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1649U - 에어컨의 풍향 조절용 브레이드 - Google Patents

에어컨의 풍향 조절용 브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1649U
KR19990041649U KR2019980008584U KR19980008584U KR19990041649U KR 19990041649 U KR19990041649 U KR 19990041649U KR 2019980008584 U KR2019980008584 U KR 2019980008584U KR 19980008584 U KR19980008584 U KR 19980008584U KR 19990041649 U KR19990041649 U KR 1999004164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bar
air conditioner
air
adjus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85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창기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800085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1649U/ko
Priority to PCT/KR1998/000194 priority patent/WO1999061846A1/en
Priority to CN98116720A priority patent/CN1128959C/zh
Priority to US09/133,383 priority patent/US6113487A/en
Publication of KR1999004164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1649U/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8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bearings, pivots or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 F24F1/022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 F24F1/027Self-contained 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i.e. with all apparatus for treatment installed in a common casing comprising a compressor cycle mounted in wall openings, e.g. in wind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75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having parallel rods or lamellae directing the outflow, e.g. the rods or lamellae being individually adjust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컨의 풍향 조절용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돌기부와 상,하부로 스윙을 유도하는 축심과 힌지부와 손잡이를 형성한 다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원추형으로 구성된 돌출부에 대응되는 다수의 고정 홈을 여유분으로 형성한 바를 일체형으로 구성하는 에어컨의 풍향 조절용 블레이드와, 사용중 블레이드와 바의 힌지부가 파손될 경우 블레이드의 돌기부를 바의 고정 홈에 삽입하여 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블레이드와 바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초기 금형 투지비의 최소화와 조립공정의 단순화로 인한 작업시간의 단축을 가져오며, 힌지부의 파손시 블레이드를 바에서 분리하여 재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수리비용의 감소와 재활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에어컨의 풍향 조절용 브레이드(A blad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wind in air-conditioner)
본 고안은 에어컨의 풍향 조절용 블레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에어컨의 풍향 조절을 위한 블레이드의 구성부품인 블레이드(blade)와 바(bar)의 연결 이음부를 힌지형으로 일체화하여 제작공정의 단순화와 조립공정의 감소를 도모하도록 하며, 사용중 힌지부 파손시 블레이드를 바에서 분리 후 재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풍향 조절용 블레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은 실내기와 실외기가 일체로 형성된 창문형 에어컨과 별도로 분리되는 분리형 룸 에어컨 및 용량이 대형인 패키지형 에어컨으로 그 용량에 따라 구분되어진다.
도 6은 상기의 에어컨 중 일반적인 창문형 에어컨의 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방이 실내 및 실외로 노출되는 에어컨 몸체(10)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100) 내부는 실내차단벽체(50a)와 실외차단벽체(50b)에 의해 실내공간부와 실외공간부로 나누어지고, 실내차단벽체(50a)에는 중앙에서 양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60)가 설치된다.
또한 실내공간부내에 주위의 열을 흡수하는 증발기(70)와 냉매를 고온,고압으로 압축하는 압축기(80)가 설치되며, 이 후방으로 상기 압축기(80)에서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냉매를 액화시켜 상온으로 응축하는 응축기(90)가 설치되며, 상기 응축기(90)는 냉매가 흐르는 냉매관이 지그재그 형태로 다수개 배열되어 있으며, 각 냉매관의 외주연에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열하는 방열핀(도시 없음)이 형성되어지며, 실외공간부의 양측판에 실외흡입구(50c)가 형성되고, 응축기(90)의 후방에 실외토출구(도시 없음)가 형성되어 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진 창문형 에어컨은 사용자가 전원을 "ON"으로 하면 구동모터(60)가 구동을 시작하고, 상기 구동모터(60)의 회전축(61a,61b')에 끼워져 설치된 냉각팬(62)과 송풍팬(63)이 동시에 회전을 시작하며, 또한 압축기(80)에서 냉매가 고온,고압으로 압축된 다음 응축기(90)로 순환되면 송풍팬(63)의 회전으로 발생되는 바람에 의해 공냉되어 진다.
즉, 냉각팬(62)이 회전되면서 실외공기가 실외흡입구(50c)를 거쳐 실외공간부로 흡입된 다음 후방의 응축기(90)를 통과하게 되는 데 이때 상기 응축기(90)에 강한 바람이 통과하면서 응축기(90)의 열을 외부로 방열시켜 냉각시킨 다음 이 바람은 실외토출구를 따라 실외로 배출되어 진다.
