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5520A - 낚시찌의 부상체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낚시찌의 부상체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5520A
KR19980085520A KR1019970021623A KR19970021623A KR19980085520A KR 19980085520 A KR19980085520 A KR 19980085520A KR 1019970021623 A KR1019970021623 A KR 1019970021623A KR 19970021623 A KR19970021623 A KR 19970021623A KR 19980085520 A KR19980085520 A KR 19980085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body
bobber
fishing
raw material
pla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1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1240B1 (ko
Inventor
김홍대
Original Assignee
김홍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1950770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9980085520(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김홍대 filed Critical 김홍대
Priority to KR1019970021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1240B1/ko
Publication of KR19980085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5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2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3/00Floats for angling, with or without signal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찌에 부력을 제공해 주는 낚시찌의 부상체 제조방법 및 그 물건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코르크, 오동나무, 발사목으로 제조되는 낚시찌용 부상체는 저부상력과 원재수급의 비원활성 및 발수성이 떨어지는 등의 품질신뢰도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종래 낚시찌의 부상체가 갖는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국내에서 자생 또는 인공재배되는 수수깡 상대, 암컷부들의 상대 및 삼대의 속대를 원재로 하여 낚시찌의 부상체(A)를 제조토록 함으로써 부상력과 발수성이 우수하면서도 온도변화에 대한 내구성이 뛰어난 고품질의 낚시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낚시찌의 부상체 제조방법 및 그 물건
본 발명은 낚시찌를 구성하는 부상체(부상부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찌에 부력을 제공해 주는 낚시찌의 부상체 제조방법 및 그 물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낚시를 하기위해서는 여러 가지의 낚시도구를 구비해야 함은 물론이요 낚시를 즐기기 위해서는 다루기 편리하고 기능이 우수한 낚시도구를 마련해야 한다는 것은 낚시를 즐기는 사람(낚시애호인)이라면 거의 일반상식으로 여기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래서 최근에는 우수한 소재를 바탕으로 한 가볍고 성능이 뛰어난 낚시도구들이 출현하여 낚시 애호인들의 관심과 시선을 끌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낚시도구 중에서 보면 기술적으로 개선해야 할 여러 관심분야가 많지만 그중 빼놓을 수 없는 연구대상 분야가 바로 낚시찌 분야이다. 낚시찌는 물위에 적당한 높이로 부상하여 물고기의 입질(어신)에 민감하게 반응을 해야 함은 물론이고, 또한 먼거리로 투척이 되어 사용자의 시야에서 원격(멀리 떠어져 있는)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얼마나 잘 보이느냐에 의해 낚시찌의 상품가치가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즉, 낚시찌는 먼거리에서의 식별력과 어신에 대한 민감한 반응력(부상력)을 모두 만족해야 하는 양면성을 갖추어야만 하는데, 특히 낚시찌를 구성하는 부상체(위쪽으로는 찌톱대(4)가 연결되어 있고 밑쪽으로는 바늘이 설치되는 대(5)가 연결되어 있음)를 어떤 방법으로 제조하느냐에 따라 좋은 성능의 낚시찌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종래 출현한 바 있는 여러 가지 형태의 낚시찌를 구성하는 부상체(부상부재)에 대하여 그 제조형태를 언급해 보고자 한다.
즉, 종래에는 낚시찌의 부상체를 제조함에 있어서 주로 코르크나무 표피 밑의 목전층에서 얻어지는 코르크(Cork) 재료를 가공하여 제조하거나, 또는 오동나무(가볍고 부드러우며 잘 휘거나 트지 않는 성질을 갖고 있음) 및 발사목을 가공하여 강한 부력이 요구되는 낚시찌용 부상체를 제조해 왔었다.
그러나, 종래와 같이 코르크, 오동나무, 발사목을 사용하여 부상체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낚시찌가 요구하는 강한 부상력과 내구성을 제공하는데 원천적으로 부족함이 있었으며, 특히 코르크 및 발사목은 국내에서의 재배가 곤란하기 때문에 원재를 수입에 의존하지 않으면 않되는 제약이 있어 계획적인 제품 수급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으며, 가공상에 있어서도 도료에 대한 도포성능이 낮아 우수한 제품을 만드는 데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종래 코르크 원재 등을 사용하여 제조되는 낚시찌용 부상체가 갖는 제결함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국내에서 자생하는 수수깡,부들대,삼대를 원재로 하여 낚시찌의 부상체를 제조함으로써, 부상력과 발수성이 우수하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난 고품질의 낚시찌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보인 제조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제조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제조 공정도
도 4는 본 발명을 이용한 낚시찌의 형상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부상체 1 : 몸통
2,3 : 방추형연결부 4 : 찌톱대
5 : 바늘설치용 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낚시찌의 부상체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제조상의 특징을 제공한다.
국내에서 자생 또는 인공재배되는 수수식물의 수수깡 상대(또는 암컷부들식물의 상대 및 삼식물의 속대)를 수집하여 음건하는 원재수집공정과;
상기 원재수집공정을 통해 수집된 잘 마른 자재(수수깡 상대 또는 암컷부들식물의 상대 및 삼식물의 속대)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고, 자재의 양단을 드로윙압축가공하여 방추형연결부(2)(3)를 형성한 후, 자재의 표피를 가볍게 샌딩가공하여 부상체의 형상을 만드는 형상제조공정과;
