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0470A -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망에서의 비동기 통신 데이터발신호 및 착신호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망에서의 비동기 통신 데이터발신호 및 착신호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0470A
KR19980080470A KR1019980009536A KR19980009536A KR19980080470A KR 19980080470 A KR19980080470 A KR 19980080470A KR 1019980009536 A KR1019980009536 A KR 1019980009536A KR 19980009536 A KR19980009536 A KR 19980009536A KR 19980080470 A KR19980080470 A KR 199800804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ocol
call
data
mobil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9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0516B1 (ko
Inventor
권혜연
백인기
장숙현
Original Assignee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승택,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양승택
Publication of KR199800804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4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0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05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4Protocols for data compression, e.g. ROH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14Relay systems
    • H04B7/15Active relay systems
    • H04B7/204Multiple access
    • H04B7/216Code division or spread-spectrum multiple access [CDMA, SS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6Optimizing the usage of the radio link, e.g. header compression, information sizing, discarding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호스트 접속 또는 컴퓨터 대 컴퓨터 일대일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비동기 통신 데이터를 서비스하기 위하여, 현재 음성이 서비스되고 있는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이동 단말기의 형상을 유지하고 부하를 줄이면서 사용자의 컴퓨팅 환경을 그대로 적용하여, 데이터 단말기로 사용하는 노트북 컴퓨터 등의 매체에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비동기 통신 데이터 발신호 및 착신호 서비스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망에서의 비동기 통신 데이터 발신호 및 착신호 서비스 방법
본 발명은 코드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 이하, CDMA라 함) 이동통신망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에러율이 높은 이동 통신 환경에서 문자 및 파일을 전송할 때 기존의 유선환경에서와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유지하고 데이터 품질을 보장하여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비동기 통신 데이터의 발신호 및 착신호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 CDMA 이동통신망은 음성을 위주로 서비스되고 있으며 단-대-단, 즉 통신가입자간 데이타 서비스는 아직 개발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통신가입자는 이동 단말기 핸드셋의 키패드를 눌러 착신측 사용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한 후 핸드셋 송수화기를 통해 상대 가입자와의 음성 통화를 서비스 받는다. 이때 음성 대신 옥텟(8비트) 단위의 비동기 데이터를 실음으로서 가입자는 데이터 서비스를 부가 받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s; 이하, PSTN이라 함)을 통한 사설 전자 게시판 시스템(Bulletin Board System ;BBS) 등의 호스트 접속 또는 인터넷 서비스는 PSTN의 단말 접속 포트(전화 포트)와 컴퓨터에 부착된 데이터 모뎀을 연결하므로써 가능해진다. 이때, 데이터 모뎀은 컴퓨터로부터 나오는 옥텟 단위의 디지털 데이터를 PSTN의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망으로 보내주거나, 망으로부터 수신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컴퓨터로 보내주게 된다.
이와는 다르게 CDMA 이동통신망에서는 망 종단까지의 모든 데이터는 디지털로 전송이 가능하므로, 이동통신망에서 PSTN 또는 아날로그 셀룰라망등과 같은 여타 다른 이질 망으로의 전송 시에만 데이터의 변환이 필요하다. 따라서 CDMA 이동통신망에서는 기지국 장치 또는 이동교환기등의 고정국에 데이터 변환을 위한 상호 연동 기능 장치(Interworking Function ;이하 IWF라 함)를 두게된다.
이 IWF는 데이터 모뎀 풀을 가지며 CDMA 이동통신망과 이질망간의 프로토콜 변환 기능 및 망내의 서브시스템과의 속도 정합 기능을 갖는다. 