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5623A -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5623A
KR19990005623A KR1019970029835A KR19970029835A KR19990005623A KR 19990005623 A KR19990005623 A KR 19990005623A KR 1019970029835 A KR1019970029835 A KR 1019970029835A KR 19970029835 A KR19970029835 A KR 19970029835A KR 19990005623 A KR19990005623 A KR 19990005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key
character
numeric
numeric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98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298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5623A/ko
Publication of KR19990005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623A/ko

Links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숫자키에 대응되는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업다운키를 이용하여 숫자키에 대응되는 문자를 입력한다.
다. 발명의 해결 방법의 요지
문자입력모드에서 소정 숫자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숫자키에 대응되는 문자를 업다운키의 입력에 따라 상기 숫자키에 대응되는 문자를 스크롤하고, 상기 입력된 숫자키와 다른 키가 입력되면, 처음에 입력된 숫자키에 대응되는 문자의 입력을 결정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휴대폰에서 한정된 숫자키에 대응시킨 다수의 문자들을 손쉽게 선택할 수 있다.

Description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본 발명은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숫자키 및 기능키를 이용하여 숫자키에 대응되는 다수의 문자들을 보다 빨리 입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는 사용자가 숫자키를 누르면 그 키에 대응되는 가장 첫 번째 문자를 나타나고, 문자 스크롤 대기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다시 동일한 키를 누르면 상기 키에 대응되는 다음 문자가 나타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의 블록 구성도로서, 제어부100과 메모리110과 키입력부120과 표시부130으로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00은 메모리110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키입력부120으로부터 입력되는 키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표시부130으로 출력한다. 메모리110은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한다. 키입력부120은 다수의 숫자키들로 구성되면, 상기 숫자키들에 문자들을 대응하며, 소정 키가 입력에 대응되는 키데이터를 제어부100으로 출력한다. 표시부130은 제어부100의 제어하에 키입력부120을 통해 입력되는 숫자 또는 문자를 출력한다.
도 2는 숫자키에 대응되는 문자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각 숫자키에 다수의 문자들을 대응시킨 것이다.
도 3은 종래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문자입력모드에서 입력되는 숫자키에 대응되는 문자를 입력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종래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30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 입력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문자 입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31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키입력부120을 통해 소정 숫자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숫자키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 32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키입력부120을 통해 입력되는 키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와 달리, 숫자키가 입력되면, 33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상기 입력된 숫자키에 대응되는 문자를 스크롤한다. 34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상기 문자를 스크롤한 후 문자 스크롤 대기시간을 경과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문자 스크롤 대기시간은 약 1∼2초 정도의 시간이다. 상기 문자 스크롤 대기시간이 경과하지 않는 경우 35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키입력부120을 통해 소정 숫자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숫자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00은 340단계부터의 제어 동작을 되풀이하여 수행한다. 이와 달리 상기 숫자키가 입력되면, 36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350단계에서 입력된 키가 340단계에서 입력된 키와 동일한 키인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입력된 키가 동일한 키인 경우 제어부100은 330단계부터의 제어 동작을 되풀이하여 수행한다. 한편, 상기 입력된 키가 동일하지 않는 경우 37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상기 숫자키에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부130으로 출력하고, 330단계부터의 제어 동작을 되풀이하여 수행한다.
한편, 상기 문자 스크롤 대기시간이 경과된 경우 38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310단계에서 입력된 숫자키에 대응되는 문자를 표시부130으로 출력하고, 다음 문자의 입력을 위해 커서를 다음으로 이동시킨다. 38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키입력부120을 통해 문자 입력 모드의 종료를 요구하는 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문자 입력 모드의 종료를 요구하는 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00은 310단계부터의 제어 동작을 되풀이하여 수행한다. 이와 달리, 상기 문자 입력 모드의 종료를 요구하는 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00은 숫자키를 이용한 문자 입력 과정을 종료한다.
