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4760U - 기계부품 세척기 - Google Patents

기계부품 세척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4760U
KR19990004760U KR2019970017975U KR19970017975U KR19990004760U KR 19990004760 U KR19990004760 U KR 19990004760U KR 2019970017975 U KR2019970017975 U KR 2019970017975U KR 19970017975 U KR19970017975 U KR 19970017975U KR 19990004760 U KR19990004760 U KR 1999000476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shing liquid
pump
washing tank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79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환
Original Assignee
최영환
대신엠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환, 대신엠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영환
Priority to KR20199700179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4760U/ko
Publication of KR199900047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4760U/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 B08B1/1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나 기계부품을 세척하는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을 보면 상부에 덮개(70)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닥에 제 1 필터(64)가 내장된 배수구(62)가 구비된 세척조(60)와, 저면에 세척액을 배수하는 드레인밸브(86) 및 세척액을 세척조로 공급하는 펌프(82)를 구비하여 상기 세척조(60)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된 세척액통(80)과, 상기 세척액통(80)의 하부를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다리(90)와, 상기 펌프(82)와 연결되어 세척액을 분사시키는 노즐(78a) 및 브러시(78b)와, 상기 덮개(70)에 설치되어 세척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빛을 비추는 조명장치(100)와, 상기 세척조(60)의 전면에 설치되어 펌프(82)와 조명장치(100)를 ON/OFF시키는 스위치(102)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세척기는 세척액을 교환하기 위해 세척액을 배수시킬 때 드레인 밸브(86)의 작동에 의해 간단하게 배수됨으로 세척액의 교환작업이 간단히 이루어지고, 펌프(82)로부터 세척조(60)로 세척액을 공급시키는 파이프(76a)(76b)가 관(72) 및 T관(74)을 통해 덮개(70)의 중간부분에서 연결됨에 따라 부품과 접촉되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되며, 성능이 향상된 제 1 필터(64)와 제 2 필터(84)에 의해 세척액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계부품 세척기
본 고안은 자동차나 기계부품을 세척하는 세척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세척기의 구조를 개선하여 쉽고 간편한 세척작업 및 세척액 교환작업을 할 수 있게 하고, 세척액의 필터링 효과를 높여 세척액의 교환주기를 늘리는 기계부품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나 기계를 수리하다 보면 부품의 표면이 오염되어 이를 세척해 주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부품을 오염시키는 물질은 대부분 기름때이고 부품의 재질이 물에 쉽게 부식되는 금속으로 되어 있어 물로서는 세척하지 않고 알코올이나 휘발유 등의 성분으로된 세척액을 통하여 세척한다. 이와 같이 세척되는 부품들의 세척작업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그리고 고가의 세척액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세척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종래의 세척기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기계부품 세척기의 사시도로서, 상부에 덮개(20)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닥에 필터(14)가 내장된 배수구(12)를 포함하는 세척조(10)와, 네개의 봉(44) 상하단을 횡봉(46)을 이용하여 테형상으로 연결하고 하부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바퀴(42)를 구비하여 세척조(10)를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다리(40)와, 다리(40)의 봉(44) 하단을 연결하는 전후횡봉(46)에 복수개의 지지대(48)를 연결하고 그 상부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어 세척조(10)의 세척액을 보관 및 공급하는 세척액통(30)과, 세척조(10)의 하부에 설치되고 하부로 세척액통(30)의 세척액을 흡입하는 흡입관(33)이 연결되어 세척액을 세척조(10)로 공급하는 펌프(32)와 [도 2 참조], 펌프(32)로부터 세척조(10)로 플랙시블한 파이프(26)로 연결되어 세척액을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노즐(28a) 및 브러시(28b)와 덮개(20)에 부착되어 세척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빛을 비추는 조명장치(50)와, 덮개(20)의 후측면에 설치되어 펌프(32)와 조명장치(50)를 작동시키는 스위치(52)로 구성되어 있다. 참조번호 23은 파이프(26)을 걸어두는 고리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세척장치에 부품을 세척할 때에는 먼저, 세척액의 휘발방지를 위해 세척조에 덮여있는 덮개(20)를 개방시킨다. 개방되는 덮개(20)는 수직상태를 약간 벗어나게 되면 더 이상 개방되지 않도록 되어 있어 고정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세척조(10)의 기계부품을 올려놓고 스위치(50)를 ON시키면 펌프(32) 및 조명장치(50)가 작동된다. 펌프(32)의 작동에 의해 세척액통(30)의 세척액이 흡입관(33)을 통해 흡입되어 노즐(28a)나 브러시(28b)를 통해 분출되는데, 이와 같이 분출되는 세척액을 노즐(28a)과 브러시(28b)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면서 기계부품으로 분사하여 세척작업을 수행한다.
