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1658U - Speaker with duct integrated frame - Google Patents

Speaker with duct integrated fr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1658U
KR19990001658U KR2019970015134U KR19970015134U KR19990001658U KR 19990001658 U KR19990001658 U KR 19990001658U KR 2019970015134 U KR2019970015134 U KR 2019970015134U KR 19970015134 U KR19970015134 U KR 19970015134U KR 19990001658 U KR19990001658 U KR 1999000165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aker
frame
plate
duct
integral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5134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봉진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20199700151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1658U/en
Publication of KR1999000165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1658U/en

Links

Landscapes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덕트 일체형 프레임을 갖는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인 구성은, 프레임(8)의 상단부를 연장하여 디퓨져 형의 연결관(10)을 일체로 설치하며, 상기 연결관(10)을 스피커 박스(11)의 내측에 형성되는 결합홀(12)의 내측에 결합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having an integrated duct frame, the technical configuration of which extends the upper end of the frame (8) to install a diffuser-type connection tube (10) integrally, the connector tube 10 is a speaker box It is a summary to couple to the inside of the coupling hole 12 formed in the inside of (11).

Description

덕트 일체형 프레임을 갖는 스피커Speaker with duct integrated frame

본 고안은 스피커가 결합되는 스피커 박스에 별도의 덕트 사용없이 스피커의 전방에 덕트의 역할을 수행도록 하는 별도의 연결관을 일체로 설치하여 스피커의 저역 재생한계를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in which a speaker box to which the speaker is coupled is provided with a separate connector to integrally install a duct in front of the speaker without using a separate duct to further improve the low range reproduction limit of the speaker. will be.

이는 특히, 중앙부에 폴이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마그네트와 상부 플레이트가 순차로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내 주연에 보이스코일이 권선되는 보빈이 설치되어 그 주연에 진동판이 연결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프레임이 결합되어 그 내측에 진동판의 상단이 엣지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를 연장하여 디퓨져 형의 연결관을 일체로 설치하는 덕트 일체형 프레임을 갖는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In particular, the magnet and the upper plate is sequential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in which the pole is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the bobbin is wound around the inner coil of the upper plate is installed, the diaphragm is connected to the periphery of the upper plate, the upper The frame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plate and the inner edge of the diaphragm is coupled to the edge, and extends the upper end of the frame having a duct integral frame for integrally installing a diffuser-type connector.

