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2242A -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교환기의 트렁크 상태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교환기의 트렁크 상태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2242A
KR19980082242A KR1019970017040A KR19970017040A KR19980082242A KR 19980082242 A KR19980082242 A KR 19980082242A KR 1019970017040 A KR1019970017040 A KR 1019970017040A KR 19970017040 A KR19970017040 A KR 19970017040A KR 19980082242 A KR19980082242 A KR 199800822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state
control block
change
rou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7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7184B1 (ko
Inventor
신연승
김대식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정욱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정욱,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70017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7184B1/ko
Priority to US09/070,742 priority patent/US6393009B1/en
Publication of KR199800822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22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7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71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28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or spread spectrum multiple access [SS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CDMA 이동통신 교환기의 트렁크 상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트렁크들의 상태를 논리적 트렁크 구조와 물리적 트렁크 구조로 구분하여 별도의 서브시스템에서 나누어 관리하여 물리적으로 여러 서브시스템에 분산되어 수용되는 트렁크들을 논리적 트렁크 구조를 이용하여 하나의 루트로 구성함으로서 루트 관리 및 루트 데이터 수집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트렁크 상태를 별도의 서브시스템에서 이중으로 관리하므로서 논리적인 트렁크 상태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물리적 트렁크 상태를 관리하는 서브시스템으로부터 트렁크 상태를 수집할 수 있고, 물리적인 트렁크 상태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논리적 트렁크 상태를 관리하는 서브시스템으로부터 트렁크 상태를 수집할 수 있어 트렁크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루트 관리 및 루팅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교환기의 트렁크 상태 관리 방법
본 발명은 코드분할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CDMA라 함) 이동통신 교환기의 트렁크 상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환기간의 통신을 위해 물리적으로 연결되는 트렁크의 상태를 이동통신 교환기 구조를 이용하여 이중화하여 관리함으로써 트렁크 상태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비정상 상태에서 정상 상태로 변경되면 트렁크 상태를 수집하여 트렁크 상태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CDMA 이동통신 교환기의 트렁크 상태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화를 이용하는 가입자들의 폭증과 다양한 서비스 요구에 따라 대용량의 복잡한 교환기들이 출현하였다. 이 교환기들은 서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인접 교환기들과 트렁크를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인접 교환기들과의 효율적인 통신을 위해 교환기에 연결된 트렁크들의 고장, 사용중, 시험중, 사용 가능 등의 상태를 관리한다.
TDX 및 대부분의 교환기들은 트렁크의 상태를 트렁크가 연결된 서브시스템에서만 관리(물리적 트렁크 상태 관리)함으로써 트렁크들로 구성되는 루트 정보가 여러 서브시스템에 분산되어 존재하여 루트 관리 및 루트 데이터 정보 수집이 불편하였다. 또한, 트렁크 상태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에 문제가 발생하면 트렁크 상태를 수집하여 복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효율적인 트렁크 상태 관리를 통해 루트 관리 및 루팅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여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렁크들의 상태를 논리적 트렁크 구조와 물리적 트렁크 구조로 구분하여 별도의 서브시스템에서 나누어 관리하고 물리적으로 여러 서브시스템에 분산 수용되는 트렁크들을 논리적 트렁크 구조를 이용하여 하나의 루트로 구성하여 한 서브시스템에서 관리하게 함으로써 루트 관리 및 루트 데이터 수집을 용이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트렁크 상태를 별도의 시스템에서 이중으로 관리함으로써 논리적인 트렁크 상태를 이용하여 루팅 기능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비정상인 경우 별도의 서브시스템에서 물리적 트렁크 상태를 관리하는 서브시스템으로부터 트렁크 상태를 수집하여 루팅 기능을 수행하며, 비정상으로 수행되는 서브시스템이 정상으로 변경되면 물리적 상태를 관리하는 서브시스템으로부터 트렁크 상태를 수집하여 트렁크 상태를 복구함으로써 루팅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하고, 물리적인 트렁크 상태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이 논리적 트렁크 상태를 관리하는 서브시스템으로부터 트렁크 상태를 수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CDMA 이동통신 교환기의 구조도.
