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0737U - 고주파 발진장치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고주파 발진장치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0737U
KR19990000737U KR2019970014089U KR19970014089U KR19990000737U KR 19990000737 U KR19990000737 U KR 19990000737U KR 2019970014089 U KR2019970014089 U KR 2019970014089U KR 19970014089 U KR19970014089 U KR 19970014089U KR 19990000737 U KR19990000737 U KR 1999000073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high frequency
frequency oscillator
fixing structure
anod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40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140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0737U/ko
Publication of KR1999000073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737U/ko

Links

Landscapes

  • Microwave Tub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고주파 발진장치의 마그네트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고주파 발진장치의 상하부 요우크에 형성된 돌기, 비딩, 슬릿포밍 등과 고정부재에 의해 마그네트의 외주면이 체결되므로써, 고주파 발진장치 내에 마그네트를 유동없이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고주파 발진장치 내의 작용공간에 균일한 자계를 발생하여 고주파 발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주파 발진장치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본 고안은 고주파 발진장치의 마그네트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 마그네트의 위치를 고정시켜 고주파 발진장치로부터 안정된 고주파가 발진되도록 한 고주파 발진장치의 마그네트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주파 발진장치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고전압에 의해 초고주파를 발생하는 것으로서, 의료용, 전자렌지용, 기타 가열용에 사용되는 2450MHz의 고주파를 발생하는 고주파 발진장치와 공업용 가열렌지, 연속파 레이다에 사용되는 915MHz의 고주파를 발생하는 고주파 발진장치로 구분된다.
한편, 종래의 통상적인 고주파 발진장치는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파이프 등에 의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양극몸체(13)의 내부에는 고주파성분을 유기시키도록 복수개의 공동공진기를 형성하는 다수(통상적으로, 짝수개임)개의 베인(15)이 중심방향을 향하여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잇고, 이들 양극몸체(13)와 베인(15)에 의해 양극(16)이 형성된다.
그리고, 베인(15)의 선단부측에는 상하부에 각각 캐패시턴스를 변화시켜 일정한 공진주파수를 얻기 위해 내측 및 외측균압링(15a,15b)이 베인(15)을 하나 걸러서 각각 접속되어 있고, 양극몸체(13)의 중심축 근처에는 다수개의 베인(15)의 선단부와 필라멘트(17)사이에 작용공간(1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작용공간(12)내에는 고열을 발생하도록 텅스텐(W)과 산화토륨(ThO2)을 혼합소결시켜 나선형상으로 권회된 필라멘트(17)가 양극몸체(13)와 동축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필라멘트(17)의 양단부에는 발진에 기여하지 못하는 열전자가 중심축 방향으로 방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및 하부엔드햇(20,21)이 고착되어 있고, 하부엔드햇(21)의 중앙부에는 몰리브덴제의 중앙지지체인 제1캐소드지지대(23)가 관통구멍을 통해 상부엔드햇(20)의 하단부에 용접고착되어 있으며, 하부엔드햇(21)의 바닥면에는 몰리브덴제의 제2캐소드지지대(25)가 용접고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1캐소드지지대(23)는 필라멘트(17)의 중심축을 관통하면서 상부엔드햇(20)을 지지하고, 제1 및 제2캐소드지지대(23,25)는 고주파 발진장치의 음극을 지지고정하는 절연세라믹(27)에 형성된 관통구멍을 통해 전원단자(30b,32b)에 접속되어 있는 외부접속단자(29,3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필라멘트(17)에 전류를 공급하는 필라멘트전극이다.
또한, 외부접속단자(29,31)에는 쵸크코일(30,32)의 일단부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고, 쵸크코일(30,32)의 타단부에는 박스필터의 측벽부에 배설되어 있는 캐패시터(34)와 접속되어 있으며, 초크코일(30,32)내에는 노이즈를 흡수하는 페라이트(30a,32a)가 쵸크코일(30,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양측몸체(13)의 상하부 양측개구부에는 필라멘트(17)와 베인(15)에 의해 형성되는 작용공간(12)내에 균일한 자속을 형성하기 위해 자로를 형성하는 깔대기형상의 자성체인 상부 및 하부폴피스(33,35)가 용접고착되어 있고, 상부 및 하부폴피스(33,35)의 상하부에는 상부 및 하부실드컵(37,39)이 각각 기밀하게 용접고착되어 있으며, 상부 및 하부실드컵(37,39)의 상하부에는 양극몸체(13)의 내부를 진공으로 밀봉하기 위하여 안테나세라믹(45) 및 절연세라믹(27)이 기밀하게 용접고착되어 있다.
