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2240A -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저장 방법 - Google Patents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저장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2240A
KR19980082240A KR1019970017038A KR19970017038A KR19980082240A KR 19980082240 A KR19980082240 A KR 19980082240A KR 1019970017038 A KR1019970017038 A KR 1019970017038A KR 19970017038 A KR19970017038 A KR 19970017038A KR 19980082240 A KR19980082240 A KR 19980082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rt
base station
message
short message
mobil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70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7791B1 (ko
Inventor
신연승
김종익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정욱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서정욱,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승택
Priority to KR10199700170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7791B1/ko
Publication of KR19980082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2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7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77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0Centralised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or busy subscribers ; 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 H04M3/53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 H04M3/5322Centralised arrangements for recording incoming messages, i.e. mailbox systems for recording text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6Message adaptation to terminal or network requirements
    • H04L51/066Format adaptation, e.g. format conversion or compre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1/00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 H04L51/07User-to-user messaging in packet-switching networks, transmitted according to store-and-forward or real-time protocols, e.g. e-mail characterised by the inclusion of specific contents
    • H04L51/18Commands or executable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8Information format or content conversion, e.g. adaptation by the network of the transmitted or received information for the purpose of wireless delivery to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 H04W88/184Messaging devices, e.g. message cent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 시스템(CMS: CDMA Mobile System)의 단말기에서 작성한 간단한 메시지(단문)를 제어 메시지(Control Message)를 이용하여 기지국, 이동통신 교환기를 경유하여 단문 서비스 센터로 전달하여 저장(Store)한 후, 착신이 요구되는 단말기의 상태가 수신 가능하면 착신 단말기의 위치를 찾아, 저장된 메시지를 이동통신 교환기, 기지국을 경유하여 해당 단말기로 전송(Foward)하는 단문 서비스 기능 중 단말기에서 작성된 단문(페이징 메시지, 간단한 메시지등, 음성 메시지 도착 통보 메시지 등)을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서브 시스템간에 사용되는 다양한 제어 메시지(단말기-기지국: 액세스 채널 신호 메시지, 페이징 채널 신호 메시지, 트래픽 채널 제어 신호 메시지, 기지국-이동통신 교환기: No.7 신호 메시지, 이동통신 교환기 내부: IPC 신호 메시지, 이동통신 교환기-단문 서비스 센터: MAP 신호 메시지)를 이용하여 기지국, 이동통신 교환기를 경유하여 단문 서비스 센터로 전달하여 저장을 요구하는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저장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저장 방법
