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5560A - Horizontal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for Multimode Monitors - Google Patents

Horizontal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for Multimode Monitor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5560A
KR19990005560A KR1019970029772A KR19970029772A KR19990005560A KR 19990005560 A KR19990005560 A KR 19990005560A KR 1019970029772 A KR1019970029772 A KR 1019970029772A KR 19970029772 A KR19970029772 A KR 19970029772A KR 19990005560 A KR19990005560 A KR 199900055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urrent
horizontal
horizontal deflection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97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정병국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70029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5560A/en
Publication of KR19990005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560A/en

Links

Landscapes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니터의 편향 회로에 관한 것으로, 비디오 카드에서 출력되는 수평 주파수를 입력받아 상기 수평 주파수에 따른 F/V 전압을 출력하는 마이컴(10)과, 상기 F/V 전압을 증폭하여 제어 전압을 출력하는 증폭 수단(20)과, 상기 제어 전압을 입력받아 제어 전류(IC)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압-전류 변환부(30)와, 수평 편향 코일(HD.Y)과 보정 캐패시터(CS) 사이에 직렬 접속되고 상기 제어 전류(IC)의 크기에 따라 인덕턴스가 가변되는 가변 인덕터(40)로 구성된 다중모드 모니터의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 회로를 제공함으로써, 다중 모드 모니터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모드에 따라 수평 주파수가 31∼75KHz로 변화하면, 화면의 수평 선형성을 조정하는 가변 인덕터의 인덕턴스가 4∼7.5로 가변되어 화면의 좌우 대칭성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기 때문에 화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flection circuit of a monitor, which receives a horizontal frequency output from a video card and outputs a F / V voltag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frequency, and amplifies the control voltage by amplifying the F / V voltage. An amplifying means 20 for outputting, a voltage-current converter 30 for receiving the control voltage and converting the control voltage into a control current I C , and outputting a horizontal deflection coil HD.Y and a correction capacitor C S. By providing a horizontal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of a multimode monitor composed of a variable inductor 40 connected in series and having an inductance variable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control current I C , Therefore, when the horizontal frequency changes from 31 to 75 kHz, the inductance of the variable inductor for adjusting the horizontal linearity of the screen is 4 to 7.5. The image quality is improved because the image is variably adjusted so that the left and right symmetry of the screen can be exactly matched.

Description

다중모드 모니터용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 회로Horizontal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for Multimode Monitors

본 발명은 모니터의 수평 편향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중 모드 모니터에서 지원하는 비디오 카드의 모드별 수평 주파수 변동에 따라 인덕턴스를 변화시킴으로 화면 수평폭과 직선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다중모드 모니터용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 회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of a monitor. In particular, a horizontal mode for multi-mode monitors can be improved by changing inductanc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frequency variation of each video card supported by a multi-mode monitor. It relates to a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일반적으로, 모니터는 컴퓨터의 비디오 카드로부터 수신된 영상 신호와 동기 신호를 입력받아 CRT 화면에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장치로서, 영상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비디오 계통과, 수직 및 수평 편향을 위한 편향 계통 및 전원 계통 등으로 구성된다.In general, a monitor is a device that receives information from a computer video card and a synchronization signal and displays information on a CRT screen. The monitor includes a video system for processing a video signal, a deflection system for vertical and horizontal deflection, and a power supply. It consists of a system.

여기서, 상기 비디오 카드는 여러 가지 모드로 구별되는 바, 상기 비디오 카드의 모드에 따른 모니터의 분류를 표 1 을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Here, the video card is classified into various modes. The classification of the monitor according to the mode of the video car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able 1 below.

비디오 모드에 따른 분류Classification by video mode

비디오 모드Video mode 수평주파수(KHz)Horizontal frequency (KHz) 수직주파수(Hz)Vertical frequency (Hz) 해상도(H*V)Resolution (H * V) CGACGA 15.7515.75 6060 640*200640 * 200 EGAEGA 21.821.8 6060 640*350640 * 350 VGAVGA 31.531.5 60/7060/70 720*350640*480720 * 350 640 * 480 SVGASVGA 35 ~ 3735 to 37 INTERLACEINTERLACE 1024*7681024 * 768 고해상도모드High resolution mode 64 ~ 7564 to 75 60 ~ 7060 to 70 1024*7681280*10241024 * 7681280 * 1024

즉, 상기한 비디오 모드는 구현하려는 해상도에 따라 수평 주파수와 수직 주파수를 다르게 출력하는 바, 상기 수직 주파수가 저주파에서 고주파로 증가할수록 화면 깜박거림이 방지됨으로 사용자들의 눈의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video mode outputs a horizontal frequency and a vertical frequency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resolution to be implemented. As the vertical frequency increases from a low frequency to a high frequency, screen flicker is prevented, thereby reducing eyestrain of users. .

여기서, 다중 모드 모니터란, 적어도 2개 이상의 비디오 모드와 호환할 수 있는 모니터로서, 비디오 카드에서 출력되는 다양한 수평 주파수(약 30∼75 KHz)에 따라 화상의 크기 및 위치의 변경, 수평 수직 동기화 및 편향부의 최적화, 그리고 각종 편향 보정 회로의 조정이 가능한 모니터를 의미한다.Here, the multi-mode monitor is a monitor that is compatible with at least two video modes, and changes the size and position of images according to various horizontal frequencies (about 30 to 75 KHz) output from the video card, horizontal and vertical synchronization, and This means that the monitor can be used to optimize the deflection unit and to adjust various deflection correction circuits.

