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9813A - 모 혼방 직물, 특히 모 혼방 의류의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모 혼방 직물, 특히 모 혼방 의류의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9813A
KR19980079813A KR1019980006858A KR19980006858A KR19980079813A KR 19980079813 A KR19980079813 A KR 19980079813A KR 1019980006858 A KR1019980006858 A KR 1019980006858A KR 19980006858 A KR19980006858 A KR 19980006858A KR 19980079813 A KR19980079813 A KR 199800798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component
pressing
weight
moisture cont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짐페르 뤼데만
위르겐 리드만
한스-페터 뢰링
에리히 뢰슬러
Original Assignee
뢰쓸러 에리히
시바 스페치알리테텐헤미 페르쎄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DE1997108632 external-priority patent/DE19708632A1/de
Priority claimed from DE1997143639 external-priority patent/DE19743639A1/de
Application filed by 뢰쓸러 에리히, 시바 스페치알리테텐헤미 페르쎄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뢰쓸러 에리히
Publication of KR199800798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9813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5/00Calendering, pressing, ironing, glossing or glazing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32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D06M13/395Isocyanat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07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3Polyeth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9Polyamides; Polyimid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02Natural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10Animal fibres
    • D06M2101/12Keratin fibres or sil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특정한 방법에 의해 모 함량이 30 내지 100%인 모직물에 세탁공정에 대한 저항이 우수한 주름을 잡을 수 있다. 직물은 의복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방법은, 예를 들면, 바지의 주름을 잡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직물에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갖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을 적용하는 단계와 특정한 수분 및 온도 조건하에 직물에 주름을 프레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모 혼방 직물, 특히 모 혼방 의류의 처리방법
본 발명은 모 함량이 30 내지 100%인 혼방 직물의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 직물은 바람직하게는 바지 또는 치마와 같은 완제 의류의 형태이다.
치마 또는 바지와 같은 의류는, 예를 들면, 바지 다리 부분의 앞면 또는 뒷면에 날을 세우는 것과 같이 유행에 따라 주름을 잡는 것이 바람직한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주름은 프레싱(pressing)에 의해 잡힐 수 있다. 예를 들면, 건조된 바지를 승온에서 프레싱함으로써 완제 모직 바지에 주름을 잡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고온 프레싱에 의한 주름의 단점은 단지 몇회의 세탁, 빈번하게는 단 한 번의 가정에서의 세탁에 의해 처음의 날선 주름이 없어진다는 점이다. 따라서, 세탁기에서의 모세탁 선택 세탁(30℃)에 대한 주름의 내구성에는 개선의 여지가 매우 많다. 그러므로, 이러한 바지는 매번 세탁한 후 또는 몇회 세탁한 후에는 다시 프레싱을 해야만 한다.
DE-A 20 54 159 및 DE-A 19 06 514에는 모 혼방 의류의 처리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이들 2개의 참조문헌에 명기된 방법에 의해 모직 바지에 형성된 주름은 세탁공정(30℃에서의 세탁기에 의한 세탁)에 대해 최적의 내구성을 갖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US-A 3 687 605는 주름 형성을 위해 모직물을 처리하는 다단계 공정이 기재되어 있다. 이 방법은 직물을 중합체 또는 예비중합체로 처리한 다음, 외부적으로 안정화시키기 위해 이를 경화처리하여 건조시킨다. 이어서, 직물을 환원제로 처리한 다음, 예를 들면, 고온 프레싱에 의해 성형한다. 최적의 결과를 얻기 위해, 직물을 프레싱하기 전에 물을 뿌릴 필요가 있다. 프레싱은 환원제에 의해 분리되는 모섬유의 화학 결합이 재형성되는 추가의 열경화처리를 최종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완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30 내지 100% 모 혼방 직물, 특히 완제 의류 형태의 직물의 목적하는 부분에 세탁 공정에 대한 내구성이 개선된 주름을 잡는 개선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리 형태 또는 차폐된 형태의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2개 이상 갖는 화합물 또는 이러한 화합물의 혼합물(성분 A)을 30 내지 100중량% 모 혼방 직물에 적용하는 단계, 직물의 수분을 1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중량%로 조절하는 단계, 8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70℃의 온도에서 직물에 주름을 프레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30 내지 100중량% 모 혼방 직물의 처리방법에 의해 성취된다.
놀랍게도, 세탁공정에 대한 직물에서 주름의 내구성은 이러한 공정에 의해 현저하게 개선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모직물을 포함하는 완제 바지에서 주름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며, 가정용 세탁기에서의 통상적인 모세탁 선택 세탁을 20회 이상 수행한 후에도 이의 원형을 거의 그대로 유지한다.
본 발명의 방법을 프레싱 후 특정한 함수치에서 수행하는 경우(청구항 2 참조), 심지어 어두운 색상의 직물이나 기본 중량이 높은 직물의 경우에서조차, 표면에 나타나는 가시적인 부작용 없이 주름의 내구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러한 사실은 다음에 보다 상세하게 기술하였다.
