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4549A - 직선분사 구멍을 구비한 질소산화물(NOx) 저감형 이단노즐 - Google Patents

직선분사 구멍을 구비한 질소산화물(NOx) 저감형 이단노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4549A
KR19980084549A KR1019970020380A KR19970020380A KR19980084549A KR 19980084549 A KR19980084549 A KR 19980084549A KR 1019970020380 A KR1019970020380 A KR 1019970020380A KR 19970020380 A KR19970020380 A KR 19970020380A KR 19980084549 A KR19980084549 A KR 19980084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flame
hole
nitrogen oxide
sid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0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3993B1 (ko
Inventor
박석호
송시홍
Original Assignee
이해규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해규,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해규
Priority to KR1019970020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3993B1/ko
Publication of KR19980084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4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9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993B1/ko

Links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직선분사 구멍을 구비한 질소산화물(NOx) 저감형 버너의 이단노즐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 질소산화물 저감형 버너는 설비의 추가 증설이 필요하므로 비경제적이며 보수와 유지에 있어서도 지속적인 부담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질소산화물 저감형버너의 연료노즐에 위치하는 연료측과 증기측 그리고 연료분출의 구멍들을 주화염용과 보조화염용의 2개씩으로 각각 나누어 주화염용 구멍들은 연료노즐의 위, 아래로 편심각도로 설치하고, 보조화염용의 구멍들은 연료노즐의 좌,우에 위치하게 하며 보조화염용 연료분출구멍은 버너 중심축으로의 분사각을 0도로 하여 직접적으로 연소가스 재순환영역에 분사되도록 하는 본 발명에 의해 해결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질소산화물의 환원반응대 형성으로 질소산화물은 기존버너보다 30% 더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분진량도 20% 정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화염의 과대한 증가방지와 저부하에서의 화염안정화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

Description

직선분사 구멍을 구비한 질소산화물(NOx) 저감형 이단노즐
본 발명은 직선분사 구멍을 구비한 질소산화물(NOx) 저감형 이단노즐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 화석연료 연소로 인하여 생성된 공해물질인 질소산화물을 연소과정에서 줄일 수 있는 산업용 버너의 노즐에 있어서, 연료 분출 구멍을 주화염용과 보조화염용으로 분리하여 보조화염용 연료를 버너 중심으로 분사시킴으로써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고 아울러 화염길이의 과대한 증가를 방지할 수 있는데, 주 화염용 분출구멍에서 나온 연료는 기존 노즐과 같이 주연소공기의 흐름과 접촉하게 하여 연소를 촉진시키고 보조화염용 분출구멍에서 나온 연료는 화로내에 형성되는 안쪽의 재순환영역으로 유입시킴으로써 완전연소보다는 불완전연소를 촉진하여 연소중간 생성물을 다량으로 생성하여 화염대 후류에서 주화염용 분출구의 연료에 의하여 형성된 질소산화물과 반응시켜 질소산화물을 질소로 환원시킴으로써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킬 수 있으며 이와 아울러 기존의 질소산화물 저감형 노즐이 연료분출구를 편심시킴에 의해 발생되었던 화염길이의 과대증가를 방지토록 함으로써 화염안정을 향상시킨 질소산화물 저감형 노즐에 관한 것이다.
현재 화석연료를 사용하고 있는 산업용 보일러에 있어서 연소과정중에 형성되는 질소산화물은 광화학 스모그를 일으키는 주원인으로 이의 배출량은 엄격히 규제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연소에 의한 화학에너지의 열에너지로의 변환에 있어서 완전연소는 버너의 기본적인 운전조건으로 되었고, 특별한 미연분의 증가가 없는 한도내에서 질소산화물의 감소 정도가 버너의 성능을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항목으로 부각되고 있다.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산업용 버너의 질소산화물 감소기법은 연소용공기 중에 함유된 질소가 고온의 연소분위기에서 과잉산소와 반응하면서 생성되는 '열적 질소산화물(Thermal NOx)'을 감소시키기 위해 고온의 연소지역에서는 과잉산소가 부족하도록 연료과잉-공기부족 상태를 유지하면서 질소의 반응을 억제하고 공기부족에 의해 발생되는 불완전 연소물은 노내온도가 상대적으로 낮아지는 화로 후류측에서 주입되는 충분한 연소용 공기로서 완전 연소시키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방법의 요지는, 버너 앞부분에서 상대적으로 저온의 연소분위기를 형성하여 질소산화물의 생성을 억제하도록 1차 연소공기를 공급하여 연료과잉과 공기부족 상태를 유지하고, 이때 생성된 불완전 연소물을 완전연소시키기 위해서 2차 연소공기를 별도로 공급하는 것을 내용으로 한다.
