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5875A -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개인정보관리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개인정보관리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5875A
KR19980085875A KR1019970022046A KR19970022046A KR19980085875A KR 19980085875 A KR19980085875 A KR 19980085875A KR 1019970022046 A KR1019970022046 A KR 1019970022046A KR 19970022046 A KR19970022046 A KR 19970022046A KR 19980085875 A KR19980085875 A KR 19980085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sonal information
mailbox
voice
information management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2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재우
Original Assignee
송재인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재인, 엘지정보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송재인
Priority to KR1019970022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85875A/ko
Publication of KR19980085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5875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성사서함 시스템(Voice Mail 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사서함시스템에 개인정보사서함을 개설하여, 사용자가 스케쥴이나 음성메시지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등록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는 음성사서함시스템의 개인정보관리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음성사서함 시스템은 상대방에게 전달할 음성메시지를 녹음했다가 이를 상대방에게 송출하는 기능이 주기능인 바, 사용자가 자신의 스케쥴과 같은 개인정보는 수첩에 기록하거나 퍼스널컴퓨터 등에 기록하여 이를 직접 찾아보는 방법밖에 없으므로, 이를 휴대하지 않고 외출한 상태에서 기록해둔 개인정보를 검색할 필요가 생길 경우, 검색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음성사서함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스케쥴이나 음성메시지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등록하고, 이를 전화를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첩이나 다른 기록장치를 휴대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개인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Description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개인정보관리 서비스 방법
본 발명은 음성사서함 시스템(Voice Mail 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사서함시스템에 개인정보사서함을 개설하여, 사용자가 스케쥴이나 음성메시지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등록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는 음성사서함시스템의 개인정보관리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음성 사서함 시스템은 첨부된 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부(10), 음성압축부(20), 주제어부(30) 및 메모리부(40)를 구비한다.
음성압축부(20)는 가입자부(10)로 부터의 PCM(Pulse Code Modulation)음성데이터를 ADPCM(Adaptive Differentail PCM)으로 압축하여 메모리부(40)측으로 인가하고, 메모리부(40)로 부터의 인가되는 ADPCM데이터를 PCM음성데이터로 압축을 풀어 가입자부(10)측으로 인가한다. 주제어부(30)는 음성압축부(20)로 부터 인가되는 ADPCM데이터를 메모리부(40)에 저장하고, 메모리부(40)에 저장되어 있는 ADPCM데이터를 판독하여 음성압축부(20)에 인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음성 사서함 시스템은 다음과 같이 동작하는데, 음성 정보 서비스를 제공할 때 저장되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가입자측으로 송출하는 동작과 가입자의 음성을 저장하는 동작으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음성 데이터 송출에 있어서, 가입자부(10)의 서비스 요구에 대응하여 주제어부(30)의 제어신호 따라 음성압축부(20)는 메모리부(40)에 저장되어 있는 압축 ADPCM 데이타를 읽어들여, 해당 압축 ADPCM 데이타를 PCM 음성 데이타로 압축을 해제한 후, 서비스를 요구한 가입자부(10)측으로 DMA(Direct Memory Access)방식을 사용해 고속으로 음성 데이터를 송출하게 된다.
한편, 서비스 가입자의 음성데이터 저장에 있어서, 가입자의 PCM음성데이터가 가입자부(10)를 통해 음성압축부(20)로 인가되면 음성압축부(20)는 해당 PCM음성데이터를 ADPCM데이터로 압축하고, 주제어부(30)로 부터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음성압축부(20)는 ADPCM데이터를 메모리부(30)에 저장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음성사서함 시스템은 상대방에게 전달할 음성메시지를 녹음했다가 이를 상대방에게 송출하는 기능이 주기능인 바, 사용자가 자신의 스케쥴과 같은 개인정보는 수첩에 기록하거나 퍼스널컴퓨터 등에 기록하여 이를 직접 찾아보는 방법밖에 없으므로, 이를 휴대하지 않고 외출한 상태에서 기록해둔 개인정보를 검색할 필요가 생길 경우, 검색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음성사서함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스케쥴이나 음성메시지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등록하고, 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첩이나 다른 기록장치를 휴대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개인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음성사서함시스템의 개인정보관리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음성사서함시스템의 개인정보관리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음성사서함시스템에 접속하면, 음성안내메시지를 출력하고, 이에 대응하여 서비스번호를 입력받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입력된 서비스번호가 신규사서함의 등록항목이면, 사용하지 않는 사서함을 할당하고, 해당사서함을 검색하기위한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제2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입력된 서비스번호가 기개설된 사서함의 조회항목이면, 선택된 사서함에 대하여 다수의 개인정보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입력된 서비스번호가 수신된 메시지의 청취항목이면, 상대방으로 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제3과정은, 조회를 원하는 사서함의 번호를 입력받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이후, 선택된 사서함에 대응하여 기설정되어 있는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이후, 제공되는 다수의 개인정보관리서비스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출력하고, 이에 대응하여 서비스번호를 입력받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입력되는 서비스 번호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개인정보관리서비스를 제공하여, 개인정보를 검색, 등록, 삭제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구성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개인정보관리 서비스 방법의
동작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가입자부 20 : 음성압축부
30 : 주제어부 40 : 메모리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이 적용된 음성사서함 시스템은 첨부된 도면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입자부(10), 음성압축부(20), 주제어부(30) 및 메모리부(40)를 구비한다.