종래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예를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Queen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7번키를 연속으로 두 번 누르고(Q), 8번키를 연속으로 다섯 번 누르고(u), 3번키를 연속으로 다섯 번 누르고(e), 문자 스크롤 대기시간이 경과한 후 3번키를 연속으로 다섯 번 누르고(e), 6번키를 연속으로 다섯 번 누른다.
종래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연속으로 같은 문자를 입력하거나 같은 키에 대응된 문자를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문자 스크롤 대기시간이 경과된 후 다음 문자를 입력해야 한다. 상기 문자 스크롤 대기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숫자키를 입력하면, 같은 위치에서 문자가 스크롤하므로 엉뚱한 문자가 입력된다. 예를 들면, AB를 입력하고자 할 때 A를 입력한 후 문자 스크롤 대기시간이 경과되어 커서가 전진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다시 B를 입력하고자 하면 C가 입력되게 된다.
이러한 종래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같은 키에 대응되어 있는 문자를 연속으로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커서가 전진할 때까지 기다리는 시간(문자 스크롤 대기시간)이 반드시 필요하므로, 문자를 많이 입력하는 경우 시간이 상당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위와 같은 종래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사용자가 키를 필요 이상으로 눌러 원하는 문자를 지나친 경우 처음부터 다시 스크롤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게다가, 위와 같은 종래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문자 스크롤 대기시간이 너무 짧으면, 사용자가 원하는 자를 입력하기 불편하고, 문자 스크롤 대기시간이 너무 길면 지체되는 시간이 길어지므로, 문자 스크롤 대기시간을 결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숫자키 및 기능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빨리 입력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숫자키에 대응되는 다수의 문자들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문자입력모드에서 소정 숫자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숫자키에 대응되는 문자를 업다운키의 입력에 따라 상기 숫자키에 대응되는 문자를 스크롤하고, 상기 입력된 숫자키와 다른 키가 입력되면, 처음에 입력된 숫자키에 대응되는 문자의 입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문자 입력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숫자키에 대응되는 문자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폰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휴대폰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다수의 문자들이 대응된 숫자키들과 업다운키등의 기능키들로 구성되는 키입력부120과 메시지를 출력하는 표시부130으로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숫자키에 대응되는 다수의 문자들을 업다운키로 선택하여 원하는 문자를 입력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50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문자 입력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문자 입력 모드로 설정된 경우 51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키입력부120을 통해 소정 숫자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숫자키가 입력되면, 52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상기 입력된 숫자키에 대응되는 문자를 스크롤한다. 53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키입력부120을 통해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은 업/다운키121,122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검색 기능키인 상기 업/다운키가 입력되면, 제어부100은 업/다운키121,122의 입력에 따라 상기 숫자키에 대응되는 문자를 스크롤한다. 상기 업/다운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54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키입력부120을 통해 소정 숫자키가 입력되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숫자키가 입력되면, 55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표시부130으로 상기 숫자키에 대응되는 문자를 출력하고 커서를 전진하고, 520단계부터의 제어 동작을 되풀이하여 수행한다.