본 발명의 방법은 프레싱에 의해 모 혼방 직물에 주름을 잡는다. 직물은 주름이 형성되고/되거나 안정화된 완제 의류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의류는, 예를 들면, 프레이트가 형성되고/되거나 안정화된 치마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바지에 내구성이 높은 주름을 잡는 데 특히 유용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유용한 직물은 30 내지 100중량% 모 혼방 직물이다. 0 내지 70중량%는,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및 면과 같은 다른 재료일 수 있다. 라이크라(Lycra) 역시 유용한 혼방 재료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중량% 모 혼방 직물에 적용된다. 직물 또는 의류의 모 함량이 50 내지 100중량%이면, 본원의 도입부에서 기재한 선행 기술의 방법에 비해 본 발명의 방법이 훨씬 더 유리하다. 직물의 모 성분은 특정 생산지에 국한되지 않는 양모일 수 있다. 모의 품질은 본 발명의 방법의 실현 가능성과 관련하여 중요하지 않으나, 최종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미침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방법이 수행된 후 수득한 제품은, 수성 추출물의 pH가 약 6 내지 10인 직물에 대해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는 경우 보다 우수한 특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처리될 직물의 pH는, 직물의 샘플을 물로 추출함으로써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전에 시험하는 것이 유리하다. 직물의 전처리, 예를 들면, 염색 공정에 기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추출물이 상기 pH 범위를 벗어난 경우,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하기 전에 수성 욕에서 직물 또는 완제 의류를 처리하고 직물 또는 완제 의류를 건조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욕은, 예를 들면, NH3, Na2CO3또는 NaHCO3의 수용액이다. 직물의 처리는 실온의 욕에 직물을 10 내지 30분 동안 침지시킴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후속적인 건조단계는 습도의 평형이 이루어질 때까지 실온의 공기 중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이 수행되는 직물의 두께와 구성은 중요하지 않으며, 광범위하게 가변적일 수 있다. 특정 경우에 최적의 결과를 수득하기 위해, 프레싱 단계 도중의 온도, 체류시간 및 압력과 같은 본 발명의 방법의 조건은 사용되는 직물의 특성에 따라 채택되어야 하며, 이는 몇가지 정규 실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비교적 두꺼운 직물은 일반적으로 비교적 얇은 직물에 비해 주름형성시 더 높은 압력 및/또는 체류시간이 필요하다. 공정 파라미터를 직물 특성에 맞추는 경우, 청구항 1에서와 상기에서 기술한 조건에 맞출 필요가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처리될 직물 또는 의류에 성분 A를 적용하는 제1단계를 포함한다. 최소한 후속 프레싱 단계 도중 주름이 프레싱되는 직물의 영역만이라도 성분 A가 적용되도록 특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하지만, 성분 A를 전체 직물 표면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A는, 예를 들면, 침지에 의해 직물 또는 의류를 욕 또는 액에 함침시킴으로써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직물에 성분 A를 분무시킴으로써 적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를 위해, 성분 A가 분무 가능한 형태(예: 희석제와의 혼합물)이어야 함은 물론이다.
직물 또는 의류에 성분 A뿐만 아니라 성분 B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종종 유리하므로, 이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의 바람직한 양태를 구성한다. 성분 A의 적용과 관련하여 언급한 모든 것이 성분 B가 사용되는 경우 성분 B의 적용에도 적용된다. 따라서, 성분 B를 적용한 후, 직물이 프레싱 과정을 수행하기 전 후속 프레싱 단계를 위해 필요한 수분 함량을 보유하도록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성분 B의 추가 사용은 특히 성분 A가 저분자량 화합물(예: 단량체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분자량이 약 1000 미만인 올리고머)인 경우 추천된다. 이 경우, 처리될 직물은 성분 B를 함유함으로써, 예를 들면, 펠트방지가공과 관련하여 특성 개선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방법의 결과로서, 직물 또는 의류는 우수한 펠트방지가공 효과를 수득한다. 그러나, 성분 A가 분자량이 1000 이상인 경우에도, 성분 B를 함유함으로써 유리한 결과를 수득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성분 B가 촉감유연제인 경우, 본 발명의 방법을 수행한 후 직물은 매우 부드러운 촉감을 갖게 된다. 그러나, 성분 B 대신에 또는 이에 추가하여 청구항 2에서와 하기 기술되는 바와 같은 성분 B의 정의 내에 포함되지 않는 촉감유연제를 직물에 적용할 수도 있다. 섬유가공 분야에 공지되어 있는 촉감유연제, 예를 들면, 지방 산, 지방 알콜 또는 지방 아민 유도체가 이러한 용도에 맞다.
본 발명의 방법이 성분 B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경우, 대부분의 경우, 무엇보다도 비용상의 이유로 인해, 성분 A와 성분 B 및 임의의 추가 성분을 직물 또는 의류에 동시에 한꺼번에 적용하는 것이 유리하고, 바람직하다. 원칙적으로, 성분 A는 성분 B의 적용 전 후에 적용할 수도 있다. 이는 덜 바람직하지만, 특정한 경우, 예를 들면, 두 성분 A와 B의 안정한 제형물을 형성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 필요하거나 편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의 바람직한 양태는 성분 A와 성분 B 및 임의의 추가 성분을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이러한 조성물로 직물 또는 의류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수성 조성물은 안정한 용액 또는 분산액, 예를 들면, 성분 A와 성분 B 뿐만 아니라 유화제와 같은 분산제를 포함하는 유액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성 분산액은 직물에 바람직한 특성을 부여하기 위한 추가 제품, 예를 들면, 촉감유연제 및 방수용 및/또는 방유용 불소 함유 중합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형태의 유용한 제품은 섬유가공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성분 A와 함께 배합되어 직물에 적용될 수 있는 불소 중합체 제품의 예는 독일의 시바 스페치알리테텐헤미 페르쎄 게엠베하(Ciba Spezialitatenchemie Pfersee GmbH)가 시판하는 제품 올레오포볼(OLEOPHOBOLR) S, 올레오포볼RSL 및 올레오포볼R7596이다. 이러한 제품은 성분 A와 임의로 성분 B가 하나의 동일한 액체에 혼합되어, 영구적인 (바지) 주름, 펠트방지 가공 및 방수/방유성을 제공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직물에 유리하게 적용되는 불소 중합체의 양은 이러한 제품에 방유/방수성을 부여하기 위한 섬유가공 분야에서의 통상적인 범위 내에서 적용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직물 또는 의류에 적용되는 성분 A는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갖는 화합물이다. 존재하는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의 일부 또는 전부가 차폐된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이소시아네이트 그룹 뿐만 아니라 추가의 작용성 그룹이 성분 A에 존재할 수 있다.
