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6360U - 고장 확인 가능 릴레이 - Google Patents

고장 확인 가능 릴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6360U
KR19990006360U KR2019970019818U KR19970019818U KR19990006360U KR 19990006360 U KR19990006360 U KR 19990006360U KR 2019970019818 U KR2019970019818 U KR 2019970019818U KR 19970019818 U KR19970019818 U KR 19970019818U KR 19990006360 U KR19990006360 U KR 199900063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terminal
coil
vehicle
iron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98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문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198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6360U/ko
Publication of KR199900063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6360U/ko

Links

Landscapes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전장 분야에 사용되는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어하기 위한 공급 전원의 온/오프에 따라 릴레이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쉽게 확인하도록 한 고장 확인 가능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의 전장품에 있어 릴레이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없었다.
본 고안에 의해 차량의 전장 분야에 사용되는 릴레이가 제어 공급 전원의 온/오프에 따라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지를 LED의 온/오프로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에러가 발생한 릴레이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장 확인 가능 릴레이
본 고안은 차량의 전장 분야에 사용되는 릴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어하기 위한 공급 전원의 온/오프에 따라 릴레이의 정상적인 동작 여부를 쉽게 확인하도록 한 고장 확인 가능 릴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많은 릴레이가 사용되고 있는데, 해당 릴레이는 인가되는 제어 공급 전원에 의해 파워 윈도우, 라이트, 와이퍼 등과 같은 차량의 전장품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해당 릴레이의 내부 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자(A)와 제2단자(B) 사이에 감은 코일(12)을 연결하고 해당 코일(12) 속에 철심(11)를 구비하며, 제3단자(C)와 제4단자(D) 사이에 탄력성을 가진 도체부(13)를 해당 제3단자(C)에는 고정 부착하고 제4단자(D)에는 해당 도체부(13)의 탄력성에 의해 약간의 간격으로 떨어지게 구비하여 이루어져 있다.
해당 릴레이의 구동은 다음과 같은데, 먼저, 차량 전장품에 공급되는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제어 공급 전원인 전류를 제1단자(A)를 통해 인가받으면, 해당 코일(12)을 따라서 해당 제2단자(B)로 출력된다.
이 때, 해당 코일(12)에는 자력이 형성되는데, 해당 철심(11)은 전류가 흐르는 해당 코일(12)의 자속 밀도를 크게 증가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해당 철심(11)은 강자성체로서 내부의 분자 자석들이 해당 코일(12)의 자장 영향으로 해당 코일(12)의 자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하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된 해당 철심(11)의 자력에 의해 해당 도체부(13)는 제4단자(D)에 접속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3단자(C)를 통해 구동 전원을 인가받아 해당 도체부(13)를 거쳐 제4단자(D)를 통해 차량 전장품에 공급되어지고, 이에 해당 차량 전장품은 구동되어진다.
그리고, 해당 구동되고 있는 차량 전장품을 중지하기 위해서 제1단자(A)를 통해 인가되고 있던 제어 공급 전원을 중단하면, 해당 코일(12)에 제어 공급 전원이 중단되므로 해서 발생하고 있던 자력이 없어지며, 해당 철심(11)에도 역시 자력이 상실하게 된다.
이에, 해당 도체부(13)는 자체의 탄력성에 의해 제4단자(D)에서 분리되므로, 해당 제3단자(C)를 통해 인가되는 구동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한편, 해당 릴레이가 고장을 일으켜 제대로 작동하지 못 하여 차량 전장품의 동작에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에 차량 전장품의 고장은 알 수가 있으나 해당 릴레이의 고장을 사용자가 눈으로 확인하기 어려우므로 정비소까지 직접 가서 확인하는 수 밖에 없었다. 즉 다시 말해서, 해당 릴레이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간단하게 에러가 발생한 릴레이만 간단히 교체하면 차량 전장품을 동작시킬 수 있지만 해당 에러가 발생한 릴레이를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없으므로 정비소까지 사용자가 방문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 차량의 전장품에 있어 릴레이에 에러가 발생한 경우 사용자가 직접 확인할 수 없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불편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장 확인 가능 릴레이는 차량의 전장 분야에 사용되는 릴레이가 제어하기 위한 공급 전원의 온/오프에 따라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지에 대한 여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릴레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장 확인 가능 릴레이를 나타낸 외부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장 확인 가능 릴레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 철심 12 : 코일
13 : 도체부 14 : LED(Light Emitting Diod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제어 공급 전원의 입력 여부에 따라 자력을 형성하는 코일과, 해당 코일이 외부에 감겨져 있어 해당 코일의 자속밀도를 증가시키는 강자성체의 철심과, 해당 코일의 자력 형성 여부에 따라 두 단자를 접속시키거나 분리시켜 차량 전장품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도체부를 구비하는 릴레이에 있어서, 해당 릴레이의 상단면에 고정 부착되어 있고 상기 도체부의 접속 및 분리 동작 수행에 따라 램프를 온/오프하는 LED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장 확인 가능 릴레이를 나타낸 외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장 확인 가능 릴레이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장 확인 가능 릴레이는 도 2 및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심(11)와, 코일(12)와, 도체부(13)와, LED(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철심(11), 코일(12) 및 도체부(13)는 종래의 도면인 도 1과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LED(1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릴레이의 상단면에 고정 부착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게 구비되며, 상기 도체부(13)에 접속되어 상기 도체부(13)의 구동 전원 공급 및 차단 동작에 따라 램프를 온/오프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고장 확인 가능 릴레이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차량 전장품을 구동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구동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한 제어 공급 전원인 전류가 제1단자(A)를 통해 인가되면, 강자성체인 철심(11)의 외부에 감겨져 있는 코일(12)은 제1단자(A)를 통해 전류를 인가받아 제2단자(B)를 통해 출력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코일(12)은 내부에 자력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철심(11)은 내부의 분자 자석들이 상기 코일(12)의 자장 영향으로 해당 자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정렬하므로 상기 코일(12)의 자속 밀도를 크게 증가시킨다.
이에, 자체의 탄력성에 의해 제3단자(C)와 제4단자(D)를 분리하고 있던 도체부(13)는 상기 철심(11)에 형성된 자력에 의해 해당 제3단자(C)와 제4단자(D)를 접속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3단자(C)를 통해 공급되는 구동 전원은 상기 도체부(13)를 거쳐 제4단자(D)를 통해 LED(14)에 인가되며, 해당 LED(14)는 제4단자(D)를 통해 인가된 구동 전원에 의해 램프를 온 시켜 해당 릴레이가 정상적으로 구동되고 있음을 알려 준다.
그리고, 구동되고 있는 차량 전장품을 중지하기 위해 제1단자(A)를 통해 인가되고 있던 전류를 중단시키면, 상기 코일(12)은 전류를 인가받지 못하므로 발생하고 있던 자력을 잃게 되고, 또한 상기 철심(11)도 상기 코일(12)에 전류가 흐리지 않으므로 역시 자력을 상실하게 된다.
이에, 상기 도체부(13)는 제3단자(C)와 제4단자(D)를 접속시키고 있다가 상기 철심의 자력 상실에 의해 해당 두 단자(C, D)의 접속을 분리시킨다.
이에 따라, 제3단자(C)를 통해 인가되고 있던 구동 전원은 상기 도체부(13)의 분리 동작에 의해 차단되므로 상기 LED(14)에 인가되지 않으며, 상기 LED(14)는 제4단자(D)를 통해 구동 전원을 인가받지 못 하여 램프를 오프 시켜 해당 릴레이가 정상적으로 구동되고 있음을 알려 준다.
그런데, 만약 제어 공급 전원을 제1단자(A)를 통해 인가하였는데 상기 LED(14)가 온되지 않았거나 제1단자(A)를 통해 인가되고 있던 제어 공급 전원을 차단하였는데 상기 LED(14)가 오프되지 않았다면, 해당 릴레이에 에러가 발생하였음을 알 수가 있고 이에 해당 에러가 발생한 릴레이를 쉽게 확인하여 새로운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의해 차량의 전장 분야에 사용되는 릴레이가 제어 공급 전원의 온/오프에 따라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지를 LED의 온/오프로서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에러가 발생한 릴레이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Claims (1)