이와 달리 상기 숫자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56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키입력부120으로 문자 입력 모드를 종료하기 위한 기능키가 입력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 문자 입력 모드를 종료하기 위한 기능키가 입력되지 않으면, 제어부100은 530단계부터의 제어 동작을 되풀이하여 수행한다. 상기 문자 입력 모드를 종료하기 위한 기능키가 입력되면, 570단계에서 제어부100은 상기 숫자키의 입력에 따른 문자를 결정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제어 동작을 종료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3'번키에 D E F d e f 3이 대응되어 있고, '4'번키에 G H I g h i 4가 대응되어 있는 경우를 예로 들어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문자 입력 모드에서 숫자키 '3'을 누른 후 다운키122를 계속 누르면, 표시부120은 D - E - F - d - e - f - 3 - D순으로 디스플레이한다. 한편, 사용자가 문자 입력 모드에서 숫자키 '3'을 누른 후 업키121을 계속 누르면, 표시부120은 D - 3 - f - e - d - F - E - D순으로 디스플레이한다. 현재 숫자키 '3'이 입력됨에 따라 표시부120으로 D를 디스플레이하고 있는 시점에서 사용자가 숫자키 '4'를 누르면, 표시부120으로 디스플레이되고 있는 D의 입력을 완료하고, 상기 숫자키 '4'가 입력됨에 따라 G를 표시부120으로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Queen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순으로 키를 조작한다. 사용자는 첫 번째 문자인 Q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7'을 누르고, 다운키를 한번 눌러 Q를 선택한 후 다음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8'을 누른다. 따라서, 제어부100은 키입력부120으로부터 숫자키 '7'의 입력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입력받고, 키입력부120으로부터 한번의 다운키 입력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Q를 선택하고, 키입력부120으로부터 상기 숫자키 '8'의 입력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문자 Q의 입력을 완료한다.
사용자는 두 번째 문자인 u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숫자키 '8'을 누른 후 다시 상기 다운키를 네 번 누르고, 다음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3'을 누른다. 따라서, 제어부100은 키입력부120으로부터 상기 숫자키 '8'의 입력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입력받고, 키입력부120으로부터 네 번의 다운키 입력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u를 선택하고, 키입력부120으로부터 숫자키 '3'의 입력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문자 u의 입력을 완료한다.
사용자는 세 번째 문자인 e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숫자키 '3'을 누른 후 다시 상기 다운키를 네 번 누르고, 다음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3'을 누른다. 따라서, 제어부100은 키입력부120으로부터 상기 숫자키 '3'의 입력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입력받고, 키입력부120으로부터 네 번의 다운키 입력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e를 선택하고, 키입력부120으로부터 숫자키 '3'의 입력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문자 e의 입력을 완료한다.
사용자는 네 번째 문자인 e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숫자키 '3'을 누른 후 다시 상기 다운키를 네 번 누르고, 다음 문자를 입력하기 위해 숫자키 '3'을 누른다. 따라서, 제어부100은 키입력부120으로부터 상기 숫자키 '3'의 입력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입력받고, 키입력부120으로부터 네 번의 다운키 입력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e를 선택하고, 키입력부120으로부터 숫자키 '6'의 입력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문자 e의 입력을 완료한다.
사용자가 다섯 번째 문자인 n를 입력하기 위해 상기 숫자키 '6'을 누른 후 다시 상기 다운키를 네 번 누르고, 문자 입력의 완료 기능에 대응되는 키를 누른다. 따라서, 제어부100은 키입력부120으로부터 상기 숫자키 '6'의 입력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입력받고, 키입력부120으로부터 네 번의 다운키 입력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n를 선택하고, 키입력부120으로부터 숫자키 '6'의 입력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선택된 문자 n의 입력을 완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에서 사용자가 숫자키에 매핑된 다수의 문자들을 업/다운키로 쉽게 검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동일한 숫자키에 매핑된 문자를 입력하고자하는 경우 스크롤 대기시간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즉시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다수의 문자들을 대응시킨 숫자키들과 검색키를 구비하는 장치에서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문자 입력모드에서 소정 숫자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숫자키에 대응되는 문자들을 상기 검색키의 입력에 따라 상기 숫자키에 대응되는 문자를 스크롤하고, 다시 소정의 숫자키가 입력되면, 상기 검색키에 의해 스크롤된 문자를 입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2. 