이에 따라서, 프레임의 상단을 일체로 연장하는 디퓨져형의 연결관을 일체로 설치하는 구성으로 덕트장치의 제작이 극히 용이하고, 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관의 길이 조정에 의해 저역 재생한계 및 고역 재생한계등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조정가능토록 하며, 연결관에 의해 스피커 박스의 내측에 별도의 덕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연결관에 의해 저역 재생한계의 증대를 위한 스피커 박스의 용적확대가 필요없어 스피커 박스를 소형화 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the duct apparatus is extremely easy to fabricate by integrally installing a diffuser type connecting tube which extends the upper end of the frame, and the low pass regeneration limit and the high range are controlled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nnecting tube formed at the end of the frame. The reproduction limit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and there is no need to install a separate duct inside the speaker box by the connector, and also increase the volume of the speaker box to increase the low range reproduction limit by the connector. This eliminates the need for a compact speaker box.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스피커의 구조에 있어서는, 마그네트가 내장된 요크(YOKE)와 보이스 코일이 감겨진 보빈(BOBBIN)으로 구성된 자기회로부, 상기 자기회로부의 상단부 주연에 내주연이 연결되는 진동플레이트,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진동을 조정하는 댐퍼 및 댐퍼의 일단이 고정되는 프레임, 상기 진동플레이트의 상단부 주연을 고정토록 하는 엣지로서 스피커가 구성되는 것이다.In a generally known structure of a speaker, a magnetic circuit portion consisting of a yoke with a magnet built therein and a bobbin wound with a voice coil, a vibration plate having an inner circumference connected to the upper edge of the magnetic circuit portion, and the vibration The damper for adjusting the vibration of the plate and the frame is fixed to one end of the damper, the speaker is configured as an edge for fixing the upper edge of the upper end of the vibration plate.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스피커에 있어서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피커(55)의 내측에 마그네트가 내장된 요크및 보이스 코일이 권선된 보빈으로 구성된 자기회로부가 설치되어 그 중심에 설치되는 진동플레이트가 보빈의 주연에 본딩됨과 동시에 그 상단부 주연이 엣지에 의해 프레임(51)에 지지되고, 상기 프레임(51)의 상단이 스피커 박스(52)의 일측에 형성되는 결합홀(53)의 내측면에 일체로 결합되며, 상기 스피커 박스(52)의 저면에 덕트(54)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In the conventional speaker related to such a technique, as shown in FIG. 1, a magnetic circuit part including a yoke with a magnet built in and a bobbin with a winding of a voice coil is installed inside the speaker 55 and installed at the center thereof. While the plate is bonded to the periphery of the bobbin and at the same time the upper edge is supported on the frame 51 by the edge, the upper surface of the frame 51 is the inner surface of the coupling hole 53 formed on one side of the speaker box 52 It is integrally coupled to, and is mad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duct 54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peaker box 52.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피커는, 스피커(55)의 프레임(51) 내측에 설치되는 보이스 코일에 전류가 인입되면 전류의 강약에 따라 자화된 보이스 코일이 마그네트와의 상호 반발작용으로 상,하 이송되며, 상기 보이스 코일의 움직임에 의해 보이스 코일이 권선되는 보빈이 그 주연에 일체로 연결되는 진동플레이트을 진동시키고, 상기 진동플레이트와 공기와의 압력 변화로 음압의 변화 즉 음을 발생시키며, 상기 프레임(51)은 스피커박스(52) 내측에 형성되는 결합홀(53)에 결합되는 되는 것이다.In the conventional speaker as described above, when a current enters the voice coil installed inside the frame 51 of the speaker 55, the voice coil magnetize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current is transferred up and down by mutual reaction with the magnet. By virtue of the movement of the voice coil, a bobbin to which the voice coil is wound vibrates a vibrating plate which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ircumference thereof, and generates a change in sound pressure, that is, sound by the change of pressure between the vibrating plate and air, and the frame 51 ) Is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hole (53) formed inside the speaker box (52).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스피커는, 스피커(55)를 스피커 박스(52)에 결합한후 저음 보강을 위하여 별도의 덕트(54)를 설치하여야 함으로써 결합시간과 공정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피커 박스(54)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는 등의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던 것이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peaker as described above, after the speaker 55 is coupled to the speaker box 52, a separate duct 54 must be installed to reinforce the bass, thereby increasing the coupling time and the process, and thus the speaker box. There were many problems such as an increase in the volume of (54).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프레임의 상단을 일체로 연장하는 디퓨져형의 연결관을 일체로 설치하는 구성으로 제작이 극히 용이하고, 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관의 길이 조정에 의해 저역 재생한계 및 고역 재생한계등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조정가능토록 하며, 연결관에 의해 스피커 박스의 내측에 별도의 덕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스피커 박스를 소형화 할 수 있도록 한 덕트 일체형 프레임을 갖는 스피커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improve the various conventional problems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which is the installation of the diffuser-type connecting pipe integrally extending to the upper end of the frame integrally is very easy to manufacture, the end of the frame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nnector formed on the connector, the low and high regeneration limit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and the speaker box does not need to install a separate duct inside the speaker box.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eaker having an integrated duct frame.

도1은 종래의 스피커가 장착되는 스피커 박스를 도시한 측면 구조도1 is a side structural view showing a speaker box in which a conventional speaker is mounted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박스를 도시한 측면 구조도Figure 2 is a side structural view showing a speaker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조도Figure 3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diagram showing a speaker coupling st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조도Figure 4 is a cross-sectional structure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speak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폴2. 하부 플레이트Paul 2. Bottom plate