본 발명은 코드분할다중접속(이하, CDMA이라 함) 이동통신 시스템(CMS; CDMA Mobile System)의 단문 저장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이 단말기로 부터 전송 요구된 단문을 크기에 따라 단문을 1회에 혹은 분리하여 나누어 이동통신 교환기를 경유해 단문 서비스 센터로 저장하는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저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유럽에서 사용하는 그룹 스위치 모듈(GSM)의 시분할다중접속(TDMA) 방식에서는 단문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가 지원되고 있으나 국내에서 세계 최초로 개발에 성공한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지원되지 못한다. 즉, CDMA 방식에서는 단문 서비스(SMS)를 이용하여 페이져 기능을 수행하는 CPT(Cellular Paging Teleservice), 음성 사서함이 도착하였음을 통보하는 VMN(Voice Mail Notification), 간단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CMT(Cellular Message Teleservice)를 지원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단말기로 부터 작성된 단문을 기지국, 이동통신 교환기를 경유하여 단문 서비스 센터에 저장한 후 착신 단말기로 단문을 전송하는 단문 서비스 기능 중 단말기로 부터 작성된 단문을 기지국, 이동통신 교환기를 경유하여 단문 서비스 센터에 저장하도록 하는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지중인 단말기에서 작성된 단문을 수신한 기지국에서 전송하려는 단문의 크기와 프로세스 간 통신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는 최대 크기와 비교해 1회에 전송이 가능하면 단문이 포함된 No.7 신호 메시지를 이동통신 교환기의 기지국 정합 프로그램으로 단문 전송을 요구하고, 1회에 전송이 불가능하면 이동통신 교환기의 기지국 정합 프로그램으로 단문을 수신하기 위한 준비를 요구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단문이 포함된 No.7 신호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문 전송을 요구받은 이동통신 교환기의 기지국 정합 프로그램이 No.7 신호 메시지를 분해하여 프로세스 간 통신 신호 메시지로 변환한 후 단문 서비스 센터 정합 프로그램으로 전송을 요구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단문을 수신하기 위한 준비를 요구받은 이동통신 교환기의 기지국 정합 프로그램이 단문 전송을 요구한 단말기의 인증 및 위치 등록을 수행한 후 단문 전달을 위해 기지국 정합을 전담할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새로운 프로세스가 이동통신 교환기와 단문 서비스 센터의 정합을 담당할 새로운 프로세스의 생성을 요구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에서 단문 서비스 센터와의 정합을 위해 새로이 생성된 프로세스로 부터 단문 전달 준비 완료를 통보받은 기지국과의 정합을 담당하는 새로운 프로세스가 이동통신 교환기의 기지국 정합 프로그램 단문을 전달하기 위한 통로가 준비되었음을 기지국으로 통보하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를 수행한 후 기지국으로 부터 단문이 포함된 No.7 신호 메시지가 연속하여 이동통신 교환기의 기지국 정합 프로세스로 도착되면 이 프로세스는 수신한 No.7 신호 메시지를 분해한후 프로세스 간 통신 신호 메시지로 변환하여 단문 서비스 센터와 정합을 담당하는 프로세스로 연속하여 보내어 단문 서비스 센터와 정합을 수행하는 프로세스가 단문이 포함된 프로세스 간 통신 메시지들을 분해한 뒤 MAP 메시지로 재구성하여 단문 서비스 센터로 저장을 요구하도록하는 제 5 단계와,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단문 서비스 센터와 정합을 담당하는 프로세스로 부터 단문이 정상적으로 저장되었음을 통보받은 기지국과의 단문 서비스 정합을 담당하는 프로세스는 단문이 정상적으로 저장되었음을 기지국으로 통보하고 제거되는 제 6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통화중인 단말기에서 작성된 단문을 단말기가 음성 통화로 사용중인 트래픽 채널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단문이 포함된 제어 신호 메시지를 전달하면 기지국이 이동통신 교환기의 기지국 정합 프로그램으로 단문 서비스를 위한 기지국 정합을 위한 새로운 프로세스의 생성을 요구하지 않고, 사용중인 음성 통화의 제어를 위해 이미 생성된 기지국 정합 프로세스로 단문 서비스 수신 준비를 요구하는 제 1 단계와, 음성 통화를 제어중이던 기지국 정합 프로세스는 단문 서비스 수신 요구를 받은 후 단문 서비스를 요구한 단말기의 인증 수행없이 위치 등록만을 수행한 후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단문 서비스 센터와 정합을 담당할 새로운 프로세스의 생성을 요구하는 제 2 단계와, 통화중 요구된 단문을 전송한 후 단문 서비스 센터와 정합을 담당하는 프로세스로 부터 단문 저장 완료 통보를 받은 기지국 정합 프로세스가 단문 저장 완료를 기지국으로 통보한 후 계속되는 음성 통화를 위해 대기하는 제 3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이하, CMS 라 함)의 단문 서비스(이하, SMS 라 함)는 CMS 단말기에서 작성된 단문을 CMS에 수용된 단문 서비스 센터에 저장한 후 전송(store forward) 기능을 이용하여 이동국(MS)과 이동국 사이, 공중 전화망(PSTN)의 단말기로 부터 이동국 사이에 제한된 간단한 문자 정보를 전달하는 서비스로, CMS에서는 단말기로 부터 단문이 작성되어 기지국, 이동통신 교환기(MX)를 경유하여 단문 서비스 센터에 저장하는 과정과, 단문 서비스 센터가 착신 단말기의 정보(단말기 상태, 위치 정보)를 찾아 해당 위치를 관리하는 이동통신 교환기로 단문을 전달하고, 이동통신 교환기는 해당 단말기를 찾아 단문을 단말기로 전송하는 과정으로 수행된다.