이 작업에 의해 부품으로부터 떨어져 나온 오염물질과 세척액은 세척조(10)의 바닥에 구비된 배수구(12)를 통해 세척액통(30)으로 회수되는데, 배수구(12)에는 필터(1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세척액에 함유된 오염물질이 걸러진다. 또한 펌프(32)의 지속적인 작동에 의해 세척액통(30)으로 회수된 세척액은 펌프(32)를 통해 다시 세척조(10)로 순환되는데 다시 세척조(10)로 순환되는데, 세척액이 펌프(32)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플라스틱 망으로 된 필터(14)에 의해 다시 오염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세척작업이 완료되면 스위치(52)를 이용하여 펌프(32)와 조명장치(50)를 OFF시킨다음 세척조(10)로부터 부품을 꺼내고 세척조(10)의 상부를 덮개(20)로 닫는다.
한편, 세척기의 사용에 따라 세척액이 오염되면 그 오염정도에 따라 세척액을 교환한다. 세척액을 교환할 때에는 우선 세척조(10)를 다리(40)로부터 분리시킨 다음 세척조(10)를 분리하여 한다. 세척액통(30)이 분리되면 그 내부의 세척액을 쏟아 오염된 세척액을 제거한 후 다시 역순으로 세척액통(30)과 세척조(10)를 다리(40)에 조립한다. 조립후 세척액을 세척조(10)에 부어 세척액통(30)에 충진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된 세척기는 세척액을 교환하기 위해 세척조를 다리로부터 분리시킨 후 세척액통을 분리하고 세척액통을 기울여 내부의 세척액을 쏟아 오염된 세척액을 제거한 후 다시 역순으로 세척액통과 세척조를 다리에 조립하여 세척액을 세척조를 통하여 충진시키는 일련의 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얇은 세척조 바닥에 기계부품이 직접 접촉됨에 따라 마모가 쉽게 되고, 충격에 의해 표면이 우그러지거나 파손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펌프로부터 세척조로 세척액을 공급하는 노즐과 브러시를 연결하는 플랙시블한 파이프가 직접 세척조의 밑면을 통해 상부로 연결됨에 따라 세척되는 기계부품과 잦은 마찰을 일으킨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 파이프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세척조에서 기계부품을 세척하여 오염된 세척액을 필터링하는 세척조 배수구 및 펌프에 설치된 필터가 단순히 플라스틱으로 된 망으로 되어 그 필터링효과가 떨어진다. 그로 인해 고가의 세척액의 교환주지가 빨라져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잇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 세척기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세척기의 세척액 교환작업이 쉽고 간편해지도록 구조를 개선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펌프로부터 노즐 및 브러시로 연결되는 파이프가 세척되는 부품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여 파이프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세척액으로부터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의 기능을 향상시켜 세척액의 교환주기를 늘리고 그로인한 비용을 절감하는데 있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기계부품 세척기의 사시도,
도 2 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기계부품 세척기의 세척액 교환 공정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기계부품 세척기의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기계부품 세척기의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 : 세척조62 : 배수구
64 : 제 1 필터66 : 받침판
70 : 덮개71 : 손잡이
72 : 관74 : T관
76a, 76b : 파이프78a, 78b : 노즐 브러시
79 : 세척액공급관80 : 세척액통
82 : 펌프84 : 제 2 필터
86 : 드레인 밸브90 : 다리
92 : 롤러93 : 연결판
100 : 조명장치102 : 스위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부에 덮개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닥에 제 1 필터가 내장된 배수구가 구비된 세척조와,
저면에 세척액을 배수하는 드레인밸브 및 세척액을 세척조로 공급하는 펌프를 구비하여 상기 세척조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된 세척액통과,
상기 세척액통의 하부를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면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단에 롤러가 설치된 네개의 다리와,
상기 세척조에 세척액을 공급하는 펌프로부터 연결되어 세척액을 선택적으로 분사시키는 노즐 및 브러시와,
상기 덮개에 설치되어 세척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빛을 비추는 조명장치와,
상기 세척조의 전면에 설치되어 펌프와 조명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펌프와 조명장치를 스위치로 구성되어 달성된다.