음성압축부(10)는 가입자부(10)로 부터 인가되는 PCM음성데이터를 ADPCM으로 압축하여 주제어부(30)를 통해 메모리부(40)로 저장하고, 주제어부(30)를 통해 메모리부(40)로 부터 인가되는 ADPCM데이터를 PCM음성데이터로 압축을 풀어 가입자부(10)측으로 출력한다. 주제어부(30)는 음성압축부(20)로 부터 인가되는 ADPCM데이터를 메모리부(40)에 저장하고, 메모리부(40)에 저장되어 있는 ADPCM데이터를 판독하여 음성압축부(20)측에 인가한다. 메모리부(40)는 주제어부(30)로 부터 인가되는 ADPCM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되어 있는 ADPCM데이터를 읽어들여 주제어부(30)측으로 출력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음성사서함시스템에서 본 발명의 동작을 첨부된 도면 도2의 동작순서도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음성사서함시스템에 접속하면, 주제어부(30)는 메모리부(40)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안내메시지를 읽어들여 가입자측으로 출력하고(스텝 S1), 사용자가 이를 듣고 원하는 서비스번호를 입력한다(스텝 S2). 이후에, 주제어부(30)는 입력된 서비스번호가 신규사서함신청이면, 사용하지 않는 사서함을 할당하고(스텝 S3), 사용자로 부터 해당사서함을 검색하기위한 비밀번호를 입력받음으로서, 새로운 개인정보관리 사서함이 신규개설된다(스텝 S4). 한편, 상기 스텝 S2에서, 입력된 서비스번호가 기개설된 사서함의 조회이면, 주제어부(30)는 조회를 원하는 사서함의 번호를 입력받고(스텝 S5), 선택된 사서함에 대응하여 기설정되어 있는 비밀번호를 입력받아(스텝 S6), 비밀번호가 맞으면, 주제어부(30)는 제공되는 다수의 개인정보관리서비스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출력하고(스텝 S7), 이에 대응하여 서비스번호를 입력받는다(스텝 S8). 상기 스텝 S8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서비스번호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개인정보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바, 일일스케쥴관리서비스를 선택한 후(스텝 S9), 검색/등록/삭제 항목 중 원하는 서비스 번호를 입력하면(스텝 S15), 해당서비스가 제공된다. 즉, 검색항목을 선택한 후, 일자를 입력하면 해당 일자의 내용을 검색할 수 있고, 삭제항목을 선택한 후, 일자를 입력하면, 해당 일자의 원하는 내용을 삭제할 수 있으며, 등록항목을 선택한 후, 일자를 입력하면, 안내메시지에 따라 원하는 정보를 녹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텝 S8에서, 월별스케쥴관리서비스를 선택한 후(스텝 S10), 검색/등록/삭제 항목 중 원하는 서비스 번호를 입력하면(스텝 S15), 해당 서비스가 제공되는 바, 이는 상기 일일스케쥴관리서비스와 동작이 유사하며, 단지, 일자단위가 아니라 월단위로 관리되는 것이 다르다. 또한, 상기 스텝 S8에서, 기념일관리서비스를 선택한 후(스텝 S11), 검색/등록/삭제 항목 중 원하는 서비스 번호를 입력하면(스텝 S15), 해당 서비스가 제공된다. 즉, 검색항목을 선택하면, 일별또는 월별 스케쥴관리의 검색과 같이 등록되어 있는 내용을 검색할 수 있으며, 등록항목을 선택한 후, 등록하고자 하는 일자를 누르고, 원하는 시간을 입력한 다음, 원하는 음성을 입력하면, 설정된 시간에 녹음된 메시지가 통보된다. 또한, 상기 스텝 S8에서, 메시지배달서비스를 선택한 후(스텝 S12), 등록/삭제 항목 중 원하는 서비스 번호를 입력하면(스텝 S15), 해당 서비스가 제공된다. 즉, 등록항목을 선택한 후, 메시지를 배달할 전화번호를 누르고, 등록확인 후, 수신자 성명을 녹음한 다음, 송신자 성명을 녹음하고, 배달 하고자 하는 일자를 입력한 후, 원하는 메시지를 녹음하면,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사람에게로 메시지가 배달된다. 삭제항목은 배달할 번호를 입력하고, 삭제를 선택하면, 선택된 메시지가 삭제된다. 또한, 상기 스텝 S8에서 메모관리서비스를 선택한후(스텝 S13), 검색/등록/삭제 항목 중 원하는 서비스번호를 입력하면(스텝 S15), 해당 서비스가 제공되는 바, 동작은 상기 스케쥴관리 서비스와 같다. 또한, 상기 스텝 S8에서, 비밀번호변경서비스를 선택한 후(스텝 S14), 변경항목을 선택하면(스텝 S15), 주제어부(30)는 현재의 비밀번호 입력을 요구하고, 입력된 비밀번호가 맞으면, 새로운 비밀번호의 입력을 요구하며,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새로운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등록항목을 선택하면, 해당 비밀번호가 새로운 비밀번호로 등록된다.