CMS는 단문서비스를 이용하여 페이징(Paging) 기능을 제공하는 CPT, 간단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CMT, 음성 사서함과 연동하여 음성 사서함이 도착하였음을 통보해주는 VMN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CMS는 신호 메시지를 이용하여 CMS의 부시스템들(단말기, 기지국, 교환기, 단문 서비스 센터, HLR)간에 단문을 전송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전송 구간에 따라 상이한 신호 메시지를 사용한다.
SMS 단말기와 기지국 사이의 무선 구간 통신을 위해 액세스/페이징(Access/Paging) 채널 혹은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의 제어 신호 메시지를 이용하고, 기지국과 이동통신 교환기 사이의 단문 메시지 통신을 위하여 No.7 신호 메시지를 사용하며, 이동통신 교환기내의 통신을 위해서 IPC(InterProcessor Communication; 프로세스간 통신) 신호 메시지를 사용하고, 이동통신 교환기와 단문 서비스 센터 사이의 통신을 위해 공통선 신호 방식을 이용한 MAP(Mobile Application Part; 이동 통신 응용부) 신호 메시지를 사용한다.
CMS에서 단문 저장 요구는 SMS 단말기에서 작성된 단문이 액세스 채널 혹은 트래픽 채널을 이용하여 기지국에 전달되면 기지국은 수신한 단문을 No.7 신호메시지로 변환하여 1회 혹은 분리하여 연속으로 이동통신 교환기로 전송하며, 이동통신 교환기는 수신한 No.7 신호 메시지를 IPC(프로세스간 통신) 신호 메시지로 변환하여 교환기 내부에서 통신한후 MAP(이동 통신 응용부) 신호 메시지로 재구성하여 단문 서비스 센터에 전송하여 저장할 것을 요구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도 1은 단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드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 시스템(CMS)의 구조도.
도 2는 단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교환기(MX)의 구조도.
도 3은 단말기에서 작성된 단문을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여 단문 서비스 센터로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단말기에서 작성된 단문을 트래픽 채널을 이용해 단문 서비스 센터로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음성 통화 중인 단말기에서 작성된 단문을 사용 중인 트래픽 채널을 이용해 단문 서비스 센터로 저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단문 서비스(SMS) 단말기(이동국) 12: 기지국(BS)
13: 이동통신 교환기(MX) 14: 홈위치 레지스터(HLR/AC)
15: 단문 서비스 센터 16: 서비스 제공자
17: 공중 교환 전화망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단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CDMA 이동통신 교환기의 구성도 이다.
단문 서비스를 제공하는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각 부시스템들을 기능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MS 단말기(SMS를 지원하는 이동국)(11)는 단문을 작성하여 전송하고, 수신한 단문을 표시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기지국(12)은 무선 구간의 액세스 혹은 트래픽 채널을 통해 SMS 단말기(11)로 부터 전송된 단문을 No.7 신호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교환기(13)로 전달하는 기능과, 이동통신 교환기(13)로 부터 전송된 단문을 무선 구간의 페이징 혹은 트래픽 채널을 통하여 SMS 단말기(11)기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동통신 교환기(MX)(13)는 No.7 신호 메시지를 이용하여 기지국(12)으로 부터 전달된 단문을 교환기내에서 사용되는 IPC 신호 메시지로 변환하여 통신한 후 단문 서비스 센터(15)와의 정합을 위해 MAP 신호 메시지로 변환하여 단문 서비스 센터(15)로 전달하는 기능과 단문 서비스 센터(15)로 부터 전송된 MAP 신호 메시지를 IPC 신호 메시지로 변환하여 내부 통신후 No.7 신호 메시지로 변환하여 기지국(12)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단문 서비스 센터(15)는 이동통신 교환기(13)로 부터 MAP 신호 메시지를 이용하여 전송된 단문을 저장하는 기능과 단문을 전달하기 위한 착신 단말기의 상태와 위치 정보를 찾아 해당 영역을 관리하는 이동통신 교환기로 단문 전달을 요구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또한, 착신 단말기의 착신 불가로 단문을 전달하지 못한 경우 홈위치 레지스터(HLR)(14)로 부터 해당 단말기의 수신 가능을 통보 받아 해당 영역을 관리하는 이동통신 교환기(13)로 단문 전달을 요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홈위치 레지스터(이하, HLR 이라 함)(14)는 단문 서비스 센터의 요구에 따라 착신 SMS 단말기(11)의 상태(idle,busy) 및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과 착신 SMS 단말기(11)의 수신 불가능으로 인해 전달되지 못한 단문이 수신 가능 상태로 변경되면 수신 가능함을 단문 서비스 센터(15)로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설명되지 않은 도면 부호 16은 서비스 제공자, 17은 공중 교환 전화망(PSTN)을 각각 나타낸다.