이에 따라, 버너 앞에서 연료과잉-공기부족 상태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현재 실용화되어 있는 기법은, 배기가스 재순환법(연소된 배기가스의 일부분을 버너위에 설치된 구멍으로 직접 보내어 버너지역에서 불완전 연소된 연소가스를 완전연소시키는 기법) 등의 별도의 설비추가가 따르는 질소산화물 감소기법과, 버너에서 연소공기를 분할 공급하는 공기역학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연소용 공기와 연료의 혼합 특성을 제어함으로써 질소산화물의 생성을 감소시키는 '저 질소산화물 버너'로 구분할 수 있다.
상기 전자는 질소산화물 감소효과는 높으나 기존 설비에 질소산화물 저감용 설비를 추가 설치해야 하므로 경제적인 부담과 함께 설비, 보수 그리고, 유지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인 부담이 요구된다. 그러므로 최근에는 후자에 해당하는, 버너 내부의 공기역학적인 고려에 의한 구조변경만으로 부가적인 설비없이 질소산화물을 저감할 수 있는 상기 저 질소산화물 버너가 선호되고 있으며 제반 문제점의 해결과 함께 성능향상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과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은, 화로내에 형성되는 연소장의 기본특성을 고려하여 연료의 분출방향과 분출되는 출구를 2단계화 함으로써 질소산화물을 저감시키고 분진량의 증가를 방지하도록 하며 기존 설비에 질소산화물 저감용 설비를 추가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설비, 보수 그리고, 유지에 이르기는 부담이 경감되어 경제적인 질소산화물 저감형 버너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은, 종래의 질소산화물 저감형 버너의 노즐에서 각각 1개씩이였던 연료측구멍, 증기측구멍 그리고, 분출구멍을 각각 2개의 군으로 분리하여 각 군별로 분출방향 및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버너 내부의 연소장을, 연소공기가 풍분한 상태에서 진행되는 1차 연소지역과 연소가스의 재순환에 의한 연료과잉 상태에서 진행되는 2차 연소지역 그리고 상기 두 개의 연소 영역이 합쳐지는 완전연소영역으로 3분할되도록 한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 바,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노즐의 단면도 및 정면도
제 2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버너의 연소에 따른 화염형상도
제 3 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버너의 화실내 온도분포도
제 4 도는 본 발명의 질소산화물 및 분진배출 특성도
제 5 도는 종래 노즐의 단면도 및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화염용 연료측구멍2 : 보조화염용 연료측구멍
3 : 주화염용 증기측구멍4 : 보조화염용 증기측구멍
5 : 주화염용 연료분출구멍6 : 보조화염용 연료분출구멍
7 : 연료노즐
가. 1차 연소지역나. 2차 연소지역
다. 완전 연소지역
제 1 도는 본 발명의 노즐의 단면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미연물질인 분진과 질소산화물을 버너 자체에서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주화염용 연료측구멍(1), 보조화염용 연료측구멍(2), 주화염용 증기측구멍(3), 보조화염용 증기측구멍(4), 주화염용 연료분출구멍(5), 보조화염용 연료분출구멍(6) 그리고, 연료노즐(7)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특징은 제 1 도와 제 2 도를 통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5 도는 종래의 노즐의 단면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종래의 노즐은 연료측구멍, 증기측구멍 및 연료분출구멍이 각각 1 개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비해 본 발명의 연료노즐(7)은 상기 각 구멍을 2개의 군으로 분리하여 각 군별로 분출방향 및 위치를 달리한 것이다.