상기한 다중 모드 모니터의 수평 편향 회로를 설명하기에 앞서, 일반적인 모니터의 편향 원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모니터의 캐소드로부터 방출된 전자빔은 그리드를 통과하면서 가속되어지고, 편향 코일의 자계에 의한 전자기 작용으로 진로를 바꿈으로써 형광면의 광점을 이동시키게 된다.Before describing the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of the multi-mode monitor, the deflection principle of a general monitor is as follows. The electron beam emitted from the cathode of the monitor is accelerated through the grid, and moves the light spot of the fluorescent surface by changing its course by the electromagnetic action of the magnetic field of the deflection coil.

이때, 상기 전자빔의 편향 거리는 자계의 세기에 비례하고 자계는 편향 코일의 전류에 비례하는 전자 편향의 원리를 이용하는 바, 모니터에서는 좌측에서 우측으로 일정 속도로 주사를 하고 우측에서 좌측으로는 매우 빠른 속도로 되돌아가도록 하기 위해서 광점을 수평 방향(좌우)으로 이동시키는 수평 편향 코일과 광점을 수직 방향(상하)으로 이동시키는 수직 편향 코일을 사용하고 있다.At this time, the deflection distance of the electron beam is proportional to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ield, and the magnetic field uses the principle of electron deflection, which is proportional to the current of the deflection coil. In order to return to,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for moving the light point in the horizontal direction (left and right) and the vertical deflection coil for moving the light point in the vertical direction (up and down) are used.

즉, 수평 편향 코일에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톱니파 전류가 흐르도록 하는 바, 상기한 톱니파 전류의 a 점에서는 전자빔을 가장 크게 왼쪽 방향으로 편향하는 힘이 상기 전자빔에 작용하고, b 점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으므로 전자빔은 직진한다.That is, a sawtooth current as shown in FIG. 1 flows through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and at the point a of the sawtooth current, a force that deflects the electron beam to the leftmost direction acts on the electron beam, and at the point b, the current Does not flow, the electron beam goes straight.

또한, b 점에서 c 점으로는 전자빔을 오른쪽으로 구부러지도록 하는 전류가 점차로 크게 흘러 c 점에서는 전자빔이 가장 오른쪽으로 편향되고 그 후 전류가 급격히 감소하여 a' 점부터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In addition, at point b, the current that causes the electron beam to bend to the right gradually increases, and at point c, the electron beam is deflected to the right, and the current rapidly decreases, and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from point a '.

도 2는 상기와 같은 톱니파 전류를 발생하는 모니터의 수평 편향 회로를 도시하고 있는 바, 비디오 카드(미도시)에서 출력된 수평 동기 신호는 수평 발진부(미도시)에서 수평 구동 신호(H.drive)로 적절하게 신호 변조되어 수평 구동 트랜지스터(TR1)로 공급된다.FIG. 2 illustrates a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of a monitor generating the sawtooth wave current as described above. The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 output from a video card (not shown) is a horizontal drive signal (H.drive) at a horizontal oscillator (not shown). The signal is properly modulated and supplied to the horizontal driving transistor TR1.

상기 수평 구동 신호(H.drive)는 수평 구동 트랜지스터(TR1)를 온 시키고 구동 전원(Vcc)과 상기 수평 구동 트랜지스터(TR1)와 수평 구동 트랜스포머(HDT)를 도통시킴으로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TR2)의 베이스 단자에 전류를 공급해준다.The horizontal driving signal H.drive turns on the horizontal driving transistor TR1 and conducts the driving power supply Vcc, the horizontal driving transistor TR1 and the horizontal driving transformer HDT to the base of the horizontal output transistor TR2. Supply current to the terminal.

이때, 상기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TR2)가 턴-온 되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미도시)의 B+ 전원 전류가 수평 편향 코일(HD.Y)을 통해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TR2)로 흐르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horizontal output transistor TR2 is turned on, the B + power current of the flyback transformer (not shown) flows to the horizontal output transistor TR2 through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HD.Y.

상기와 같이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TR2)가 온 되는 동안에는 톱니파의 유효 주사기간의 후반부(즉, b 점에서 c 점 사이)에 해당되고, 수평 구동 신호(H.drive)에 따라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TR2)가 급격하게 턴-오프 되면 수평 편향 코일(HD.Y)에 축적된 전류가 귀선 캐패시터(RE.C)를 충전시킨다.While the horizontal output transistor TR2 is turned on as described above, it corresponds to the second half of the effective syringe of the sawtooth wave (that is, between the point b and the point c), and the horizontal output transistor TR2 according to the horizontal drive signal H.drive. Is rapidly turned off, the current accumulated in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HD.Y) charges the retrace capacitor (RE.C).

여기서, 상기 귀선 캐패시터(RE.C)가 완전히 충전되면 수평 편향 코일(HD.Y)로 다시 방전하고, 이에 따라 수평 편향 코일(HD.Y)에 전류가 다시 축적된다.In this case, when the retrace capacitor RE.C is fully charged, the discharge capacitor discharges back to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HD.Y, and accordingly, current is accumulated in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HD.Y.