또한, 상부 및 하부실드컵(37,39)의 외측면에는 양극몸체(13)내에 일정한 자계분포를 유지시키기 위한 링형상의 마그네트(41,43)가 배치되어 있고, 고주파 발진장치의 출력부를 구성하는 상부실드컵(37)의 상부개구단부에는 후술되는 안테나캡(51)을 절연시키기 위해 원통형상의 안테나세라믹(45)이 접합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안테나세라믹(45)의 상부측 선단부에는 동으로 이루어진 배기관(47)이 접합되어 있고, 배기관(47)의 내측 중앙부근처에는 공동공진기내에서 발진된 고주파를 출력시키기 위해 베인(15)으로부터 도출된 안테나(49)가 상부폴피스(33)의 관통구멍을 통과하여 축상으로 연장되면서 안테나(49)의 끝이 배기관(47)내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배기관(47)의 외측면에는 배기관(47)의 용접고착부를 보호함은 물론, 전계집중에 의한 스파크방지 및 고주파안테나의 작용을 함과 동시에 고주파출력을 외부로 내보내는 창(Window)역할을 하는 안테나세라믹(45)과 그 위에 안테나캡(51)이 씌워져 있다.
또한, 양극몸체(13)의 외부에는 양극몸체(13)내의 자속량을 결정하는 상부 및 하부 요우크(53,55)가 설치되어 있고, 양극몸체(13) 및 하부 요우크(55) 사이에는 복수개의 알루미늄 냉각핀(57)이 양극몸체(13) 및 하부 요우크(55)에 고정된 클램프부재(55a)에 의해 감합배치되어 마그네트(41,43)와 함께 자로 형성된 상부 및 하부 요우크(53,55)에 의해 덮여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고주파 발진장치의 동작과정에 대하여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외부접속단자(29,31)를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외부접속단자(29), 제1캐소드지지대(23), 상부엔드햇(20), 필라멘트(17), 하부엔드햇(21), 제2캐소드지지대(25), 외부접속단자(31)에 의해 폐회로가 구성되어 필라멘트(17)에 동작전류가 공급되어 필라멘트(17)가 가열된 다음, 필라멘트(17)로부터 열전자가 방출되기 시작한다.
이때, 제2캐소드지지대(25)와 양극(16)에 인가된 구동전압에 의해 필라멘트(17)의 바깥표면과 베인(15)사이의 작용공간(12)내에는 베인(15)으로부터 필라멘트(17) 측으로 강한 전계가 형성되고, 두개의 마그네트(41,53)로부터 발생한 자속은 상부 요우크(53), 하부 요우크(55), 상부폴피스(33), 하부폴피스(35) 및 작용공간(12)으로 이루어지는 자기회로내에 분포되어 작용공간(12)내에 높은 자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고온의 필라멘트(17) 표면으로부터 작용공간(12)으로 방출되는 열전자는 작용공간(12)내에 존재하는 강한 전계에 의해 베인(15) 또는 양극몸체(13)쪽으로 진행함과 동시에 작용공간(12)내에 형성된 강한 자계에 의해 열전자의 진행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힘을 받아 양극(16)쪽으로 진행하면서 나선형의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러한 열전자의 운동으로 형성된 전자군이 베인(15)에 주기적으로 간섭을 일으키고, 이 간섭에 의해 마주보는 베인(15)간에 작용하는 정전용량인 캐패시턴스성분과, 마주보는 베인(15)과 이를 이를 연결하는 양극몸체(13)로 이루어지는 인덕턴스성분에 의해 병렬공진회로가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캐패시턴스성분과 인덕턴스성분에 의해 공진주파수, 즉 t1 가 결정되어 고주파가 유기되고, 유기된 고주파가 안테나(49)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한편, 마그네트(41,43)는 필라멘트(17)로부터 발생되어 전계에 의해 양극(16)으로 진행되는 열전자군을 회전운동을 시키기 위해 양극몸체(13)의 상하부에 위치되어 소정의 자계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종래의 통상적인 마그네트 고정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3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링형상으로 형성된 마그네트(41,43)가 상하부 실드컵(37,39)에 삽입체결되어 양극몸체(13)의 상하부에 각각 위치된 다음, 상부 요우크(53)와 하부 요우크(55)에 의해 압착되므로써 고정된다.
