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7716A - 비굴착 상·하수관 보수용 펠트 - Google Patents

비굴착 상·하수관 보수용 펠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7716A
KR19980087716A KR1019980037505A KR19980037505A KR19980087716A KR 19980087716 A KR19980087716 A KR 19980087716A KR 1019980037505 A KR1019980037505 A KR 1019980037505A KR 19980037505 A KR19980037505 A KR 19980037505A KR 19980087716 A KR19980087716 A KR 199800877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lt
water
sewage
sewage pipe
inner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7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3658B1 (ko
Inventor
이정호
박재덕
이동호
Original Assignee
이정호
박재덕
이동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호, 박재덕, 이동호 filed Critical 이정호
Priority to KR1019980037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3658B1/ko
Publication of KR199800877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7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3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36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3/00Lining or sheathing, i.e. applying preformed layers or sheathings of plastics; Apparatus therefor
    • B29C63/26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 B29C63/34Lining or sheathing of internal surfaces using tubular layers or sheath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ewage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굴착 상ㆍ하수관 보수용 펠트에 관한 것으로, 노후화 또는 부실시공 등으로 인하여 상ㆍ하수관이 파열 또는 균열되었을 경우 굴착공사를 하지 않고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재의 외피와, 부직포 또는 유리섬유재의 내피로 이루어진 펠트의 내피 내부에 열경화성 에폭시나 수지 등의 경화제를 함침시킨 후 파열 또는 균열된 상ㆍ하수관 내부로 반전삽입(내피가 외부쪽으로 향하도록 삽입)한 후 이 튜브내로 온수 또는 증기를 투입하여 펠트를 부풀려 펠트의 내피가 상ㆍ하수관 내부와 밀착되도록 하여 열경화되도록 함으로써 적은 경비로 즉각적인 상ㆍ하수관 보수공사작업을 시행하게 되어 오수의 누출을 단시간에 차단하므로써 오수누출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굴삭작업에 의한 주변환경의 미관 손상 및 공사후 토양의 침식으로 인한 도로의 침하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특히 교통혼잡지역에서 공사할 경우 공사기간이 적어 교통체증을 유발할 확률이 적은 등의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비굴착 상ㆍ하수관 보수용 펠트
본 발명은 비굴착 상ㆍ하수관 보수용 펠트에 관한 것으로, 노후화 또는 부실시공 등으로 인하여 상ㆍ하수관이 파열 또는 균열되었을 경우 굴착공사를 하지 않고도 상ㆍ하수관의 파열 또는 균열된 부분을 보수할 수 있는 비굴착 상ㆍ하수관 보수용 펠트에 관한 것이다.
노후화 또는 부실시공 등으로 인하여 상ㆍ하수관이 파열 또는 균열되어 오수가 누출되었을 경우 이 오수가 토양을 오염시켜 지하수나 하천의 수질을 악화시키게 되므로 즉각적인 대처가 필요하다.
종래의 경우 상ㆍ하수관이 파열 또는 균열되었을 경우 이를 보수하기 위해서는 포크레인이나 굴삭기 등으로 상ㆍ하수관의 파열 또는 균열된 부분이 매몰된 지역을 굴삭하여 이를 보수하거나 교체하는 방법을 사용해 왔다.