이때, 상기 귀선 캐패시터의 충전 및 방전의 전기간이 귀선 기간(즉, c 점에서 a' 점 사이)에 해당하는 기간이 된다.At this time, the period between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of the retrace capacitor is a period corresponding to the retrace period (that is, between c point and a 'point).

또한, 상기와 같이 수평 편향 코일(HD.Y)에 에너지가 축적되어 편향 코일 전압이 댐퍼 다이오드(D.D)에 순방향의 바이어스를 인가할 정도가 되면 댐퍼 다이오드(D.D)가 도통되고 수평 편향 코일(HD.Y)에 흐르는 전류는 제로로 떨어지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energy is accumulated in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HD.Y as described above, and the deflection coil voltage is such that the forward bias is applied to the damper diode DD, the damper diode DD is conducted and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HD is applied. The current flowing in .Y) drops to zero.

이때, 상기와 같이 댐퍼 다이오드(D.D)에 전류가 흐르는 기간이 톱니파의 유효 주사기간의 전반부(즉, a 점에서 b 점 사이)에 해당된다.At this time, the period in which the current flows through the damper diode D.D corresponds to the first half of the effective syringe of the sawtooth wave (that is, between point a and point b).

상기와 같이 수평 편향 코일(HD.Y)에 흐르는 전류가 제로가 되는 시점에서 수평 구동 신호(H.drive)에 의해 다시 수평 출력 트랜지스터(TR2)가 턴-온 되면서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게 되는 바, 상기 수평 편향 코일(HD.Y)에 톱니파 전류가 흐르게 되어서 전자빔의 수평 편향이 이루어지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horizontal output transistor TR2 is turned on again by the horizontal drive signal H.drive when the current flowing in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HD.Y becomes zero, and the above process is repeated. The saw-tooth wave current flows through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HD.Y so that the horizontal deflection of the electron beam is achieved.

그러나,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수평 편향 코일(HD.Y)에 도 3a에 도시된 완전한 톱니파 전류가 흐르게 되면 화면 수평폭의 비선형 현상이 일어나게 되는 바, 모니터의 형광면과 수평 편향 코일(HD.Y)의 중심과의 거리가 형광면의 가장자리로 갈수록 길어지기 때문에 수평 편향 코일(HD.Y)의 수평 편향각의 변화량이 화면 천체에서 일정하면 화면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화상의 늘어짐이 나타나게 된다. ()However, as shown in FIG. 3B, when the complete sawtooth current shown in FIG. 3A flows through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HD.Y, a non-linear phenomenon of the screen horizontal width occurs. Since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the HD.Y becomes longer toward the edge of the fluorescent screen, the amount of change in the horizontal deflection angle of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HD.Y is constant on the screen object. ( )

따라서,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면의 선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는 도 3c와 같은 S자형 톱니파를 수평 편향 코일(HD.Y)로 흘려주어야 하는 바, 완전한 톱니파 전류를 S보정하여 S자형 톱니파 전류를 생성하는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 회로(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 편향 코일(HD.Y)과 직렬 접속되어 있다.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linearity of the screen as shown in FIG. 3D, the S-shaped sawtooth wave as shown in FIG. 3C must be flowed to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HD.Y. A horizontal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50 for generating a i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HD.Y as shown in FIG.

즉, 상기한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 회로(50)는 상기 수평 편향 코일(HD.Y)에 직렬로 연결된 수평 선형 코일(LS) 및 보정 캐패시터(CS)와, 상기 수평 선형 코일(LS)에 병렬로 연결된 저항(R) 및 캐패시터(C)로 구성되는 바, 상기와 같이 구성된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 회로(10)는 귀선 캐패시터(RE.C)와 더불어 직렬 및 병렬 공진회로를 형성하여 발진하면서 적당한 S자형 톱니파 전류를 생성한다.That is, the horizontal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50 includes a horizontal linear coil L S and a correction capacitor C S connected in series with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HD.Y, and the horizontal linear coil L S. It consists of a resistor (R) and a capacitor (C)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bar, the horizontal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1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d oscillate by forming a series and parallel resonant circuit with the retrace capacitor (RE.C) Generates an appropriate sigmoidal sawtooth current.

이때, 상기 수평 선형 코일(LS)은 화면의 수평폭이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조절하고, 상기 보정 캐패시터(CS)는 수평 주사의 좌우 늘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톱니파 전류를 S보정하며, 저항(R)과 캐패시터(C)는 노이즈를 제거하는 바, 상기한 수평 선형 코일(LS)의 인덕턴스와 보정 캐패시터(CS)의 캐패시턴스가 톱니파 전류의 발진 주파수 및 크기를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horizontal linear coil (L S ) is adjusted so that the horizontal width of the screen is symmetrical, the correction capacitor (C S ) to compensate the S sawtooth wave current to prevent the left and right of the horizontal scan, the resistance (R) ) And the capacitor C remove noise, and the inductance of the horizontal linear coil L S and the capacitance of the correction capacitor C S determine the oscillation frequency and magnitude of the sawtooth current.