도 1의 구조 아래서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은 SMS 단말기(11)에서 작성된 단문을 기지국(12), 이동통신 교환기(13), 단문 서비스 센터(15)로 저장하는 저장 기능(store)과 단문 서비스 센터(15)가 HLR(14)에 해당 단말기의 정보를 조회한 뒤 이동통신 교환기(13), 기지국(12)을 경유하여 SMS 단말기(11)로 전송하는 전달(forward) 기능으로 나누어 수행된다.
본 발명에서는 단문 서비스 수행중 SMS 단말기(11)에서 작성된 단문을 기지국(12), 이동통신 교환기(13), 단문 서비스 센터(15)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방법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 2는 단문 서비스를 지원하는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이동통신 교환기의 구조도 이다.
단문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교환기(MX)(200)의 담당 기능은 다음과 같다. 이동통신 교환기(MX)(200)는 기지국(220)과는 No.7 신호 메시지를 이용하고, 그리고 HRL(270) 및 단문 서비스 센터(280)와는 MAP 신호 메시지를 통하여 정보를 교환한다. 이동통신 교환기(200)는 이동 가입자와의 정합을 위한 ASS-M(230 및 240), 중계선 정합을 위한 ASS-T(245), No.7 신호를 정합하는 ASS-7(246) 등으로 구성되어 이동 가입자 및 중계선과의 정합 기능을 담당하는 부시스템(ASS)과 교환기의 중앙에 위치하여 ASS들간 상호간을 연결하는 스위칭 기능, 교환기 영역내의 단말기 상태 관리 기능을 담당하는 내부 연결망 부시스템(INS; 250), 교환기의 운용 관리, 유지 보수, 이동 가입자 위치 등록 및 MAP 신호 메시지 처리 기능을 담당하는 중앙 제어 부시스템(CCS; 260)으로 구성된다. 이들 부시스템들은 프로세스들(ASP(231, 241), NTP(251), LRAP(261), ...)로 구성되고 프로세스에 실장된 소프트웨어 블럭(프로그램)들에 의해 운영되며, 소프트웨어 블럭들간은 IPC 신호 메시지를 이용하여 통신한다.
ASP 프로세스(231, 241)에 실장되는 MSA 블럭(232, 242)은 No.7 신호 메시지를 이용하여 기지국(220)과의 정합을 담당하고, LRAP 프로세스(261)에 실장된 SMAP 블럭(262)은 MAP 신호 메시지를 이용하여 단문 서비스 센터와의 정합을 담당하며 MSA 블럭(232, 242)과 SMAP 블럭(262)은 IPC 신호 메시지를 이용하여 통신한다.
