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0765A - 냉장고의 냉장실 냉기공급구조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냉장실 냉기공급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0765A
KR19990000765A KR1019970023845A KR19970023845A KR19990000765A KR 19990000765 A KR19990000765 A KR 19990000765A KR 1019970023845 A KR1019970023845 A KR 1019970023845A KR 19970023845 A KR19970023845 A KR 19970023845A KR 19990000765 A KR19990000765 A KR 19990000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air
door
refrigerator
refrigerating chambe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3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상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23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0765A/ko
Priority to DE69832212T priority patent/DE69832212T2/de
Priority to EP03007769A priority patent/EP1323993B1/en
Priority to DE69826562T priority patent/DE69826562T2/de
Priority to EP98108545A priority patent/EP0881441B1/en
Priority to CNB981019846A priority patent/CN1138955C/zh
Priority to JP14778898A priority patent/JP3391701B2/ja
Priority to US09/085,007 priority patent/US5979174A/en
Publication of KR19990000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765A/ko

Links

Landscapes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냉장실로 냉기를 입체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냉장고의 냉기 공급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냉기공급구조는, 냉장실 후방의 멀티덕트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유로 상에 분기유로를 형성하고, 냉장실 측벽 전방에 상기 분기유로의 토출측 단부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기 유로의 냉기를 공급받기 위하여 도어 측면에 입구가 성형된 도어 유로로 구성되고, 상기 도어유로는 도어바스켓 저면을 따라 냉기 토출공이 구비되어 있는 복수개의 수평 덕트로 이루어져, 상기 냉기 토출공을 통하여 냉장고의 후방 또는 도어 바스켓의 수직 하방으로 냉기가 토출되도록 한 냉장고의 냉장실 냉기 공급 구조이다.

Description

냉장고의 냉장실 냉기공급구조
제1도는 종래 냉장고의 고내부 구조를 보인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B-B선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냉기공급구조가 구비된 냉장고의 고내부구조를 보인 정면도
제5도는 제4도의 C-C선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도어 정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냉장실 측벽전반에 연통돌부 사시도
제8도는 제5도의 D-D선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베리어50 : 냉기유로
60 : 분기유로60c : 연통돌부
70 : 멀티덕트70a, 100d : 냉기 토출공
100 : 도어유로100a : 도어유로 입구
본 발명은 냉장고의 냉장실 냉기공급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장실 냉기유로상에서 분기된 분기유로와 도어내의 도어유로를 통하여 도어측에서 냉장실 후방으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냉장고의 냉장실 냉기공급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 냉장고의 냉기공급 구조는 제1도의 도어 개방 상태의 내부 정면도와, 제2도의 종단면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냉동실(3) 후방에 설치된 증발기(1)에서 열교환된 냉기 중의 일부는 송풍팬(2)의 구동에 의해 그 전방의 쉬라우드(2a)를 지나 냉동실(3)로 공급되고, 나머지의 냉기는 냉기유로(5)를 따라 냉장실(7)로 공급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냉장고의 냉장실(7)로의 냉기 공급에 있어서는, 증발기(1)에서 열교환된 냉기는, 냉동실(3)과 냉장실(7)을 구획하는 베리어(4)를 통하여 형성된 냉기유로(2)를 지나, 냉장실(7)의 후방에 설치된 멀티덕트(6)으로 보내진다. 멀티덕트(6)에서는 각각의 냉기 토출공(6a)을 통하여 냉장실(7)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일 방향으로만 냉기가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하에서 냉기 토출공(6a)를 통하여 냉장실(7) 후방에서 전방으로 토출된 냉기는, 냉장실(7)내의 더운 공기와 열 교환후, 냉장실(7) 전방상측의 베리어(4) 하면(냉장실 천정면)에 형성되어진 귀환통로(4a)를 통하여 증발기(1)로 귀환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냉기공급구조에 있어서, 내부체적이 큰 냉장실(7)은 냉기의 전체적인 순환이 문제가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냉기가 냉장실(7) 후방에서 전방으로의 일방향으로만 공급됨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냉기가 냉장실(7) 후방에서 전방으로 일방향으로 유입됨에 따라, 냉기 토출공(7a) 가까이에 놓여진 식품의 경우에는 온도가 매우 낮은 토출 냉기(약 -15도)와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과냉이 발생하는 반면에, 냉장실 도어 바스켓(8a)측에 보관된 식품은 냉기의 영향을 덜 받음에 의해 약냉이 발생하게 되어, 냉장실(7) 각 부분에 따라 고내 온도편차가 심하게 된다.