상기와 같이 결정된 S자형 톱니파 전류가 수평 편향 코일(HD.Y)로 흐르면, 상기 톱니파 전류의 크기에 비례하게 발생된 자력의 세기에 따라 전자빔이 편향함으로써 화면 수평폭과 선형성이 보정되어 지고 있다.When the S-shaped sawtooth current determined as described above flows to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HD.Y, the screen horizontal width and linearity are corrected by deflecting the electron beam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magnetic force generated in proportion to the magnitude of the sawtooth current.

여기서, 화면 수평폭을 결정짓는 인자인 상기한 수평 선형 코일(LS)은 영구자석에 도선을 감음으로 얻을 수 있으며 도 4와 같은 특성을 가지고 있는 바, 톱니파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의 인덕턴스는 일정값으로 고정되고, 톱니파 전류가 (+) 주기인 동안에는 인덕턴스가 급격하게 증가하며, 톱니파 전류가 (-) 주기인 동안에는 완만하게 감소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S자 형으로 인덕턴스가 변화하는 동안 모니터의 화면 중심으로부터 화면 좌,우의 거리가 동일한 화면의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Here, the horizontal linear coil (L S ), which is a factor for determining the horizontal width of the screen, can be obtained by winding a conductive wire around a permanent magnet, and has the characteristics as shown in FIG. 4, and the inductance when a sawtooth wave does not flow is constant. It is fixed to a value, so that the inductance increases rapidly while the sawtooth current is in the positive period, and decreases slowly while the sawtooth current is in the negative period. As described above, while the inductance is changed to the S-shape, the screen is equally balanced with the distance of the screen left and right from the center of the screen of the monitor.

그러나, 상기한 수평 선형 코일(LS)은 톱니파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의 인덕턴스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단일 모드 모니터에는 적절하게 적용할 수 있으나, 다양한 모드를 구현할 수 있도록 설계된 다중 모드 모니터에는 적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horizontal linear coil L S can be suitably applied to a single mode monitor because the inductance of the sawtooth current is not fixed. However, the horizontal linear coil L S can be applied to a multi mode monitor designed to realize various modes. There is a problem that cannot be done.

즉, VGA, SVGA 및 고해상도 모드를 구현할 수 있는 다중 모드 모니터에서 31∼75KHz의 다양한 수평 주파수가 입력되면, 톱니파 전류가 흐르지 않을 때의 수평 선형 코일(LS)의 인덕턴스는 4∼7.5로 가변되어야 하는 바, 상기한 수평 선형 코일(LS)의 인덕턴스가 고정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화면 중심으로부터 화면 좌,우의 거리가 달라지는 화면의 불균형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other words, when a multi-mode monitor capable of implementing VGA, SVGA and high resolution modes is input with various horizontal frequencies of 31 to 75 kHz, the inductance of the horizontal linear coil L S when no sawtooth current flows is 4 to 7.5. Since the inductance of the horizontal linear coil L S is fix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an unbalanced phenomenon occurs in a screen in which the distance of the screen left and right from the center of the screen is changed.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다중 모드 모니터에서 모드별 수평 주파수 변동에 따라 수평 선형 코일(LS)의 인덕턴스를 가변시킴으로 화면의 불균형 현상을 개선하여 화질이 향상되도록 한 다중모드 모니터용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 회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image quality is improved by improving the unbalance of the screen by varying the inductance of the horizontal linear coil (L S ) in accordance with the horizontal frequency variation of each mode in the multi-mode monitor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orizontal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for a multimode monito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모드 모니터용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 회로는 비디오 카드에서 출력되는 수평 주파수를 입력받아 상기 수평 주파수에 따른 F/V 전압을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F/V 전압을 증폭하여 제어 전압을 출력하는 증폭 수단과, 상기 제어 전압을 입력받아 제어 전류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압-전류 변환부와, 수평 편향 코일과 보정 캐패시터 사이에 직렬 접속되고 상기 제어 전류의 크기에 따라 인덕턴스가 가변되는 가변 인덕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orizontal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for a multi-mod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a microcomputer receiving the horizontal frequency output from the video card and outputs the F / V voltag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frequency, and the F / An amplifying means for amplifying a V voltage and outputting a control voltage, a voltage-current converter for receiving the control voltage and converting the control voltage into a control current, and a series connection between a horizontal deflection coil and a correction capacitor and a magnitude of the control current. In accordance with the inductance is characterized by consisting of a variable inductor.

도 1은 톱니파 전류에 대한 그래프도,1 is a graph of the sawtooth current;

도 2는 종래의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 회로가 적용된 모니터용 수평 편향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2 is a circuit diagram illustrating a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for a monitor to which a conventional horizontal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is applied;

도 3은 모니터용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 회로의 필요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3 is a diagram showing the necessity of a horizontal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for a monitor;

도 3a는 완전한 톱니파 전류의 그래프도,3a is a graphical representation of a complete sawtooth current;

도 3b는 완전한 톱니파 전류가 편향 코일로 흐를 경우 화면 수평폭의 비선형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3b is a plan view showing a non-linear state of the screen horizontal width when a complete sawtooth current flows through the deflection coil;

도 3c는 S자형 톱니파 전류의 그래프도,3C is a graph of the S-shaped sawtooth current;

