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3420A - 공조기기용 루버장치 - Google Patents

공조기기용 루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3420A
KR19990003420A KR1019970027289A KR19970027289A KR19990003420A KR 19990003420 A KR19990003420 A KR 19990003420A KR 1019970027289 A KR1019970027289 A KR 1019970027289A KR 19970027289 A KR19970027289 A KR 19970027289A KR 19990003420 A KR19990003420 A KR 19990003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rotrusion
louver
main
auxili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7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99987B1 (ko
Inventor
최흥섭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27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9987B1/ko
Publication of KR19990003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3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9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99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8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bearings, pivots 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1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using more than one tilting member, e.g. with several pivoting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기기용 루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루버프레임과; 상기 루버프레임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호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풍향조절블레이드와; 상기 각 풍향조절블레이드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배치되어 상기 각 풍향조절블레이드와 주힌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연동조절바아와; 상기 주힌지의 인접영역에서 상기 풍향조절블레이드로부터 돌출한 보조힌지돌기와, 상기 주힌지의 파손시, 상기 보조힌지돌기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연동부재에 마련된 힌지돌기물림부를 갖는 보조힌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주힌지의 파손시, 보조힌지를 사용하여 풍향조절블레이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공조기기용 루버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조기기용 루버장치
본 발명은 공조기기용 루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풍향조절장치의 수명이 연장된 공조기기용 루버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조기기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하여 외부로 토출시키는 기기이다. 공조기기의 일 예로, 도 6에는 종래의 창문형 에어콘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창문형 에어콘은 일반적으로, 직사각통 형상의 외부케이싱(140)을 가지며, 그 내부에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등이 설치되어 냉동사이클은 구성한다. 외부케이싱(140)의 전면에 부착되는 전면커버(150)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53)와, 흡입구(153)로 흡입되어 냉각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155)가 형성되어 있다. 전원이 공급되면, 창문형 에어콘 내부에 설치된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등을 거치며 냉매가 순환하게 되고, 흡입구(153)를 통하여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에 의해 냉각되어 토출구(155)를 통하여 외부로 공급된다.
토출구(155)의 후방에는, 토출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루버조립체(120)가 결합된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루버조립체(120)는 직사각통 형상의 루버케이스(121)를 가진다. 루버케이스(121)의 내부에는 수직블레이드(133)가 설치되어 있다. 수직블레이드(133)는 판상의 형태로 형성되어 좌우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며, 수평연동부재(137)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수평연동부재(137)는, 루버케이스(121)내에 설치된 구동모터(138)에 의해 왕복동하여 수직블레이드(133)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루버케이스(121)의 전면에는, 상부에 수평블레이드(103)가 체결된 루버프레임(122)이 결합되고, 루버프레임(122)의 하부에는 에어콘의 제어를 위한 콘트롤판넬(128)이 결합되어 있다. 수평블레이드(103)는 판상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하게 수평으로 설치되며, 수평블레이드(103)의 양단부에는 회동핀(105)이 형성되어 있어서 루버프레임(122)내에 형성된 핀수용공(125)에 수용되어 고정된다. 또한, 각 수평블레이드(103)는 막대형상의 연동조절바아(113)에 막힌지(114)를 통해 상대회동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연동조절바아(113)의 상하이동에 의해 고정각도가 조절된다. 