성분 A는 2개 이상의 유리 또는 차폐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갖는 단량체 화합물일 수 있으나, 성분 A의 분자량은 160 미만이어서는 안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성분 A은 이 보다는 분자량이 높은 화합물, 예를 들면, 부가중합, 부가공중합, 중부가 또는 중축합에 의해 수득할 수 있는 올리고머 또는 중합체이다. 성분 A는 바람직하게는 분자량이 500 이상이다. 성분 A는 유리 형태일 필요는 없으나 차폐될 수 있는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함유해야 한다. 성분 A는 바람직하게는 탄소 원자 100 개당 1 내지 20개의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의된 화합물 대신에, 성분 A는 각각 2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함유하는 화합물의 혼합물일 수 있다. 성분 A의 분자량은 유리하게는 160 내지 100,000, 바람직하게는 500 내지 25,000이다.
성분 A는 유리 형태 및/또는 차폐된 형태의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함유한다. 본원에서, 차폐된 형태의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은 유리 -NCO 그룹이 차폐제와 반응함으로써 형성되고 나중에 승온에서의 가역반응에 의해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으로 전환되는 작용성 그룹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한다. 적합한 차폐제, 즉 열가역성 반응에서 -NCO 그룹과 반응하는 화합물은 문헌으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케톤 옥심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바람직한 차폐된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은 바람직하게는 유리 이소시아네이트 그룹과 중아황산염과의 반응에 의해 수득된다. 차폐 반응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이소시아네이트 그룹과 중아황산나트륨 또는 중아황산칼륨을 반응시킴으로써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방법은 성분 A 및, 사용되는 경우, 성분 B를 수성 조성물의 형태로서 직물에 적용함으로써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수성 분산액, 유액 또는 기타 용액일 수 있다. 이 경우, 성분 A의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은 무엇보다도 안정성을 이유로 차폐된 형태로, 바람직하게는 중아황산염으로 차폐된 형태로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황산염과의 반응에 의해 차폐된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갖는 폴리우레탄이 성분 A로서 특히 유용하다.
성분 A가 수성 조성물의 형태로 사용되는 경우, 이의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은 차폐된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US-A 3 687 605에는 본 발명의 방법에서 성분 A로서 유용한 다수의 폴리우레탄과, 후속적으로 폴리우레탄을 수득할 수 있는 성분 A로서 유용한 기타 이소시아네이토 함유 출발 화합물이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미국 참조문헌에는 역시 성분 A로서 유용한 기타 중합체 및 중합체 전구체가 추가로 기재되어 있으나, 특정한 상황에서 성분 B의 사용이 필수적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미국 참조문헌에 따라 중합체를 제조하는 경우, 생성된 중합체가 성분 A로서 유용한 유리 및/또는 차폐된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함유하도록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성분 A가 직물의 모성분과 화학적으로 반응하고/하거나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통해, 필요하다면 이소시아네이트 차폐물을 제거한 후, 성분 B와 반응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성분 A로서 유용한 제품은 특히 지방족, 지환족 또는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다가 알콜과 반응시켜 올리고우레탄 또는 폴리우레탄을 형성시킴으로서 수득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화학 분야에 공지된 쇄연장제가 추가로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올리고우레탄 또는 폴리우레탄을 형성하는 반응은 과량의 이소시아네이트 등가물을 사용하여 수행하므로, 반응 생성물은 여전히 유리 NCO 그룹을 갖는다. 필요하다면, 이들은 이어서 알칼리금속 아황산염과의 반응에 의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차폐될 수 있다. 성분 A로서 유용한 제품이 시판 중이다.
본 발명의 방법의 바람직한 양태에서 직물 또는 의류에 마찬가지로 적용되는 성분 B는 분자당 2개 이상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갖는 유기 화합물이다. 이러한 하이드록실 그룹은, 필요하다면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의 차폐물을 열에 의해 제거한 후, 이소시아네이트 그룹과 반응할 수 있다. 성분 B는 적합하게는 2가 이상의 알콜, 특히 쇄에 에테르 그룹이 삽입될 수 있는 비교적 장쇄인 알콜이다. 성분 B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중합체이고, 특히 유리 하이드록실 그룹을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알킬렌 글리콜이다. 폴리알킬렌 글리콜은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이거나 에틸렌 글리콜과 프로필렌 글리콜과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2개 이상의 하이드록실 그룹을 갖는 단일 화합물 대신에, 성분 B는 이러한 화합물의 혼합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성분 B가 분자당 2개 이상의 유리 하이드록실 그룹을 갖는 폴리디오가노실록산을 포함하는 경우 특히 우수한 결과를 나타낸다. 각각의 2개의 말단 규소 원자에 하이드록실 그룹이 결합되어 있는 선형 폴리디메틸실록산이 특히 성분 B로서 매우 유용하다. 이러한 실리콘이 성분 B로서 사용되는 경우, 본 발명의 방법은 주름 내구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촉감도 매우 부드러운 바지를 제공한다. 이는 중아황산염으로 차폐된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갖는 폴리우레탄이 성분 B와 함께 성분 A로서 사용되는 경우 더욱 효과적이다. 이 경우, 주름 내구성은 프레싱 후 고정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추가로 개선될 수 있다. 이러한 바람직한 양태는 다음에 보다 상세하게 기술된다.