도 3d는 S자형 톱니파 전류가 편향 코일로 흐를 경우 화면 수평폭의 선형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3d is a plan view showing a linear state of a screen horizontal width when an S-shaped sawtooth current flows through a deflection coil;

도 4는 보정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도,4 is a graph showing a change in inductance of a correction coil;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모드 모니터용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horizontal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for a multi-mod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은 제어 전류의 변화에 따른 가변 인덕터의 인덕턴스 변화를 도시한 그래프도이다.6 is a graph illustrating a change in inductance of the variable inductor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control current.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마이컴 20: 증폭 수단10: micom 20: amplification means

21: 오피앰프 22: 기준 전압 캐패시터21: Op amp 22: Reference voltage capacitor

23: 궤환 저항 30: 전압-전류 변환부23: feedback resistance 30: voltage-to-current converter

31: 트랜지스터 32,33,34: 잡음 제거 캐패시터31: transistors 32,33,34: noise canceling capacitor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 회로가 적용된 다중모드 모니터의 수평 편향 회로가 도시되어 있는 바, 본 발명에 따른 다중모드 모니터의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 회로는 비디오 카드에서 출력되는 수평 주파수를 입력받아 상기 수평 주파수에 따른 F/V 전압을 출력하는 마이컴(10)과, 상기 F/V 전압을 증폭하여 제어 전압을 출력하는 증폭 수단(20)과, 상기 제어 전압을 입력받아 제어 전류(IC)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압-전류 변환부(30)와, 수평 편향 코일(HD.Y)과 보정 캐패시터(CS) 사이에 직렬 접속되고 상기 제어 전류(IC)의 크기에 따라 인덕턴스가 가변되는 가변 인덕터(40)로 구성된다.5 shows a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of a multimode monitor to which a horizontal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is appli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horizontal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of the multimode moni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puts a horizontal frequency output from a video card. A microcomputer 10 for receiving the F / V voltag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frequency, an amplifying means 20 for amplifying the F / V voltage and outputting a control voltage, and a control current I C for receiving the control voltage. )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the voltage-current converter (30) and the horizontal deflection coil (HD.Y) and the correction capacitor (C S ) and converts the output current into a variable voltag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control current (I C ). Consisting of a variable inductor 40.

여기서, 상기 증폭 수단(20)은 F/V 전압이 비반전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오피앰프(21)와, 상기 오피앰프(21)의 비반전 입력단자와 반전 입력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반전 입력단자로 기준 전압을 제공하는 기준 전압 캐패시터(22)와, 상기 오피앰프(21)의 출력단자와 반전 입력단자 사이에 접속된 궤환 저항(23)과, 구동 전원을 분압하여 상기 비반전 입력단자로 제공하는 제1분압 저항(24) 및 제2분압 저항(25)으로 구성된다.Here, the amplifying means 20 is connected between the op amp 21, the F / V voltage is input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and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and the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 amp 21 is the inverting input A reference voltage capacitor 22 which provides a reference voltage to a terminal, a feedback resistor 23 connected between an output terminal of the op amp 21 and an inverting input terminal, and a driving power to be divided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The first voltage divider resistor 24 and the second voltage divider resistor 25 are provided.

또한, 상기 전압-전류 변환부(30)는 증폭 수단(20)에서 출력되는 제어 전압에 따라 베이스 전류가 변화되고 에미터단으로 제어 전류(IC)를 출력하는 트랜지스터(31)와, 상기 트랜지스터(31)의 베이스 전류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1잡음 제거 캐패시터(32)와, 상기 트랜지스터(31)의 에미터 전류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2잡음 제거 캐패시터(33)와, 상기 트랜지스터(31)의 콜랙터 전류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3잡음 제거 캐패시터(34)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voltage-current converter 30 includes a transistor 31 for changing the base current according to the control voltage output from the amplifying means 20 and outputting the control current I C to the emitter stage, and the transistor ( A first noise canceling capacitor 32 for removing the noise component included in the base current of the transistor 31 and a second noise canceling capacitor 33 for removing the noise component included in the emitter current of the transistor 31. And a third noise removing capacitor 34 for removing noise components contained in the collector current of the transistor 31.

마지막으로, 상기 가변 인덕터(40)는 톱니파 전류가 흐르는 1차측 코일과, 상기 트랜지스터(31)의 에미터단에서 출력되는 제어 전류(IC)가 흐르는 2차측 코일과, 상기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이 감겨진 자심으로 구성되어, 상기 톱니파 전류와 제어 전류(IC)의 크기에 따라 인덕턴스가 가변되도록 되어 있다.Finally, the variable inductor 40 includes a primary coil through which a sawtooth current flows, a secondary coil through which a control current I C output from the emitter terminal of the transistor 31 flows, and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side. The coil is formed of a magnetic core wound around the inductance so that the inductance is vari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sawtooth current and the control current I C.

이어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동작 및 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Next, the operation and effects of the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도 2에서 수평 구동 트랜지스터(TR1)로 입력되는 수평 구동 신호(H.drive)가 출력되는 과정을 간단하게 설명하면, 표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비디오 카드는 그 구현하려는 비디오 모드에 따라 다양한 수평 주파수(H.sync)를 출력한다.Prior to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outputting the horizontal drive signal H.drive input to the horizontal drive transistor TR1 in FIG. 2 will be described briefly. As shown in Table 1, the video card is implemented accordingly. Output various horizontal frequencies (H.sync) according to the video mode you want to use.