또한, 덮개의 중앙부분에 설치되어 노즐과 브러시가 구비된 파이프가 양쪽으로 연결되는 T관과, 세척조와 근접된 부분으로부터 이 T관에 연결되는 관을 구비하고, 상기 펌프로부터 인출된 세척액 공급파이프를 상기 관에 연결시켜 세척액을 분사시킴으로서 달성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기계부품 세척기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조(60)의 하부에 세척액통(7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하부에 바퀴(92)가 달린 네개의 다리(70)가 설치되어 세척조(60) 및 세척액통(70)이 일정한 높이로 지지되며, 다리(70)의 하부에는 각 다리(70)를 연결하여 지지력을 보강하는 연결판(93)이 수평하게 연결 설치되어 있다. 세척액통(80)의 저면에는 흡입관(83)이 인출되어 이에 세척조(60)로 세척액을 순환시키는 펌프(82)가 설치되어 있고, 그 옆에는 세척액을 배출시키는 드레인 밸브(86)가 설치되어 있다.
세척조(60)의 후측에는 세척조(60)의 상부로 개폐되는 덮개(70)가 설치되는데, 개방될 때 세척조(10)의 상면과 직각상태를 조금더 벗어나도록 개방되면 더이상 개방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이 덮개(70)에는 중앙부에 T관(74) 및 T관(74)으로부터 세척조(60)방향으로 연결된 관(72)이 설치되어 있고, 펌프(82)로부터 공급되는 세척액을 노즐(78a) 및 브러시(78b)로 공급하는 플랙시블한 파이프(76a)(76b)가 T관(74)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또 덮개(70)의 상부 일측에는 세척작업을 원활하게 해주기 위한 조명장치(100)가 설치되어 있으며, 덮개(70)의 전면 상단에는 공구를 걸어두는 고리(75)가 다수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세척조(60)의 전면 일측에는 펌프(84)와 조명장치(100)를 ON/OFF시키는 스위치(102)가 설치되어 있고, 전선을 통해 펌프(82) 및 조명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미설명부호 71은 덮개(70)를 개폐시킬 때 필요한 손잡이 이고, 73은 노즐(78a)과 브러시(78b)를 걸어두는 고리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조(60)의 저면에는 세척액통(80)으로 세척액을 회수시키는 배수구(62)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배수구(62)에는 제 1 필터(64)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덮개(70)의 관(73) 하단과 펌프(82)는 플랙시블한 세척액공급관(79)과 연결되어 있으며, 세척조(60)의 저면에는 부품이 안착되는 받침판(66)이 구비되어 있으며, 펌프(82)에는 제 2 필터(84)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제 1 필터(64)와 제 2 필터(84)는 작은 입자의 오염물질도 효과적으로 걸러낼 수 있도록 작은 구멍들이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는 부직포와 같은 재질의 필터를 사용하므로써 필터링 기능을 향상시켰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이 세척기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손잡이(71)를 이용하여 덮개(70)를 세척조(60)로부터 개방시키고 세척조(60)에 세척대상의 부품을 올려놓는다. 부품은 세척조(60)에 구비된 받침판(66)위에 놓여지게 됨으로 세척조(60)의 바닥면에 보호된다. 이 상태에서 세척조(60) 전면 일측에 설치된 스위치(102)를 ON시키면 덮개(70)에 설치된 조명장치(100)가 작동하여 세척조(60)를 환하게 비추게 됨과 동시에 펌프(82)를 작동시킨다. 펌프(82)의 작동에 의해 세척액통(80)의 세척액이 세척조(60)로 공급되는데, 덮개(70)의 관(72)과 T관(74) 및 파이프(76a)(76b)를 통해 노즐(78a) 및 브러시(78b)로 선택되어 분사된다.