연동조절바아(113)의 하측단부에는 루버케이스(121)의 내벽을 향하여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으며, 루버케이스(121)의 내벽에는 걸림돌기와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연동조절바아(113)를 위치유지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걸림턱(127)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수평블레이드(103)들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여 각도를 조절하면, 수평블레이드(103)에 일체로 결합된 연동조절바아(113)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다가 걸림돌기가 걸림턱(127)들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연동조절바아(113)에 힌지(114)에 의해 결합된 모든 수평블레이드(103)는 연동조절바아(113)의 고정위치에 따라 동일한 방향을 향하며 고정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공조기기에서는, 수평블레이와 연동조절바아가 구조상 비교적 취약한 막힌에 의해 연결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막힌지가 파단된 경우, 연동조절바아와 그에 결합된 모든 풍향조절블레이드를 전체적으로 교체하여야 하므로 교체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힌지의 파손시 힌지기능의 대체가 용이하도록 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공조기기용 루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에어콘의 부분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루버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수평블레이드의 평면도,
도 4는 연동조절바아에 결합된 수평블레이드의 측면도,
도 5는 루버조립체의 부분확대사시도,
도 6은 종래의 창문형 에어콘의 사시도,
도 7은 도 6의 루버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수평블레이드 5 : 회동핀
13 : 연동조절바아 14 : 연결편
15 : 막힌지 16 : 힌지돌기물림부
17 : 보조힌지돌기 18a : 주걸림돌기
18b : 보조걸림돌기 19 : 절취홈
20 : 루버조립체 21 : 루버케이스
22 : 루버프레임 27 : 걸림턱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공조기기용 루버장치에 있어서, 루버프레임과; 상기 루버프레임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호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풍향조절블레이드와; 상기 각 풍향조절블레이드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배치되어 상기 각 풍향조절블레이드와 주힌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연동조절바아와; 상기 주힌지의 인접영역에서 상기 풍향조절블레이드로부터 돌출한 보조힌지돌기와, 상기 주힌지의 파손시, 상기 보조힌지돌기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연동부재에 마련된 힌지돌기물림부를 갖는 보조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용 루버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보조힌지돌기는 상기 주힌지보다 상기 풍향조절블레이드의 길이방향 단부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풍향조절블레이드와 상기 연동조절바아는 연결편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주힌지는 상기 연결편에 형성된 절취그루브에 의해 형성되는 막힌지인 것이 유리하다. 그리고, 상기 연동조절바아는, 길이방향에 가로로 돌출한 주걸림돌기를 가지며, 상기 주걸림돌기와 대응하는, 루버프레임의 내벽면에는, 상기 주걸림돌기와 맞물리는 복수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동조절바아가 상기 보조힌지돌기와 맞물릴 때 상기 주걸림돌기의 돌출길이를 단축시키기 위한 절취홈이 상기 주걸림돌기에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힌지돌기물림부는 상기 주힌지의 위치로부터 연동조절바아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보조힌지돌기와 맞물릴 때 연동조절바아가 상기 걸림턱과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보조걸림돌기를 상기 연동조절바아에 마련하여 조립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보조힌지돌기는 자유단부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힌지머리부를 가지며, 상기 힌지돌기물림부의 입구는 상기 힌지머리부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상기 힌지머리부가 억지삽입되도록 함으로써, 보조힌지돌기의 위치이탈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힌지머리부는 삽입방향을 향하여 안내사면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삽입이 용이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돌기물림부의 출구는 상기 힌지머리부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조힌지돌기가 상기 힌지돌기물림부에 삽입된 후 회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창문형 에어콘의 부분분해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창문형 에어콘은 직사각통 형상의 외부케이싱(40)을 가지며, 그 내부에 압축기(41), 응축기, 증발기(43) 등이 설치되어 냉동사이클을 구성한다. 외부케이싱(40)의 전면에 부착되는 전면커버(50)에는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53)와, 흡입구(53)로 흡입되어 냉각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55)가 형성되어 있다. 전원이 공급되면, 에어콘 내부에 설치된 압축기(41), 응축기, 증발기(43) 등을 거치며 냉매가 순환하게 되고, 흡입구(53)를 통하여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증발기(43)에 의해 냉각되어 토출구(55)를 통하여 외부로 공급된다. 토출구(55)의 후방에는 토출공기의 토출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루버조립체(20)가 결합된다.
도 2는 루버조립체(20)의 분해사시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버조립체(20)는 직사각통 형상의 루버케이스(21)를 가지며, 루버케이스(21)의 내부에는 수직블레이드(33)가 설치되어 있다. 수직블레이드(33)는 판상의 형태로 형성되어 좌우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며, 수평연동부재(37)에 의해 일체로 결합된다. 수평연동부재(37)는, 루버케이스(21)내에 설치된 구동모터(38)에 의해 왕복동하여 수직블레이드(33)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킨다.
루버케이스(21)의 전면에는, 상부에 수평블레이드(3)가 체결된 루버프레임(22)이 결합되고, 루버프레임(22)의 하부에는 에어콘을 조절하기 위한 콘트롤판넬(28)이 결합되어 있다.
도 3은 수평블레이드(3)의 평면도이고, 도 4는 연동조절바아(13)에 결합된 수평블레이드(3)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블레이드(3)는 판상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하게 수평으로 설치되며, 수평블레이드(3)의 양단부에는 회동핀(5)이 형성되어 있어서, 루버프레임(22)내에 형성된 핀수용공(25)내에 수용되어 회동지지한다.