그러나, 양극몸체(13)의 상하부에 각각 위치된 마그네트(41,43)의 내주면과 상하부 실드컵(37,39)의 외주면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간격(Gap)의 틈이 있기 때문에, 제조공정상에서 상기 고정간격(Gap)만큼 마그네트(41,43)의 유동이 발생되어 작용공간(12)내에 발생되는 자계가 불균일해지고, 이로 인해 고주파 발진장치의 발진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마그네트를 정확한 위치에 유동없이 고정조립하여 작용공간 내에 균일한 자계를 발생시킴으로써, 고주파 발진장치의 발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고주파 발진장치의 마그네트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고주파 발진장치의 마그네트 고정구조는, 필라멘트로부터 발생된 열전자가 마그네트로부터 발생되는 자계와, 음극과 양극몸체 간에 작용되는 전계에 의해 작용공간 내에서 나선형으로 회전되고, 이와 공진하는 공진기를 통해 고주파를 유기시키는 고주파 발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를 상기 양극몸체의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키고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주파 발진장치의 상하부 요우크에 고정부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통상적인 고주파 발진장치의 종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통상적인 고주파 발진장치의 마그네트 고정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부 요우크에 돌기를 형성하여 마그네트를 고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부 요우크에 비딩을 형성하여 마그네트를 고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 6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 요우크에 슬릿포밍을 형성하여 고주파 발진장치 내에 마그네트를 고정하는 것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양극몸체 37:상부 실드햇
39:하부 실드햇 41,43:마그네트
53,63:상부 요우크 55,65:하부 요우크
73:돌기 83:비딩
93:슬릿포밍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된 기재를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라 상부 요우크에 돌기를 형성하여 마그네트를 고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동 도면을 참조하면 알수 있듯이, 마그네트(41,43)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요우크(63)에는 마그네트(41)의 외주면에는 대응되는 부분에 소정갯수의 돌기(73)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 요우크(65)에도 상부 요우크(63)와 마찬가지로 마그네트(43)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부분에 소정갯수의 돌기(7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상하부 요우크(63,65)에 마그네트(41,43)가 고정되는 동작과정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링형상으로 형성된 마그네트(41,43)가 상하부 실드컵(37,39)에 삽입체결되어 양극몸체(13)의 상하부에 각각 위치된 다음, 상부 요우크(63)와 하부 요우크(65)에 의해 압착되므로써 고정된다.
이때, 상하부 요우크(63,65)에 각각 형성된 돌기(73)에 의해 마그네트(41,43)의 외주면이 고정되어 마그네트(41,43)가 정확하게 체결됨은 물론, 유동없이 양극몸체(13)의 상하부에 고정되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 요우크에 비딩(Beading)을 형성하여 마그네트를 고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동도면을 참조하면 알수 있듯이, 마그네트(41,43)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요우크(63)에는 마그네트(41)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부분에 원형의 비딩(83)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요우크(65)에도 상부 요우크(63)와 마찬가지로 마그네트(43)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부분에 원형의 비딩(8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상하부 요우크(63,65)에 마그네트(41,43)가 고정되는 동작과정에 대하여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링형상으로 형성된 마그네트(41,43)가 상하부 실드컵(37,39)에 삽입체결되어 양극몸체(13)의 상하부에 각각 위치된 다음, 상부 요우크(63)와 하부 요우크(65)에 의해 압착되므로써 고정된다.