또한, 응축기(90)에서 저온,저압으로 액화되어 응축된 냉매가 미도시된 모세관을 거치면서 팽창되고 팽창되어진 기체,액체의 혼합냉매가 실내공간부의 증발기(70)로 순환되어 이 중에서 액체상태의 냉매가 증발하여 외부의 열을 흡수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구동모터(60)의 구동으로 송풍팬(63)이 회전되면서 실내공간부 내부로 실내공기가 흡입된 후 증발기(70)를 거치면서 냉각되며, 이 냉각된 실내공기가 토출구(40)를 거쳐 실내로 토출되어 실내가 냉각되어 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창문형 에어컨에 있어서 에어컨의 토출구 내측에 설치되어 에어컨 외부로 토출되어지는 냉각된 실내공기의 방향을 조정하도록 하는 종래 풍향 조절용 블레이드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7은 블레이드와 바를 일체형(힌지형)으로 구성한 것으로서,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손잡이(14)를 형성한 바(20)에 상,하부로 회동축 역할을 하는 축심(12)이 각각 형성된 블레이드(10)가 일정간격으로 세워져 설치되어 있으며, 금형작업으로 일체로 성형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제작된 풍향 조절용 블레이드는 사용자가 에어컨(100) 내부에서 냉각되어 외부로 토출되어지는 냉각된 공기의 방향을 조정하기 위하여 손잡이(14)를 잡고 좌,우로 회전하게 되면 손잡이(14)가 형성되어진 바(20)와 일체로 형성된 블레이드(10)는 손잡이(14)의 이동방향에 따라 에어컨 몸체(100)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축심(12)을 중심으로 블레이드(10)가 좌,우로 움직이게되어 공기의 방향을 바꿀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의 풍향 조절용 블레이드에 있어서는 바(20)와 블레이드(10)의 연결부위인 힌지부(13)가 파손되어질 경우 개별 부품의 교환이 불가능하여 전체부품을 교체하여야하는 경제적인 손실과 바(20)와 손잡이(14)가 에어컨(100)의 전면으로 돌출되어 있어 외관상 좋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도 8은 상기와 같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진 블레이드에 있어서 힌지부 파손시 전체부품을 교환하는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블레이드(10)와 바(20)를 각각 분리 제작한 후 조립하여 구성하는 것으로, 바(20)에는 손잡이(14)를 형성하고 다수의 블레이드 고정 홈(21)이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블레이드(10)에는 상기 바(20)의 고정 홈(21)에 결합되는 돌기부(11)를 형성하고 있어, 블레이드(10)의 돌기부(11)를 바(20)의 고정 홈(21)에 삽입하여 조립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분리형 블레이드의 작동방법은 상기 일체형과 동일한 관계로 작동에 관한 설명은 여기서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분리형 블레이드에 있어서는 개별부품의 파손시 파손된 부품만을 교체하는 측면에서는 그 효과가 있으나, 블레이드와 바가 분리된 설계로 조립공정의 추가, 제작공정의 증가, 별도의 금형의 필요로 인한 제작비의 상승 및 작업시간의 증가를 가져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풍량조절용 블레이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첫째; 블레이드와 바를 일체형으로 제작하여 금형 투자비의 최소화와 조립공정의 단순화로 작업효율을 증대하도록 하는 것이며, 둘째; 블레이드에 별도의 돌기부를 형성하고 바에는 여분의 고정 홈을 형성하여 과다한 사용으로 힌지부가 파손될 경우 사용자가 모든 블레이드로부터 바를 분리한 후 바의 고정 홈에 블레이드의 돌기부를 삽입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컨의 풍향 조절용 블레이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돌기부와 상,하부로 스윙을 유도하는 축심과 힌지부를 형성한 다수의 블레이드와, 상기 블레이드의 돌출부에 대응되는 다수의 고정 홈을 형성한 바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사용중 블레이드와 바의 힌지부가 파손될 경우 블레이드의 돌기부를 바의 고정 홈에 삽입하여 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에어콘에 본 고안의 풍향 조절용 블레이드 장착 상태도
도 2는 본 고안 풍량 조절용 블레이드의 사용예
도 3은 본 고안 풍향 조절용 블레이드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본 고안에 대한 사용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 풍향 조절용 블레이드의 측면도
도 6은 일반적인 창문형 에어컨의 단면도
도 7은 블레이드와 바를 일체형으로 구성한 종래의 풍향 조절용 블레이드
도 8은 종래 풍향 조절용 블레이드의 다른 실시예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블레이드 11 : 돌기부
12 : 축심 13 : 힌지부
14 : 손잡이 15 : 날개