먼저 연료노즐(7)에 있어서는, 상기 연료측구멍을 주화염용 연료측 구멍(1)과 보조화염용 연료측구멍(2)으로 나누고 이어서 상기 증기측구멍은 주화염용 증기측구멍(3)과 보조화염용 증기측구멍(4)으로 나누며 또한 상기 연료 분출구멍은 주화염용 연료분출구멍(5)과 보조화염용 연료분출구멍(6)으로 나눈다.
상기 주화염용 연료측 구멍(1)과 주화염용 증기측구멍(3) 및 주화염용 연료분출구멍(5)은 상기 연료노즐(7)의 위,아래에 집중되도록 편심각도로 설치하고 또한, 보조 화염을 형성하는 보조화염용 연료측구멍(2), 보조화염용 증기측구멍(4) 그리고, 보조화염용 연료분출구멍(6)은 상기 연료노즐(7)의 좌,우에 위치되도록 하였다.
상기 주화염용 연료분출구멍(5)은 버너로 유입되는 연소공기와 주로 접촉되도록 하였으며 보조화염용 연료분출구멍(6)은 버너 중심축으로 연료를 분사시키도록 분사각을 0도로 하여 직접적으로 연소가스 재순환 영역에 분사되도록 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주 화염용과 보조 화염용 연료의 구성비는 주화염용 연료가 총 분무연료 양의 60~80% 정도가 되도록 하여 연료분할에 의해 주화염용 연료의 연소에 따른 과다한 질소산화물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연료노즐(6)의 연료분사특성으로 인해, 주화염용 연료분출구멍(5)에서 분출된 연료는 1차 연소지역(가)으로 집중화시켜 대부분의 연소공기와 집중적으로 혼합되면서 화염의 안정화를 이루게 되며, 또한 가능한 불안전 물질이 형성되지 않게 되므로 질소산화물 저감에 따른 분진의 과다 발생이 방지된다.
상기 보조화염용 연료분출구멍(6)에서 분사된 연료는 2차 연소지역(나)으로 직선적으로 분출되어 주 화염의 연소과정에서 형성된 연소가스의 경우 재순환 영역의 산소 농도가 극히 적은 지역에서 열분해되면서 연료중의 액체 질소분을 가스상태로 기화시켜 연료녹스(Fuel NOx) 발생량을 줄이고 질소산화물을 질소로 환원시킬 수 있는 연소중의 중간생성물을 생성시키게 된다.
즉, 상기 1차 연소지역(가)에서는 주화염용 연료분출구멍(5)에서 분출된 연료가 산소과농 상태에서 연소되며, 2차 연소지역(나)에서는 보조화염용 연료분출구멍(6)에서 분사된 연료가 산소가 극히 부족한 상태에서 연소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분출구에서 분사된 연료의 연소에 의하여 형성된 질소산화물과 중간생성물은 완전연소 지역(다)대에서 혼합되면서 1차 연소지역(가)에서 발생된 질소산화물은 2차 연소지역(나)에서 생성된 중간생성물과 반응하여 질소로 환원되면서 질소산화물의 배출량이 줄어든다.
또한, 상기 2차 연소지역(나)에서 형성된 미연성분은 완전연소지역(다)에 잔존하는 잉여산소와 혼합/반응되면서 완전연소되므로 질소산화물과 분진저감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 3도에 기존 질소산화물 감소용 버너와 동일한 버너에 본 발명의 노즐을 사용한 결과를 나타냈다. 제 3 도의 도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실시했을 때의 화염온도는 기존 버너에서보다 완만한 분포를 보이면서 버너 선단 근처에서 급격한 화염온도의 증가가 없는 화염의 냉각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효과와 함께 본 발명은 질소산화물의 환원반응대 형성으로 질소산화물을 기존 버너보다 약 30% 더 감소시킬 수 있으며 분진량 또한 약 20% 정도 감소시킬 수있다.