적합한 성분 B는 독일의 시바 스페치알리테텐헤미 페르쎄 게엠베하로부터 수득한 제품 디크릴란(DICRYLANR) WK이다.
성분 A와 성분 B를 둘 다 포함하고 본 발명의 방법에 매우 유용한 수성 조성물은 독일의 시바 스페치알리테텐헤미 페르쎄 게엠베하로부터 수득한 제품 디크릴란(DICRYLANR) WSR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직물 또는 의류에 적용되어야 하는 성분 A와 성분 B의 양은 광범위하게 가변적일 수 있다. 바람직한 과정은 성분 A와 성분 B를 포함하는 수성 액체로 직물을 처리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물을 액체에 침지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는 이러한 함침 단계에 이어서, 직물 또는 의류를 짜거나 급속히 회전시킴으로써 과량의 수분을 제거한다. 짜기와 급속 회전은 직물의 액체 흡수율이 직물을 액체에 함침시키기 전의 건조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1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중량%이도록 하는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짜기 또는 급속 회전 후, 직물은 함침 전의 건조 직물을 기준으로 하여 상술한 범위내에서 중량이 증가되어야 한다. 처리 액체 내에서 농도는, 짜기 또는 급속 회전 후 직물은 성분 A가 0.25 내지 2.5중량% 증가하고 성분 B가 0.05% 내지 0.5% 증가하며, 바람직하게는 성분 A가 0.5 내지 1.8중량% 증가하고 성분 B가 0.1 내지 0.3중량% 증가하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백분율은 각각 함침 단계 이전에 건조 직물을 기준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방법이 성분 B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수행되는 경우, 직물의 액체 흡수율에 대한 지침과 직물에 대한 성분 A의 양에 대한 지침이 그대로 적용된다.
추가로, 성분 A와 성분 B를 적용한 후 짜거나 급속 회전시킨 직물에 존재하는 성분 B의 하이드록시 그룹의 개수에 대해 성분 A의 이소시아네이트 단위의 개수가 더 다수이어서, 성분 B의 모든 하이드록시 그룹이 성분 A의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한 후에도 여분의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이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성분 B 뿐만 아니라 추가의 하이드록시 함유 생성물이 사용되는 경우에도, 짜기 이후 여분의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이 역시 존재해야 한다.
성분 B가 사용되는 경우, 바람직한 과정은 급속 회전 및 짜기 이후 직물에서 성분 A 대 성분 B의 중량비가 10:1 내지 3:1의 범위에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성분 A와 성분 B 이외에도, 필요한 경우, 이소시아네이트 그룹과 하이드록시 그룹의 반응을 촉진시키기 위한 촉매를 직물에 추가로 적용할 수 있다. 적합한 촉매는 문헌으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성분 A와 임의로 성분 B를 직물에 적용하고, 가능하게는 목적하는 액 흡수율로 직물을 짜거나 급속 회전시킨 후, 목적하는 주름이 프레싱되기 전에 직물 또는 의류의 수분 함량을 1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중량%로 조절할 필요가 있다. 프레싱 과정의 시점에서 상술한 범위내의 수분 함량은 본 발명의 방법의 중요한 필수 사항이다. 특히, 주름이 후속적으로 프레싱되는 영역은 상술한 범위 내의 수분 함량을 가져야만 한다. 만약,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급속 회전 또는 짜기에 이어, 예를 들면, 의류 송풍기 처리와 같은 추가 처리가 주름의 프레싱 단계 이전에 수행되는 경우, 수분 함량은 이러한 과정 이후에 고정되어야 한다.
수분 함량에 대한 상술한 수치는 110℃에서 30분 동안 건조시킨 후 직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직물에 존재하는 수분의 양을 정의한다. 따라서, 직물의 중량은 성분 A와 임의 성분 B가 이미 직물 내에 존재하는 경우의 조건 하에서 건조된 직물의 중량이다(건조 조건 하에서 휘발되는 성분들을 뺀다). 따라서, 수분 함량에 대한 상술한 범위는 프레싱이 개시되기 전에 수립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수분 함량이 공정 파라미터를 기준으로 하여 실험으로부터 미리 공지된 것이 아니라면, 이는 프레싱이 수행되기 전에 측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 선행 처리 조건에 따라, 수분 함량은 이미 필수 범위내에 있을 수 있다.
선행처리가 직물 또는 의류의 전처리 수분 함량이 이미 필수 범위에 있는 조건하에 수행되는 것이 유리하다. 표준 생산 설정 기준 내로 필수 파라미터에 대한 정보가 주어지면, 프레싱 이전의 직물의 수분 함량은 실험으로부터 이미 공지되어 있거나 계산될 수 있으므로, 수분 함량의 측정은 생략할 수도 있다. 수분 함량이 이미 필수 범위 내에 있다면, 보정을 위한 측정은 불필요하다. 그렇지 않다면, 필수 수분 함량은 수분의 첨가나 건조에 의해 설정해야만 한다. 이소시아네이트의 화학반응을 피하기 위해 건조 단계는 온화한 조건하에서 수행해야 한다.
