that neighboring baffles partially overlap.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통 상단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고, 분리통 하단에는 유출 방지벽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 장치.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claim 9, wherein a discharge port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separator, and an outflow prevention wall is provided at a lower part of the separato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통 내의 칸막이판이 도입 수단의 처리액 출구보다 윗쪽 레벨에 위치되고 또한 분리통의 횡단면을 부분적으로 점유하도록 설치되고, 처리물 통과 구멍이 내향인 상태에서 도입 수단의 1사이클의 작용으로 분리통내에 도입된 처리물의 공전으로 인한 원심력에 의한 상승 흐름을 칸막이판이 제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 장치.13. The introduction means according to claim 12, wherein the partition plate in the separator is positioned at a level above the outlet of the treatment liquid of the introduction means and partially occupies the cross section of the separator, and the one of the introduction means is provided with the treatment passage hole inward. A centrifugal separa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partition plate can restrain the upward flow due to the centrifugal force due to the revolution of the processing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separator vessel by the action of a cycl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물 통과 구멍이 내향인 상태에서 외향인 상태로 되는 도중에 분리통의 자전은 일시 정지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 분리 장치.The centrifugal separator according to claim 13, wherein the rotation of the separator is temporarily stopped while the processing passage hole is inward and outward.
KR1019980019683A 1997-06-02 1998-05-29 Centrifugal separator KR19990006512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143962 1997-06-02
JP14396297 1997-06-02
JP97-204275 1997-07-30
JP20427597 1997-07-30
JP97-335914 1997-12-05
JP33591497 1997-12-05
JP10073706A JPH11221494A (en) 1997-06-02 1998-03-23 Centrifugal separation apparatus
JP98-073706 1998-03-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512A true KR19990006512A (en) 1999-01-25

Family

ID=274656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683A KR19990006512A (en) 1997-06-02 1998-05-29 Centrifugal separator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882511A3 (en)
JP (1) JPH11221494A (en)
KR (1) KR19990006512A (en)
AU (1) AU6980998A (en)
CA (1) CA2239324A1 (en)
TW (1) TW363899B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77632B1 (en) 2006-12-19 2009-01-08 (주)하이맥 A dehydrate device using a epicyclic screen
US8821362B2 (en) * 2010-07-21 2014-09-02 Dresser-Rand Company Multiple modular in-line rotary separator bundle
JP5237334B2 (en) * 2010-08-03 2013-07-17 株式会社榎村鉄工所 Vegetable dehydrator
CN115970918B (en) * 2023-03-17 2023-06-02 山东瑞弘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Sloping cam plate distributing device of centrifug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91417724A (en) * 1914-07-27 1914-11-19 Wilhelm Mauss Improvements in Centrifugal Separators of the Planetary Type.
DE951347C (en) * 1952-10-01 1956-10-25 Basf Ag Continuously operating sieve or solid bowl centrifuge with one or more cylindrical or conical drums, which rotate about a common main axis lying outside the drums and are also rotatable about their own axis
ZA821077B (en) * 1981-02-23 1983-04-27 Lowan Ltd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particles from a slurry
FR2508815A1 (en) * 1981-07-03 1983-01-07 Lavaux Albert Centrifuge employing series of suspended buckets - which may rotate around their axis of symmetry to discharge liquid
US4451371A (en) * 1983-01-10 1984-05-29 Peck William H Apparatus for separating liquid from a slurry
FR2664508B1 (en) * 1990-07-11 1993-09-10 Serieys Jean CENTRIFUGE WITH CONTINUOUS OPER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63899B (en) 1999-07-11
CA2239324A1 (en) 1998-12-02
EP0882511A3 (en) 1999-03-24
AU6980998A (en) 1998-12-03
EP0882511A2 (en) 1998-12-09
JPH11221494A (en) 1999-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867723A2 (en) Fibrinogen assays using dry chemical reagents containing magnetic particles
KR101035150B1 (en) Filtering and drying apparatus for wastes recycling
KR101577348B1 (en) Multi water treatment apparatus
US6241902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de-watering sludge
KR102153224B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improved treating efficiency
KR950026541A (en) Fractional filtration method and fractional filtration system
FI79654B (en) ROTERANDE SKIVFILTER.
SU1628843A3 (en) Separator for separating liquid mixtures with liquids of different specific gravity
KR19990006512A (en) Centrifugal separator
KR20210002059A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improved treating efficiency
RU2091171C1 (en) Centrifugal concentrator for ore dressing
KR20210002060A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improved treating efficiency
KR20210002062A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improved treating efficiency
KR102086902B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improved mixing efficiency comprising rotatable oxygen supplying plate having improved removing efficiency of floating matter and scum
KR102086901B1 (en) Wastewater treatment system with improved mixing efficiency comprising rotatable oxygen supplying plate
RU200895U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GAS-WATER-OIL EMULSION
KR100384199B1 (en) Sand filtering machine
JPH10165841A (en) Centrifuge
US20240009599A1 (en) Concentric Dual Drum Screen
KR880002617Y1 (en) Apparatus for purification of wast water
RU1804886C (en) Water filter
SU1271827A1 (en) Arrangement for removing petroleum products and mechanical impurities from waste water
JP2001025618A (en) Filtering dehydrator fitted with washing device
SU1237256A1 (en) Hydrocyclone for separating silt mixture
KR100329842B1 (en) An apparatus for filtering waste wa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