다수의 문자들을 대응시킨 숫자키들과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는 장치에서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에 있어서, 문자 입력 모드에서 소정 숫자키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숫자키에 대응된 첫 번째 문자를 스크롤하는 과정과, 상기 입력된 숫자키에 대응되는 다수의 문자를 순차적으로 검색하는 기능키의 입력에 따라 상기 입력된 숫자키에 대응되는 문자들을 차례로 스크롤하는 과정과, 다시 소정 숫자키가 입력되면 상기 스크롤된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문자 입력 모드의 종료를 요구하는 기능키가 입력되면, 상기 숫자키 및 상기 검색 기능키의 입력에 따라 선택된 문자의 입력을 완료하고, 상기 과정들의 반복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KR1019970029835A 1997-06-30 1997-06-30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KR1999000562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835A KR19990005623A (ko) 1997-06-30 1997-06-30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835A KR19990005623A (ko) 1997-06-30 1997-06-30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623A true KR19990005623A (ko) 1999-01-25

Family

ID=65999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9835A KR19990005623A (ko) 1997-06-30 1997-06-30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562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1299A (ko) * 2000-08-01 2002-02-08 황재엽 휴대폰 문자코드발생 장치 및 방법
KR20020012913A (ko) * 2000-08-09 2002-02-20 유홍 선택 스위치가 구비된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휴대 전화기
KR20020018689A (ko) * 2000-08-07 2002-03-09 황재엽 모드가 통합된 전화기문자코드발생장치
KR100455773B1 (ko) * 2002-10-08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버스 키를 구비한 키패드 및 문자입력 방법
KR100646572B1 (ko) * 1999-12-01 2006-11-17 김용숙 기본문형의 조합을 통한 한글, 영문, 숫자 입력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6572B1 (ko) * 1999-12-01 2006-11-17 김용숙 기본문형의 조합을 통한 한글, 영문, 숫자 입력장치
KR20020011299A (ko) * 2000-08-01 2002-02-08 황재엽 휴대폰 문자코드발생 장치 및 방법
KR20020018689A (ko) * 2000-08-07 2002-03-09 황재엽 모드가 통합된 전화기문자코드발생장치
KR20020012913A (ko) * 2000-08-09 2002-02-20 유홍 선택 스위치가 구비된 문자 입력 장치 및 이를 구비한휴대 전화기
KR100455773B1 (ko) * 2002-10-08 2004-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리버스 키를 구비한 키패드 및 문자입력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91386B2 (ja) 無線通信装置における大文字/小文字を制御するシステムとその方法
JP2013176130A (ja) 数字キーによる言語依存の文字入力方法
JP2002149308A (ja) 情報入力方法及び入力装置
US643031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data strings including hangul (Korean) and ASCII characters
KR100285312B1 (ko) 무선 단말기에서 문자입력 방법
KR19990005623A (ko) 숫자키를 이용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방법
KR20060025377A (ko) 휴대용 단말기의 키 입력 방법 및 장치
KR19990024320A (ko) 개인휴대통신 단말기의 대표문자를 이용한 한글입력 방법
KR100731617B1 (ko) 단말기의 텍스트 입력방법
US630093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tering Hangul (Korean) characters
KR100271375B1 (ko) 제한된 키로 문자를 입력하는 장치, 그 방법및 이를 이용한 전화 단말기
JP2000339083A (ja) 入力装置
JP2002300261A (ja) 携帯電話装置
KR100439000B1 (ko) 동일한 입력키에 배치된 문자를 연달아 입력하는 방법
KR100387033B1 (ko) 특수문자를 쉽게 입력할 수 있는 전화기의 문자코드 발생장치 및 방법
JPH09149105A (ja) 移動電話装置
JP2947705B2 (ja) 無線通信装置への文字情報入力方法
JPS6069724A (ja) カナ文字入力装置
KR100795952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문자 입력방법
KR20000020185A (ko) 이동통신단말기의 한글입력방법 및 그 장치
JP2002207555A (ja) 携帯型電子機器の文字入力方法
KR20000047230A (ko) 통신단말기용 문자입력방법 및 그 장치
KR20000012540U (ko) 휴대폰 문자입력장치
KR0181111B1 (ko) 페이저의 문자편집 방법
KR100233540B1 (ko) 숫자 키패드를 이용한 문자 입력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