다수의 경우, 프레싱 과정 이전의 수분 함량을 설정하기 전에 직물 또는 의류를 의류 송풍기로 처리하는 것이 유리하다. 의류 송풍기 처리는 직물의 두 끝을, 예를 들면, 바지의 윗쪽 끝과 아랫쪽 끝을 고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어서, 직물을 고온 공기의 증기 또는 증기와 공기의 혼합물로 단시간 처리한다. 바지의 경우, 바지의 윗쪽 끝과 아랫쪽 끝을 고정하고 아랫쪽 끝을 밀봉하여 바지 다리 내로 공기를 송풍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약 40 내지 120℃의 온도이고 건조한 공기로 직물을 통기시킨다. 이러한 처리의 목적은 직물의 표면을 매끄럽게 하여 후속적인 주름 잡는 프레싱 과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의류 송풍기 상에서의 이러한 처리는 성분 A와 임의 성분 B를 적용한 다음 직물을 짜거나 급속 회전시킨 후 수행할 수도 있다. 직물 또는 의류가 건조되지 않으면서도 수분 함량은 1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중량%가 되는 방식으로 의류 송풍기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는 적어도 직물에서 주름이 잡히는 영역만이라도 후속적인 프레싱 과정 후에 직물이 보유해야만 하는 수분 함량 범위이다. 의류 송풍기 처리 후 직물의 수분 함량은 뜨거운 공기의 온도를 통해, 또는 이러한 공기가 적용되는 기간을 통해 조절될 수 있다. 뜨거운 공기만을 통해 송풍하는 대신, 처음에는 과열된 증기(120℃)와 공기와의 혼합물을 사용하고 나중에는 공기만을 사용할 수 있다.
의류 송풍기 처리 후, 바지는 주름이 나중에 잡히지 않을 영역에 다림질 처리를 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면 바지 다리의 내부 표면의 솔기를 수동으로 다림질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온화한 조건 하에 수행해야만 한다.
직물 또는 의류에 주름을 잡는 후속적인 프레싱 과정에서 직물의 수분 함량이 1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중량%이어야 한다. 이러한 백분율은 상술한 바와 같이 건조된 직물을 기준으로 하는 직물의 수분 함량을 정의한다. 직물의 수분 함량은 적어도 주름이 잡히는 영역에서만이라도 이러한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직물의 수분 함량은 어느 부분이나 이러한 범위 내에 있다.
프레싱 과정의 선행 공정 단계, 즉 성분 A와 임의 성분 B의 적용, 급속 회전 또는 짜기, 임의의 의류 송풍기 처리 및 임의의 수동식 다림질은, 직물이 이러한 단계들을 거친 후에 이미 프레싱 단계에서 요구되는 수분 함량을 갖도록 하는 방식으로 수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경우, 프레싱 단계는 수분 함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키는 사전의 추가 측정 없이 수행할 수 있다. 여하간, 성분 A의 적용과 프레싱 단계 사이의 기간 동안 직물이 완전히 건조되는 일은 반드시 피해야 한다.
다음 단계는 직물 또는 의류에 주름을 잡는 단계, 예를 들면, 바지의 경우 앞면 및 뒷면에 세워진 날이나 치마의 경우 플리이트의 경우와 같이 직물 또는 의류에 주름을 잡는 프레싱 과정을 포함한다. 이러한 주름은 약한 압력을 적용함으로써 선행 과정에서 미리 예비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원래 주름이 없던 직물에 주름이 생기게 할 수도 있다. 프레싱 과정에서, 직물은 주름이 목적하는 영역에 예비형성되도록 놓일 수 있다. 이어서, 이러한 주름은 8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70℃의 온도 범위에서 가압하에 프레싱된다. 지정된 온도 범위는 프레스의 온도(이는 더 높을 수 있다)에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프레스로부터 떨어진 직물 표면 상의 주름이 잡히는 영역의 온도에 적용된다. 바지의 경우, 이는 주름의 내부 표면이다. 프레스로부터 떨어진 표면 상의 직물의 온도는 온도 센서에 의해 측정되고 공정 파라미터를 통해 조절된다. 프레싱 과정이 8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70℃의 온도 범위에서 수행되어야 한다는 사실은, 프레스로부터 떨어져 있는 주름의 형성 영역 내의 직물의 표면이 전체 프레싱 과정 내내 상술한 범위 내의 온도를 가져야 함을 의미한다. 반대로, 이러한 표면은 프레싱 과정 도중의 어느 시점에서만 이러한 범위 내의 온도를 가질 필요가 있다. 이러한 온도에서의 10 내지 60초의 체류 시간이면 주름 영역 내의 직물이 완전히 건조되거나 내구성 주름이 형성되는 데 필요한 예비조건인 바람직한 범위 내의 수분 함량을 갖기에 충분한 경우가 빈번하다. 온도가 이미 필수 범위에 있는 공정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경험으로부터 필요 온도를 알 수 있다면, 이는 직물의 관련 영역에서 측정하지 않아도 된다.
프레싱 후, 상술한 바와 같이, 직물은 주름이 프레싱되는 영역 내에서 특정한 수분 함량은 가져야 한다. 밝은 색상의 직물인 경우, 염색되지 않은 직물이거나 기본 중량이 낮은 직물의 경우, 주름의 형성 영역에서 직물은 거의 완전히 건조되는 것이 유리한 경우가 종종 있다.
이 경우 프레싱 과정은, 프레싱 후 직물 또는 의류가 주름이 잡히는 영역에서 거의 완전히 건조되도록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지 않으면, 세틱 공정에 대한 주름의 내구성은 불량해진다. 직물의 완전 건조는 프레싱 과정의 수행 시간을 통해 간단하게 성취된다.