3. 마그네트4. 상부 플레이트Magnet 4. Upper plate

5. 보이스코일6. 보빈5. Voice coil 6. Bobbin

7. 진동판8. 프레임7. Diaphragm 8. frame

9. 엣지10,13. 연결관9. Edge 10,13. Connector

11. 스피커 박스11. Speaker box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마그네트와 상부 플레이트가 순차로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내 주연에 보빈이 설치되어 그 주연에 진동판이 연결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상측면에 프레임이 결합되어 그 내측에 진동판의 상단이 엣지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를 연장하여 디퓨져 형의 연결관을 일체로 설치하는 덕트 일체형 프레임을 갖는 스피커를 제공한다.As a technical configura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 and the upper plate is sequential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the bobbin is installed on the inner periphery of the upper plate is connected to the diaphragm on the periphery, the upper A frame is coupled to an upper side of the plate, and an upper end of the diaphragm is coupled to an inner edge thereof, and a speaker having a duct integrated frame which extends an upper end of the frame and integrally installs a diffuser connector.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 박스를 도시한 측면 구조도이고,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스피커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조도이며, 도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피커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조도로서 본 고안은, 중앙부에 폴(1)이 형성되는 하부 플레이트(2)의 상측에 마그네트(3)와 상부 플레이트(4)가 순차로 결합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4)의 내 주연에 보이스코일(5)이 권선되는 보빈(6)이 설치되어 그 주연에 진동판(7)이 연결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4)의 상측면에 프레임(8)이 결합되어 그 내측에 진동판(7)의 상단이 엣지(9) 결합되고, 상기 프레임(8)의 상단부를 연장하여 디퓨져 형의 연결관(10)을 일체로 설치하며, 상기 연결관(10)을 스피커 박스(11)의 내측에 형성되는 결합홀(12)의 내측에 결합한다.Figure 2 is a side structural view showing a speaker box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spea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upling state of the speak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ross-sectional structural view show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gnet 3 and the upper plate 4 are sequentially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2 in which the pole 1 is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the inner side of the upper plate 4 is disposed. The bobbin 6 is wound around the periphery of the voice coil 5 is installed, and the diaphragm 7 is connected to the periphery thereof, and the frame 8 is coupled to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4 so that the diaphragm ( The upper end of the 7) is coupled to the edge (9), and extends the upper end of the frame (8) to install a diffuser-type connector (10) integrally, the connector (10) inside the speaker box 11 It is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oupling hole 12 formed in.

또한, 상기 프레임(8)의 상단부에 노출형의 연결관(13)이 일체로 연결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In addition, the upper end of the frame 8 is made of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exposed connection pipe 13 is integrally installed.

이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osed of such a structure as follows.

도2 내지 도4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빈(6)의 상단부 주연에는 진동플레이트(7)의 저부 일측면 주연이 일체로 접촉토록되어 보빈(6)과 진동플레이트(7)를 일체로 연결토록 하며, 상기 보이스코일(5)과 마그네트(3)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하 이동시 진동플레이트(7)를 일체로 진동토록 한다.2 to 4, the peripheral edge of the bottom side of the vibrating plate 7 is integrally in contact with the upper edge of the bobbin 6 to connect the bobbin 6 and the vibrating plate 7 integrally. The vibration plate 7 vibrates up and down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voice coil 5 and the magnet 3.

또한, 상기 보빈(6)에 권선된 보이스 코일(5)에 전류가 인입되면 전류의 강약에 따라 자화된 보이스 코일(5)이 마그네트(3)와의 상호 반발작용으로 상,하 이송되어 이에 일체로 고정되는 보빈(6)을 상,하이송시키며, 상기 보이스 코일(5)의 움직임에 의해 보빈(6)에 일체로 연결되는 진동플레이트(7)을 진동시키고, 상기 진동플레이트(7)와 공기와의 압력 변화로 음압의 변화 즉 음을 발생시키게 된다.In addition, when a current enters the voice coil 5 wound on the bobbin 6, the voice coil 5 magnetized according to the strength of the current is transferred up and down by mutual reaction with the magnet 3, thereby integrally The bobbin 6 to be fixed up and down, vibrating the vibrating plate (7)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obbin (6) by the movement of the voice coil (5), and the vibrating plate (7) and air The change in pressure causes the change in sound pressure, ie sound.