양단이 방추형으로 가공된 자재의 거친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하여 래커샌딩실러 도료를 도포하는 기초도포공정과;
상기 기초도포공정을 거친 자재에 우레탄계 니스 도료를 도포하여 심한 온도변화에 대한 내구성을 부여하는 2차도포공정과:
상기 2차도포공정을 거친 자재에 경화성의 2액형도료(P.S.P.1000)를 도포함으로써 자재표면을 유리화하여 우수한 발수성을 갖도록 하는 3차도포공정;
을 포함하는 제조공정을 통해 부상력과 발수성이 뛰어난 초경량의 낚시찌용 부상체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강력한 부상력을 가지며 고탄력성과 고경질성과 발수성 및 온도변화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한 낚시찌용 부상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나아가 고품질의 낚시찌 상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비한정의 예시도면을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1)
도1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보인 제조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원재수집공정
우리 나라의 강원도 영월지방에서 자생 또는 인공재배하는 수수식물을 10∼11월에 거두어 들여 수수깡의 상대만을 잘라내어 자체 함유된 물기가 모두 제거될 때까지 음건한다.
또는 우리 나라에서 자생, 인공재배하는 암컷부들식물(부들과의 다년초)을 수집해서 상대만을 잘라내어 자체 함유된 물기가 모두 제거될 때까지 음건한다.
또는 우리 나라에서 자생, 안공재배하는 삼식물을 수집해서 삼대의 속대만을 잘라내어 자체 함유된 물기가 모두 제거될 때까지 음건한다.
형상제조공정
상기 원재수집공정을 통하여 잘 마른(수분함유율 0%) 자재(수수깡 상대 또는 암컷부들식물의 상대 및 삼식물의 속대)를 굵기에 관계 없이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다. 그다음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자재의 몸통(1)양단을 드로윙압축가공하여 방추형연결부(2)(3)를 형성한다. 그리고 자재의 표피를 가볍게 샌딩(고운 사포로 간다)하여 부분적으로 표피를 갈아 낸다.
도료도포공정
샌딩작업으로 거칠어진(결이 생김) 자재의 표면에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래커센딩실러 도료를 도포,건조하여 자재표면을 매끄럽고 고르게 가공하여 제품을 완성한다.
그러나, 이렇게 래커센딩실러 도료만을 도포하여 부상체 샘풀을 완성해 본 결과, 발수성(撥水性; 물을 배지 않도록 하는 성질)이 떨어지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자재에 도포된 도료가 경화되면서 부상체 표면에 균열 및 파열이 많이 발생하였다.
(실시예2)
도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제조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원재수집공정
우리 나라의 강원도 영월지방에서 자생 또는 인공재배하는 수수식물을 10∼11월에 거두어 들여 수수깡의 상대만을 잘라내어 자체 함유된 물기가 모두 제거될 때까지 음건한다.
또는 우리 나라에서 자생, 인공재배하는 암컷부들식물(부들과의 다년초)을 수집해서 상대만을 잘라내어 자체 함유된 물기가 모두 제거될 때까지 음건한다.
또는 우리 나라에서 자생, 안공재배하는 삼식물을 수집해서 삼대의 속대만을 잘라내어 자체 함유된 물기가 모두 제거될 때까지 음건한다.
형상제조공정
상기 원재수집공정을 통하여 잘 마른(수분함유율 0%) 자재(수수깡 상대 또는 암컷부들식물의 상대 및 삼식물의 속대)를 굵기에 관계 없이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다. 그다음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자재의 몸통(1)양단을 드로윙압축가공하여 방추형연결부(2)(3)를 형성한다. 그리고 자재의 표피를 가볍게 샌딩(고운 사포로 간다)하여 부분적으로 표피를 갈아 낸다.
기초도포공정
샌딩작업으로 거칠어진(결이 생김) 자재의 표면에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래커센딩실러 도료를 도포,건조하여 자재표면을 매끄럽고 고르게 한다.
2차도포공정
기초도포공정을 거친 자재의 표면에 경화성의 2액형도료(P.S.P.1000 : 초산에틸,톨루엔,토산부틸을 혼합한 경화제와 크시렌,크실A,크실렌B,초산에틸을 혼합한 주액으로 구성된 투명성 도료임)를 도포,건조하여 제품을 완성한다.
그러나, 이렇게 래커샌딩실러 도료를 도포한 자재에 바로 경화성이 강한 2액형도료를 도포했더니 경화강도가 너무 높아서 부상체(A)의 표면에 약간의 균열 및 파열이 보였다.
(실시예3)
도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것이며, 본 발명의 부상체를 이용한 낚시찌의 형상을 예시한 것이다.
원재수집공정
우리 나라의 강원도 영월지방에서 자생 또는 인공재배하는 수수식물을 10∼11월에 거두어 들여 수수깡의 상대만을 잘라내어 자체 함유된 물기가 모두 제거될 때까지 음건한다.
또는 우리 나라에서 자생, 인공재배하는 암컷부들식물(부들과의 다년초)을 수집해서 상대만을 잘라내어 자체 함유된 물기가 모두 제거될 때까지 음건한다.
또는 우리 나라에서 자생, 안공재배하는 삼식물을 수집해서 삼대의 속대만을 잘라내어 자체 함유된 물기가 모두 제거될 때까지 음건한다.
형상제조공정
상기 원재수집공정을 통하여 잘 마른(수분함유율 0%) 자재(수수깡 상대 또는 암컷부들식물의 상대 및 삼식물의 속대)를 굵기에 관계 없이 소정의 길이로 절단한다. 그다음 소정의 길이로 절단된 자재의 몸통(1)양단을 드로윙압축가공하여 방추형연결부(2)(3)를 형성한다. 그리고 자재의 표피를 가볍게 샌딩(고운 사포로 간다)하여 부분적으로 표피를 갈아 낸다.
기초도포공정
샌딩작업으로 거칠어진(결이 생김) 자재의 표면에 시중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래커센딩실러 도료를 도포,건조하여 자재표면을 매끄럽고 고르게 한다.
2차도포공정
기초도포공정을 거친 자재의 표면에 연하고 부드러운 느낌과 탄력(온도변화 (±40℃)에 대한 내구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우레탄계인 니스도료를 도포후 건조한다.
3차도포공정
2차도포공정을 거친 자재의 표면에 경화성의 2액형도료(P.S.P.1000 : 초산에틸,톨루엔,토산부틸을 혼합한 경화제와 크시렌,크실A,크실렌B,초산에틸을 혼합한 주액으로 구성된 투명성 도료임)를 도포,건조한다. 따라서 도포된 2액형도료의 경화가 진행되면서 표면이 유리처럼 매끈해져 우수한 발수성을 갖게 된다.
이렇게 완성된 부상체(A)의 상 하단에 형성된 방추형연결부(2)(3)에 찌톱대(4) 및 바늘설치용 대(5)을 연결하면 낚시찌가 만들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국내에서 생산되는 수수깡(또는 부들대 및 삼대의 속대) 자재를 사용하기 때문에 낚시찌가 요구하는 초경량화를 이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재(자재)의 수급이 매우 용이한 잇점이 있으며, 또한 자재표면에 도료를 도포함에 있어서 3단계로 도료를 도포하게 되어 자재에 탄력성,경질성,발수성,온도변화에 대한 내구성을 부여하게 됨으로써 예민하면서도 부력이 뛰어난 낚시찌를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낚시찌의 부상체 제조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이며,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5)