그러나, 이 굴삭에 의한 상ㆍ하수관 보수방법은 막대한 공사비와 장기간의 시간이 소요되므로 오수 누출에 의한 환경오염에 즉각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점과 아울러 공사를 위해선 주변을 굴삭해야 하므로 주변환경의 미관 손상 및 공사후 토양의 침식으로 인한 도로의 침하문제와 특히 교통혼잡지역에서 공사할 경우 만성적인 교통체증의 우려 등의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노후화 또는 부실시공 등으로 인하여 상ㆍ하수관이 파열 또는 균열되었을 경우 굴착공사를 하지 않고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재의 외피와, 부직포 또는 유리섬유재의 내피로 이루어진 펠트의 내피 내부에 열경화성 에폭시나 수지 등의 경화제를 함침시킨 후 파열 또는 균열된 상ㆍ하수관 내부로 반전삽입(내피가 외부쪽으로 향하도록 삽입)한 후 이 튜브내로 온수 또는 증기를 투입하여 펠트를 부풀려 펠트의 내피가 상ㆍ하수관 내부와 밀착되도록 하여 열경화되도록 함으로써 적은 경비로 즉각적인 상ㆍ하수관 보수공사작업을 시행하게 되어 오수의 누출을 단시간에 차단하므로써 오수누출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펠트 11 : 외피
12a : 제 1 내피 12b : 제 2 내피
13a, 13b : 봉재끈 14 : 제 1 봉합 보강부
15 : 제 2 봉합 보강부 16 : 접착제
20 : 상ㆍ하수관 21 : 이음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동작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일부절개 사시도로서, 도면에서 도면 부호 10 은 펠트, 11 은 외피, 12a 는 제 1 내피, 12b 는 제 2 내피, 13a, 13b 는 봉재끈, 14 는 제 1 봉합 보강부, 15 는 제 2 봉합 보강부, 16 은 접착제, 20 은 상ㆍ하수관, 21 은 이음매를 각각 나타낸다.
먼저, 도 1 에 도시한 발명은 부직포 또는 유리섬유 재질의 판을 원형형상을 가지도록 봉재끈(13a)으로 봉합하여 형성한 부직포 또는 유리섬유재의 제 1 내피(12a)와, 상기 제 1 내피(12a)의 외부표면을 마감하여 코팅한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재의 외피(11)와, 상기 봉재끈(13a)으로 봉합한 부위를 보강하기 위해 봉합된 부위를 2중 코팅한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재의 제 1 봉합보강부(14) 및 제 2 봉합보강부(15)로 펠트(10)를 구성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도 2 에 도시한 발명은 도 1 에 도시한 발명의 제 1 내피(12a) 내부에 원형형상을 가지도록 봉재끈(13b)으로 봉합하여 형성한 부직포 또는 유리섬유재의 제 2 내피(12b)를 접착제(16)를 사용하여 일부분 부착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동작효과를 설명해 보면, 노후화 또는 부실시공 등으로 인하여 상ㆍ하수관이 파열 또는 균열되었을 경우 굴착공사를 하지 않고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재의 외피와, 부직포 또는 유리섬유재의 내피로 이루어진 펠트의 내피 내부에 열경화성 에폭시나 수지 등의 경화제를 함침시킨 후 파열 또는 균열된 상ㆍ하수관 내부로 반전삽입(내피가 외부쪽으로 향하도록 삽입)한 후 이 튜브내로 온수 또는 증기를 투입하여 펠트를 부풀려 펠트의 내피가 상ㆍ하수관 내부와 밀착되도록 하여 열경화되도록 함으로써 적은 경비로 즉각적인 상ㆍ하수관 보수공사작업을 시행하게 되어 오수의 누출을 단시간에 차단하므로써 오수누출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위와 같은 구성 및 작용효과를 갖는 본 발명은 상ㆍ하수관에 적용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가스관 등 지하에 매설된 각종 관로의 보수공사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을 사용함에 의해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ㆍ하수관이 파열 또는 균열되었을 굴삭작업을 하지 않고 펠트를 상ㆍ하수관 내부에 삽입하여 파열 또는 균열부분을 열경화시키므로써 공사경비와 공사기간이 적게 소요되어 즉각적인 대처를 할 수 있고, 굴삭작업에 의한 주변환경의 미관 손상 및 공사후 토양의 침식으로 인한 도로의 침하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특히 교통혼잡지역에서 공사할 경우 공사기간이 적어 교통체증을 유발할 확률이 적은 등의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부직포 또는 유리섬유 재질의 판을 원형형상을 가지도록 봉재끈(13a)으로 봉합하여 형성한 부직포 또는 유리섬유재의 제 1 내피(12a)와;
    상기 제 1 내피(12a)의 외부표면을 마감하여 코팅한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재의 외피(11)와;
    상기 봉재끈(13a)으로 봉합한 부위를 보강하기 위해 봉합된 부위를 2중 코팅한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나일론 등의 합성수지재의 제 1 봉합보강부(14) 및 제 2 봉합보강부(1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상ㆍ하수관 보수용 펠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내피(12a) 내부에 원형형상을 가지도록 봉재끈(13b)으로 봉합하여 형성한 부직포 또는 유리섬유재의 제 2 내피(12b)를 접착제(16)를 사용하여 일부분 부착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굴착 상ㆍ하수관 보수용 펠트.