또한 계절적 요인에 의해 냉장고의 냉장실 도어(8)를 자주 개폐하는 여름철의 경우에는, 냉장실 도어(8) 개폐시마다 냉장고 외부의 더운 공기가 냉장실(7)내부로 유입되어 냉장실 도어(8)측 온도가 상승된다. 이에 의해 도어 바스켓(8a)부에 보관된 식품의 신선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냉장실내 온도 편차를 없애 냉장실의 균일한 냉각을 수행할 수 있는 냉기공급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도어바스켓 부분으로 직접 냉기 토출에 의하여, 도어측에 충분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는 냉기공급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냉장실 냉기공급구조는, 냉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유로와, 상기 냉기유로의 일측에서 분기되어 냉장실 측벽내부를 통하여 전방으로 연장되는 분기유로와, 도어에 성형되어 상기 분기유로를 통한 냉기를 도어측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입구가 도어측면에 형성된 도어유로와, 냉장실 측벽 전방면에 돌출되어 성형되고, 분기유로와 도어유로를 연통시키는 연통돌부로 구성되어, 상기 도어유로를 통하여 냉장실 후방으로 냉기가 토출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다.
그리고 도어유로는, 냉기토출을 위한 냉기토출공이 구비된 복수개의 수평 덕트가 도어 바스켓부를 따라 수평으로 형성되고, 상기 냉기토출공은 냉장실의 후방 또는 도어바스켓의 식품이 보관된 방향으로 냉기를 토출하는 방향에 선택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제4도 및 제5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실 냉기공급구조는, 증발기(10)에서 열교환된 냉기를 냉장실(80) 후방에 설치된 멀티덕트(70)로 유입시키기 위한 냉기유로(50)와, 상기 냉기유로(50)에서 분기되어 냉장실(80)전방 도어(90)측으로 연장된 분기유로(60)를 포함한다.
상기 각 냉기유로(50)와 분기유로(60)의 구조를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냉장실 후방의 멀티덕트(70)측으로 향한 냉기유로(50)는 종래 냉장고의 냉기유로와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의한 냉기유로(50)는, 베리어를 통하여 냉장실(80) 후방의 멀티덕트(70)측으로 향하고 있고, 냉장기를 냉장실(80) 후방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하는 냉기유로(50)는, 냉장실(80) 후방 뿐만 아니라 냉장실(80) 측면을 향한 냉기유로를 포함한다. 즉 종래 냉장고에 있어서, 냉장실(80)의 후방 또는 측면을 통하여 냉기를 공급하는 종래의 유로를 나타내는 의미로 사용된다.
냉기를 냉장실 전방으로 안내하는 분기유로(60)는, 베리어(40)내에서 냉기유로(50)의 일측에서 분기되어, 전방부(60a)는 베리어(40)내부를 수평으로 가로질러 전방으로 연장되고, 후방부(60b)는 냉장실(80)의 측벽을 따라 하방으로 유도된 뒤, 냉장실(80)측벽의 전방면까지 안내되어 진다. 그러나, 분기유로(60)은 상기 실시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리어(40)의 내부에서 분기될 필요는 없고, 냉장실(80) 후방의 멀티덕트(70)에서 분기되어 냉장실(80) 측벽을 따라 냉장실(80) 전방면으로 안내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한편, 냉장실(80) 측벽을 따라 설치되는 분기유로(60)는, 사출덕트를 냉장실(80) 측벽 내부로 삽입하여 설치하거나, 별도의 사출물을 제조하여 냉장실 측벽에 돌출시켜 설치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냉장실(80) 측벽 내부로 삽입한 후, 그 주위에는 단열재를 충진하여, 냉기가 상기 분기유로(60)을 따라 안내되는 경우 결빙 또는 이슬맺힘현상을 방지하고, 또한 외측에 공기와의 접촉에 의한 열 손실을 방지하도록 한다.