어두운 색상의 직물이거나 기본 중량이 높은 직물의 경우, 주름이 잡히는 영역의 직물은 프레싱 후 완전히 건조되지 않는 것이 종종 유리하지만, 주름이 잡히는 직물은 프레싱 전에 이의 수분 함량이 10 내지 70중량%이고, 최소한의 수분 함량이 이 영역에서 직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인 것이 유리하다. 이는 종종 표면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가시 효과를 방지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킨다. 직물은 프레싱 과정의 수행 도중 단순히 목적하는 수분 함량을 낮춰 건조할 수 있다.
주름을 잡는데 적용되는 압력은 광범위하게 가변적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직물의 특성에 따르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0bar의 범위이다. 프레싱 과정은 필요 압력 및 온도를 수득할 수 있는 시판 중인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하는 것이 적합하다.
프레싱 과정의 기간은 주름이 잡히는 영역 내의 직물 또는 의류가 프레싱 후 목적하는 수분 함량을 갖기에 충분해야 한다. 이러한 수분 함량은 직물의 형태에 따라 가변적일 수 있다. 프레스에서의 직물의 체류시간의 연장은 대부분 필수적이 아니지만, 특정 경우에는 유리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프레싱 과정의 기간은 약 5초 내지 수분 범위 내이며, 이는 특히 프레스에 따라 좌우된다.
프레싱 후, 직물은 이들이 수분 함량의 평형을 이룰 때까지 실온 또는 승온에서 공기 건조(예: 건조 캐비넷에서 건조)될 수 있다. 이어서, 주름이 잡히지 않는 영역에서의 수동식 다림질을 포함하는, 피복 직물의 완제시 통상적인 추가의 공정 단계가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모 혼방 직물에 내구성 주름과 펠트방지가공을 동시에 한 번에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적합한 성분 A와 B가 사용된다면, 본 발명에 따라 처리될 직물은 펠트방지특성이 우수하다. 섬유가공 문헌은 성분 A와 성분 B로서 유용한 제품이 펠트방지가공을 하는 데에도 사용될 수 있음이 밝혀졌다. 바지에 내구성 주름을 제공하는 적합한 성분과 펠트방지 가공을 하는 성분과의 우수한 조합물은 독일의 시바 스페치알리테텐헤미 페르쎄 게엠베하로부터의 제품 디크릴란RWSR이다.
종종 필수사항은 아니지만, 직물 또는 의류의 일부에 최적의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프레싱 단계 및 임의의 건조 단계에 이어 고정 처리를 수행하는 것이 유리한 경우가 빈번하다. 결국, 직물은 기계적 장력이나 압력의 적용 없이 13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80℃의 온도에서 5 내지 30분 동안 처리된다.
이는 일반적으로 모의 펠트 수축율을 감소시킬 것이다. 이러한 고정 및 경화 처리는 시판 중인 건조 오븐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는 이제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기술될 것이다.
실시예 1:
다음 성분들과 분산제 및 보조제로부터 수성 액체를 제조한다:
a) 무기 아황산염과의 반응에 의해 차폐된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갖는 폴리우레탄(성분 A) 20g/ℓ;
b) 각각의 쇄 말단에 말단 규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는 하이드록실 그룹을 갖는 선형 폴리디메틸실록산(성분 B) 2.2g/ℓ[별도의 성분 A와 성분 B를 가하는 대신에 성분 A와 성분 B와의 화학반응을 미리 수행하여 수득한 생성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c) 아미노 그룹을 갖는 측쇄를 갖는 선형 폴리디메틸실록산 2g/ℓ; 및
d) NaHCO35g/ℓ.
100% 모직 바지를 실온에서 상기 액에 침지시킨다. 10분 동안 침지시키면 바지가 완전히 젖는다. 이를 욕으로부터 제거하고 급속하게 회전시켜 액 흡수율(= 중량 증가, 건조 상태의 바지를 기준으로 함)을 50%로 조절한다. 급속 회전은 70초 동안 세탁기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수행한다.
이어서, 바지를 이의 윗쪽 끝과 아랫쪽 끝을 고정시키고 바지 다리의 아랫쪽 개구를 밀봉하고 우선 포화 증기(120℃)와 뜨거운 공기의 혼합물을 바지의 내부로 10초 동안 송풍시킨 다음 뜨거운 공기만으로 10초 동안 송풍시킴으로써 의류 송풍기로 20초 동안 처리한다. 바지를 안쪽이 보이게 뒤집은 다음 의류 송풍기로 처리하고 측면의 솔기를 내부 표면에 대해 편평하도록 다림질한다. 다시 뒤집은 후, 바지에 프레스를 댄다. 프레스의 가열된 압반의 온도는 220℃이다. 프레스로 프레싱된 후, 바지를 손으로 편평하게 하고 진공에 의해 프레스의 압반의 표면을 흡인한다. 프레스가 닫히면, 2분 동안 4bar의 압력이 적용되어 바지의 양 다리에 주름이 프레싱된다. 온도는 바지 내부의 주름 형성 영역, 즉 프레스로부터 떨어진 표면 상에서 측정한다. 이는, 프레싱 과정 도중 130℃ 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프레싱 후, 바지는 주름을 따라 건조된다. 또한, 건조될 기타 영역도 밤새 건조시킨다. 이어서, 바지를 열 캐비넷에서 장력 없이 150℃에서 5분 동안 고정시킨다. 최상의 효과는 후속적으로 실온에서 1주일 동안 에이징(aging)시키는 경우 수득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이 처리한 바지는 날선 주름을 가지며, 이의 외관은 가정용 세탁기에서 15번 세탁(30℃, 순환식, 세척액에 대해 계면활성제 첨가)한 후에도 거의 악화되지 않는다.