KR1019980037505A 1998-09-11 1998-09-11 비굴착상ㆍ하수관보수용펠트 KR100313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505A KR100313658B1 (ko) 1998-09-11 1998-09-11 비굴착상ㆍ하수관보수용펠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7505A KR100313658B1 (ko) 1998-09-11 1998-09-11 비굴착상ㆍ하수관보수용펠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716A true KR19980087716A (ko) 1998-12-05
KR100313658B1 KR100313658B1 (ko) 2001-12-28

Family

ID=37531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7505A KR100313658B1 (ko) 1998-09-11 1998-09-11 비굴착상ㆍ하수관보수용펠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36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565B1 (ko) * 2001-10-26 2005-03-10 이대우 점착성 미가황 고무를 이용한 관로 보수 시공 방법
KR100687800B1 (ko) * 2004-08-03 2007-02-28 주식회사 나스텍엔지니어링 지하매설관로 구조보강용 비굴착보수 강화펠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5565B1 (ko) * 2001-10-26 2005-03-10 이대우 점착성 미가황 고무를 이용한 관로 보수 시공 방법
KR100687800B1 (ko) * 2004-08-03 2007-02-28 주식회사 나스텍엔지니어링 지하매설관로 구조보강용 비굴착보수 강화펠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3658B1 (ko) 200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vies et al. Factors influencing the structural deterioration and collapse of rigid sewer pipes
KR100331969B1 (ko) 유리섬유보강 플라스틱 주입관을 이용한 다단 그라우팅 장치및 공법
JP2000282493A (ja) 止水遮断装置
CN105421497A (zh) 复合围护体系中基础底板与地墙连接节点的防水施工方法
JP4632592B2 (ja) 耐震化更生方法及び耐震化更生構造
KR19980087716A (ko) 비굴착 상·하수관 보수용 펠트
KR20010039525A (ko) 관로 비굴착 내면 보수공법
KR100687800B1 (ko) 지하매설관로 구조보강용 비굴착보수 강화펠트
KR100454605B1 (ko) 신/구 구조물 이음부 누수에 대한 고밀도 가압 보수 공법
US1117365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habilitating, repairing, and replacing manholes and connected sewer lines
KR10031045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2033881B1 (ko) 누수감지기능을 구비한 상하수도관
KR100328473B1 (ko) 합성수지제배수로관접속방법
CN106638694A (zh) 一种现场成型的内衬检查井结构与修复方法
KR100652187B1 (ko) 산복도로 암거 설치지점의 그라우팅 및 이의 그라우팅 방법
JP6901814B1 (ja) 管口止水工法並びに止水用リング及び管口止水具セット
CN220540489U (zh) 一种地下室管道穿墙防水构造
CN218970182U (zh) 井、池渗漏的组合式内衬修复结构
KR200265335Y1 (ko) 연약지반용 지하수 유출부 하수관 설치구조
KR102524445B1 (ko) 갱생 시트 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갱생방법
KR200330013Y1 (ko) 콘크리트 수로의 신축이음 누수 보수 구조
KR100732341B1 (ko) 하수관 비굴착식 보수용 금속관
KR200333385Y1 (ko) 지하 구조물의 수밀재
KR200255487Y1 (ko) 하수도 갱생 공법에 사용되는 라이너
Ouellette et al. Rehabilitation of sanitary sewer pipel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3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3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