도 2(a) 내지 도 2(d)는 CDMA 이동통신 교환기의 루트 및 트렁크 데이터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렁크 점유 및 통보에 의한 트렁크 상태 변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장이 감지된 트렁크들의 상태 변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중인 트렁크가 사용 완료후 트렁크 상태 변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운용자의 요구에 의한 트렁크 상태 변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렁크 점유 과정을 통해 트렁크 상태를 일치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1 :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
102 : 상호 연결망 서브시스템(INS)
103 : 중앙 제어 서브시스템(CCS)
104 : 이동 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M)
105 :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T)
106 : 신호 방식 No.7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7)
107 : 정합 교환 프로세서(ASP)
108 : 로컬 루팅 제어 블록(LRC)
109 : R2 신호 트렁크 제어 블록(TCR)
110 : 전화 장치 유지보수 처리 블록(TDMH)
111 : 전화 장치 시스템 라이브러리(TDSL)
112 : 번호 번역 프로세서(NTP)
113 : 번호 번역 기능 블록(NTR)
114 : 글로벌 루팅 제어 블록(GRC)
115 : 운용 및 유지보수 프로세서(OMP)
116 : 위치 등록 데이터 프로세서(LRDP)
117 : 시스템 상태 제어 블록(SSC)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조도로서,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ccess Switching Subsystem: 이하 ASS라 함)(101), 상호 연결망 서브시스템(Interconnection Network Subsystem: 이하 INS라 함)(102) 및 중앙 제어 서브시스템(Central Control Subsystem: 이하 CCS라 함)(103)으로 구성된다.
ASS(101)는 가입자 및 중계선 정합 장치, 타임 스위치, 각종 신호 장치를 포함하여 호 처리 기능을 수행하는 서브시스템이다. 이는 이동 가입자 정합을 위한 이동 가입자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 for Mobile Subscribers: 이하 ASS-M이라 함)(104), 중계선 정합을 위한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 for Trunks: 이하 ASS-T라 함)(105), 공통선 신호를 위한 신호 방식 No.7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ASS for SS No.7 Signaling: 이하 ASS-7라 함)(106)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가입자 및 중계선의 용량에 따라 63개까지 사용 가능하다.
INS(102)는 시스템의 중앙에 위치하여 ASS(101)를 구성하는 서브시스템간을 연결하는 스위칭 기능을 수행하며, 번호 번역 프로세서(Number Translation Processor: 이하 NTP)(112)를 포함하는 서브시스템이다. NTP(112)는 번호 번역 기능을 수행하는 번호 번역 기능 블록(Number Translation Registration: 이하 NTR이라 함)(113) 및 루팅 기능을 수행하는 글로벌 루팅 제어 블록(Global Routing Control: 이하 GRC라 함)(114)으로 이루어져 있다.
CCS(103)는 시스템의 운용 관리, 유지 보수, 과금, 통계, 입출력 장치, 이동 가입자 위치 등록, 가입자 정보를 관리하기 위해 운용 및 유지보수 프로세서(Operation and Maintenance Processor: 이하 OMP라 함)(115)와 위치 등록 데이터 프로세서(Location Register Data Processor: 이하 LRDP라 함)(116)로 구성된 서브시스템이다. 또한, OMP(115)는 이동통신 교환기의 하드웨어 고장 상태를 검사하는 시스템 상태 제어 블록(System Status Control: 이하 SSC라 함)(117)을 포함한다.