이때, 마이컴(10)은 상기 비디오 카드로부터 상기 수평 주파수(H.sync)를 입력받아 상기 수평 주파수(H.sync)에 해당하는 PWM( Pulse Width Modulation ) 형태의 F/V 전압을 출력하고, PWM/DC 컨버터는 상기 F/V 전압을 다시 일정한 크기의 직류 전압으로 변환시켜 수평 발진부로 출력하는 바, 상기 수평 발진부에서 상기 직류 전압을 입력받아 수평 구동 신호(H.drive)를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At this time, the microcomputer 10 receives the horizontal frequency (H.sync) from the video card and outputs an F / V voltage in the form of PWM (Pulse Width Modulation) corresponding to the horizontal frequency (H.sync), PWM The / DC converter converts the F / V voltage back to a DC voltage having a constant magnitude and outputs the DC voltage to the horizontal oscillator. The DC converter receives the DC voltage from the horizontal oscillator to generate a horizontal drive signal (H.drive).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마이컴(10)에서 출력하는 F/V 전압을 이용하는 바, 상기 F/V 전압은 수평 주파수와 비례한 값으로 출력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F / V voltage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10 is used, and the F / V voltage is output at a value proportional to the horizontal frequency.

상기 마이컴(10)에서 출력된 F/V 전압은 비반전 증폭기인 오피앰프(21)에서 적절하게 증폭되고, 상기 오피앰프(21)는 제어 전압을 출력하는 바, 상기한 제어 전압에 의해 트랜지스터(31)의 베이스 전류가 가변된다.The F / V voltage output from the microcomputer 10 is properly amplified by the op amp 21, which is a non-inverting amplifier, and the op amp 21 outputs a control voltage. The base current of 31) is varied.

또한, 상기한 베이스 전류가 변화하면 상기 트랜지스터(31)의 에미터 전류도 가변되는 바, 상기 에미터 전류인 제어 전류(IC)가 가변 인덕터(40)의 2차측 코일로 흐르게 된다.In addition, when the base current changes, the emitter current of the transistor 31 also varies, and the control current I C , which is the emitter current, flows to the secondary coil of the variable inductor 40.

이때, 상기 제어 전류(IC)는 가변 인덕터(40)의 인덕턴스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흐르는 바, 상기 제어 전류(IC)의 크기가 커지면 상기 가변 인덕터(40)의 인덕턴스는 감소하고, 상기 제어 전류(IC)의 크기가 작아지면 상기 인덕턴스는 증가하도록 되어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current I C flows in the direction of decreasing the inductance of the variable inductor 40. When the size of the control current I C increases, the inductance of the variable inductor 40 decreases. As the magnitude of the current I C decreases, the inductance increases.

여기서, 증폭 수단(20)과 전압-전류 변환부(3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 the operation of the amplifying means 20 and the voltage-current converter 30 are as follows.

먼저, 상기 증폭 수단(20)은 구동 전원이 제1분압 저항(24)과 제2분압 저항(25)에 의해 분압되고, 제2분압 저항(25)에 인가된 전압이 기준 전압 캐패시터(22)와 보조 저항에 의해 분압되며, 상기 기준 전압 캐패시터(22)에는 기준 전압이 축적되어 상기 오피앰프(21)는 F/V 전압이 입력되지 않더라도 항상 (+)의 출력신호를 가지게 된다.First, the amplifying means 20 is a driving power is divided by the first voltage divider 24 and the second voltage divider 25, the voltage applied to the second voltage divider 25 is the reference voltage capacitor 22 The voltage is divided by the auxiliary resistor, and the reference voltage is accumulated in the reference voltage capacitor 22 so that the op amp 21 always has a positive output signal even when the F / V voltage is not input.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F/V 전압이 오피앰프(21)의 비반전 입력단자로 입력되면 상기 F/V 전압이 적절하게 증폭된 후 제어 전압이 출력되는 바, 이는 상기한 F/V 전압은 전압-직류 변환부(30)에서 인지할 수 없기 때문에 상기한 전압-전류 변환부(30)에서 인지할 수 있도록 상기 F/V 전압을 증폭하여야 하기 때문이다.In the above state, when the F / V voltage is input to the non-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 amp 21, the control voltage is output after the F / V voltage is properly amplified, which is the voltage of the F / V voltage. This is because the F / V voltage must be amplified so as to be recognized by the voltage-current converter 30 because it cannot be recognized by the DC converter 30.

상기와 같이 F/V 전압이 증폭된 후 출력되는 제어 전압은 전압-전류 변환부(30)의 트랜지스터(31)의 베이스단으로 인가되는 바, 상기 트랜지스터(31)의 베이스단의 전위가 에미터단보다 0.7V 이상이 높아져 상기 트랜지스터(31)는 도통되고, 상기 트랜지스터(31)의 베이스 전류가 증폭률만큼 증폭되어 에미터단으로 흐르게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voltage output after the amplification of the F / V voltage is applied to the base end of the transistor 31 of the voltage-current converter 30, and the potential of the base end of the transistor 31 is the emitter end. More than 0.7V, the transistor 31 is turned on, and the base current of the transistor 31 is amplified by an amplification factor to flow to the emitter stage.