  1. 국내에서 자생 또는 인공재배되는 수수식물의 수수깡 상대(또는 암컷부들식물의 상대 및 삼식물의 속대)를 수집하여 음건하는 원재수집공정과;
    상기 원재수집공정을 통해 수집된 잘 마른 자재(수수깡 상대 또는 암컷부들식물의 상대 및 삼식물의 속대)를 소정의 길이로 절단하고, 절단된 자재의 몸통(1) 양단을 가공하여 방추형연결부(2)(3)를 형성한 후, 자재의 표피를 가볍게 샌딩가공하여 부상체(A)의 형상을 만드는 형상제조공정과;
    양단이 방추형으로 가공된 부상체(A)의 거친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하여 래커샌딩실러 도료를 도포하는 기초도포공정과;
    상기 기초도포공정을 거친 부상체(A)에 우레탄계 니스 도료를 도포하여 심한 온도변화에 대한 내구성을 부여하는 2차도포공정과:
    상기 2차도포공정을 거친 부상체(A)에 경화성의 2액형도료(P.S.P.1000)를 도포함으로써 부상체(A)표면을 유리화하여 우수한 발수성(撥水性; 물을 배지 않도록 하는 성질)을 갖도록 하는 3차도포공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의 부상체 제조방법.
  2. 수수식물의 수수깡 상대를 원재로 사용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의 부상체.
  3. 암컷부들식물의 상대를 원재로 사용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의 부상체.
  4. 삼식물의 속대를 원재로 사용하여 제조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의 부상체.
  5. 제2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수깡 상대 또는 암컷부들의 상대 및 삼대의 속대로 구성되는 부상체(A)의 몸통(1) 양단을 드로윙압축가공하여 방추형연결부(2)(3)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찌의 부상체.
KR1019970021623A 1997-05-29 1997-05-29 낚씨찌의부상체및그제조방법 KR100201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623A KR100201240B1 (ko) 1997-05-29 1997-05-29 낚씨찌의부상체및그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1623A KR100201240B1 (ko) 1997-05-29 1997-05-29 낚씨찌의부상체및그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5520A true KR19980085520A (ko) 1998-12-05
KR100201240B1 KR100201240B1 (ko) 1999-06-15

