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8796A - 헤어클립 - Google Patents

헤어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8796A
KR19980078796A KR1019970016418A KR19970016418A KR19980078796A KR 19980078796 A KR19980078796 A KR 19980078796A KR 1019970016418 A KR1019970016418 A KR 1019970016418A KR 19970016418 A KR19970016418 A KR 19970016418A KR 19980078796 A KR19980078796 A KR 199800787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b
hair
shielding
members
h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6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9397B1 (ko
Inventor
야수다마사히로
Original Assignee
야수다마사히로
카부시키가이샤야수다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수다마사히로, 카부시키가이샤야수다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야수다마사히로
Priority to KR10199700164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9397B1/ko
Publication of KR19980078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8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93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93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00Hair-curling or hair-waving appliances ; Appliances for hair dressing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45D2/12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 A45D2/24Hair winders or hair curlers for use parallel to the scalp, i.e. flat-curlers of multi-part type, e.g. with sliding parts other than for fasten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6/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curling or hair-waving devices
    • A45D6/04Devices for winding the hair on flat-curlers
    • A45D6/045Devices for winding the hair on flat-curlers with a removable hair-pin or clip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6/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hair-curling or hair-waving devices
    • A45D6/16Curler pi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8/00Hair-holding devices; Accessories therefor
    • A45D8/02Hair pins

Landscapes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경첩에 대하여 피봇된 한쌍의 빗모양 포지부재(抱持部材)가 경첩의 중추부분을 감은 코일스프링에 의해서 빗모양의 닫히는 방향으로 설치된 헤어클립으로서, 외관이 훌륭하고, 장식성이 뛰어나며, 높은 내구성을 구비하는 것을 제공한다.
각 포지부재(1A), (1B)는,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의 늘어나는 측과는 반대측에, 외향으로 튀어나온 개폐용 레버편(5)과 내향으로 튀어나온 차폐용 빗살(7)…을 구비하고, 차폐용 빗살(7)…과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의 사이로 경첩(3)이 구성되며, 사용하지 않는 자연상태에서 양쪽 포지부재(1A), (1B)의 차폐용 빗살(7)…이 맞물리고, 개폐용 레버편(5), (5)을 접근시킨 때에,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측이 열림과 동시에 차폐용 빗살(7)…의 맞물림이 깊어져서 코일스프링(4)위를 덮도록 되어있다.