즉, 제어 전압의 크기에 비례한 베이스 전류가 흐르고, 상기 베이스 전류와 비례한 에미터 전류가 흐르게 되는 바, 상기 에미터 전류는 제어 전류(IC)가 되어 가변 인덕터(40)의 2차측 코일로 흐르게 되고, 상기 가변 인덕터(40)의 인덕턴스가 상기 제어 전류(IC)에 의해 가변된다.That is, the base current in proportion to the magnitude of the control voltage flows, and the emitter current in proportion to the base current flows, so that the emitter current becomes the control current I C and the secondary coil of the variable inductor 40. And the inductance of the variable inductor 40 is varied by the control current I C.

이때, 상기 가변 인덕터(40)의 1차측 코일에서 2차측 코일로 유기된 잡음 성분은 제1,제2,제3잡음 제거 캐패시터(32,33,34)에 의해 바이패스되기 때문에 직류 성분의 제어 전류(IC)가 상기 가변 인덕터(40)의 2차측 코일로 흐르게 된다.At this time, since the noise component induced from the primary coil to the secondary coil of the variable inductor 40 is bypassed by the first, second, and third noise canceling capacitors 32, 33, and 34, the DC component is controlled. Current I C flows to the secondary coil of the variable inductor 40.

도 6은 톱니파 전류와 제어 전류에 따른 상기 가변 인덕터(40)의 인덕턴스의 변화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톱니파 전류의 변화에 따라 S자 형의 인덕턴스 변화가 일어남과 아울러 제어 전류(IC)의 크기에 따라 인덕턴스가 전체적으로 높아지거나 낮아지게 된다.FIG. 6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hange in inductance of the variable inductor 40 according to the sawtooth wave current and the control current, in which the S-shaped inductance change occurs and the size of the control current I C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sawtooth wave current As a result, the inductance increases or decreases as a whole.

즉, 비디오 카드로부터 저주파수의 수평 주파수가 입력되면 마이컴(10)은 낮은 전압의 F/V 전압을 출력하고, 증폭 수단(20)은 낮은 전압의 제어 전압을 출력하며 전압-전류 변환부(30)는 낮은 전류의 제어 전류(IC)를 출력하여, 가변 인덕터(40)의 인덕턴스는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된다.That is, when a low frequency horizontal frequency is input from the video card, the microcomputer 10 outputs a low voltage F / V voltage, and the amplifying means 20 outputs a low voltage control voltage and the voltage-current converter 30. Outputs a low current control current I C so that the inductance of the variable inductor 40 becomes relatively high.

그러나, 비디오 모드가 저해상도에서 고해상도로 변환되어 상기 비디오 카드로부터 고주파수의 수평 주파수가 입력되면 상기 마이컴(10)은 높은 전압의 F/V 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증폭 수단은 높은 전압의 제어 전압을 출력하며 전압-전류 변환부(30)는 높은 전류의 제어 전류(IC)를 출력하여, 가변 인덕터(40)의 인덕턴스는 낮아지게 된다.However, when a video mode is converted from a low resolution to a high resolution and a high frequency horizontal frequency is input from the video card, the microcomputer 10 outputs a high voltage F / V voltage, and the amplifying means outputs a high voltage control voltage. The voltage-current converter 30 outputs a high current control current I C so that the inductance of the variable inductor 40 is lowere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다중 모드 모니터에서 구현하고자 하는 모드에 따라 수평 주파수가 31∼75KHz로 변화하면, 화면의 수평 선형성을 조정하는 가변 인덕터의 인덕턴스가 4∼7.5로 가변되어 화면의 좌우 대칭성을 정확하게 맞출 수 있기 때문에 화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horizontal frequency changes from 31 to 75 kHz according to the mode to be implemented in the multi-mode monitor, the inductance of the variable inductor for adjusting the horizontal linearity of the screen is 4 to 7.5. The image quality is improved because the image is variably adjusted so that the left and right symmetry of the screen can be exactly matched.

Claims (5)