수평블레이드(3) 좌측의 길이방향 단부측에는 막힌지(15)를 대신하여 힌지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보조힌지돌기(17)가 후방을 향하여 돌출형성되어 있다. 보조힌지돌기(17)는, 수평블레이드(3)에 부착된 원통형상의 몸체(17a)와, 자유단부에 형성된 힌지머리부(17b)를 가진다. 힌지머리부(17b)는, 몸체(17a)와의 경계부가 몸체(17a)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며, 자유단부측으로 향할수록 직경이 작아진다. 각 수평블레이드(3)는 막대형상의 연동조절바아(13)에 연결편(14)을 통하여 결합되며, 연결편(14)에는 V자 형태로 절곡된 막힌지(15)가 형성되어 있어서, 연동조절바아(13)의 상하이동에 의해 수평블레이드(3)의 고정각도가 조절된다. 또한, 연동조절바아(13)에는, 각 막힌지(15)로부터 상측으로 소정거리 이격된 힌지돌기물림부(16)가 형성되어 있다. 힌지돌기물림부(16)의 전면측 입구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돌기물림부(16)에 형성된 힌지머리부(17b)의 최대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보조힌지돌기(17)가 억지끼움으로 삽입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힌지돌기물림부(16)의 배면측 출구는 힌지머리부(17b)의 최대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원통형상으로 되어 있어서, 억지끼움으로 삽입된 보조힌지돌기(17)가 삽입후 용이하게 한정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연동조절바아(13)의 하측단부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루버케이스(21)의 좌측내벽을 향하여 돌출된 주걸림돌기(18a)가 형성되어 있으며, 루버케이스(21)의 좌측내벽에는 주걸림돌기(18a)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연동조절바아(13)가 위치유지될 수 있도록 복수의 걸림턱(27)이 형성되어 있다. 보조힌지돌기(17)가 연동조절바아(13)에 형성된 힌지돌기물림부(16)와 결합되려면, 연동조절바아(13)는 걸림턱(27)이 형성된 내벽을 향하여 이동하여야 하므로, 주걸림돌기(18a)는 절단되어야 한다. 그래서, 주걸림돌기(18a)는 V자 형태로 절곡된 절취홈(19)을 갖도록 제작되어, 평상시에는 그 기능을 수행하고, 기능을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쉽게 절단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조힌지돌기(17)가 힌지돌기물림부(16)에 결합된 후에는 새로운 걸림돌기가 필요하므로, 막힌지(15)로부터 그 상측에 형성된 힌지돌기물림부(16)까지의 거리만큼 주걸림돌기(18a)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보조걸림돌기(18b)가 형성되어 있다. 보조걸림돌기(18b)는 주걸림돌기(18a)와 동일한 방향을 향하며, 보조힌지돌기(17)가 힌지돌기물림부(16)에 결합되면 걸림턱(27)들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주걸림돌기(18a)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적당한 길이를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수평블레이드(3)들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여 각도를 조절하면, 수평브레이드(3)에 일체로 결합된 연동조절바아(13)가 상하방향으로 회동하다가 주걸림돌기(18a)가 걸림턱(27)들 사이에 위치하게 되고, 연동조절바아(13)에 힌지(114)를 통해 결합된 모든 수평블레이드(3)는 연동조절바아(13)의 고정위치에 따라 동일한 방향을 향하며 그 위치가 유지된다. 또한, 수평블레이드(3)를 조작할 때, 막힌지(15)가 절단되거나 부분파손되면, 새로운 조립을 통해 수평블레이드(3)의 고정방향을 계속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조립방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연동조절바아(13)와 각 수평블레이드(3) 사이에 형성된 막힌지(15)를 모두 절단하고, 주걸림돌기(18a)에 형성된 절취홈(19)을 이용하여 주걸림돌기(18a)를 절단한 후, 각 수평블레이드(3)에 형성된 보조힌지돌기(17)를 연동조절바아(13)에 마련된 힌지돌기물림부(16)에 결합시킨다. 이와 같은 조립이 끝나면 연동조절바아(13)는 종전의 위치로부터 루버프레임(22)측을 향하여 이동하게 되고, 보조힌지돌기(17)는 힌지돌기물림부(16)에 결합되어 보조힌지를 구성하며, 각 수평블레이드(3)는 상하회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보조걸림돌기(18b)는 루버케이스(21)의 내벽에 형성된 걸림턱(27)들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수평블레이드(3)를 위치유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조립후 수평블레이드(3)를 상하회동시키면, 막힌지(15)가 파손되기 이전처럼 수평블레이드(3)의 위치를 원하는 방향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주로 창문형 에어콘에 대해서 기술했지마, 본 발명은 창문형 에어콘 이외의 공조기기에 대해서도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보조힌지돌기(17) 및 힌지돌기물림부(16)는 힌지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 형태의 보조힌지돌기 및 힌지돌기물림부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보조힌지돌기는, 힌지돌기물림부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분할핀 형상으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보조힌지돌기 및 힌지돌기물림부는 각각 수평블레이드 및 연동조절바아의 다른 곳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보조힌지돌기와 힌지돌기물림부는 상호 반대의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공조기기에 있어서, 수평블레이드 혹은 이와 비슷한 구조를 가진 풍향조절블레이드의 힌지가 절단되거나 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 경우, 내부부품을 사용하여 다시 사용할 수 있도록 용이하게 조립함으로써,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할 필요가 없고, 그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공조기기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주힌지의 파손시 보조힌지를 사용하여 풍향조절블레이드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공조기기의 사용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공조기기용 루버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8)