트렁크 상태에 관련된 블록들로서 ASS-T(105)내의 정합 교환 프로세서(Access Switching Processor: 이하 ASP라 함)(107)는 결정된 루트로부터 사용 가능한 트렁크를 선택하여 트렁크 점유를 요구하며 논리적 트렁크 상태를 관리하는 로컬 루팅 제어 블록(Local Routing Control: 이하 LRC라 함)(108), 트렁크 점유를 시도하는 R2 신호 트렁크 제어 블록(Trunk Control for R2 Signaling: 이하 TCR이라 함)(109), ASS-T(105)에 연결된 트렁크의 고장 상태를 관리하는 전화 장치 유지보수 처리 블록(Telephony Device Maintenance Handling: 이하 TDMH라 함)(110), 트렁크의 고장 및 사용중 상태를 통보받아 물리적 트렁크 상태를 저장 및 관리하는 라이브러리인 전화 장치 시스템 라이브러리(Telephony Device System Library: 이하 TDSL이라 함)(111) 등이 포함된다. 또한, INS(102)내의 NTP(112)는 착신 가입자의 번호를 번역하여 루트를 결정하는 NTR 블록(113)과 분산된 루팅 기능을 수행하는 ASP(107)의 LRC 블록(108)이 비정상으로 인해 루팅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경우 해당 ASP(107)에서 관리하는 루트 정보를 수집하여 루팅 기능을 대행하는 GRC 블록(114)도 포함된다.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트렁크 상태의 관리는 결정된 루트로부터 사용 가능한 트렁크를 선택하기 위해 논리적인 트렁크 상태를 관리하는 LRC 블록(108)과 동일한 서브시스템내의 TDMH 블록(110)으로부터 트렁크의 고장 및 시험중임을 통보받고, TCR 블록(109)으로부터 트렁크의 점유 및 해제를 통보받아 물리적인 트렁크 상태를 저장 및 관리하는 TDSL(111)에서 수행한다.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트렁크 상태 변경은 대국과의 음성 통화를 위해 트렁크 점유 및 해제, 운용자의 요구 그리고 시스템 혹은 트렁크의 고장으로 발생된다.
도 2(a) 내지 도 2(d)는 루트를 구성하는 논리적인 트렁크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 구조도이다. 한 루트는 다수의 트렁크 그룹으로 구성(1:n)되고 하나의 트렁크 그룹은 다수의 그룹 요소로 구성(1:n)되며 그룹 요소들에 각 트렁크 번호들이 하나씩 할당(1:1)된다. 각 ASS-T에 연결된 트렁크들을 트렁크 그룹들로 나누어 구성하고, 일부 ASS-T들로부터 트렁크 그룹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루트를 구성함으로써 한 루트를 서브시스템들로 분산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루트 정보를 각 ASS-T들의 ASP에 분산 수용함으로써 루트에 따라 루팅 기능을 분산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2(a)는 루트 정보의 구조도로서, 각 루트에 대한 루트 번호, 루트를 구성하는 대표 트렁크 그룹 번호, 그룹 수 및 루트 정보를 관리하는 프로세서(ASP) 번호 그리고 그 외의 루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된다. 이 정보는 모든 ASS-T와 NTP에 수용되며, 운용자에 의해 변경된다.
도 2(b)는 트렁크 그룹 정보의 구조도로서, 각 그룹에 대한 그룹 번호, 그룹들을 링크로 연결하기 위한 앞 트렁크 그룹 번호 및 뒤 트렁크 그룹 번호, 그룹에 할당된 트렁크 수, 그리고 트렁크들이 위치한 장소 등이 포함된다. 이 정보는 모든 ASS-T와 NTP에 수용되며, 운용자에 의해 변경된다.
도 2(c)는 그룹 요소 정보의 구조도로서, 루트 정보를 관리하는 프로세서에 저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 요소에 할당된 트렁크 번호, 링크로 연결하기 위한 앞 그룹 요소 번호 및 뒤 그룹 요소 번호, 사용 가능 여부를 표시하는 프래그등으로 구성된다. 이 정보는 루팅을 위해 사용 가능한 트렁크를 선택하기 위해 논리적인 트렁크 상태를 관리하는 ASS-T의 LRC 블록에서 수용되어 관리되며 시스템 운용중 트렁크 상태 변경 및 운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태가 변경된다.