계속하여, 상기 진동플레이트(7)는, 엣지(9)에 의해 프레임(8)에 결합되어 진동플레이트(7)의 진동이 용이하게 하며, 상기 프레임(8)의 상단부에 디퓨져형의 연결관(10)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진동플레이트(7)에서 방출되는 음이 연결관(10)을 통과 함으로써 별도의 덕트가 필요없이도 저음효율을 가일층 증가 시킬 수 있고, 프레임(8)의 단부에 연결되는 노즐형의 연결관(13)은, 음의 지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Subsequently, the vibrating plate 7 is coupled to the frame 8 by an edge 9 to facilitate vibration of the vibrating plate 7, and to the upper end of the frame 8 a diffuser connector ( 10) is integrally formed so that the sound emitted from the vibrating plate 7 passes through the connecting pipe 10 can further increase the low sound efficiency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duct, and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frame 8 The nozzle-type connecting pipe 13 can improve negative directivity.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덕트 일체형 프레임을 갖는 스피커에 의하면, 프레임의 상단을 일체로 연장하는 디퓨져형 또는 노즐형의 연결관을 일체로 설치하는 구성으로 제작이 극히 용이하고, 프레임의 단부에 형성되는 연결관의 길이 조정에 의해 저역 재생한계 및 고역 재생한계등을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조정가능토록 하며, 연결관에 의해 스피커 박스의 내측에 별도의 덕트를 설치할 필요가 없어 스피커 박스를 소형화 할 수 있는 등의 우수한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peaker having the duct-integrated fr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user-type or nozzle-type connecting tube which integrally extends the upper end of the frame is integrally installed and is extremely easy to manufacture, and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rame.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connector, the low and high regeneration limits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user's preference, and the speaker box does not need to install a separate duct inside the speaker box. It has such an excellent effect.

Claims (3)

하부플레이트(2)의 상측에 마그네트(3)와 상부플레이트(4)를 순차로 접합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4)의 상측을 내주연에 진동플레이트(7)가 설치되는 프레임(8)에 연결하는 스피커에 있어서,The magnet 3 and the upper plate 4 are sequentially joined to the upper side of the lower plate 2, and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4 is connected to the frame 8 on which the vibrating plate 7 is installed at the inner circumference. In the speaker to say, 상기 프레임(8)의 상단부를 연장하여 연결관(10)을 일체로 설치하며, 상기 연결관(10)을 스피커 박스(11)의 내측에 형성되는 결합홀(12) 내측에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일체형 프레임을 갖는 스피커.Extending the upper end of the frame 8 to install the connector 10 integrally, characterized in that for coupling the connector 10 in the coupling hole 12 formed inside the speaker box (11). A speaker having an integrated duct fram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0)은, 디퓨져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일체형 프레임을 갖는 스피커.The speaker having a duct integrated fram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on pipe (10) is formed in a diffuser shap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10)은, 노즐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덕트 일체형 프레임을 갖는 스피커.The speaker having a duct integrated fram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necting pipe (10) is formed in a nozzle shape.
KR2019970015134U 1997-06-20 1997-06-20 Speaker with duct integrated frame KR19990001658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134U KR19990001658U (en) 1997-06-20 1997-06-20 Speaker with duct integrated fr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5134U KR19990001658U (en) 1997-06-20 1997-06-20 Speaker with duct integrated fram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1658U true KR19990001658U (en) 1999-01-15

Family

ID=69690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5134U KR19990001658U (en) 1997-06-20 1997-06-20 Speaker with duct integrated fr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1658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99202B2 (en) Loudspeaker with cone-coupled damper
KR19980058034A (en) Car Audio's two-way speaker integrated structure
WO2009093777A1 (en) Flate speaker
KR19990001658U (en) Speaker with duct integrated frame
WO2024000685A1 (en) Coaxial loudspeaker
CN109982222B (en) Miniature telephone receiver
JPH0974599A (en) Speaker device
JP2006100879A (en) Ring type speaker
KR200170016Y1 (en) Duct in speaker
CN215601459U (en) Loudspeaker and sound box
CN216291430U (en) External mounted super high sound horn
KR20000002761U (en) Vibration Plate Fixing Device for Flat Speakers
KR0172702B1 (en) Speaker having bobbin wound hexagonal section voice coil
KR200170015Y1 (en) Speaker with double diaphragm
KR950006187Y1 (en) Speaker frame
KR100262480B1 (en) A low sound reproduction system of plane speaker.
KR19990019910U (en) TV Speaker Structure
KR200168099Y1 (en) Speaker
WO2024044921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sound production function
KR0169575B1 (en) Ultra-thin type speaker
JP2000253490A (en) Loudspeaker and loudspeaker system
WO2024000686A1 (en) Coaxial speaker
KR19990001653U (en) Speaker Frequency Control
KR900009198B1 (en) Dynamic speaker
KR19990001657U (en) Magnetic circuit coupling structure of ND (Neodymium) speak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