그러나 무선 통신 환경에서는 잡음, 날씨, 페이딩 또는 사용자 이동에 의한 핸드오버등에 의해 통신 두절 또는 데이터 오류가 많이 발생하여 데이터 통신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문자 또는 파일 전송 등에 응용되는 비동기 통신 데이터 서비스를 CDMA 이동통신망에서 서비스하기 위하여 망 참조 모델 위에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하므로써, 에러율이 높은 무선 환경에서도 유선에서와 동일한 데이터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비동기 통신 데이터 발신호 및 착신호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망에서의 비동기 통신 데이터 발신호 서비스 방법은 이동 가입자가 갖게되는 이동국의 형상이 데이터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인 경우에 모뎀 다이얼 명령어로 호를 시도하도록 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모뎀 다이얼 명령어를 인식한 데이터 단말기의 응용 인터페이스가 이동 단말기에 호를 설정하도록 요구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데이터 단말기의 호 설정 요구에 대해 이동 단말기가 음성과 동일한 호처리 절차로 기지국과 호를 성립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성립된 호를 이용해 데이터 단말기가 점대점 프로토콜 이상의 상위 계층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비동기 데이터를 통신하는 제 4 과정과, 상기 비동기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가 무선링크 프로토콜 이하의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면, 기지국 또는 이동교환기 등에 위치한 상호연동기능장치에서 이들 프로토콜을 처리하고 데이터를 변환하여 동일망 또는 이질망으로 전송하는 제 5 과정과, 상기 동일망 또는 이질망으로부터 수신되는 비동기 데이터를 기지국 또는 이동교환기 등에 위치한 상호연동기능장치에서 변환한 후 프로토콜 스택을 이용하여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제 6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망에서의 비동기 통신 데이터 착신호 서비스 방법은 이동 가입자가 갖게 되는 이동국의 형상이 데이터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인 경우에 기지국이 착호 요청에 대해 음성과 동일한 호처리 절차에 의해 이동국을 호출하고, 이동국이 응답하여 호를 협상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협상된 호에 대해 기지국으로부터 경보 정보메세지가 들어오면 이동 단말기가 데이터 단말기로 호의 착신을 알리는 제 2 과정과, 상기 호의 착신을 수신한 데이터 단말기가 모뎀 응답 명령어로 응답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모뎀 응답 명령어를 인식한 데이터 단말기의 응용 인터페이스가 이동 단말기에 호의 응답을 알리는 제 4 과정과, 상기 호의 응답을 수신한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에 호의 연결을 알려 호를 성립하는 제 5 과정과, 상기 성립된 호를 이용해 데이터 단말기가 점대점 프로토콜 이상의 상위 계층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비동기 데이터를 통신하는 제 6 과정과, 상기 비동기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가 무선링크 프로토콜 이하의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면, 기지국 또는 이동교환기 등에 위치한 상호연동기능장치에서 이들 프로토콜을 처리하고 데이터를 변환하여 동일망 또는 이질망으로 전송하는 제 7 과정과, 상기 동일망 또는 이질망으로부터 수신되는 비동기 데이터를 기지국 또는 이동교환기 등에 위치한 상호연동기능장치에서 변환하여 프로토콜 스택을 이용하여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제 8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표준안에 제시된 프로토콜 스택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각 서브시스템에서의 프로토콜 스택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발신호 절차 및 프로토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착신호 절차 및 프로토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1 : 비동기 데이터 102 : 응용 인터페이스
103 : 전송제어 프로토콜(TCP)
104 : 망간제어메세지 프로토콜 (ICMP)
105 : 망간 프로토콜(IP) 106 : 부망종속수렴함수(SNDCF)
107 : 망간제어 프로토콜(IPCP) 108 : 링크제어 프로토콜(LCP)
109 : 점대점 프로토콜(PPP) 110 : 무선링크 프로토콜(RLP)
111 : CDMA 통화 채널
21, 24, 31, 41, 51 : 데이터 단말기 22, 33, 42, 52 : 이동 단말기
23, 34, 43, 53 : CDMA 이동통신망 35 : 공중 회선 교환 전화망
36 : 단말장치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표준안에 제시된 프로토콜 스택의 구조도로서, 광대역 확산 스펙트럼 디지털 셀룰라 시스템 상에서의 데이터 서비스 표준안(IS-99)에 제시되어 있다
이 프로토콜 스택은 잡음, 페이딩 및 핸드오버 등으로 인한 신뢰성 없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 사용자의 데이터와 및 고정국사이의 신뢰성 있는 데이터 전송에 관여한다.
프로토콜 스택의 최상 계층인 비동기 데이터(Async Data, 101)는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 소프트웨어를 나타낸다. 응용 인터페이스(Application Interface, 102)는 표준 또는 확장 모뎀 명령어 처리부 및 데이터 압축 협상 등의 기능을 갖는다. 응용 인터페이스 이하의 프로토콜들은 망간제어메세지 프로토콜(Internet Control Message Protocol; 이하 IPCP라 함, 104)과 기존에 인터넷 등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전송제어 프로토콜/망간 프로토콜(Transport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이하 TCP/IP라 함, 103/105)을 트랜스포트 계층 및 망 계층의 프로토콜로 사용하고 있으며, 이들 패킷을 저속의 직렬 링크로 전송하기 위하여 망간제어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Control Protocol; 이하 IPCP라 함, 107), 링크제어 프로토콜(Link Control Protocol,; 이하 LCP라 함, 108), 점대점 프로토콜(Point-to-Point Protocol; 이하 PPP라 함, 109) 및 TCP/IP 헤더 압축을 위한 부망접속수렴함수 프로토콜(Sub-Network Dependent Convergence Function; 이하 SNDCF라 함, 106)로 구성된다.
무선링크 프로토콜(Radio Link Protocol; 이하 RLP라 함, 110)는 열악한 무선 통화 채널 환경에서의 제약을 보상하는 링크 계층 프로토콜로써, 양국간의 동기, 데이터 재전송 및 흐름 제어를 담당한다. 또한 RLP(110)는 CDMA 통화 채널(Physical Layer, 111)에 따라 상위 계층의 가변 길이 데이터 패킷을 통화 채널상의 프레임으로 나누며, 상위 계층의 프레임 구성 방법에 대하여 관여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상위계층의 프레임을 특정 서비스에 상관되지 않는 일련의 옥텟들로 간주하여 상위 계층으로부터 받은 순서대로 전송한다.