도 2(d)는 트렁크 정보의 구조도로서, 물리적 트렁크가 연결된 프로세서에 저장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렁크 번호가 할당된 요소 번호, 뒤 트렁크 번호, 그룹 번호, 루트 관리 위치 프로세서 번호등이 포함된다. 이 정보는 TDMH 블록의 요구에 의해 물리적인 트렁크 상태를 관리하는 ASS-T의 TDSL에 수용되어 관리되며 시스템 운용중 트렁크 상태 변경 및 운용자의 요구에 따라 변경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트렁크 점유 요구 및 통보에 의한 트렁크 상태 변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NTP의 NTR 블록으로부터 루팅을 요구받은 제 1 ASS-T의 ASP에 위치한 LRC 블록이 사용 가능한 트렁크를 선택하여 사용중(busy)으로 등록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NTP의 NTR 블록은 루트 번호에 따라 제 1 ASS-T를 선택하고, 여기에 포함된 ASP의 LRC 블록으로 루팅을 요구한다(31). NTR 블록으로부터 루팅을 요구 받은 LRC 블록은 도 2(a)로부터 결정된 루트의 대표 그룹 번호 및 트렁크 선택 방법과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트렁크 그룹 정보 및 그룹 요소 정보를 이용하여 트렁크 그룹들에서 사용 가능(idle)한 요소 번호(논리적인 트렁크 번호)를 찾아내어 사용중(busy)임을 등록한다. 그리고나서 이 요소 번호에 할당된 물리적인 트렁크 번호와 트렁크가 위치한 제 2 ASS-T를 선택하여 ASP의 TCR 블록으로 트렁크 점유를 요구한다(32). 트렁크 점유를 요구 받은 TCR 블록은 트렁크 사용중(busy) 등록을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제 2 ASS-T의 ASP의 TDSL에게 요구한다(33). TDSL은 요구받은 트렁크의 상태가 유휴(idle)하면 해당 트렁크에 사용중 등록을 수행한 후 TCR 블록으로 사용중(idle) 등록 완료를 통보한다(34). TDSL으로부터 사용중(idle) 등록 완료를 통보 받은 TCR 블록은 제 1 ASS-T의 ASP에 위치한 LRC 블록으로 점유 성공을 통보한다(35). 이때 LRC 블록은 트렁크 점유를 요구한 트렁크 번호와 트렁크 점유가 성공한 트렁크 번호를 비교하여 다르면 논리적 트렁크 번호를 변경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고장이 감지된 트렁크들의 상태 변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동통신 교환기의 하드웨어 고장 상태를 검사하는 CCS의 OMP에 위치한 SSC 블록이 특정 트렁크들의 고장 상태를 감지한 후 해당 트렁크들의 물리적 트렁크 번호들을 관리하는 제 1 ASS-T의 ASP에 위치한 TDMH 블록으로 고장 상태를 통보한다(41). 고장 상태를 통보 받은 TDMH 블록은 해당 트렁크들의 물리적인 트렁크 상태를 관리하는 TDSL으로 해당 트렁크들의 상태 변경을 요구한다(42). 그리고 난 후 물리적 트렁크 번호들로부터 논리적 트렁크 정보를 관리하는 서브시스템과 논리적 트렁크 번호를 찾아 해당 ASS-T들(제 1, 제 2 및 제 3 ASS-T)의 LRC 블록으로 트렁크 상태의 변경을 요구한다(43, 44, 45). 논리적인 트렁크 상태 변경 요구를 받은 각 LRC 블록은 해당 트렁크의 상태를 변경하고 관련된 루트 정보를 변경한 후 상태 변경을 요구한 TDMH 블록으로 상태 변경 완료를 통보한다(46, 47, 48).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 예에 따른 사용중인 트렁크의 사용 완료후 트렁크 상태 변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제 1 ASS-T의 ASP에서 중계선 제어 기능을 담당하는 TCR 블록이 통화 종료를 감지한 후 물리적인 트렁크 상태를 관리하는 TDSL으로 유휴 상태(idle)로의 트렁크 상태 변경을 요구한다(51). 그리고 난 후 물리적인 트렁크 번호로부터 논리적인 트렁크 정보를 관리하는 ASS-T와 논리적 트렁크 번호를 찾아 해당 제 2 ASS-T의 LRC 블록으로 트렁크 상태의 변경을 요구한다(52). 논리적 트렁크 상태 변경 요구를 받은 LRC 블록은 해당 트렁크의 상태를 변경한 후 상태 변경을 요구한 제 1 ASS-T의 TCR 블록으로 상태 변경 완료를 통보한다(53).