노즐(78a) 또는 브러시(78b)로 분사되는 세척액은 기계부품을 세척시킨 다음 세척조(60) 바닥의 배수구(62)로 집수되는데 부품을 안착시키기 위해 구비된 받침판(66)에 의해 세척액은 배수구(62)로 원활하게 배수되어지며, 또 배수구(62)에는 제 1 필터(64)가 설치되어 있어 기계부품으로 부터 떨어져 나온 이물질들이 필터링 된 후 세척액통(80)으로 회수된다.
회수된 세척액은 다시 펌프(82)를 통해 세척조(60)로 순환되는데, 이때 펌프(82)에도 양호한 성능을 가진 제 2 필터(84)가 설치되어 있어 제 1 필터(64)에서 걸러지지 못한 이물질이 재 필터링 된다.
이와 같이 작동되는 세척기를 장시간 사용함에 따라 세척액이 오염되었을 경우 이를 교환해 주어야 하는데, 이때에는 세척액통(80)의 저면에 설치된 드레인밸브(86)를 개방시키면 자연 배수가 이루어진다.
한편, 부품의 세척이 완료되면 세척조(60)로부터 부품을 꺼내고, 스위치(102)를 작동시켜 펌프(82)와 조명장치(100)를 OFF시킨다. 그런다음 개방되었던 세척조(60)의 덮개(70)를 닫아 세척액이 휘발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펌프(82)로부터 덮개(70)의 관(72)으로 연결되는 세척액공급관(79)이 플랙시블한 재질로 되어 있으므로 원활한 덮개(70)의 개폐작동과 세척액공급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세척기는 세척액을 교환하기 위해 세척액을 배수시킬 때 종래의 제품과 같이 세척조(10) 및 세척액통(30)을 모두 분리시켜 배수시키는 것이 아니라 드레인 밸브(86)의 작동에 의해 간단하게 배수됨으로 세척액의 교환작업이 간단히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펌프(82)로부터 세척조(60)로 세척액을 공급시키는 파이프(76a)(76b)가 관(72) 및 T관(74)을 통해 덮개(70)의 중간부분에서 연결됨에 따라 부품과 접촉되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현상이 방지됨으로 수명이 길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세척조(60)의 배수구(62)에 설치된 제 1 필터(64)와 펌프(82)에 설치된 제 2 필터(84)가 종래의 세척기에 사용되던 필터보다 성능이 좋기 때문에 세척액을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어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상부에 덮개(70)가 개폐가능하게 설치되고 바닥에 제 1 필터(64)가 내장된 배수구(62)가 구비된 세척조(60)와;
    저면에 세척액을 배수하는 드레인밸브(86) 및 세척액을 세척조로 공급하는 펌프(82)를 구비하여 상기 세척조(60)의 하부에 일체로 설치된 세척액통(80)과;
    상기 세척액통(80)의 하부를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다리(90)와;
    상기 세척조(60)에 세척액을 공급하는 펌프(82)로부터 연결되어 세척액을 선택적으로 분사시키는 노즐(78a) 및 브러시(78b)와;
    상기 덮개(70)에 설치되어 세척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빛을 비추는 조명장치(100)와;
    상기 세척조(60)의 전면에 설치되어 펌프(82)와 조명장치(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펌프(82)와 조명장치(100)를 ON/OFF시키는 스위치(10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부품 세척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70)의 중앙부분에 설치되어 노즐(78a)과 브러시(78b)가 구비된 파이프(76a)(76b)가 양쪽으로 연결되는 T관(74)과, 세척조(60)와 근접된 부분으로부터 이 T관(74)에 연결되는 관(72)을 구비하고, 상기 펌프(82)와 덮개(70)의 관(72)사이를 플랙시블한 세척액공급관(79)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부품 세척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90)의 하단에 이동이 용이하도록 롤러(9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부품 세척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70)의 전면 상단에 횡으로 공구를 걸어두는 고리(75)가 다수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부품 세척기.