CDMA 통화 채널(111)은 실제 데이터가 전송되는 물리적 무선구간을 의미한다. 무선 구간에서의 핸드오버에 의한 데이터 손실은 TCP/IP(103/105)에 의해 유지되며, TCP/IP(103/105) 패킷을 전송하는 낮은 선로 상에서의 데이터 전송은 PPP(109)에 의해 보상된다. 실제적인 무선 구간에서의 데이터 전송 오류는 RLP(110)에서의 재전송에 의해 보상되게 됨으로써 신뢰성 있는 비동기 데이터 서비스가 가능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각 서브시스템에서의 프로토콜 스택의 구조도이다.
이 프로토콜 스택은 데이터 서비스를 위한 CDMA 이동통신망의 각 서브시스템 상에 상기 도 1의 프로토콜 스택을 배치한 구조를 보여준다. 노트북 컴퓨터 등과 같은 데이터 단말기(21)에 비동기 통신을 위한 응용 프로그램 및 PPP(109) 이상의 프로토콜들을 실장(201)하고, CDMA 이동 단말기(22)에 RLP(110) 이하의 프로토콜을 실장(202)한다. 그리고 데이터 단말기(21)와 이동 단말기(22)를 직렬인터페이스로 연결하였으며, 이들 프로토콜의 쌍을 CDMA 이동통신망(23)의 여러 위치에 분산시키거나 또는 통합하여 구성 가능(203)하고 상대측 데이터 단말기(24)인 개인용 컴퓨터 또는 호스트 컴퓨터는 모뎀 및 데이터 응용 프로그램을 갖는다(204).
이러한 형상은 PPP(109) 및 TCP/IP(103/105)가 기본적으로 지원되는 현재의 네트워크 컴퓨터 환경에 이들 프로토콜 스택과 연동할 수 있는 통신 에뮬레이터 프로그램을 구현해 주면, 가입자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컴퓨터 환경에서 간단한 직렬 인터페이스 케이블을 이용하여 기존의 유선 환경과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손쉽게 비동기 통신 데이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도 2에 명시된 프로토콜 스택의 위치에 따라 구성되는 CDMA 비동기 통신 서비스 시스템 구성 예이다.
그 구성을 보면, 일반적인 통신 응용 소프트웨어와 컴퓨터 네트워크 환경을 가진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데이터 단말기(31), 무선 통신 링크를 제공하는 CDMA 핸드셋과 같은 이동 단말기(33),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직렬 통신 인터페이스(32)가 이동 가입자가 갖는 형상이다. 이는 프로토콜 정합 기능을 갖는 CDMA 이동통신망(34)을 이용하여 PSTN(35)를 통해 상대 단말장치(36)에 연결된다.
이때, 데이터 단말기(31)는 프로토콜 정합 기능을 갖는 CDMA 이동통신망(34)의 상호연동기능장치에 있는 모뎀 풀을 이용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모뎀 명령어를 사용한다. 이들 모뎀 명령어는 데이터 단말기(31)가 갖는 프로토콜 계층 상의 응용 인터페이스에서 처리된다. 이러한 시스템을 기반으로 하는 비동기 데이터 통신 발신호 및 착신호 서비스 절차를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데이터 통신 발신호 절차 및 프로토콜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 발신호 절차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 가입자가 갖게 되는 이동국의 형상이 데이터 단말기(41)와 이동 단말기(42)인 경우, 이동 가입자가 호를 시도할 때의 비동기 통신 전송 절차를 나타낸 것이다. 본 흐름도에서 데이터 단말기(41)와 이동 단말기(42)는 발호를 시작하는 이동국이며 동일망 또는 이질망에 연결되어 있는 호스트 컴퓨터 또는 데이터 단말기와의 통신을 개시한다. 또한 CDMA 이동통신망(43)은 기지국 장치 및 이동교환기등의 고정국 그리고 상호연동기능장치를 모두 포함한다. 본 절차에 보인 명령어 또는 메세지들은 발호를 시작하는 이동국과 CDMA 이동통신망(43)간에 교환되는 명령어 또는 메세지들을 나타낸다.