도 6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 예에 따른 운용자 요구에 의한 트렁크 상태 변경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서, 운용자에 의해 요구된 특정 루트의 트렁크 상태 변경을 보여준다. 운용자로부터 특정 루트에 대한 상태 변경을 요구 받으면 INS의 NTP에 위치한 GRC 블록은 해당 루트를 관리하는 제 1 ASS-T를 찾아 거기에 위치한 LRC 블록으로 루트의 상태 변경을 요구한다(601). 이때 LRC 블록은 해당 루트를 구성하는 트렁크의 논리적인 트렁크 번호를 운용자의 요구에 따라 변경한 후 해당 트렁크에 할당된 물리적 트렁크 번호와 물리적 트렁크가 위치한 ASS-T를 찾아 해당 ASS-T, 즉 제 1 , 제 2 및 제 3 ASS-T의 TDMH 블록으로 트렁크 상태 변경을 요구한다(602, 605, 608). 트렁크 상태 변경 요구를 받은 각각의 ASS-T의 TDMH 블록은 TDSL으로 트렁크 상태 변경을 요구하고, TDSL은 해당 트렁크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상태를 변경한 후 결과를 TDMH 블록으로 통보한다(603, 606, 609). TDMH 블록은 트렁크 상태 변경 결과를 LRC 블록으로 통보한다(604, 607, 610). LRC 블록은 변경 결과를 GRC 블록으로 통보하고(611), GRC 블록은 루트의 트렁크 상태 변경을 요구한 운용자에게 결과를 통보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 예에 따른 트렁크 점유 메시지를 통해 논리적 트렁크 상태와 물리적 트렁크 상태를 일치시키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제 1 ASS-T의 LRC 블록이 지정된 루트의 논리적인 트렁크 번호로부터 사용 가능한(idle) 트렁크를 선택하여 선택된 트렁크의 물리적 상태를 관리하는 ASS-T(제 2 ASS-T)의 TCR 블록으로 트렁크 점유를 요구한다(71). 이때 TCR 블록은 자신이 위치한 제 2 ASS-T의 TDSL으로 사용중 등록을 요구한다(72). TDSL은 사용이 요구된 트렁크 번호가 유휴하지(idle) 않으면, 즉 사용중(busy)이거나 사용 중지(blocking)로 사용이 불가능하면 TCR 블록으로 사용 불가능 통보를 보낸다(73). TCR 블록은 사용 가능(idle)한 트렁크의 사용을 찾기 위해 TDSL과 통신을 계속한다(74). TDSL은 TCR 블록과의 통신을 통해 사용 가능한 트렁크를 찾으면 해당 트렁크 번호에 사용중(busy)임을 등록한 후 TCR 블록에 사용중(busy) 등록 완료를 통보한다(75). TCR 블록은 제 1 ASS-T의 LRC 블록으로부터 점유가 요구된 트렁크 번호와 새로 점유에 성공한 트렁크 번호가 포함된 점유 성공 메시지를 제 1 ASS-T의 LRC 블록으로 통보한다(76). LRC 블록은 통보 받은 트렁크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논리적 트렁크 상태 정보를 변경하여 자신이 위치한 제 1 ASS-T의 LRC 블록이 관리하는 논리적 트렁크 상태와 제 2 ASS-T의 TDSL 블록이 관리하는 물리적 트렁크 상태를 일치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CDMA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트렁크 상태를 논리적인 트렁크와 물리적인 트렁크로 분리하여 관리하고, 물리적으로 여러 서브시스템에 분산되어 실장되는 트렁크들을 논리적 구조를 이용하여 하나의 루트로 구성하여 관라하며, 루트별로 루트 정보를 서브시스템에 분산하여 수용함으로써 루팅 기능을 분산하여 수행한다. 또한 루트를 관리하는 서브시스템이 비정상적으로 수행하여 루팅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면 다른 서브시스템에서 논리적 트렁크 상태를 수집하여 루팅 기능을 대행함으로써 이동통신 교환기의 루팅 기능을 향상하고 나아가 이동통신 교환기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Claims (6)

  1. 번호 번역 프로세서의 번호 번역 기능 블록이 결정된 루트의 정보를 관리하는 루트 번호에 따라 선택한 제 1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의 로컬 루팅 제어 블록으로 루팅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번호 번역 기능 블록으로부터 루팅을 요구받은 상기 로컬 루팅 제어 블록이 루트를 구성하는 트렁크 그룹들에서 사용 가능한 논리적인 트렁크 번호를 찾아내 사용중임을 등록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중임을 등록한 로컬 루팅 제어 블록에서 상기 논리적인 트렁크 번호에 할당된 물리적인 트렁크 번호와 트렁크 번호가 위치한 제 2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을 선택하는 단계와,