  1. 제어 공급 전원의 입력 여부에 따라 자력을 형성하는 코일(12)과, 해당 코일(12)이 외부에 감겨져 있어 해당 코일(12)의 자속밀도를 증가시키는 강자성체의 철심(11)과, 해당 코일(12)의 자력 형성 여부에 따라 두 단자(C, D)를 접속시키거나 분리시켜 차량 전장품의 구동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하는 도체부(13)를 구비하는 릴레이에 있어서, 해당 릴레이의 상단면에 고정 부착되어 있고 상기 도체부(13)의 접속 및 분리 동작 수행에 따라 램프를 온/오프하는 LED(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 확인 가능 릴레이.
KR2019970019818U 1997-07-25 1997-07-25 고장 확인 가능 릴레이 KR199900063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818U KR19990006360U (ko) 1997-07-25 1997-07-25 고장 확인 가능 릴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9818U KR19990006360U (ko) 1997-07-25 1997-07-25 고장 확인 가능 릴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6360U true KR19990006360U (ko) 1999-02-25

Family

ID=69675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9818U KR19990006360U (ko) 1997-07-25 1997-07-25 고장 확인 가능 릴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636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741A (ko) * 2000-12-15 2002-06-21 이계안 작동상태 표시형 릴레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6741A (ko) * 2000-12-15 2002-06-21 이계안 작동상태 표시형 릴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06360U (ko) 고장 확인 가능 릴레이
CN201130640Y (zh) 透明式电磁继电器
JPH0119206B2 (ko)
US4803589A (en) Electromagnetic relay
CN215678607U (zh) 一种分励脱扣器断线检测电路
JP4884858B2 (ja) 電源切替装置
JPS6249085A (ja) 電流信号操作電磁弁
KR0179870B1 (ko) 모터 구동 제어 회로
JP3158030U (ja) トランス及びトランス回路
CN1129932C (zh) 带有电控驱动装置且能通讯的接触器
KR102239208B1 (ko) 호이스트의 전동기 보호기기
CN112421991B (zh) 一种自耦减压起动装置
JPH0142913Y2 (ko)
KR910007043Y1 (ko) 전류강하 솔레노이드(solenoid)
KR19990031717U (ko) 릴레이 고장 표시장치
CN202159633U (zh) 透明式电磁继电器
KR20020003647A (ko) 3상모터를 사용하는 에어컨 실외기의 압축기 보호장치
WO2023053814A1 (ja) 遮断装置及び駆動装置
KR970004890Y1 (ko) 전자 접촉기의 여자코일장치
JP2005287277A (ja) 電源制御システム
JP2582187B2 (ja) ラッチング電磁石の交流駆動回路
SU166368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щиты погружного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 от анормального режима, подключенного через силовой трансформатор, первична и вторична обмотки которого соединены в звезду
KR970001115B1 (ko) 호이스트조작회로에 있어서의 이상검출장치
SU98590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правлени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ем
KR200254256Y1 (ko) 무접점회로를 이용한 과부하 보호 자동 릴레이 세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