한편, 상기 스텝 S2에서, 입력된 서비스번호가 메시지의 청취이면, 주제어부(30)는 메모리부(40)에 저장되어 있는, 상대방으로 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읽어들여 출력함으로서, 사용자는 메시지를 청취할 수 있다(스텝 S16).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음성사서함시스템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스케쥴이나 음성메시지등과 같은 개인정보를 등록하고, 이를 전화를 이용하여 검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첩이나 다른 기록장치를 휴대하지 않고도 용이하게 개인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Claims (2)

  1. 음성사서함시스템의 개인정보관리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음성사서함시스템에 접속하면, 음성안내메시지를 출력하고, 이에 대응하여 서비스번호를 입력받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입력된 서비스번호가 신규사서함의 등록항목이면, 사용하지 않는 사서함을 할당하고, 해당사서함을 검색하기위한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제2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입력된 서비스번호가 기개설된 사서함의 조회항목이면, 선택된 사서함에 대하여 다수의 개인정보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1과정에서, 입력된 서비스번호가 수신된 메시지의 청취항목이면, 상대방으로 부터 수신된 메시지를 출력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개인정보관리서비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과정은, 조회를 원하는 사서함의 번호를 입력받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이후, 선택된 사서함에 대응하여 기설정되어 있는 비밀번호를 입력받는 제2단계와; 상기 제2단계이후, 제공되는 다수의 개인정보관리서비스에 대한 안내메시지를 출력하고, 이에 대응하여 서비스번호를 입력받는 제3단계와; 상기 제3단계에서, 입력되는 서비스 번호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개인정보관리서비스를 제공하여, 개인정보를 검색, 등록, 삭제하는 제4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개인정보관리 서비스 방법.
KR1019970022046A 1997-05-30 1997-05-30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개인정보관리 서비스 방법 KR19980085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2046A KR19980085875A (ko) 1997-05-30 1997-05-30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개인정보관리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2046A KR19980085875A (ko) 1997-05-30 1997-05-30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개인정보관리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875A true KR19980085875A (ko) 1998-12-05

Family

ID=65999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2046A KR19980085875A (ko) 1997-05-30 1997-05-30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개인정보관리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8587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79234C (en) Telephone directory apparatus and method
US6697458B1 (en) System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voice mailbox with e-mail box
EP1157532B1 (en) Unified directory for caller id and electronic mail addresses
EP094320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 desired record in a telephone directory
US9037469B2 (en) Automated communication integrator
US62434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elephone data network access
US6363140B1 (en) Dialable screening profile
US20040166832A1 (en) Directory assistance with multi-modal messaging
EP0810764A2 (en) Method of providing limited access to preserve privacy within a message system
JP2008113418A (ja) データを中央でストリングする方法
GB2328110A (en) Dialable filtering profile for mixed media stored messages
EP1076979A1 (en) Personalized information system
KR19980085875A (ko) 음성사서함 시스템의 개인정보관리 서비스 방법
KR200176473Y1 (ko) 전화번호를 e-메일 id로 발급하는 e-메일 시스템
KR10045513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아이템 속성 관리 방법
AU2004302427A1 (en) Method of proving service for telephone call recording and system thereof
US7653181B2 (en) Method of creating and managing a customized recording of audio data relayed over a phone network
KR100467175B1 (ko) 개인용 전화통화 녹취 및 음성 기록 녹취 서비스 시스템및 방법
EP1096807A2 (en) Call routing based on alarm reports
KR100339738B1 (ko) 원격 제어기를 이용한 단말기의 개인 관리 정보 검색 방법
KR20020065229A (ko) 지능형 전화서비스 시스템
US20010043679A1 (en) Voice mail system with subscriber noticeboard facility
KR0162232B1 (ko) 전화번호 관리방법
US7917527B1 (en) Personalized directory services for web routing
KR19990032929A (ko) 전화기로 사람 찾는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