    상기 로컬 루팅 제어 블록에서 상기 선택된 제 2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의 R2 신호 트렁크 제어 블록으로 트렁크 점유를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트렁크 점유를 요구받은 R2 신호 트렁크 제어 블록에서 트렁크 사용중 등록을 자신이 위치하고 있는 제 2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의 전화 장치 시스템 라이브러리에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트렁크 사용중 등록을 요구받은 전화 장치 시스템 라이브러리에서 요구받은 트렁크의 상태가 유휴하면 해당 트렁크에 사용중 등록을 수행한 후 R2 신호 트렁크 제어 블록으로 사용중 등록 완료를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중 등록 완료를 통보받은 R2 신호 트렁크 제어 블록에서 상기 제 1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의 상기 로컬 루팅 제어 블록으로 점유 성공을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점유 성공을 통보 받은 루팅 제어 블록에서 트렁크 점유를 요구한 트렁크 번호와 트렁크 점유가 성공한 트렁크 번호가 동일한가를 확인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교환기의 트렁크 상태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트를 구성하는 트렁크 그룹들에서 사용 가능한 논리적인 트렁크 번호는 루트 정보 데이터에서 결정된 루트의 트렁크 선택 방법과 대표 그룹 번호, 그리고 트렁크 그룹 정보 및 그룹 요소 정보를 이용하여 찾아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교환기의 트렁크 상태 관리 방법.
  3. 중앙 제어 서브시스템의 시스템 상태 제어 블록이 특정 트렁크들의 고장 상태를 감지한 후 제 1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의 전화 장치 유지보수 처리 블록으로 고장 상태를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고장 상태를 통보받은 전화 장치 유지보수 처리 블록에서 제 1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의 전화 장치 시스템 라이브러리로 해당 트렁크들의 상태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전화 장치 시스템 라이브러리로 해당 트렁크의 상태 변경을 요구한 전화 장치 유지보수 처리 블록에서 물리적 트렁크 번호들로부터 논리적 트렁크 정보를 관리하는 서브시스템과 논리적 트렁크 번호를 찾아 해당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들의 로컬 루팅 제어 블록으로 트렁크 상태의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논리적인 트렁크 상태 변경을 요구받은 각 로컬 루팅 제어 블록에서 해당 트렁크의 상태를 변경한 후 상태 변경을 요구한 상기 제 1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의 전화 장치 유지보수 처리 블록으로 상태 변경 완료를 통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교환기의 트렁크 상태 관리 방법.
  4. 통화 종료를 감지한 제 1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의 R2 신호 트렁크 제어 블록에서 제 1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의 전화 장치 시스템 라이브러리로 트렁크 상태를 유휴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트렁크 상태를 유휴 상태로 변경할 것을 요구한 R2 신호 트렁크 제어 블록에서 논리적인 트렁크 정보를 관리하는 제 2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과 논리적 트렁크 번호를 찾아 제 2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의 로컬 루팅 제어 블록으로 트렁크 상태의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논리적 트렁크 상태 변경을 요구받은 로컬 루팅 제어 블록에서 상기 해당 트렁크의 상태를 변경한 후 상태 변경을 요구한 상기 제 1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의 R2 신호 트렁크 제어 블록으로 상태 변경 완료를 통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교환기의 트렁크 상태 관리 방법.