20 : 바 21 : 고정 홈
이하 본 고안인 에어컨의 풍향 조절용 블레이드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에어콘에 본 고안의 풍향 조절용 블레이드가 장착 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30)와 이 흡입구(3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를 에어컨(100) 내부에서 냉각하여 토출하는 토출구(40)측의 내면으로 장착되는 것으로, 블레이드(10)는 바(20)에 세워진 상태에서 일체로 형성되며 블레이드(10)의 상,하부의 축심(12)을 에어컨 몸체(100)에 형성되어진 요홈(41)에 끼워 삽입하여 조립하고, 토출구(40)를 에어컨 몸체(100)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풍량 조절용 블레이드의 사용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사용중 블레이드(10)의 힌지부(13)가 파손될 경우, 블레이드(10)를 바(20)에서 분리하여 블레이드(10)의 돌기부(11)를 바(20)의 고정 홈(21)에 삽입하여 재 사용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 풍향 조절용 블레이드의 평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부(13)를 중심으로 바(20)와 블레이드(10)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고, 바(20)에는 다수의 고정 홈(21)이 블레이드(10)에는 스윙을 유도하는 축심(12)과 바(20)의 고정 홈(21)에 대응되는 숫자로 돌기부(11)를 형성하고 있다. 또한 블레이드(10) 중 하나에는 수동으로 조작하여 좌,우로 풍향을 조절할 수 있는 손잡이(14)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도 4는 도 2의 본 고안에 대한 사용예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10)의 돌기부(11)를 바(20)의 고정 홈(21)에 끼워 재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고안 블레이드의 측면도로서 본 고안의 블레이드(10)는 상,하부로는 블레이드(10)의 스윙을 유도하기 위한 축심(12)과 일측 가운데 부분에는 원추형으로 구성된 돌기부(11)를 형성하고, 바(20)와 결합되는 힌지부(13)가 형성되며 타측으로는 손잡이(14)를 형성하고 있다.
바(20)에는 장방향으로 형성되고 장방향의 중앙으로는 블레이드(10) 돌기부(11)의 원추형부분이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고정 홈(21)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풍향 조절용 블레이드의 작용을 설명한다.
본 고안의 풍향 조절용 블레이드는 사용자가 에어컨에서 토출되어지는 냉각된 공기의 방향을 바꾸고자 할 때, 블레이드(10)의 손잡이(14)를 잡고 좌,우로 스윙을 하면 블레이드(10)는 축심(12)을 중심으로 손잡이(14)의 방향에 따라 좌,우로 유도되어져 블레이드(10)의 날개(15)가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향하게 되어진다. 따라서 에어컨 내부의 송풍팬(도시 없음)의 회전으로 에어컨 외부로 토출되는 바람은 블레이드(10)의 날개(15)방향을 타고 토출구(40)를 통하여 외부로 나오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사용예로서, 블레이드(10)의 과도한 사용 등으로 인하여 블레이드(10)의 힌지부(13)가 파손될 경우, 바(20)에서 블레이드(10)를 분리하여 블레이드(10)의 돌기부(11)를 바(20)의 고정 홈(21)에 끼워 재 사용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에어컨의 풍향 조절용 블레이드는 블레이드와 바의 연결 이음부가 힌지형으로 일체로 구성함으로서 초기 금형 투지비의 최소화와 조립공정의 단순화로 인한 작업시간의 단축을 가져오며, 힌지부의 파손시 블레이드를 바에서 분리하여 재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수리비용의 감소와 재활용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에어컨의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블레이드에 있어서, 돌기부(11)와 상,하부로 스윙을 유도하는 축심(12)과 힌지부(13)를 형성한 다수의 블레이드(10)와, 상기 블레이드(10)의 돌출부(11)에 대응되는 다수의 고정 홈(21)을 형성한 바(20)를 일체형으로 구성하여 사용중 블레이드(10)와 바(20)의 힌지부(13)가 파손될 경우 블레이드(10)의 돌기부(11)를 바(20)의 고정 홈(21)에 삽입하여 재 사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풍향 조절용 블레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0)의 돌출부(11)를 원추형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풍향 조절용 블레이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10) 중 하나에는 손잡이(14)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의 풍향 조절용 블레이드.