개략적인 서비스 절차는 먼저, 모뎀 다이얼 명령어로 호를 시도하도록 한후 이 모뎀 다이얼 명령어를 인식한 데이터 단말기(41)의 응용 인터페이스가 이동 단말기(42)에 호를 설정하도록 요구한다. 이동 단말기(42)는 데이터 단말기(41)의 호 설정 요구에 대해 음성과 동일한 호처리 절차로 기지국과 호를 성립한 후, 성립된 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단말기(41)가 점대점 프로토콜 이상의 상위 계층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비동기 데이터를 통신한다. 이동 단말기(42)는 이러한 비동기 데이터를 무선링크 프로토콜 이하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CDMA 이동통신망(43)으로 전송하면, CDMA 이동통신망(43)에 위치한 상호연동기능장치에서 이들 프로토콜을 처리하고 데이터를 변환하여 동일망 또는 이질망으로 전송한다. 이후, CDMA 이동통신망(43)의 상호연동기능장치는 동일망 또는 이질망으로부터 수신되는 비동기 데이터를 변환하여 프로토콜 스택을 이용하여 이동국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호의 시도는 모뎀 다이얼 명령어(400)로 시작된다. 모뎀 다이얼 명령어를 인식한 데이터 단말기(41)의 응용 인터페이스(102)는 이를 저장하고(*1)이동 단말기(42)에 발신요구(401)를 보낸다. 이에 대해 이동 단말기(42)는 기존의 음성 호처리 절차와 동일한 호처리 절차(402)로 비동기 통신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호를 개시한다. 이때 이동국과 기지국은 별도의 협상 절차에 의해 비동기 데이터 서비스를 약속하게된다. 이동 단말기(42)에서 개시한 호에 대해 CDMA 이동통신망(43)으로부터 통화채널이 할당되고 서비스 옵션이 응답(403)되면 이동 단말기(42)와 CDMA 이동통신망(43)은 각각 동시에 RLP(110)를 초기화한다(404).
RLP(110)가 초기화되면 이동 단말기(42)는 데이터 단말기(41)에 모뎀 연결 확인 신호를 보냄으로써 호의 설정을 알린다(405). 이후 데이터 단말기(41)와 IWF(43)의 PPP(109)가 각각 자체 초기화되고(406), LCP(106)가 구동되어 직렬 링크를 초기화 및 동기화한다(407). 그리고 IPCP(107)를 이용해 IP 주소 및 TCP/IP 헤더 압축을 협상한다(408). 이후 TCP/IP(105)가 구동(초기화 및 IP 주소 할당)되고(409) 이들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 단말기(41)의 응용 인터페이스(AI)는 IWF(43)에 모뎀 제어를 위한 모뎀 초기화 명령어들과 모뎀 다이얼 명령어(*1)를 보낸다(410). 이 단계(410)에서의 모뎀 다이얼 명령어(*1)는 단계(400)의 모뎀 다이얼 명령어(*1)와 같은 명령어이다.
모뎀 제어 명령어들을 수신한 IWF(43)는 각 명령어들을 처리하여 응답하고(411) 상대측 모뎀과의 통신을 설정한다. IWF(43)는 상대측 모뎀과의 통신을 설정하면 호 연결을 알리는 모뎀 연결 메세지(CONNECT)를 데이터 전송률(baud rate)과 함께 데이터 단말기(41)로 전송(412)하므로서 비동기 통신 데이터 서비스를 시작한다(413).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 데이터 서비스 착신호 절차 및 프로토콜 동작을 도시한 흐름도로서, 이동가입자가 갖게 되는 이동국의 형상이 데이터 다말기(51)와 이동 단말기(52)인 경우, CDMA 이동통신망(53)이 착호 요청을 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개략적인 서비스 절차는 먼저, CDMA 이동통신망(53)이 착호 요청에 대해 음성과 동일한 호처리 절차에 의해 이동 단말기(52)를 호출하고 이동 단말기(52)가 응답하여 호를 협상한 후, CDMA 이동통신망(53)으로부터 협상된 호에 대해 경보 정보 메세지가 들어오면 이동 단말기(52)가 데이터 단말기(52)로 호의 착신을 알린다. 이후 호의 착신을 수신한 데이터 단말기(51)는 모뎀 응답 명령어로 응답하고, 모뎀 응답 명령어를 인식한 데이터 단말기(51)의 응용 인터페이스는 이동 단말기(52)에 호의 응답을 알린다. 이러한 호의 응답을 수신한 이동 단말기(52)는 CDMA 이동통신망(53)에 호의 연결을 알려 호를 성립하고, 이와 같이 하여 성립된 호를 이용하여 데이터 단말기(51)에서는 점대점 프로토콜 이상의 상위 계층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비동기 데이터를 통신한다. 이후, 이동 단말기(52)가 비동기 데이터를 무선 링크 프로토콜 이하의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CDMA 이동통신망(53)으로 전송하면, CDMA 이동통신망(53)에 위치한 상호연동기능장치에서 이들 프로토콜을 처리하고 데이터를 변환하여 동일망 또는 이질망으로 전송한다. 이후, CDMA 이동통신망(53)의 상호연동기능장치는 동일망 또는 이질망으로부터 수신되는 비동기 데이터를 변환하여 프로토콜 스택을 이용하여 이동국으로 전송한다.