비디오 카드에서 출력되는 수평 주파수를 입력받아 상기 수평 주파수에 따른 F/V 전압을 출력하는 마이컴(10)과, 상기 F/V 전압을 증폭하여 제어 전압을 출력하는 증폭 수단(20)과, 상기 제어 전압을 입력받아 제어 전류(IC)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압-전류 변환부(30)와, 수평 편향 코일(HD.Y)과 보정 캐패시터(CS) 사이에 직렬 접속되고 상기 제어 전류(IC)의 크기에 따라 인덕턴스가 가변되는 가변 인덕터(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모니터용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 회로.A microcomputer 10 for receiving a horizontal frequency output from a video card and outputting an F / V voltage according to the horizontal frequency, an amplifying means 20 for amplifying the F / V voltage and outputting a control voltage, and the control A voltage-current converter 30 that receives a voltage and converts it into a control current I C and outputs it in series, and is connected in series between a horizontal deflection coil HD.Y and a correction capacitor C S , and the control current I C ) A horizontal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for a multi-mode monitor, characterized in that consisting of a variable inductor 40 inductance is variable according to the siz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 수단(20)은 F/V 전압이 비반전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오피앰프(21)와, 상기 오피앰프의 비반전 입력단자와 반전 입력단자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반전 입력단자로 기준 전압을 제공하는 기준 전압 캐패시터(22)와, 상기 오피앰프의 출력단자와 반전 입력단자 사이에 접속된 궤환 저항(2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모니터용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 회로.2. The amplifying means (20)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mplifying means (20) is connected between an op amp (21) in which an F / V voltage is input to a non inverting input terminal, and is connected between a non inverting input terminal and an inverting input terminal of the op amp. A horizontal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for a multi-mode monitor, comprising a reference voltage capacitor 22 providing a reference voltage as an input terminal, and a feedback resistor 23 connected between an output terminal of the op amp and an inverting input terminal.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전류 변환부(30)는 증폭 수단(20)에서 출력되는 제어 전압에 따라 베이스 전류가 변화되고 에미터단으로 제어 전류(IC)를 출력하는 트랜지스터(3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모니터의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 회로.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oltage-to-current converter 30 is a transistor 31 that changes the base current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voltage output from the amplifying means 20 and outputs the control current (I C ) to the emitter stage Horizontal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of a multi-mode monitor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전류 변환부(30)는 상기 트랜지스터(31)의 베이스 전류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1잡음 제거 캐패시터(32)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에미터 전류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2잡음 제거 캐패시터(33)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콜랙터 전류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제3잡음 제거 캐패시터(34)를 포함하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모니터의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 회로.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voltage-current converter 30 is a first noise removing capacitor 32 for removing the noise component included in the base current of the transistor 31 and the emitter current of the transistor And a second noise canceling capacitor (33) for removing the noise component included therein, and a third noise canceling capacitor (34) for removing the noise component included in the collector current of the transistor. Horizontal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in mode monit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인덕터(40)는 톱니파 전류가 흐르는 1차측 코일과, 상기 전압-전류 변환부에서 출력되는 제어 전류(IC)가 흐르는 2차측 코일과, 상기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이 감겨진 자심으로 구성되어, 상기 톱니파 전류와 제어 전류의 크기에 따라 인덕턴스가 가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모드 모니터의 수평 편향 선형성 보정 회로.The variable inductor 40 of claim 1, wherein the variable inductor 40 includes a primary coil through which a sawtooth current flows, a secondary coil through which a control current I C output from the voltage-current converter, and a primary coil; The horizontal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of the multi-mode moni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uctance is vari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sawtooth current and the control current, wherein the differential coil is wound around the magnetic core.
KR1019970029772A 1997-06-30 1997-06-30 Horizontal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for Multimode Monitors KR1999000556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772A KR19990005560A (en) 1997-06-30 1997-06-30 Horizontal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for Multimode Monitor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772A KR19990005560A (en) 1997-06-30 1997-06-30 Horizontal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for Multimode Monit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560A true KR19990005560A (en) 1999-01-25

Family

ID=65987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9772A KR19990005560A (en) 1997-06-30 1997-06-30 Horizontal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for Multimode Monitor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5560A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441B1 (en) * 1999-07-20 200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A circuit for compensing a horisental-linearity of a multi-mode display system
KR100613479B1 (en) * 2004-06-18 2006-08-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High Voltage Generator of Monit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7441B1 (en) * 1999-07-20 2006-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A circuit for compensing a horisental-linearity of a multi-mode display system
KR100613479B1 (en) * 2004-06-18 2006-08-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High Voltage Generator of Monit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0694A (en) Horizontal size regulation circuit of display device
KR19990005560A (en) Horizontal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for Multimode Monitors
JP2561068B2 (en) Deflection device
KR100557441B1 (en) A circuit for compensing a horisental-linearity of a multi-mode display system
KR100190534B1 (en) Horizontal deflection output circuit
KR20020032319A (en) Display apparatus
KR19990040086A (en) Horizontal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for Multi-Mode Monitors
KR19990052740A (en) Horizontal Deflection Linearity Correction Circuit of Multimode Monitor
GB2157136A (en) Sine wave deflection circuit for bidirectional scanning of a cathode ray tube
EP0115682B1 (en) Resonant magnetic deflection circuit
KR100221339B1 (en) Horizontal deflection drive circuit in multi-mode monitor
KR100239078B1 (en) Linearization of vertical reference ramp
US6340871B1 (en) Horizontal-deflection correction circuit
KR200145471Y1 (en) A circuit of compensating a horizontal-size in a multi-mode monitor
KR20000015604A (en) Circuit for correcting a horizontal linear multi-mode monitor
KR200330773Y1 (en) CRT display apparatus
KR100235104B1 (en) A circuit of controlling a horizontal linearity in a multi-mode monitor
KR100212840B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horizontal-size in a monitor
KR200145470Y1 (en) A circuit of compensating a horizontal-size in a multi-mode monitor
KR19990003853A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in Multi-Mode Monitors
KR100575169B1 (en) A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in a multi-mode video display system
KR100226710B1 (en)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in a monitor
KR100212853B1 (en) A horizontal deflection circuit using fet in monitor
KR19990005562A (en) Horizontal Deflection Compensation Circuit for Multi-Mode Monitors
JPH04117772A (en) Dynamic focus circui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