실시예 2:
다음 성분들과 분산제 및 보조제로부터 수성 액체를 제조한다:
a) 무기 아황산염과의 반응에 의해 차폐된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갖는 폴리우레탄(성분 A) 20g/ℓ;
b) 각각의 쇄 말단에 말단 규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는 하이드록실 그룹을 갖는 선형 폴리디메틸실록산(성분 B) 2.2g/ℓ[별도의 성분 A와 성분 B를 가하는 대신에 성분 A와 성분 B와의 화학반응을 미리 수행하여 수득한 생성물을 사용할 수도 있다];
c) 아미노 그룹을 갖는 측쇄를 갖는 선형 폴리디메틸실록산 2g/ℓ; 및
d) NaHCO35g/ℓ.
100% 모직 바지를 실온에서 상기 액에 침지시킨다. 5분 동안 침지시키면 바지가 완전히 젖는다. 이를 욕으로부터 제거하고 급속하게 회전시켜 액 흡수율(= 중량 증가, 건조 상태의 바지를 기준으로 함)을 50%로 조절한다. 급속 회전은 70초 동안 세탁기에서 회전시킴으로써 수행한다.
이어서, 바지를 이의 윗쪽 끝과 아랫쪽 끝을 고정시키고 바지 다리의 아랫쪽 개구를 밀봉하고 우선 포화 증기(120℃)와 뜨거운 공기의 혼합물을 바지의 내부로 10초 동안 송풍시킨 다음 뜨거운 공기만으로 10초 동안 송풍시킴으로써 의류 송풍기로 20초 동안 처리한다. 바지를 안쪽이 보이게 뒤집은 다음 의류 송풍기로 처리하고 측면의 솔기를 내부 표면에 대해 편평하도록 다림질한다. 다시 뒤집은 후, 바지에 프레스를 댄다. 프레스의 가열된 압반의 온도는 150℃이다. 프레스로 프레싱된 후, 바지를 손으로 편평하게 하고 진공에 의해 프레스의 압반의 표면을 흡인한다. 프레스가 닫히면, 30초 동안 6bar의 압력이 적용되어 바지의 양 다리에 주름이 프레싱된다. 온도는 바지 내부의 주름 형성 영역, 즉 프레스로부터 떨어진 표면 상에서 측정한다. 이는, 프레싱 과정 도중 100℃ 까지 상승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프레싱 후, 바지는 주름을 따라 건조되어 수분 함량이 약 15%가 된다. 바지는 열 캐비넷에서 건조시킨다(150℃/10min). 이어서, 바지를 열 캐비넷에서 장력 없이 160℃에서 10분 동안 고정시킨다. 최상의 효과는 후속적으로 실온에서 1주일 동안 에이징(aging)시키는 경우 수득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 같이 처리한 바지는 날선 주름을 가지며, 이의 외관은 가정용 세탁기에서 15번 세탁(30℃, 순환식, 세척액에 대해 계면활성제 첨가)한 후에도 거의 악화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은 모직물을 포함하는 완제 바지에서 주름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며, 가정용 세탁기에서의 통상적인 모세탁 선택 세탁을 20회 이상 수행한 후에도 이의 원형을 거의 그대로 유지한다.

Claims (12)

  1. 유리 형태 또는 차폐된 형태의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2개 이상 갖는 화합물 또는 이러한 화합물의 혼합물(성분 A)을 모 함량이 30 내지 100중량%인 직물에 적용하는 단계, 직물의 수분 함량을 10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중량%로 조절하는 단계 및 직물을 8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70℃의 온도에서 프레싱하여 주름을 잡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 함량이 30 내지 100%인 직물의 처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프레싱 단계가, 프레싱 후에 주름이 잡혀진 직물의 영역에서의 수분 함량이 주름잡기 전의 수분 함량의 10 내지 70중량%이지만 최소한의 수분 함량이 이 영역에서의 직물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로 되도록 수행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A에 추가하여, 하이드록시 그룹을 2개 이상 갖는 유기 화합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성분 B)을 직물에 적용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가 중합체, 특히 폴리우레탄인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가 중아황산염과의 반응에 의해 차폐된 이소시아네이트 그룹을 함유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성분 B가 2개 이상의 하이드록시 그룹을 갖는 중합체로서,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알킬렌 글리콜 및 폴리디오가노실록산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성분 B가 각각의 쇄 말단에 Si와 결합된 하이드록시 그룹을 갖는 폴리디메틸실록산인 방법.