다음에는 제6도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의한 도어측의 도어유로(100)를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분기유로(60)에서의 냉기는 도어(90)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도어유로(100)으로 안내된다. 상기 분기유로(60)은 냉장실 측벽을 통하여 연장되어지므로, 도어유로(100)의 입구(100a)는, 분기유로(60)와의 연결을 위하여, 도어(90)의 측면에 성형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유로(100)은, 도어유로(100)의 입구(100a)에서 수직 하방으로 연장된 수직덕트(100b)와, 상기 수직덕트(100b)의 일측에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복수개의 수평덕트(100c)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유로(100)의 수평덕트(100a)에는 냉기를 토출하기 위한 냉기토출공(100d)이 복수개 성형되어 있다. 상기 냉기토출공(100d)는 도어(90)측에서 냉장실(80)의 후방을 향하여 냉기가 분출될 수 있는 방향에 성형하거나, 또는 도어바스켓(90a)의 식품이 보관된 곳으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는 방향에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의 냉기토출공(100d)는, 일부는 냉장실(80) 후방을 향하여, 다른 일부는 도어바스켓(90a)의 식품이 보관된 곳으로 냉기를 공급할 수 있는 양 방향에 성형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다음은 제7도 및 제8도를 참조하면서 상기 분기유로(60)와 도어유로(100)의 연결을 위한 연통돌부(60c)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실(80) 측벽(80a)내부에 설치되어진 분기유로(60)를 지나는 냉기는, 도어(90)측면에 성형되어진 도어유로입구(100a)를 통하여 도어유로(100)으로 전달된다. 한편 냉장고 제작에 있어서, 상기 분기유로(60)은 냉장실본체와 함께 제작되고, 도어유로(100)는 도어와 함께 제작된 후 상호 결합된다. 즉 분기유로(60)과 도어유로(100)은 각각 따로 제작하여 설치된다. 이 경우 분기유로(60)을 지나 도어유로(100)을 흐르는 냉기의 원활한 전달을 위하여, 분기유로(60)와 도어유로(100)를 연결하는 연통돌부(60c)를 냉장실측벽(80a) 전방면에 형성한다. 상기 연통돌부(60c)는, 분기유로(60)와 도어유로(100)사이의 틈새를 통한 냉기의 외부 유출이 방지되도록 하고, 냉기가 외부 공기와의 접촉에 의한 열손실이 없도록 하는 구조로 성형되어야 한다.
다음은 연통돌부(60c)의 구조를 보다 상세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 제3도는 분기유로와 연통돌부가 없는 종래 냉장고의 B-B선 단면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냉장고에 있어서는 도어(8)가 닫혔을 때, 도어의 양측면과 냉장실 양 측벽전방면이 접하는 부분(a, b)는 일정한 경사를 이루며 접하고 있다.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분기유로(60)와 연통돌부(60c)가 형성된 냉장고의 D-D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에 있어서 도어(90)가 닫힌 구조를 살펴 보면, A부는 냉장실측벽(80a)전방의 연통돌부(60c)와 도어유로입구(100a)가 연결되는 부분을 나타낸다. 연통돌부(60c)가 측벽(80a)전방면에 돌출되어 형성됨으로서, 도어(90)가 닫혔을 때, 도어(90)내에 형성된 도어유로(100)와 냉장실 측벽(80a)내부의 분기유로(60)은 완전히 밀착하여 결합되는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는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냉장실 측벽(80a) 내부를 통한 분기유로(60)에서 도어유로(100)측으로 냉기가 공급될 때, 외부로의 냉기유출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냉기가 연통돌부(60c) 내부를 통하여 지나게 되므로 외부 공기와의 접촉에 의한 열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의한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에 의한 냉장실 냉기 공급 과정을 살펴보면, 냉장실(80)으로 유입된 냉기중 일부는 냉장실(80) 후방측에 냉기유로(50)으로 유도되어지고, 나머지는 도어(90)측의 분기유로(60)으로 유도되어진다. 상기 냉기유로(50)을 통하여 유도 되어진 냉기는 냉장실(80) 후방의 멀티덕트(70)으로 이동되어져, 멀티덕트(70)상에 형성된 냉기토출공(70a)을 통하여 냉장실(80)후방에서 전방으로 냉기토출이 이루어진다.
분기유로(60)을 통하여 유도되어진 냉기는 베리어(40) 내의 통로를 지나 냉장실측벽(80a) 전방면에 형성된 연통돌부(60c)를 통하여 도어유로(100)으로 전달되어진다.
도어(90)측으로 전달되어진 냉기는 도어유로(100)의 수직덕트(100b)와 수평덕트(100c)를 통하여 이동하게 되고, 도어바스켓(90a) 저면에 위치한 수평덕트(100c)상에 형성된 냉기토출공(100d)를 통하여 냉장실(80) 후방 또는 도어바스켓(90a)부로 냉기가 공급된다.