  5. 운용자로부터 특정 루트에 대한 상태 변경을 요구받은 상호 연결망 서브시스템의 글로벌 루팅 제어 블록에서 해당 루트를 관리하는 제 1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을 찾아내는 단계와,
    상기 글로벌 루팅 제어 블록에서 상태 변경을 요구받은 루트를 관리하는 상기 제 1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에 위치한 로컬 루팅 제어 블록으로 루트의 상태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루트의 상태 변경을 요구받은 로컬 루팅 제어 블록에서 해당 루트를 구성하는 트렁크의 논리적인 트렁크 번호를 운용자의 요구에 따라 변경하는 단계와,
    상기 트렁크의 논리적인 트렁크 번호를 변경한 로컬 루팅 제어 블록에서 해당 트렁크에 할당된 물리적 트렁크 번호와 물리적 트렁크가 위치한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의 전화 장치 유지보수 처리 블록으로 트렁크 상태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트렁크 상태 변경 요구를 받은 전화 장치 유지보수 처리 블록에서 자신이 속한 전화 장치 시스템 라이브러리로 트렁크 상태 변경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트렁크 상태 변경을 요구받은 전화 장치 시스템 라이브러리에서 해당 트렁크의 상태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변경하고 상기 전화 장치 유지보수 처리 블록으로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트렁크 상태의 변경을 통보받은 전화 장치 유지보수 처리 블록에서 트렁크 상태 변경 결과를 상기 제 1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의 로컬 루팅 제어 블록으로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트렁크 상태 변경 결과를 통보받은 로컬 루팅 제어 블록에서 변경 결과를 상기 상호 연결망 서브시스템의 글로벌 루팅 제어 블록으로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트렁크 상태 변경 결과를 통보받은 글로벌 루팅 제어 블록에서 루트의 트렁크 상태 변경을 요구한 운용자에게 결과를 통보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교환기의 트렁크 상태 관리 방법.
  6. 제 1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의 로컬 루팅 제어 블록이 지정된 루트의 논리적인 트렁크 번호로부터 사용 가능한 트렁크를 선택하여 선택된 트렁크의 물리적 상태를 관리하는 제 2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의 R2 신호 트렁크 제어 블록으로 트렁크 점유를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트렁크 점유를 오구받은 R2 신호 트렁크 제어 블록에서 자신이 위치한 제 2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의 전화 장치 시스템 라이브러리로 사용중 등록을 요구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중 등록을 요구받은 전화 장치 시스템 라이브러리에서 사용이 요구된 트렁크 번호가 유휴하지 않을 경우 R2 신호 트렁크 제어 블록으로 사용 불가능을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 불가능 통보를 받은 R2 신호 트렁크 제어 블록에서 사용 가능한 트렁크의 사용을 찾기 위해 상기 전화 장치 시스템 라이브러리와의 통신을 계속하는 단계와,
    상기 전화 장치 시스템 라이브러리는 R2 신호 트렁크 제어 블록과의 계속적인 통신을 통해 사용 가능한 트렁크를 찾으면 해당 트렁크 번호에 사용중임을 등록한 후 상기 R2 신호 트렁크 제어 블록에 사용중 등록 완료를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사용중 등록 완료를 통보받은 R2 신호 트렁크 제어 블록에서 상기 제 1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의 로컬 루팅 제어 블록에 점유가 요구된 트렁크 번호와 새로 점유에 성공한 트렁크 번호가 포함된 점유 성공 메시지를 통보하는 단계와,
    상기 로컬 루팅 제어 블록은 통보 받은 트렁크 상태 정보를 이용하여 논리적 트렁크 상태 정보를 변경하여 자신이 위치한 제 1 트렁크 정합 교환 서브시스템의 전화 장치 시스템 라이브러리와 전화 장치 유지보수 처리 블록의 트렁크 상태를 일치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교환기의 트렁크 상태 관리 방법.