KR2019980008584U 1998-05-22 1998-05-22 에어컨의 풍향 조절용 브레이드 Ceased KR19990041649U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584U KR19990041649U (ko) 1998-05-22 1998-05-22 에어컨의 풍향 조절용 브레이드
PCT/KR1998/000194 WO1999061846A1 (en) 1998-05-22 1998-07-03 Air flow direction-control apparatus of a window-type air conditioner
CN98116720A CN1128959C (zh) 1998-05-22 1998-07-29 窗式空调器的气流方向控制装置
US09/133,383 US6113487A (en) 1998-05-22 1998-08-13 Air-flow direction-control apparatus of a window type air conditio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8584U KR19990041649U (ko) 1998-05-22 1998-05-22 에어컨의 풍향 조절용 브레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1649U true KR19990041649U (ko) 1999-12-27

Family

ID=195347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8584U Ceased KR19990041649U (ko) 1998-05-22 1998-05-22 에어컨의 풍향 조절용 브레이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113487A (ko)
KR (1) KR19990041649U (ko)
CN (1) CN1128959C (ko)
WO (1) WO19990618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5555B1 (en) 2002-09-11 2004-02-03 Lear Corporation Climate control system outlet
KR100790394B1 (ko) 2006-09-05 2008-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벽걸이형 공기조화기
US20110039490A1 (en) * 2009-08-12 2011-02-17 James Wiese Window Fan
FR2956065B1 (fr) * 2010-02-10 2012-04-20 Faurecia Interieur Ind Dispositif de sortie d'air pour planche de bord de vehicule automobile
CN102762077A (zh) * 2011-04-28 2012-10-31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风扇模组及其导风罩
JP5404713B2 (ja) * 2011-08-11 2014-02-05 三菱電機株式会社 左右風向調整装置およびこれを装備した空気調和機の室内機
CN102607152A (zh) * 2012-04-18 2012-07-25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器室内机的导风结构
CN103644636B (zh) * 2013-12-16 2016-04-20 海信(山东)空调有限公司 送风导向装置及空调
JP6157407B2 (ja) * 2014-05-21 2017-07-05 三菱電機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風向調整装置および空気調和機
JP2018151079A (ja) * 2017-03-10 2018-09-27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空調機システム
CN112648207A (zh) * 2020-12-31 2021-04-13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出风框体、机头组件、风扇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2149A (en) * 1968-02-14 1969-10-14 Whirlpool Co Airflow control means
US3735691A (en) * 1972-01-07 1973-05-29 Ford Motor Co Louver assembly
US4702156A (en) * 1984-11-19 1987-10-27 Nihon Plast Co., Ltd. Ventilator grill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JPS61128059A (ja) * 1984-11-26 1986-06-16 Nippon Plast Co Ltd 風向調整装置
US5046406A (en) * 1990-05-11 1991-09-10 Whirlpool Corporation Adjustable louver assembly for a room air conditioner
US5338252A (en) * 1993-05-06 1994-08-16 Manchester Plastics, Ltd. Air outlet louver assembly
US5676438A (en) * 1993-06-15 1997-10-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Earth system for a window-type air conditioner
JP3366087B2 (ja) * 1993-11-30 2003-01-14 森六株式会社 空調用吹出口装置の二段射出成形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8959C (zh) 2003-11-26
WO1999061846A1 (en) 1999-12-02
CN1236881A (zh) 1999-12-01
US6113487A (en)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6989B2 (en) Air conditioner
KR100574860B1 (ko) 에어컨 실내기의 송풍팬 구조
KR102025993B1 (ko) 스탠드형 공기조화기
KR19990041649U (ko) 에어컨의 풍향 조절용 브레이드
KR100504485B1 (ko) 공기조화기 및 그의 운전방법
KR100470485B1 (ko) 천정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
KR20020027965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송풍구조
KR20030084358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
KR200231321Y1 (ko) 분리형에어컨의풍량조절용스태빌라이저
KR100719934B1 (ko) 공조장치용 블로어 휠 유니트
KR100550547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토출부 구조
WO2005040686A2 (en) Window type air conditioner
KR200335271Y1 (ko) 에어콘 실외기의 공기가이드구조
KR200198157Y1 (ko) 공기조화기의토출풍향조절구조
KR200323967Y1 (ko) 창문형 에어컨
KR100289120B1 (ko) 공기조화기
KR0122718Y1 (ko) 공기조화기용 실외기의 토출장치
KR19980026933U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170250Y1 (ko) 집중 냉방식 원통형 에어컨
KR200186561Y1 (ko) 공기조화기
KR0128922Y1 (ko) 공기조화기의 모터 지지대
KR20000007610U (ko) 창문형 에어컨의 풍향조절용 블레이드 연결바
KR20040045096A (ko) 공기조화기의 루버 보호 구조
KR200215772Y1 (ko) 독립 구동모터를 갖는 에어컨용 블레이드
KR20150101773A (ko) 송풍장치 및 이를 적용한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980522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980522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20000329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U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E06011S01D

Patent event date: 200007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