도 3은 단말기에서 작성된 단문을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여 단문 서비스 센터로 저장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단문을 단말기에서 작성하여 무선 구간의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여 기지국, 교환기를 경유해 단문 서비스 센터에 저장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MS 단말기(31)는 입력된 단문의 전송 정보를 이용하여 단문 메세지를 작성(311)한 후, 액세스 채널 또는 트래픽 채널을 사용하여 단문을 전송할 것인지를 판단한 후 액세스 채널을 사용할 것으로 결정되면, 무선 구간의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여 기지국(32)으로 단문 전송 및 저장을 요구(301)한다. 이때 단말기(31)는 전송하려는 단문의 크기가 액세스 채널로 전송할 수 있는 최대 전송 크기 보다 크던지 혹은 무선 구간에서의 암호화가 필요하면 트래픽 채널을 사용하고, 그렇지 않으면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여 단문을 전송한다. 트래픽 채널은 액세스 채널보다 1회에 보다 큰 단문을 전송할 수 있으며, 트래픽 채널을 이용한 정보 송수신은 항상 암호화 된다.
기지국(32)은 단말기(31)로 부터 전달된 단문을 No.7 신호 메시지로 재구성(312)하여 이동통신 교환기의 MSA 블럭(34)으로 단문 전송 및 저장을 요구(302)한다. MSA 블럭(34)은 수신한 메시지를 분해한 후 단문 서비스를 요구한 단말기의 인증 및 위치 등록(313)을 홈위치 레지스터(37)에 등록한 후 IPC 신호 메시지(314)로 변환하여 SMAP 블럭(35)으로 전송 및 저장을 요구(303)한다.
SMAP 블럭(35)은 수신한 IPC 신호 메시지(314)로 부터 단문 정보를 추출한 뒤 MAP 신호 메시지로 재구성(315)하여 단문 서비스 센터(36)로 단문의 저장 및 전송을 요구(304)한다. 단문 서비스 센터(36)는 수신한 단문을 저장한 후 MAP 신호 메시지를 이용하여 SMAP 블럭으로 저장 결과를 통보(305)하고, SMAP 블럭(35)이 수신한 MAP 신호 메시지를 IPC 신호 메시지로 변환(316)하여 MSA 블럭(34)으로 결과를 통보(306)하면, MSA 블럭(34)은 IPC 신호 메시지(316)를 No.7 신호로 변환(317)한 후 기지국(32)으로 단문 전송 결과를 통보(307)하고, 기지국(32)은 페이징 채널을 이용하여 단말기(31)로 전송 결과를 통보(308)함으로써, 액세스 채널을 이용한 단문 저장 기능이 완료된다.
도 4는 단말기에서 작성된 단문을 트래픽 채널을 이용하여 단문 서비스 센터에 저장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단말기에서 작성된 단문을 무선 구간의 트래픽 채널을 이용하여 기지국, 교환기를 경유하여 단문 서비스 센터에 저장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MS 단말기(41)는 입력된 단문의 전송 정보를 이용하여 단문 메세지를 작성(421)한 후, 트래픽 채널을 사용할 것이 결정되면 무선 구간의 트래픽 채널의 제어 신호 메시지를 이용하여 기지국(42)으로 단문 전송 및 저장을 요구(401)한다. 이때 단말기(41)는 전송하려는 단문의 크기가 액세스 채널로 전송할 수 있는 단문의 크기 보다 크던지 혹은 무선 구간에서의 암호화가 필요하면 트래픽 채널을 사용하고 그렇지 않으면 액세스 채널을 이용하여 단문을 전송한다.