KR1019970017040A 1997-05-02 1997-05-02 코드분할다중접속이동통신교환기의트렁크상태관리방법 KR100237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7040A KR100237184B1 (ko) 1997-05-02 1997-05-02 코드분할다중접속이동통신교환기의트렁크상태관리방법
US09/070,742 US6393009B1 (en) 1997-05-02 1998-05-01 Method for managing trunk status of a CDMA mobile communication exchan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7040A KR100237184B1 (ko) 1997-05-02 1997-05-02 코드분할다중접속이동통신교환기의트렁크상태관리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2242A true KR19980082242A (ko) 1998-12-05
KR100237184B1 KR100237184B1 (ko) 2000-01-15

Family

ID=195047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7040A KR100237184B1 (ko) 1997-05-02 1997-05-02 코드분할다중접속이동통신교환기의트렁크상태관리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393009B1 (ko)
KR (1) KR1002371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5766A (ko) * 2000-05-18 2001-11-29 박종섭 통신교환기에서의 패스 참조 데이터 스트럭쳐의 관리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2336B1 (ko) * 1998-10-22 2001-06-01 서평원 교환 시스템에서 국번 번역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국번번역 방법
JP2016081483A (ja) * 2014-10-22 2016-05-16 富士通株式会社 分析プログラム、分析装置、及び分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10161B1 (fr) * 1987-01-23 1994-03-25 Telic Alcatel Procede de routage des communications pour reseau d'autocommutateurs temporels numeriques
ATE67915T1 (de) * 1987-05-22 1991-10-15 Siemens Ag Schaltungsanordnung fuer zentralgesteuerte zeitmultiplex-fernmeldevermittlungsanlagen, insbesondere pcm-fernsprechvermittlungsanlagen, mit an ein koppelfeld angeschlossenen anschlussgruppen.
US5590176A (en) 1993-08-30 1996-12-31 Lucent Technologies Inc. Arrangement for local trunk hunting in a distributed switching system
US6044143A (en) * 1997-08-27 2000-03-28 Ericsson Inc. Non-notified centralized operator in private telecommunication network
USH1941H1 (en) * 1997-09-26 2001-02-06 Dsc/Celcore, Inc. Agent interworking protocol and call processing architecture for a communications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5766A (ko) * 2000-05-18 2001-11-29 박종섭 통신교환기에서의 패스 참조 데이터 스트럭쳐의 관리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7184B1 (ko) 2000-01-15
US6393009B1 (en) 2002-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60590A (en) Architecture for distributed control telecommunication switching systems
JP2723217B2 (ja) 分散制御交換システム内でのシーケンス呼の処理
EP0400879A2 (en) Dynamic shared facility system for private networks
US5664010A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improved telecommunications service node
CA2674806C (en) System and method for dynamically partitioning context servers
US6026147A (en) System and method for supervising calls in the exchange
CN1128553C (zh) 动态控制路由选择
JPH0454438B2 (ko)
WO1999030516A1 (en) Method for maintaining reliability in a service network
KR100237184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이동통신교환기의트렁크상태관리방법
US3783255A (en) Data handling system maintenance arrangement for processing system trouble conditions
CA2398490A1 (en) Data handling system
CN100492969C (zh) 用于交换系统的前缀转换分散型配置的装置和方法
KR0139586B1 (ko) 중계 서비스 교환기를 이용한 단국 서비스 교환기의 지능망 서비스 호처리 방법
KR100194594B1 (ko) 이동통신 교환기의 루팅기능 분산방법
KR970004824B1 (ko) 서비스 교환기(tdx-10 ssp)의 안내 방송 장치 다중화 방법
JP3335686B2 (ja) マルチリンク制御方式
KR0152394B1 (ko) 이동통신 교환기에서의 경로 재구성을 위한 스위치 제어방법
JP3700815B2 (ja) 構内交換網における内線代表システム
JP2000078282A (ja) 接続確立方法、サ―ビス制御点、および通信網
GB2061063A (en) Telecommunications exchange
KR930010252B1 (ko) 전전자 교환시스팀의 사설교환기 회선 탐색방법
KR0147349B1 (ko) 종합정보 통신망 전전자 교환기의 넘버.7 사용자부 출중계선 호처리 방법
Hills Alternative approach to the design of stored-program-controlled telephone exchanges
KR100600947B1 (ko) 시분할전자교환기(tdx-100)에서정합서브시스템(ass) 재시동시 불복구 현상 제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