또한, 화염의 과대한 증가방지와 저부하에서의 화염안정화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유류버너에 적용하게되면 연료중에 질소량을 0.4% 이상 포함한 고질소 연료를 사용하게 되더라도 추가적인 질소산화물 저감설비 없이 공해배출 허용기준을 만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버너에 노즐만 교체하여 적용할 수 있으므로 설치나 유지보수가 상당히 간편히 이루어지고 추가적인 설비부담이 없으므로 매우 경제적인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연료측구멍, 증기측구멍 및 연료분출구멍이 각각 1개씩 갖춘 질소산화물 저감형 버너의 연료노즐에 있어서, 상기 각 구멍을 2개의 군으로 분리하여 각 군별로 분출방향 및 위치를 달리하고, 상기 연료측구멍을 주화염용 연료측 구멍(1)과 보조화염용 연료측구멍(2)으로 나누고, 상기 증기측구멍은 주화염용 증기측구멍(3)과 보조화염용 증기측구멍(4)으로 나누며, 상기 연료 분출구멍은 주화염용 연료분출구멍(5)과 보조화염용 연료분출구멍(6)으로 나누어, 상기 주화염용 연료측 구멍(1)과 주화염용 증기측구멍(3) 그리고 주화염용 연료분출구멍(5)은 상기 연료노즐(7)의 위,아래에 집중되도록 편심각도로 설치하고, 보조 화염을 형성하는 보조화염용 연료측구멍(2), 보조화염용 증기측구멍(4) 그리고, 보조화염용 연료분출구멍(6)은 상기 연료노즐(7)의 좌,우에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주화염용 연료분출구멍(5)은 버너로 유입되는 연소공기와 주로 접촉되도록 하며 보조화염용 연료분출구멍(6)은 버너 중심축으로 연료를 분사시키도록 분사각을 0도로 하여 직접적으로 연소가스 재순환 영역에 분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선분사 구멍을 구비한 질소산화물(NOx) 저감형 이단노즐.
KR1019970020380A 1997-05-23 1997-05-23 질소산화물 저감형 버너의 이단노즐 KR1002539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380A KR100253993B1 (ko) 1997-05-23 1997-05-23 질소산화물 저감형 버너의 이단노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0380A KR100253993B1 (ko) 1997-05-23 1997-05-23 질소산화물 저감형 버너의 이단노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4549A true KR19980084549A (ko) 1998-12-05
KR100253993B1 KR100253993B1 (ko) 2000-05-01

Family

ID=19506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0380A KR100253993B1 (ko) 1997-05-23 1997-05-23 질소산화물 저감형 버너의 이단노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399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3993B1 (ko) 200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12808A (en) Dual fueled burner gun
CA2054043A1 (en) Method of minimizing the no emissions from a combustion
KR100231975B1 (ko) 선화분사 구멍을 가진 질소산화물 저감형 이단노즐
KR100231974B1 (ko) 균등분할되어 이형분사각을 갖는 질소산화물 저감형 이단노즐
KR19980084549A (ko) 직선분사 구멍을 구비한 질소산화물(NOx) 저감형 이단노즐
KR100253994B1 (ko) 동일 분사각을 갖는 질소산화물 저감형 이단노즐
KR200157863Y1 (ko) 질소산화물저감형 보일러 화로
CN220793191U (zh) 一种燃气轮机及其喷嘴
KR100231972B1 (ko) 연소공기 단별유입 효과를 극대화한 질소산화물 저감형 버너
KR200161561Y1 (ko) 질소산화물 저감형 버너의 플로디바이더
KR200148227Y1 (ko) 물분사에 의한 공해물질 저감형 버너
KR200177803Y1 (ko) 플루 디바이더 형상변경을 통한 질소산화물(NOx) 저감형 버너
KR200145483Y1 (ko) 3단 연소에 의한 공해물질 저감형 버너
KR0181526B1 (ko) 공해물질 저감형 버너
KR200145482Y1 (ko) 질소산화물 저감형 버너
KR200236495Y1 (ko) 교차 선회와 확산형 원추통에 의한 공해 물질 저감형 버너
SU1695038A2 (ru) Экранированна топочна камера
KR100189706B1 (ko) 유류 버너용 연료 이단연소 노즐
KR19980030927U (ko) 화로내 이단연소 보일러
KR200172447Y1 (ko) 저 공해형 화로
KR100253991B1 (ko) 보일러 화로의 질소산화물 저감 방법
KR100213684B1 (ko) 저공해형 화로
KR20010047553A (ko) 미분탄 버너
KR200161049Y1 (ko) 저 질소산화물 (NOx) 버너
KR100372143B1 (ko) 저질소산화물버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