이때, 상하부 요우크(63,65)에 각각 형성된 원형의 비딩(83)에 의해 마그네트(41,43)의 외주면에 고정되어 마그네트(41,43)가 정확하게 체결됨은 물론, 유동없이 양극몸체(13)의 상하부에 고정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상부 요우크에 슬릿포밍(Slit Forming)을 형성하여 마그네트를 고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동 도면을 참조하면 알 수 있듯이, 마그네트(41,43)의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부 요우크(63)에는 마그네트(41)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부분에 소정갯수의 슬릿포밍(93)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요우크(65)에도 상부 요우크(63)와 마찬가지로 마그네트(43)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부분에 소정갯수의 슬릿포밍(9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로 형성된 상하부 요우크(63,65)에 마그네트(41,43)가 고정되는 동작과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링형상으로 형성된 마그네트(41,43)가 상하부 실드컵(37,39)에 삽입체결되어 양극몸체(13)의 상하부에 각각 위치된 다음, 상부 요우크(63)와 하부 요우크(65)에 의해 압착되므로써 고정된다.
이때, 상하부 요우크(63,65)에 각각 형성된 슬릿포밍(93)에 의해 마그네트(41,43)의 외주면이 고정되어 마그네트(41,43)가 정확하게 체결됨은 물론, 유동없이 양극몸체(13)의 상하부에 고정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을 이용하면, 고주파 발진장치 내에 마그네트를 유동없이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고주파 발진장치 내의 작용공간에 균일한 자계를 발생하여 고주파 발진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필라멘트로부터 발생된 열전자가 마그네트로부터 발생되는 자계와, 음극과 양극몸체 간에 작용되는 전계에 의해 작용공간 내에서 나선형으로 회전되고, 이와 공전하는 공진기를 통해 고주파를 유기시키는 고주파 발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를 상기 양극몸체의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키고 유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주파 발진장치의 상하부 요우크에 고정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발진장치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요우크에는 상기 마그네트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부분에 복수개의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마그네트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발진장치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요우크에는 상기 마그네트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부분에 원형의 비딩이 형성되어 상기 마그네트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발진장치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부 요우크에는 상기 마그네트의 외주면에 대응하는 부분에 복수개의 슬릿포밍이 형성되어 상기 마그네트를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 발진장치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KR2019970014089U 1997-06-12 1997-06-12 고주파 발진장치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KR1999000073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089U KR19990000737U (ko) 1997-06-12 1997-06-12 고주파 발진장치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4089U KR19990000737U (ko) 1997-06-12 1997-06-12 고주파 발진장치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737U true KR19990000737U (ko) 1999-01-15

Family

ID=69678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4089U KR19990000737U (ko) 1997-06-12 1997-06-12 고주파 발진장치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073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44707A (ko) 전자레인지용 마그네트론
KR19990000737U (ko) 고주파 발진장치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KR200165767Y1 (ko) 고주파 발진장치의 마그네트 고정구조
KR200165763Y1 (ko) 마그네트론의 하부 요오크구조
KR100261694B1 (ko) 고주파 발진장치
KR100269478B1 (ko) 마그네트론의 폴피스구조
KR100269482B1 (ko) 마그네트론
KR100269477B1 (ko) 마그네트론의 출력부구조
KR200152142Y1 (ko) 마그네트론의 베인
KR200152137Y1 (ko) 마그네트론
KR100231037B1 (ko) 마그네트론
KR200152115Y1 (ko) 마그네트론
KR200152147Y1 (ko) 마그네트론의 상부실드햇구조
KR200154588Y1 (ko) 전자렌지의 도파관구조
KR200152116Y1 (ko) 마그네트론
KR200146180Y1 (ko) 마그네트론의 양극베인 구조
KR200169603Y1 (ko) 마그네트론의 음극부구조
KR200152143Y1 (ko) 마그네트론의 스트랩
KR19990001149A (ko) 고주파 발진장치의 필라멘트 체결방법
KR200152146Y1 (ko) 저전압 마그네트론의 안테나구조
KR19990008919U (ko) 고주파 발진장치의 안테나 결합구조
KR19980067223U (ko) 마그네트론
KR980009629U (ko) 마그네트론
KR19980058046U (ko) 마그네트론의 마그네트구조
KR19990008952A (ko) 마그네트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