이러한 과정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외부망 또는 자국망으로부터의 이동국에 대한 호를 요청(500) 받은 CDMA 이동통신망(53)은 해당 이동국을 호출하고(501), 호출된 이동 단말기(52)는 호출 응답 메세지로 비동기 통신 데이터 서비스에 응답한다(502). 이때 CDMA 이동통신망(53)은 PSTN에서 들어오는 호를 식별할 수 있는 경우와 미리 이동 단말기(52)와 CDMA 이동통신망(53)간 예약되어 있는 서비스 옵션의 사용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 비동기 통신 데이터 서비스에 대한 이동 단말기(52)의 호출 응답후 음성과 동일한 호처리 절차(503)에 의해 CDMA 이동통신망(53)으로부터 통화채널이 할당되고, 경보 정보 메세지신호가 들어오면(504), 이동 단말기(52)는 데이터 단말기(51)에 호의 착신을 알리는 RING 신호를 보내며(505) 데이터 단말기(51)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모뎀 응답 명령어(*2)로 호에 응답한다. 이 모뎀 응답 명령어는 데이터 단말기(51)의 응용 인터페이스에서 처리되고 저장되며, 이동 단말기(52)에게 전달된다(506). 데이터 단말기로부터 응답을 받은 이동 단말기(52)는 CDMA 이동통신망(53)으로 연결 명령 메세지를 보냄으로써 호의 연결을 알린다(507). 연결 명령 메세지를 받은 CDMA 이동통신망(53)이 서비스 옵션을 응답하는(508) 시점에 이동 단말기(52) 및 CDMA 이동통신망(53)은 각각 동시에 RLP(110)를 초기화 및 동기화한다(509).
RLP(110)가 초기화되면 이동 단말기(52)는 데이터 단말기(51)에 모뎀 연결 확인 신호를 보냄으로써 호의 설정을 알린다(510). 이후 데이터 단말기(51)와 IWF(53)의 PPP(109)가 자체 초기화되고(511), LCP(106)가 구동되어 직렬 링크를 초기화 및 동기화한다(512). IPCP(107)를 이용해 IP 주소 및 TCP/IP 헤더 압축을 협상한(513) 이후 TCP/IP(103/105)가 구동(초기와 및 IP 주소 할당)되고(514) 이들 프로토콜에 의해 데이터 단말기(51)의 응용 인터페이스(AI)는 IWF(53)에 모뎀 제어를 위한 모뎀 초기화 명령어들과 모뎀 응답 명령어(*2)를 보낸다(515). 이 단계(515)에서의 모뎀 응답 명령어(*2)는 단계(506)의 모뎀 응답 명령어(*2)와 같은 명령어이다. 모뎀 제어 명령어들을 수신한 IWF(53)는 각 명령어들을 처리하여 응답하고(516) 상대측 모뎀과의 통신을 설정한다. IWF(53)는 상대측 모뎀과의 통신을 설정하면 호 연결을 알리는 모뎀 연결 메세지(CONNECT)를 데이터 전송률(baud rate)과 함께 데이터 단말기(51)로 전송(517)하므로서 비동기 통신 데이터 서비스를 시작한다(518).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CDMA 이동통신망에서 이동 가입자가 기존의 유선 환경에서와 동일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유지하면서, 무선 환경에서 유선과 동일한 데이터 품질을 보장 받을 수 있으며, 사용중인 컴퓨터 네트워크 환경에 프로토콜 스택과 연동할 수 있는 통신 소프트웨어를 구현해주면 가입자가 자신이 가지고 있는 컴퓨터 환경에서 별도의 장치 없이 언제 어디서든 신뢰성 있는 비동기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이동 가입자가 갖게되는 이동국의 형상이 데이터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인 경우에 모뎀 다이얼 명령어로 호를 시도하도록 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모뎀 다이얼 명령어를 인식한 데이터 단말기의 응용 인터페이스가 이동 단말기에 호를 설정하도록 요구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데이터 단말기의 호 설정 요구에 대해 이동 단말기가 음성과 동일한 호처리 절차로 기지국과 호를 성립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성립된 호를 이용해 데이터 단말기가 점대점 프로토콜 이상의 상위 계층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비동기 데이터를 통신하는 제 4 과정과,
    상기 비동기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가 무선링크 프로토콜 이하의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면, 기지국 또는 이동교환기 등에 위치한 상호연동기능장치에서 이들 프로토콜을 처리하고 데이터를 변환하여 동일망 또는 이질망으로 전송하는 제 5 과정과,
    상기 동일망 또는 이질망으로부터 수신되는 비동기 데이터를 기지국 또는 이동교환기 등에 위치한 상호연동기능장치에서 변환한 후 프로토콜 스택을 이용하여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제 6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망에서의 비동기 통신 데이터 발신호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과정은 이동국 발신에 대해, 기지국으로부터 통화 채널이 할당되고 서비스 설정이 확인되면 이동 단말기와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망에 위치한 무선링크 프로토콜이 초기화하는 단계와,
    상기 무선링크 프로토콜 초기화한 후 상기 이동 단말기가 상기 데이터 단말기에 호의 설정을 알리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단말기와 상호연동기능장치의 점대점 프로토콜이 자체 초기화한 후 링크제어 프로토콜을 구동시켜 직렬링크를 초기화하고, 망간제어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및 전송제어 프로토콜/망간 프로토콜 헤더 압축을 협상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및 전송제어 프로토콜/망간 프로토콜 헤더 압축을 협상한 후 전송제어 프로토콜/망간 프로토콜이 구동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단말기의 통신 소프트웨어가 기지국에 있는 상호연동기능장치의 모뎀 제어를 위한 모뎀 초기화 명령어들과 다이얼 명령어를 상기 구동된 전송제어 프로토콜/망간 프로토콜에 실어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망에서의 비동기 통신 데이터 발신호 서비스 방법.