  1. 공조기기용 루버장치에 있어서,
    루버프레임과;
    상기 루버프레임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상호 평행하게 배열되는 복수의 풍향조절블레이드와;
    상기 각 풍향조절블레이드의 길이방향에 가로로 배치되어 상기 각 풍향조절블레이드와 주힌지에 의해 힌지결합되는 연동조절바아와;
    상기 주힌지의 인접영역에서 상기 풍향조절블레이드로부터 돌출한 보조힌지돌기와, 상기 주힌지의 파손시, 상기 보조힌지돌기와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연동부재에 마련된 힌지돌기물림부를 갖는 보조힌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용 루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힌지돌기는 상기 주힌지보다 상기 풍향조절블레이드의 길이방향 단부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용 루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풍향조절블레이드와 상기 연동조절바아는 연결편에 의해 일체로 연결되며, 상기 주힌지는 상기 연결편에 형성된 절취그루브에 의해 형성되는 막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용 루버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조절바아는, 길이방향에 가로로 돌출한 주걸림돌기를 가지며, 상기 주걸림돌기와 대응하는, 루버프레임의 내벽면에는, 상기 주걸림돌기와 맞물리는 복수의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연동조절바아가 상기 보조힌지돌기와 맞물릴 때 상기 주걸림돌기의 돌출길이를 단축시키기 위한 절취홈이 상기 주걸림돌기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용 루버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돌기물림부는 상기 주힌지의 위치로부터 연동조절바아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위치하며, 상기 보조힌지돌기와 맞물릴 때 연동조절바아가 상기 걸림턱과 상호작용할 수 있는 보조걸림돌기가 상기 연동조절바아에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용 루버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힌지돌기는 자유단부에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힌지머리부를 가지며,
    상기 힌지돌기물림부의 입구는 상기 힌지머리부의 직경보다 작도록 형성되어 상기 힌지머리부가 억지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용 루버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머리부는 삽입방향을 향하여 안내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용 루버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돌기물림부의 출구는 상기 힌지머리부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되어 상기 보조힌지돌기가 상기 힌지돌기물림부에 삽입된 후 회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조기기용 루버장치.
KR1019970027289A 1997-06-25 1997-06-25 공조기기용 루버장치 KR100199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289A KR100199987B1 (ko) 1997-06-25 1997-06-25 공조기기용 루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7289A KR100199987B1 (ko) 1997-06-25 1997-06-25 공조기기용 루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3420A true KR19990003420A (ko) 1999-01-15
KR100199987B1 KR100199987B1 (ko) 1999-06-15

Family

ID=195111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7289A KR100199987B1 (ko) 1997-06-25 1997-06-25 공조기기용 루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99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546B1 (ko) * 2003-01-27 2009-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62879A (ko) 2019-11-22 2021-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546B1 (ko) * 2003-01-27 2009-04-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99987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9987B1 (ko) 공조기기용 루버장치
KR19990041649U (ko) 에어컨의 풍향 조절용 브레이드
KR100222949B1 (ko) 공조기기용 루버장치
KR19990071209A (ko) 창문형 에어콘 그릴 힌지장치
KR20200055864A (ko) 에어컨용 도어 개폐장치
KR100584301B1 (ko) 공기조화기
KR100231047B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착탈장치
KR200222814Y1 (ko) 공기 조화기
KR10050901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용 집진기 장착구조
KR100345007B1 (ko) 공기 조화기의 풍향 조절 장치
KR100263447B1 (ko) 공조기기
KR200196944Y1 (ko) 공기 조화기
KR100786258B1 (ko) 에어컨 토출구용 블레이드의 링크 연결장치
KR100584303B1 (ko) 공기조화기
KR19990000513A (ko) 공조기기
KR200162324Y1 (ko) 공조기기
KR100269454B1 (ko) 창문형에어콘의수직블레이드취부장치
KR100289126B1 (ko) 공조기기용실내기
KR200228662Y1 (ko) 공조기기
KR200157945Y1 (ko) 공조기기
KR200157099Y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모터 고정장치
KR20000002424U (ko) 공기조화기의 상하풍향조절루버 탈거방지장치
KR100187275B1 (ko) 에어컨의 토출구 좌우풍향조절장치
KR200201198Y1 (ko) 창문형공기조화기의토출장치
KR200184562Y1 (ko) 에어컨디셔너의 프런트패널 결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