이와같이 냉장실(80)후방을 향한 냉기유로(50)와 냉장실 전방의 분기유로(60)을 통하여 냉장실(80)의 전, 후방에서 토출된 냉기는, 고내의 더운 공기와 열교환후 베리어(40) 하면에 형성된 냉기 귀환 통로(미도시)를 통하여 증발기(10)로 귀환됨으로서 냉장실(80)의 냉각 기능이 수행되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냉장실의 냉기공급 구조에서는, 냉장실 내로의 냉기 공급이 냉장실 전, 후방을 통하여 이루어짐으로서 냉장실 고내의 온도 편차를 없애주어 고내를 고르게 냉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어 바스켓 근처에서 냉기가 토출됨에 의해 도어의 잦은 개폐로 인해서 도어 바스켓에 보관된 식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냉장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유로와 ;
    상기 냉기유로의 일측에서 분기되고, 냉장실 전방으로 연장되는 분기유로와 ;
    도어에 성형되고, 상기 분기유로를 통한 냉기를 도어측으로 인도하기 위하여, 입구가 도어측면에 형성된 도어유로와 ;
    냉장실 측벽 전방면에 돌출되어 성형되고, 상기 분기유로와 도어유로를 연통시키는 연통돌부로 구성되어 ;
    상기 도어유로를 통하여 냉장실 후방으로 냉기가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냉장실 냉기 공급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유로는 냉기토출을 위한 냉기토출공이 구비된 복수개의 수평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수평덕트는 도어바스켓부를 따라 수평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냉장실 냉기 공급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기 토출공은 냉장실의 후방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방향으로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냉장실 냉기공급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냉기 토출공은 도어 바스켓의 식품이 보관된 곳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방향에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냉장실 냉기공급구조
  5. 제2항에 있어서, 냉기 토출공은 냉장실 후방과 도어 바스켓의 식품이 보관된 곳의 양측으로 냉기를 공급하는 양 방향에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냉장실 냉기 공급구조
KR1019970023845A 1997-05-28 1997-06-10 냉장고의 냉장실 냉기공급구조 KR19990000765A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3845A KR19990000765A (ko) 1997-06-10 1997-06-10 냉장고의 냉장실 냉기공급구조
DE69832212T DE69832212T2 (de) 1997-05-28 1998-05-11 Kühlschrank
EP03007769A EP1323993B1 (en) 1997-05-28 1998-05-11 Refrigerator
DE69826562T DE69826562T2 (de) 1997-05-28 1998-05-11 Kühlluftversorgungseinrichtung für Kühlschrank
EP98108545A EP0881441B1 (en) 1997-05-28 1998-05-11 Refrigerated air supply apparatus for refrigerator
CNB981019846A CN1138955C (zh) 1997-05-28 1998-05-26 冰箱用的冷却空气供应装置
JP14778898A JP3391701B2 (ja) 1997-05-28 1998-05-28 冷蔵庫の冷気供給構造
US09/085,007 US5979174A (en) 1997-05-28 1998-05-28 Refrigerated air supply apparatus for refriger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3845A KR19990000765A (ko) 1997-06-10 1997-06-10 냉장고의 냉장실 냉기공급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765A true KR19990000765A (ko) 1999-01-15

Family

ID=65999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3845A KR19990000765A (ko) 1997-05-28 1997-06-10 냉장고의 냉장실 냉기공급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076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6347A (en) Intermediate temperature storage chamber
US5960641A (en) Cold air circulation device of refrigerator
KR200207421Y1 (ko) 냉장고의 냉기유통구조
KR19990000765A (ko) 냉장고의 냉장실 냉기공급구조
JP4008555B2 (ja) 冷蔵庫の冷気循環構造
KR100597676B1 (ko) 냉장고
KR20000016404U (ko) 냉장고의 냉기유통구조
KR100202606B1 (ko) 냉장고의 냉동실 냉기순환장치
KR100389381B1 (ko) 냉장고의냉기공급구조
KR100239769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100763153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200155506Y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200155507Y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100455417B1 (ko) 냉장고의 냉기순환구조
KR19980085241A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CN220567590U (zh) 一种电冰箱冷藏风道装置
KR100235439B1 (ko) 냉장고의 냉기공급구조
KR100220394B1 (ko) 냉장고의 냉장실 냉기공급 구조
KR200207422Y1 (ko) 냉장고의 냉기토출구
KR19990040766U (ko) 냉장고의 냉기덕트
KR200292004Y1 (ko) 냉장고
KR200142505Y1 (ko) 냉장고
KR100366493B1 (ko) 냉장고의냉기공급구조
KR100324510B1 (ko) 냉장고의외부공기유입방지구조
KR200184118Y1 (ko) 냉장고의 냉기유로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