  3. 이동 가입자가 갖게 되는 이동국의 형상이 데이터 단말기와 이동 단말기인 경우에 기지국이 착호 요청에 대해 음성과 동일한 호처리 절차에 의해 이동국을 호출하고, 이동국이 응답하여 호를 협상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협상된 호에 대해 기지국으로부터 경보 정보메세지가 들어오면 이동 단말기가 데이터 단말기로 호의 착신을 알리는 제 2 과정과,
    상기 호의 착신을 수신한 데이터 단말기가 모뎀 응답 명령어로 응답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모뎀 응답 명령어를 인식한 데이터 단말기의 응용 인터페이스가 이동 단말기에 호의 응답을 알리는 제 4 과정과,
    상기 호의 응답을 수신한 이동 단말기가 기지국에 호의 연결을 알려 호를 성립하는 제 5 과정과,
    상기 성립된 호를 이용해 데이터 단말기가 점대점 프로토콜 이상의 상위 계층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비동기 데이터를 통신하는 제 6 과정과,
    상기 비동기 데이터를 이동 단말기가 무선링크 프로토콜 이하의 프로토콜들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전송하면, 기지국 또는 이동교환기 등에 위치한 상호연동기능장치에서 이들 프로토콜을 처리하고 데이터를 변환하여 동일망 또는 이질망으로 전송하는 제 7 과정과,
    상기 동일망 또는 이질망으로부터 수신되는 비동기 데이터를 기지국 또는 이동교환기 등에 위치한 상호연동기능장치에서 변환하여 프로토콜 스택을 이용하여 이동국으로 전송하는 제 8 과정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망에서의 비동기 통신 데이터 착신호 서비스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과정은 이동국 착신 호에 대해, 기지국으로부터 통화 채널이 할당되고 서비스 설정이 확인되면 이동 단말기와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망에 위치한 무선링크 프로토콜이 초기화되는 단계와,
    상기 무선링크 프로토콜이 초기화 된 후 이동 단말기가 데이터 단말기에 호의 설정을 알리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단말기와 상호연동기능장치의 점대점 프로토콜이 자체 초기화한 후 링크제어 프로토콜을 구동시켜 직렬링크를 초기화하고, 망간제어 프로토콜을 이용해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및 전송제어 프로토콜/망간 프로토콜 헤더 압축을 협상하는 단계와,
    상기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 및 전송제어 프로토콜/망간 프로토콜 헤더 압축을 협상한 후 전송제어 프로토콜/망간 프로토콜이 구동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단말기의 통신 소프트웨어가 기지국에 있는 상호연동기능장치의 모뎀 제어를 위한 모뎀 초기화 명령어들과 응답 명령어를 상기 구동된 전송제어 프로토콜/망간 프로토콜에 실어 기지국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망에서의 비동기 통신 데이터 착신호 서비스 방법.