  8. 제3항 내지 제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와 성분 B가 직물에 한꺼번에 동시 적용되는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직물이 성분 A와 성분 B를 포함하는 수성 조성물 중에서 적용되는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직물이 완제 의류의 형태로 존재하는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의류가 바지이고, 주름이 바지의 다리 부분의 앞면과 뒷면의 날선 주름인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프레싱하여 주름을 잡은 이후에, 직물을 130 내지 200℃, 바람직하게는 140 내지 180℃의 온도에서 고정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19980006858A 1997-03-04 1998-03-03 모 혼방 직물, 특히 모 혼방 의류의 처리방법 KR1998007981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08632.2 1997-03-04
DE1997108632 DE19708632A1 (de) 1997-03-04 1997-03-04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Wolle enthaltenden Geweben, insbesondere Kleidungsstücken
DE19743639.0 1997-10-02
DE1997143639 DE19743639A1 (de) 1997-10-02 1997-10-02 Verfahren zur Behandlung von Wolle enthaltenden Geweben, insbesondere Kleidungsstück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9813A true KR19980079813A (ko) 1998-11-25

Family

ID=260344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858A KR19980079813A (ko) 1997-03-04 1998-03-03 모 혼방 직물, 특히 모 혼방 의류의 처리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056788A (ko)
EP (1) EP0863249B1 (ko)
KR (1) KR19980079813A (ko)
AT (1) ATE288514T1 (ko)
AU (1) AU726773B2 (ko)
DE (1) DE59812524D1 (ko)
ES (1) ES2237808T3 (ko)
IL (1) IL12332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947B1 (ko) * 1998-12-11 2006-05-25 주식회사 코오롱 섬유유제 제조용 다기능성 첨가물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16610A1 (de) * 2000-04-04 2001-10-11 Ciba Sc Pfersee Gmbh Silikonhaltige Zusammensetzung für die Behandlung von Wollematerialien
GB2370214B (en) * 2000-12-19 2003-03-19 Bagir Co An item of apparel
US20030196250A1 (en) 2002-04-19 2003-10-23 Moshe Gadot Item of apparel
ITMI20030201A1 (it) * 2003-02-06 2004-08-07 Massimo Guarducci S R L Metodo per prevenire la restringibilita' dei tessuti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2995A (en) * 1962-10-15 1974-07-09 Deering Milliken Res Corp Process for modifying keratin fibers to reduce relaxation and felting shrinkage and product produced thereby
NL299245A (ko) * 1962-10-15
US3497310A (en) * 1965-11-19 1970-02-24 Deering Milliken Res Corp Process for durably securing fabric in a desired configuration
US3498740A (en) * 1966-03-14 1970-03-03 Deering Milliken Res Corp Imparting permanent dimensional stability and finish stability to fabrics containing keratinous fibers
CH1524468D (ko) * 1967-10-13 1900-01-01
US3511888A (en) * 1968-02-08 1970-05-12 Shell Oil Co Paraffin conversion catalyst and process
US3640675A (en) * 1968-02-19 1972-02-08 Manuel A Thomas Preparing permanent press garments by treating with composition therefor
AU427648B2 (en) * 1968-12-05 1972-08-31 Commonwealth Scientific And Industrial Research Organizatio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the stabilization of textile materials consisting of keratinous or cellulosic fibres
ZA704982B (en) * 1969-07-28 1971-04-28 Commw Scient Ind Res Org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the permanent setting of wool and wool-containing articles
US3797997A (en) * 1969-11-06 1974-03-19 Commw Scient Ind Res Org Method for fixing the shape of textile materials
GB1375549A (ko) * 1970-12-10 1974-11-27
BE795575A (fr) * 1972-02-18 1973-06-18 Commw Scient Ind Res Org Procede de traitement de matieres keratiniques
US4144027A (en) * 1972-07-07 1979-03-13 Milliken Research Corporation Product and process
GB1435085A (en) * 1972-09-01 1976-05-12 Ciba Geigy Ag Keratinous textiles and fibr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3947B1 (ko) * 1998-12-11 2006-05-25 주식회사 코오롱 섬유유제 제조용 다기능성 첨가물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63249B1 (de) 2005-02-02
US6056788A (en) 2000-05-02
AU726773B2 (en) 2000-11-23
ATE288514T1 (de) 2005-02-15
AU5644598A (en) 1998-09-10
EP0863249A3 (de) 1999-10-06
ES2237808T3 (es) 2005-08-01
IL123321A0 (en) 1998-09-24
IL123321A (en) 2001-01-11
EP0863249A2 (de) 1998-09-09
DE59812524D1 (de) 2005-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676057A (en) Textile process
US6149549A (en) Anionically derivatised cotton for improved comfort and care-free laundering
US4929471A (en) Method of treating polyester fabric
KR19980079813A (ko) 모 혼방 직물, 특히 모 혼방 의류의 처리방법
CN111279031A (zh) 功能性温度调节纺织品添加剂及其用途
EP0372782A2 (en) Method for the treatment of cellulosic fibres
NO131946B (ko)
US3402988A (en) Chemical deactivation of catalyst at both faces of a cellulosic fabric impregnated with a resin-catalyst system to improve abrasion resistance of fabric after curing
US6336943B1 (en) Anionically derivatised cotton for improved comfort and care-free laundering
US5320645A (en) Process for imparting wrinkle resistance and durable press finish to a fibrous garment
KR960004913B1 (ko) 물세탁 실크직물 및 그 제조방법
Reid et al. Durable Creasing of Wrinkle Resistant Cotton1
US3059990A (en) Method of setting wool textiles with ethanolamine
NO179374B (no) Fremgangsmåte for behandling av et celluloseholdig stoff for å gjöre det flammeretarderende og krölleresistent
US6464730B1 (en) Process for applying softeners to fabrics
US3811210A (en) Mild cure finishing process incorporating improved catalyst systems to produce wrinkle resistant, durably pressed and creased cellulosic textile products
US3891389A (en) Shrinkage-control treatment for knitted fabrics
US3932124A (en) Process for setting textiles
Shaw et al. The Finishing of Wool Fabrics
US3216781A (en) Method of setting wool textiles
JP2002371460A (ja) 絹織物に水洗い可能なプリーツをつける加工方法並びに水洗い可能なプリーツをつけた絹織物
JPH07300772A (ja) 絹フィブロイン加工方法
JPS5845507B2 (ja) 獣毛繊維からなる編物の捺染方法
US3540836A (en) Stabilization of physical configurations in cellulosic yarns,fabrics and garments through reaction with polyfunctional sulfone or sulfonium compounds
JP2003213509A (ja) シャツ又はブラウスの衿とカフスの防汚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