트래픽 채널을 통해 SMS 단말기(41)로 부터 단문 전송을 요구받은 기지국(42)은 전송된 단문을 저장한 후 No.7 신호 메시지를 이용하여 이동통신 교환기(43)의 MSA 블럭(44)으로 단문 수신 준비를 요구(402)하고, MSA 블럭(44)은 HLRAC(49)와 함께 단문 전송을 요구한 단말기의 인증 및 위치 등록을 수행한 후, 단문 수신을 전담할 MSA 블럭(44)의 인스턴스(MSAi)(47)를 생성(423)한다. MSAi(47)가 SMAP 블럭(45)으로 단문 수신 준비를 요구(403)하면, SMAP 블럭(45)은 단문 수신을 전담할 SMAP 블럭(45)의 인스턴스(SMAPi)(48)를 생성(424)하며, SMAPi(48)는 단문 수신 준비 완료 통보(404)를 MSAi(47)로 전송한다. 이때, MSAi(47)가 기지국(42)으로 단문 수신준비가 완료되었음을 통보(405)하면 기지국(42)은 MSAi(47)로 단말기로 부터 수신한 단문 메시지를 분해하여 단문이 포함된 No.7 신호 메시지를 만들어 연속하여 전송한다(406, 407). MSAi(47)는 단문이 포함된 No.7 신호 메시지가 연속하여 도착하면 이들을 IPC 신호 메시지로 변환하여 SMAPi(48)로 연속하여 전송(408, 409)하고, SMAPi(48)는 연속하여 도착한 IPC 메시지들로 부터 단문을 추출한 후 MAP 메시지로 재 구성(425)하여 단문 서비스 센터(46)로 전송 및 저장할 것을 요구(410)한다. 단문 서비스 센터(46)가 수신한 단문을 저장한 후 MAP 메시지를 이용하여 SMAPi(48)로 저장 결과를 통보(411)하면 SMAPi(48)는 수신한 MAP 신호 메시지를 IPC 신호 메시지로 변환(426)하여 MSAi(47)로 전송 결과를 통보(412)하게 되고, MSAi(47)는 이 결과를 No.7 신호 메시지를 이용하여 기지국(42)으로 통보(413)하고, 기지국(42)은 페이징 채널을 이용하여 단말기(41)로 저장 결과를 통보(414)함으로써 단문이 완료된다. SMAPi(48)는 단문 저장 결과를 MSAi(47)로 통보(412)한 후 제거되며(427), MSAi(47)은 단문 저장 결과를 기지국으로 통보(413)한 후 제거된다(428).
도 5는 통화 중인 단말기에서 작성된 단문을 트래픽 채널을 이용하여 단문 서비스 센터에 저장하는 과정을 보여준다.
통화 중인 단말기에서 작성된 단문을 무선 구간에서 사용 중인 트래픽 채널을 이용하여 기지국, 교환기를 경유하여 단문 서비스 센터에 저장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화중인 단말기에서 단문 전송 요구시에는 음성 통화 시도(521)를 위해 인증이 수행 되었으므로 수행하지 않는다.
음성 통화 중인 SMS 단말기(51)는 작성된 단문(522)을 음성 통화를 위해 사용 중인 트래픽 채널의 제어 신호 메시지를 이용하여 기지국(52)으로 단문 전송 및 저장을 요구(501)한다. 기지국(52)은 전송된 단문을 저장한 후 음성 통화를 위해 이동통신 교환기(53)에서 기지국 정합을 위해 생성되어 사용중인 이동통신 교환기의 MSA 블럭(54) 인스턴스인 MSAi(57)으로 단문을 수신할 준비를 요구(502)하면, MSAi(57)는 단문 서비스를 요구한 단말기의 위치를 HLRAC(59)에 등록한 후(523), SMAP 블럭(55)으로 단문 수신 준비를 요구(503)하고, SMAP 블럭(55)은 단문을 수신하기 위한 SMAP 블럭(55)의 인스턴스(SMAPi)(58)를 생성한다(524). 새로이 생성된 SMAPi(58)가 단문 수신 준비 완료 통보(504)를 MSAi(57)로 전송하면, MSAi(57)는 기지국(52)으로 단문 수신 준비가 완료되었음을 통보(505)하게 되며, 이때 기지국(52)은 SMS 단말기(51)로 부터 수신한 단문을 IPC 전송 크기에 따라 분할하고 No.7 신호 메시지로 재 구성한후 MSAi(57)로 연속하여 전송한다(506, 507). MSAi(57)는 단문이 연속하여 도착하면 No.7 신호 메시지를 IPC 신호 메시지로 변환한 후, SMAPi(58)로 연속하여 전송S508, 509)하고, SMAPi(58)는 연속하여 도착한 IPC 신호 메시지들로 부터 단문을 추출하여 MAP 메시지로 재구성(525)한 후 단문 서비스 센터(56)로 전송 및 저장하도록 요구(510)한다. 