KR1019980009536A 1997-04-01 1998-03-19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망에서의 비동기통신 데이터발신호 및 착신호 서비스 방법 KR1002605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70011987 1997-04-01
KR1019970011987 1997-04-01
KRP97-11987 1997-04-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470A true KR19980080470A (ko) 1998-11-25
KR100260516B1 KR100260516B1 (ko) 2000-07-01

Family

ID=195016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9536A KR100260516B1 (ko) 1997-04-01 1998-03-19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망에서의 비동기통신 데이터발신호 및 착신호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111866A (ko)
KR (1) KR10026051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872B1 (ko) * 1998-09-07 2004-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이티엠백본망에서의이동통신패킷데이터네트워크구현방법
KR100429182B1 (ko) * 1998-09-07 200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에이티엠백본망에서의이동통신패킷데이터네트워크및이동통신패킷데이터서비스제공방법
SG105461A1 (en) * 1999-08-09 2004-08-27 Cit Alcatel Method for transporting data, a related data transmitting element and data receiving element
KR100447390B1 (ko) * 2001-05-29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가입자망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
KR100565706B1 (ko) * 1998-09-14 2006-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패킷데이터네트워크
KR100588620B1 (ko) * 2004-04-27 2006-06-1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데이터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KR100593477B1 (ko) * 1999-09-03 2006-06-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통신 연결방법
KR100695831B1 (ko) * 1999-10-21 2007-03-16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 제어 메시지 전송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0637B2 (en) * 1995-11-17 2005-07-19 Symbol Technologie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lerts on a browser running on a portable handheld device
KR100234134B1 (ko) * 1997-08-29 1999-12-15 윤종용 디지털 셀롤러 무선 복합단말기에서 수신 데이터 관리방법
KR100343172B1 (ko) * 1998-10-29 2002-08-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데이터 전송 방법과 그 이동 단말기 및 이종신호간 연동장치
KR100294704B1 (ko) * 1998-12-15 2001-07-12 서평원 데이터통신시스템및데이터통신운용방법
US7151760B2 (en) * 1998-12-16 2006-12-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Unified architecture for CDMA network and method of operation
EP1014641A1 (de) * 1998-12-22 2000-06-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duzierung der Aufarbeitungszeit von Daten in Kommunikationsnetzen
US6721555B1 (en) * 1999-02-19 2004-04-13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facilitating device authent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US6370118B1 (en) * 1999-02-24 2002-04-09 Qualcomm Incorporated Simultaneous set up of PPP on AUM and a RM interface
US6483822B1 (en) * 1999-06-07 2002-11-19 Marcello Lioy Establishing a packet network call between a mobile terminal device and an interworking function
US6463034B1 (en) * 1999-07-14 2002-10-08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data loss during a PPP renegotiation on a Um interface
US6377556B1 (en) * 1999-07-14 2002-04-2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resynchronize ppp on um interface without affecting ppp on a rm interface and to resynchronize ppp on a rm interface without affecting ppp on a um interface
EP1094675A1 (en) * 1999-10-21 2001-04-25 Hyundai Electronics Industrie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radio resource control message i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DE19950653B4 (de) 1999-10-21 2020-01-16 Ipcom Gmbh & Co. K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Mobilfunknetzes
US6775553B1 (en) * 2000-01-14 2004-08-1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of avoiding PPP time-outs during IPCP negotiations
US7412528B2 (en) * 2000-01-14 2008-08-12 Qualcomm, Incorporated Avoiding PPP time-outs during IPCP negotiations
AUPQ970300A0 (en) * 2000-08-29 2000-09-21 Massa Nominees Pty Ltd Advanced wireless network
US7242674B2 (en) * 2000-12-20 2007-07-10 Lg Electronics Inc.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multimedia cal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20085514A1 (en) * 2000-12-28 2002-07-04 Illidge William E. Method for switching between high-speed packet data service option and non-high-speed circuit switched or packet data service options without disrupting user data flow
US7305495B2 (en) * 2001-03-14 2007-12-04 Siemens Communications, Inc. Dynamic loading of protocol stacks under signaling control
US8077679B2 (en) 2001-03-28 2011-12-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rotocol opt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693508B2 (en) * 2001-03-28 2010-04-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 signal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100457B2 (en) 2001-03-28 2015-08-04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ssion fra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121296B2 (en) 2001-03-28 2012-02-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ty in a data processing system
US7349425B2 (en) * 2001-03-28 2008-03-25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head messag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154909B2 (en) 2001-06-15 2006-12-26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maintenance of sensitivity level of data communicated in a packet communication system
AU2002306170A1 (en) * 2001-06-15 2003-01-02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maintenance of sensitivity level of data communicated in a packet communication system
US7352868B2 (en) 2001-10-09 2008-04-01 Philip Hawkes Method and apparatus for security in a data processing system
US7649829B2 (en) 2001-10-12 2010-01-19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system for reduction of decoding complexity in a communication system
US20030158959A1 (en) * 2002-02-15 2003-08-21 Jay Jayapalan Establishment of communications using point to point protocols such that duplicate negotiations are avoided
US7590408B2 (en) * 2002-04-03 2009-09-15 Qualcomm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early determination of network support for mobile IP
US7342894B2 (en) * 2002-04-03 2008-03-11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transparent Mobile IP registration within PPP negotiation
MXPA04012219A (es) * 2002-06-07 2005-04-08 Qualcomm Inc Soporte para inactividad de paquete en un dispositivo de comunicacion inalambrica.
