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0077U - 화장분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분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0077U
KR19990000077U KR2019970013256U KR19970013256U KR19990000077U KR 19990000077 U KR19990000077 U KR 19990000077U KR 2019970013256 U KR2019970013256 U KR 2019970013256U KR 19970013256 U KR19970013256 U KR 19970013256U KR 19990000077 U KR19990000077 U KR 1999000007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puff
mesh
container
fix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132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3753Y1 (ko
Inventor
이한명
이청원
김남수
Original Assignee
안용찬
애경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찬, 애경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용찬
Priority to KR20199700132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753Y1/ko
Publication of KR1999000007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007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7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7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22Containers with lids or covers at the top and the bottom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006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 A45D33/008Vanity boxes or cases, compacts, i.e. containing a powder receptacle and a puff or applicator comprising a mirro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3/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powder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 A45D33/34Powder-puffs, e.g. with install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관도중에 망사 및 퍼프에 파우더가 묻지 않도록 하여 사용할 때에 알맞은 양의 파우더를 퍼프에 묻힐 수 있도록 개선한 화장분 용기에 관한 것으로, 종래구조는 망사(26)가 항상 파우더(25)의 상단에 위치하게 되고, 망사(26)의 상부에 덮개(22)를 통해 가압되는 퍼프(27)가 위치하게 되므로 보관상태에서 파우더(25)가 망사(26)를 통해 퍼프(27)에 묻게 되어 화장분 용기(20)의 내부가 지저분하게 될 뿐 아니라 초기 사용시에 퍼프(27)에 과다하게 묻은 파우더(25)를 털어내야 하는 등 그 사용이 극히 불편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던 바, 망사(16)의 둘레에 퍼프(17)의 하강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틀(18)을 설치하고, 파우더(15)가 담긴 내용기(14)의 내주면에 고정틀(18)의 하단을 받쳐 망사(16)의 하강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턱(16a)을 형성한 것 등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의하면 망사(16)와 퍼프(17)를 파우더(15)와 일정거리 이상 이격시킨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게 되므로 용기(20)의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보관상태에서 퍼프(17)에 파우더(15)가 과다하게 묻게 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제품의 품질을 개선하고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화장분 용기
본 고안은 휴대가 가능한 화장분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보관도중에 망사 및 퍼프에 파우더가 묻지 않도록 하여 청결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사용할 때에 알맞은 양의 파우더를 퍼프에 묻힐 수 있도록 개선한 것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미세한 분말상의 화장분(Powder)과 그를 화장부위에 가볍게 두드리면서 바를 수 있도록 하는 퍼프 등이 내장되는 화장분 용기에 관계하는 것인 바, 이와 같은 화장분 용기는 도 1에서 도 3까지와 같이 내면에 거울(23)이 설치되는 덮개(22)가 용기본체(21)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개폐되는 형태를 갖으며, 아울러 용기본체(21)의 내부에 내용기(24)와 파우더(25), 망사(26), 그리고 퍼프(27)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형태를 갖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의 화장분 용기(20)는 사용자가 덮개(22)를 열고 퍼프(27)를 꺼내 파우더(25)가 과다하게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망사(26)의 상부를 가볍게 두드리면 망사(26) 하부의 파우더(25)가 퍼프(27)에 묻어나게 되는 것으로, 사용자는 파우더(25)가 묻은 퍼프(27)를 화장부위에 가볍게 두드리면서 화장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내용기(24)에 담긴 파우더(25)는 사용할수록 그 양이 감소하게 되는데, 도 1에서 도 3까지에 도시한 종래구조에 있어서는 망사(26)가 항상 파우더(25)의 상단에 위치하게 되고, 망사(26)의 상부에 덮개(22)를 통해 가압되는 퍼프(27)가 위치하게 되므로 보관상태에서 파우더(25)가 망사(26)를 통해 퍼프(27)에 묻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 종래구조에서는 보관중에 퍼프(27)에 과다하게 파우더(25)가 묻게 되므로 화장분 용기(20)의 내부가 지저분하게 될 뿐 아니라 초기 사용시에 퍼프(27)에 과다하게 묻은 파우더(25)를 털어내야 하는 등 그 사용이 극히 불편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 종래구조의 제결함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이며, 그 목적은 보관도중에 망사나 퍼프에 파우더가 묻지 않도록 하여 용기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초기 사용시에 퍼프에 과다하게 파우더가 묻어나지 않도록 하는 화장분 용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구조의 분해상태의 종단면도
도 2는 종래구조의 결합상태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도 1에 대비한 본 고안의 분해상태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2에 대비한 본 고안의 결합상태의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요부 확대도
*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화장분 용기11 : 용기본체
12 : 덮개13 : 거울
14 : 내용기14a : 받침턱
15 : 파우더16 : 망사
17 : 퍼프18 : 고정틀
18a : 밀착돌기18b : 걸림턱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망사의 둘레에 퍼프의 하강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틀을 설치하고, 파우더가 담긴 내용기에 망사의 하강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턱을 형성하는 것 등을 특징으로 하며, 이하 그 구체적인 기술내용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고안은 도 4에서 도 5까지와 같이 내면에 거울(13)이 설치되는 덮개(12)가 용기본체(11)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개폐되고, 용기본체(11)의 내부에 내용기(14)와 파우더(15), 망사(16), 그리고 퍼프(17)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화장분 용기(10)에 있어서, 상기 망사(16)의 둘레에 퍼프(17)의 하강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틀(18)을 설치하고, 파우더(15)가 담긴 내용기(14)의 내주면에 고정틀(18)의 하단을 받쳐 망사(16)의 하강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턱(16a)을 형성하여서 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고정틀(18)은 호형으로 굴곡된 내주면 하단부에 퍼프(17)의 하단부와 접촉되는 걸림턱(18a)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내용기(14)의 내주면과의 밀착되는 밀착돌기(18b)가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있어서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파우더(15)의 상부에 설치되는 망사(16)의 둘레에 설치된 고정틀(18)의 하단이 내용기(14)의 받침턱(14a)에 의해 받쳐지게 되어 망사(16)가 항상 일정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되며, 덮개(12)가 닫힌 상태에서 거울(13)을 통해 하방으로 가압되는 퍼프(17)의 하단이 고정틀(18)의 걸림턱(18a)에 의해 받쳐지게 되어 망사(16)의 하부에 위치한 파우더(15)와 일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있어서는 사용하지 않는 상태에서 내용기(14)에 담긴 파우더(15)가 망사(16)나 그 상부의 퍼프(17)에 접촉하는 일이 없게 되므로 용기(20)의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시킬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퍼프(17)에 파우더(15)가 과다하게 묻게 되어 초기 사용시에 파우더(15)를 털어내야 하는 불편을 없앨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에 의하면 망사(16)와 파우더(15)가 항상 일정거리 이상으로 이격되므로 파우더(15)가 과다하게 묻는 것을 방지하는 망사(16)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 제품의 품질을 개선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내면에 거울(13)이 설치되는 덮개(12)가 용기본체(11)에 힌지결합되어 회동개폐되고, 용기본체(11)의 내부에 내용기(14)와 파우더(15), 망사(16), 그리고 퍼프(17)가 순차적으로 설치되는 화장분 용기(10)에 있어서, 상기 망사(16)의 둘레에 퍼프(17)의 하강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틀(18)을 설치하고, 파우더(15)가 담긴 내용기(14)의 내주면에 고정틀(18)의 하단을 받쳐 망사(16)의 하강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하는 받침턱(16a)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분 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고정틀(18)은 호형으로 굴곡된 내주면 하단부에 퍼프(17)의 하단부와 접촉되는 걸림턱(18a)이 형성되고, 외주면에 내용기(14)의 내주면과의 밀착되는 밀착돌기(18b)가 형성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분 용기.
KR2019970013256U 1997-06-03 1997-06-03 화장분 용기 KR2001537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256U KR200153753Y1 (ko) 1997-06-03 1997-06-03 화장분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13256U KR200153753Y1 (ko) 1997-06-03 1997-06-03 화장분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0077U true KR19990000077U (ko) 1999-01-15
KR200153753Y1 KR200153753Y1 (ko) 1999-08-02