KR2019970017975U 1997-07-08 1997-07-08 기계부품 세척기 KR1999000476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975U KR19990004760U (ko) 1997-07-08 1997-07-08 기계부품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7975U KR19990004760U (ko) 1997-07-08 1997-07-08 기계부품 세척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4760U true KR19990004760U (ko) 1999-02-05

Family

ID=696871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7975U KR19990004760U (ko) 1997-07-08 1997-07-08 기계부품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4760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451B1 (ko) * 2003-12-22 2006-05-25 김현동 치아모형의 왁스 제거장치
KR100893953B1 (ko) * 2007-08-29 2009-04-22 (주) 에스디씨 기계부품용 세척장치
KR101427916B1 (ko) * 2012-09-03 2014-08-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부품 린싱용 필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부품 린싱 시스템
KR20230121305A (ko) 2022-02-11 2023-08-18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부품 및 공구 세척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2451B1 (ko) * 2003-12-22 2006-05-25 김현동 치아모형의 왁스 제거장치
KR100893953B1 (ko) * 2007-08-29 2009-04-22 (주) 에스디씨 기계부품용 세척장치
KR101427916B1 (ko) * 2012-09-03 2014-08-08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부품 린싱용 필터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부품 린싱 시스템
KR20230121305A (ko) 2022-02-11 2023-08-18 충청대학교 산학협력단 금속 부품 및 공구 세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105711A (ko) 식기 세척기의 랙구조
US3343555A (en) Parts cleaning apparatus
EP0990413B1 (en) A method of filtering the washing and/or rinsing liquid in a dishwasher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method
US3838473A (en) Apparatus for cleaning glasses or like vessels
KR19990004760U (ko) 기계부품 세척기
KR100778688B1 (ko) 드럼 세탁기의 이물질 걸름 장치
KR200196942Y1 (ko) 식기세척기
KR960010941B1 (ko) 식기세정기
EP0976359B1 (en) Device for fine filtering the washing liquid in a dishwasher
US2646056A (en) Dishwashing machine
KR102474255B1 (ko) 세척대상물에 대한 세척이 용이한 이동식 청소 장치
CN101325903B (zh) 洗碗机
CN215605437U (zh) 一种用于自转式拖地机的清洁结构
CN117285115B (zh) 一种洗碗机用水杀菌处理装置
KR100452529B1 (ko) 불판 세척기
KR20100032202A (ko) 세척기기의 랙 어셈블리
KR20020031020A (ko) 컵 세척장치
KR970010424B1 (ko) 식기세척기의 미세필터 세척장치
KR200281679Y1 (ko) 업소용 식기 세척기 시스템
KR0165044B1 (ko) 식기세척기
CN209094099U (zh) 一种可去除残留无醛固色剂且角度可调的洗桶机
SU82091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мойки изделий
KR200156824Y1 (ko) 식기세척기의 여과장치
KR102358753B1 (ko) 식기세척기
JPH052028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