Family

ID=195077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1623A KR100201240B1 (ko) 1997-05-29 1997-05-29 낚씨찌의부상체및그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124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330A (ko) * 2000-11-23 2001-02-05 박영호 금형 사출에 의한 낚시찌 부상체 제조방법 및 그 물건
KR100758731B1 (ko) * 2006-02-17 2007-09-14 육상수 낚시찌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0693B1 (ko) * 2002-07-29 2005-02-07 김계동 낚시찌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수득되는 낚시찌
KR101477568B1 (ko) * 2013-06-11 2014-12-31 이종하 낚시용 코르크낚시찌 및 이를 이용한 낚시밥
KR102074352B1 (ko) * 2018-10-01 2020-02-06 박상억 친환경 코르크 부이의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8330A (ko) * 2000-11-23 2001-02-05 박영호 금형 사출에 의한 낚시찌 부상체 제조방법 및 그 물건
KR100758731B1 (ko) * 2006-02-17 2007-09-14 육상수 낚시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1240B1 (ko)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1894A3 (en) Protein kinase stress-related proteins and methods of use in plants
WO2001045492A3 (en) Protein kinase stress-related proteins and methods of use in plants
KR19980085520A (ko) 낚시찌의 부상체및 그 제조방법
Meenakshi et al. The influence of substrata on calcification patterns in molluscan shell
WO2000057691A3 (en) Coiled fishing lure worm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WO2006050038A3 (en) Vesicle trafficking stress-related polypeptides and methods of use in plants
KR102360139B1 (ko) 해초류를 이용한 친환경 부표 및 이의 제조 방법
Rubies Distribution of epiphytic hydroids on Posidonia sea grass.
IE55777B1 (en) Racquets
GB2089198A (en) Chopsticks
KR100328652B1 (ko) 인조석 및 그 제작방법
KR100470693B1 (ko) 낚시찌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수득되는 낚시찌
Onderstepoort Water gathering by baboons in the Namib Desert.
KR200249317Y1 (ko) 낚시찌
CN108391630B (zh) 一种空心碳纤维浮标的制备方法
CN112189633A (zh) 一种创新型浮漂加工工艺
Vybornov Effects of silver carp, Hypophthalmichthys molitrix, on production indices of phyto- and zooplankton under experimental conditions.
CN112205393B (zh) 一种大型海带成体标本的制作方法
KR20230018829A (ko) 티백
KR20010047258A (ko) 플라스틱 인조 볏짚
KR200229018Y1 (ko) 화투
KR19980016932A (ko) 패각 진주층을 이용한 김사상체의 종묘배양판 및 그 제조방법
KR20020062610A (ko) 부들을 이용한 낚시찌 및 그 제조방법
CN1718133A (zh) 带花儿的化妆刷
US20060185610A1 (en) Aquatic deck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00525

Effective date: 20010131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INVALIDATION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JUDGMENT (PATENT COURT)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0306

Effective date: 20010927

J221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ree format text: REMAND (INTELLECTUAL PROPERTY TRIBUNAL) FOR INVALIDAT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011126

Effective date: 200201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1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