US7616944B2 (en) * 2002-09-09 2009-11-10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call notification and delivery to a busy mobile station
US7430602B2 (en) * 2002-12-20 2008-09-30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ally provisioned mobile station and method therefor
US7599655B2 (en) 2003-01-02 2009-10-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 service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096024B2 (en) 2003-01-31 2006-08-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initiate point-to-point call during shared-channel delivery of broadcast content in a wireless telephone network
US7366093B2 (en) * 2003-05-07 2008-04-29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reducing undeliverable server-initiates IP traffic in a wireless network
US8098818B2 (en) 2003-07-07 2012-01-17 Qualcomm Incorporated Secure registration for a multicast-broadcast-multimedia system (MBMS)
US8718279B2 (en) 2003-07-08 2014-05-06 Qualcomm Incorpora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 secure broadcast system
US8724803B2 (en) 2003-09-02 2014-05-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uthenticated challenges for broadcast-multicast communication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7668545B2 (en) * 2003-10-03 2010-02-23 Qualcomm Incorporated Maintaining data connectivity for handoffs between compression-enabled and compression-disabled communication systems
DE602004024592D1 (de) * 2004-05-10 2010-01-21 Ericsson Telefon Ab L M Verfahren und telekommunikationssystem zum einleiten einer erweiterten kommunikationsverbindung
US8031644B2 (en) * 2004-06-23 2011-10-04 Nokia Corporation Non-native media codec in CDMA system
DE102005001351A1 (de) * 2005-01-11 2006-07-20 Teles Ag Informationstechnologien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Daten an mindestens ein Kommunikations-Endsystem und Kommunikations-Ein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US7467197B2 (en) * 2005-01-20 2008-12-1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Workflow anywhere: invocation of workflows from a remote device
US8499338B1 (en) * 2010-02-16 2013-07-30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Internet protocol controlled modem for use over a wireless voice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78195C (en) * 1991-11-27 1999-03-09 Jack Kozik Arrangement for detecting fraudulently identified mobile stations in a cellular mobile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5329573A (en) * 1991-11-27 1994-07-12 At&T Bell Laboratories Arrangement for obtaining authentication key parameters in a cellular mobile telecommunications switching network
US5878036A (en) * 1995-12-20 1999-03-02 Spartz; Michael K. Wireless telecommunications system utilizing CDMA radio frequency signal modulation in conjunction with the GSM A-interface telecommunications network protocol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8872B1 (ko) * 1998-09-07 2004-04-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에이티엠백본망에서의이동통신패킷데이터네트워크구현방법
KR100429182B1 (ko) * 1998-09-07 2004-06-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에이티엠백본망에서의이동통신패킷데이터네트워크및이동통신패킷데이터서비스제공방법
KR100565706B1 (ko) * 1998-09-14 2006-05-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패킷데이터네트워크
SG105461A1 (en) * 1999-08-09 2004-08-27 Cit Alcatel Method for transporting data, a related data transmitting element and data receiving element
KR100593477B1 (ko) * 1999-09-03 2006-06-28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통신 연결방법
KR100695831B1 (ko) * 1999-10-21 2007-03-16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비동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자원 제어 메시지 전송방법
KR100447390B1 (ko) * 2001-05-29 2004-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가입자망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 장치
KR100588620B1 (ko) * 2004-04-27 2006-06-14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Cdma 이동통신망에서의 데이터호 처리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0516B1 (ko) 2000-07-01
US6111866A (en) 2000-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60516B1 (ko) 코드분할 다중접속 이동통신망에서의 비동기통신 데이터발신호 및 착신호 서비스 방법
US7120133B1 (en) System and method of linking a wireless signaling protocol with a media gateway control protocol in a packet-based network
EP1322072B1 (e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a method for connecting a remote workstation to a data communication network via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CA2336611C (en) Retaining a data communication while responding to a paging notification
US6845092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bile station authentication using session initiation protocol (SIP)
US7177289B2 (en) Facilitating communications between a radio device and a terminal
EP1325618B1 (en) Method for transmission of voice over wireless packet-switched networks
EP1202522A2 (en) Terminal and signal conversion apparatus for a Media communications system
US20050286418A1 (en) Data compression negotiation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JPH10191425A (ja) Dect/gsm外部ハンドオーバ
JPH10510687A (ja) データ伝送方法
KR19990001580A (ko) Cdma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g3 팩스 서비스 방법
JP4213344B2 (ja) 移動体データ・サービス用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0933645B1 (ko) 복합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데이터 패킷 전송을 위한시스템 및 방법
US20010027104A1 (en) Method for data connections in a cellula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EP1042892B1 (en) Data compression negotiation in a telecommunication system
KR100233850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 통신망에서의 비동기 통신 데이터 발신호 및 착신호 서비스 방법
US6101398A (en) System supporting data/fax connection with a dual mode mobile telephone
KR20010048891A (ko) 무선통신용 단말기간 데이터통신 연결방법
KR20010061323A (ko) 인터넷 폰 서비스 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100361492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영상 호 제어 방법
JP3778483B2 (ja) 移動体通信におけるデータ通信方法
KR100287803B1 (ko) 디지털이동통신망에서무선데이터통신연동장치의팩스착신호제어방법
KR100254770B1 (ko) 디지털이동통신망무선데이터통신연동장치에서의호제어방법
KR100243087B1 (ko) 코드분할다중접속 이동 통신망에서의 팩시밀리서비스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