Family

ID=19502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13256U KR200153753Y1 (ko) 1997-06-03 1997-06-03 화장분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7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758B1 (ko) * 2012-02-28 2013-09-06 김진우 퍼프 내장형 화장용 파우더 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9165Y1 (ko) * 2008-02-22 2010-06-23 (주)아모레퍼시픽 파우더 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5758B1 (ko) * 2012-02-28 2013-09-06 김진우 퍼프 내장형 화장용 파우더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3753Y1 (ko) 199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511B1 (ko) 파우더 토출용 화장품 케이스
KR200478937Y1 (ko) 화장품 용기
KR101034528B1 (ko) 회전식 콤팩트용기
KR200443668Y1 (ko) 화장용브러쉬
US20080257376A1 (en) Cosmetic Case
KR101565774B1 (ko) 화장용 파우더 용기
KR101690069B1 (ko) 콤팩트 용기
KR200153753Y1 (ko) 화장분 용기
KR200475203Y1 (ko) 오버캡에 반자동 퍼프받침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100933621B1 (ko) 화장품용기의 개폐구조
KR20190113365A (ko) 화장품 용기
KR200157472Y1 (ko) 콤팩트의 퍼프 지지구조
CN215532318U (zh) 用于排出粉末产品的化妆品包装
KR20190115582A (ko) 퍼프지지부를 구비한 화장품 용기
KR200262453Y1 (ko) 용기가 부설된 퍼프
KR200225144Y1 (ko) 페이스파우더용기
KR200405176Y1 (ko) 아이새도우 화장용 용기
KR200484193Y1 (ko) 화장품 콤팩트 용기
JPH0518406U (ja) 粉末化粧料用容器
KR200487377Y1 (ko) 화장품 용기
KR200316066Y1 (ko) 페이스 파우더 용기
KR200432018Y1 (ko) 진공 차단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의 노즐팁 구조
KR101869186B1 (ko) 화장품 용기
KR20220069759A (ko) 이종내용물이 수용된 크림타입 화장품 용기
JPS64816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3

Year of fee payment: 14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