단문 서비스 센터(56)는 수신한 단문을 저장한 후 MAP 메시지를 이용하여 SMAPi(58)로 저장 결과를 통보(511)하고, SMAPi (58)가 IPC 신호 메시지(526)를 이용하여 MSAi(57)로 단문의 저장 결과를 통보하면(512), MSAi(57)는 No.7 신호 메시지를 이용하여 기지국(52)으로 단문의 저장 결과를 통보(513)하고, 기지국(52)은 페이징 채널을 이용하여 단말기(51)로 저장 결과를 통보(514)함으로서 단문 저장 수행이 완료된다. SMAPi(58)는 단문이 저장되었음을 통보(512)한 후 제거된다(527).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CDMA 이동통신 시스템(CMS)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단문을 단문 서비스 센터로 전달하여 저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지국이 단말기로 부터 전송 요구된 단문을 크기에 따라 단문을 1회에 혹은 분리하여, 혹은 무선구간에서 암호화 하여 나누어 이동통신 교환기를 경유해 단문 서비스 센터로 전달하여 저장함으로써,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져 기능을 수행하는 CPT(Cellular Paging Teleservice), 음성 사서함이 도착하였음을 통보하는 VMN(Voice Mail Notification) 및 간단한 메시지를 전송하는 CMT(Cellular Message Teleservice)등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휴지중인 단말기에서 작성된 단문을 단말기가 액세스 채널을 통하여 단문을 전송하면 기지국은 프로세스 간 통신 신호 메시지를 이용하여 보낼 수 있는 최대 크기와 비교하는 제 1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단문이 프로세스 간 통신 신호 메시지의 최대 전송 크기 보다 짧다고 판단되면 기지국은 단문이 포함된 No.7 신호 메시지를 프로세스 간 통신을 이용하여 이동통신 교환기로 전달하고, 이동통신 교환기는 수신한 단문을 프로세스 간 통신 신호 메시지로 변환하여 교환기 내부의 통신을 수행한후 단문 처리 프로세스 메시지로 변환하여 단문 서비스 센터로 전송하여 저장을 요구하는 제 2 단계와,
    상기 제 2 단계의 결과를 단문 서비스 센터로 부터 통보 받아 이동통신 교환기, 기지국를 경유하여 단말기로 통보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1 단계에서 상기 단문이 프로세스 간 통신 신호 메시지의 최대 전송 크기 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기지국이 전송된 단문을 저장한 후 이동통신 교환기로 단문을 수신할 준비를 요구하고, 이에따라 이동통신 교환기가 단문 전송을 담당할 소프트웨어 블럭들을 구동 시키는 제 4 단계와,
    상기 제 4 단계의 수행 결과를 기지국으로 통보하면 기지국은 단말기로 부터 수신한 단문을 분리하여 연속으로 이동통신 교환기로 보내고, 이동통신 교환기는 연속으로 수신한 단문을 분해한 후 재 구성하여 단문 메시지 센터로 전송하여 저장을 요구하는 제 5 단계와,
    상기 제 5 단계로 상기 단문이 모두 성공적으로 단문 서비스 센터로 전달되어 저장된 후 단문 서비스 센터로 부터 전송 결과를 통보 받아 이동통신 교환기, 기지국을 경유하여 단말기로 통보하는 제 6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저장 방법.
  2. 통화중인 단말기에서 작성된 단문을 단말기가 음성 통화로 사용중인 트래픽 채널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단문이 포함된 제어 신호 메시지를 전달하면 기지국이 이동통신 교환기의 기지국 정합 프로그램으로 단문 서비스를 위한 기지국 정합을 위한 새로운 프로세스의 생성을 요구하지 않고, 사용중인 음성 통화의 제어를 위해 이미 생성된 기지국 정합 프로세스로 단문 서비스 수신 준비를 요구하는 제 1 단계와,
    음성 통화를 제어중이던 기지국 정합 프로세스는 단문 서비스 수신 요구를 받은 후 단문 서비스를 요구한 단말기의 인증 수행없이 위치 등록만을 수행한 후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단문 서비스 센터와 정합을 담당할 새로운 프로세스의 생성을 요구하는 제 2 단계와,
    단문 서비스 센터와 정합을 담당할 새로운 프로세서의 생성 완료를 통보 받은 기지국 정합 프로세스가 기지국으로 단문 수신 완료를 통보하면 기지국은 저장중인 단문을 분할하여 이동통신 교환기의 단문 처리 프로세스들을 경유하여 단문 서비스 센터로 단문 저장을 요구하는 제 3 단계와,
    상기 제 3 단계를 수행한 후 단문 저장을 완료한 단문 서비스 센터가 이동통신 교환기의 서비스 센터와 정합을 담당하는 프로세스와 기지국 정합 프로세스를 경유하여 단문 저장 결과를 통보하면 기지국은 단문 전송을 요구한 단말기로 결과를 통보한 후 계속되는 음성 통화를 위해 대기하는 저 4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저장 방법.
KR1019970017038A 1997-05-02 1997-05-02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저장 방법 KR100227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7038A KR100227791B1 (ko) 1997-05-02 1997-05-02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저장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7038A KR100227791B1 (ko) 1997-05-02 1997-05-02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저장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2240A true KR19980082240A (ko) 1998-12-05
KR100227791B1 KR100227791B1 (ko) 1999-11-01

Family

ID=19504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7038A KR100227791B1 (ko) 1997-05-02 1997-05-02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저장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779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595B1 (ko) * 2000-07-06 2003-01-24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메시지 사서함 직접 억세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37668A (ko) * 2002-10-29 2004-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상태 알림 방법
KR101141157B1 (ko) * 2005-10-07 2012-05-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ms 착신중 음성호처리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877B1 (ko) * 2002-08-08 2004-11-1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 단말기 통화 중 단문메시지의 전송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8595B1 (ko) * 2000-07-06 2003-01-24 주식회사 엘지텔레콤 메시지 사서함 직접 억세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37668A (ko) * 2002-10-29 2004-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상태 알림 방법
KR101141157B1 (ko) * 2005-10-07 2012-05-02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Sms 착신중 음성호처리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7791B1 (ko) 1999-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3247C (zh) 为蜂窝电话网络中的短消息业务的消息传送保持无线电资源连接
EP0660992B1 (en) A method for starting a short message transmission (sms) in a cellular radio network
US5797096A (en) System and method for maintaining control channel mode information in a cellular telecommunications network
EP1473950B1 (en) Selecting a MSC out of a pool of MSCs for communication with an access node in a mobile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
EP0937365B2 (en) Delivery of short messages in a packet radio network
US6052591A (en) Broadcasting messages to mobile stations within a geographic area
US6188887B1 (en) Distributed data storage and delivery in a cellular telephone network
NO309350B1 (no) Fremgangsmåte for å starte en kort sending av en melding i et mobiltelefonnett
AU4730697A (en) Providing caller id within a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JP2000514616A (ja) 無線電気通信システム内で簡易文字メッセージを輸送する方法
WO1997026764A1 (en) Digital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s for processing a terminating call
CA2267597C (en) Method for indicating that a text message is present in a message central module of a mobile radiotelephone network
ES2331840T3 (es) Mensaje corto para servicio de llamadas de voz de grupo.
KR0169593B1 (ko) 이동통신 교환기에서 통화중(사용중)인 단말기로 단문 서비스 제공방법
KR100227791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단문 저장 방법
KR100194639B1 (ko) 휴지 중인 이동국으로의 단문전달 방법
JP3444068B2 (ja) 移動通信ネットワークおよび通信制御方法
KR100194640B1 (ko) 페이징 중인 이동국으로의 단문전달 방법
KR19980063100A (ko) 개인통신교환시스템에서의 착신전환처리방법
WO2004016013A2 (en) Arrangement and method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networ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80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