Description

헤어클립
본 발명은, 경첩을 개재하여 피봇된 한쌍의 빗모양의 포지부재에 의하여, 원하는 모양으로 정돈된 머리카락 다발을 포지고정하는 헤어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 종류의 헤어클립은, 폭방향 한쪽으로 늘어나는 빗살과 다른쪽으로 튀어나온 개폐용 레버편을 보유하는 한쌍의 포지부재가, 빗살을 서로 상대쪽의 빗살 사이로 진입시킬 수 있는 배치 상태에서 경첩을 개재하여 폭방향 중간부에 있어서 피봇됨과 동시에, 그 경첩의 중추부분을 감은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빗살이 맞물리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고, 양쪽 포지부재의 개폐용 레버편을 손으로 잡아 접근시킴으로써, 자연상태에서는 서로 맞물리고 있는 빗살측이 열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빗살측을 열리게 한 상태에서 다발을 짓는 형태로 된 머리카락위에 대고, 개폐용 레버편을 느슨하게 잡아 양측의 빗살로 밑의 머리카락층을 떠넣음으로써, 다발형태의 머리카락을 포지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 종류의 헤어클립에 있어서는, 머리카락에 장착된 상태에서 경첩의 중추부분을 감은 코일스프링이 노출되므로, 외관이 나빠서 의장적 기능이 뒤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 이 코일스프링은 자연상태에서 감는 것을 강하게 하는 방향으로 비틀어진 상태에서 중추부분에 끼워넣고, 그 직선형상으로 된 양단부를 각각 양 포지부재의 내면과 맞닿음으로써, 상기한 자연상태로의 복원력에 의하여 양 포지부재를 압압하고 있지만, 이 압압위치는 양 포지부재에 있어서 긴쪽방향 중앙으로부터 서로 반대쪽으로 치우쳐 있으므로, 압압력이 양 포지부재의 배치를 변형시키도록 작용하며, 그것으로써 양 포지부재의 피봇부에 비틀어진 방향으로 힘이 집중되며, 그 피봇부의 파손이 발생하기 쉬워 내구성이 떨어진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상황을 감안하여, 경첩을 개재하여 피봇된 한쌍의 빗모양의 포지부재가 그 경첩의 중추부분을 감은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빗모양을 닫히는 방향으로 설치된 헤어클립으로서, 외관이 훌륭하고, 장식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높은 내구성을 구비한 헤어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청구항 1은, 폭방향 한쪽으로 늘어나는 머리카락을 잡는데 사용하는 빗살을 보유하는 경질의 합성수지 성형물로 된 한쌍의 포지부재가, 경첩에 의해서 머리카락을 잡는데 사용하는 빗살을 서로 상대쪽의 빗살사이로 진입시키는 상태와 분리시키는 상태로 개폐가 자유롭게 피봇됨과 동시에, 그 경첩의 중추부분을 감은 코일스프링의 양 단부의 압접에 의해서 서로의 머리카락을 잡는데 사용하는 빗살이 닫히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헤어클립에 있어서, 각 포지부재는,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의 늘어나는 쪽과는 반대쪽으로, 외향으로 튀어나온 개폐용 레버편과 내향으로 튀어나온 차폐용 빗살을 구비함과 동시에, 이 차폐용 빗살과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의 사이로 상기한 경첩이 구성되며, 사용하지 않는 자연상태에서는 양 포지부재의 차폐용 빗살이 맞물리는 상태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의 코일스프링의 설치에 반항하여 양 포지부재의 개폐용 레버편을 접근시킨 때에, 머리카락을 잡는데 쓰는 빗살측이 열림과 동시에 차폐용 빗살의 맞물림이 깊어져서 상기한 코일스프링을 가리도록 설정되어서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헤어클립은, 양 포지부재의 개폐용 레버편을 손으로 잡아서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측을 열리게 한 상태에서 원하는 모양으로 정돈된 머리카락 다발위에 대고, 개폐용 레버편을 느슨하게 잡아 양측의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에 의하여 밑의 머리카락층을 떠넣게하여 다발형태의 머리카락을 포지고정하지만, 이 머리카락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서로의 맞물린 정도를 깊게 한 차폐용 빗살에 의해서 경첩에 감긴 스프링이 덮어 숨겨지게 되고, 또, 차폐용 빗살자체도 장식부 기능을 한다. 따라서, 코일스프링의 압압력은 양 포지부재의 배치를 변형시키도록 작용하지만, 이 변형은 차폐용 빗살의 서로의 맞물림 부분에 의하여 저지되며, 그것으로써 양 포지부재의 피봇부에 비틀어진 방향으로 힘이 집중하는 일은 없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자연상태에서 양 포지부재의 차폐용 빗살이 분리하여 있으면, 상기한 변형을 발생함과 동시에, 이 변형된 상태에서 개폐용 레버편을 잡아서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측을 열리게 할려고 하여도, 차폐용 빗살의 선단끼리가 충돌하여서 열리는 작동이 곤란하게 된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상기한 청구항 1의 헤어클립에 있어서, 양 포지부재의 차폐용 빗살은, 사용하지 않는 자연상태에 있어서 빗살의 선단부만이 서로 맞물리는 구성을 하고 있으므로, 그 맞물리는 깊고 얕은 변화량을 크게 할 수 있고, 그것으로써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측의 열리는 정도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상기한 청구항 2의 헤어클립에 있어서, 양 포지부재의 차폐용 빗살은, 평행직선 형상으로 튀어나오고, 사용하지 않는 자연상태에 있어서 서로 맞물린 빗살의 선단부를 정상으로 하는 지붕모양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측이 열린 사용상태에서, 평탄형상 내지 맞물린 부분을 낮게하는 맞물린 상태로 되는 점에서, 머리카락에 장착됐을 때에 차폐용 빗살의 빗살 선단부가 바깥쪽으로 내밀어지지 않는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서의 헤어클립에 있어서, 양 포지부재의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이 내면측을 오목하게 하는 만곡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머리카락에 장착할 때에 양측의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에 의하여 머리카락 다발을 떠올려서 넣는 모양으로 된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의 헤어클립에 있어서, 양 포지부재의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은 내면측으로 복수의 돌기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머리카락에 장착됐을 때에 돌기가 머리카락층 속으로 들어가서 앵커기능을 발휘한다.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의 헤어클립에 있어서, 양 포지부재의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은, 서로 상대측의 빗살사이로 진입된 상태에 있어서 인접하는 빗살과의 사이로 틈이 생기도록 배치하여 이루어지므로, 머리카락에 장착됐을 때에 빗살의 틈사이로 머리카락이 끼워들어가서, 헤어클립의 멈추는 힘이 커진다.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6 중 어느 한 항의 헤어클립에 있어서, 양 포지부재의 내면측으로 한쌍의 피봇용 돌편이 긴쪽 방향으로 떨어져서 돌출설치되며, 양 포지부재의 피봇용 돌편끼리의 겹치는 부분으로 상기한 경첩의 중추부분의 양 단부가 관통하여 축받이됨과 동시에, 상대하는 피봇용 돌편으로 양 포지부재의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측을 닫히는 회동방향에 있어서 서로 계합(係合)하는 계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는 자연상태에 있어서, 양 포지부재는 계지부가 코일스프링의 설치에 의하여 압압 계합된 상태에서 안정된다.
청구항 8의 발명에서는,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의 헤어클립에 있어서, 각 포지부재는, 차폐용 빗살과 개폐용 레버편등이 긴쪽 방향 중앙부에 분기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개폐용 레버편의 양측에 외향으로 튀어나온 장식편을 보유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을 하고 있으므로, 머리카락에 장착했을 때에 개폐용 레버편과 동시에 외향으로 튀어나온 장식편이 보여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헤어클립 전체의 사시도.
도 2는, 헤어클립의 평면도.
도 3은, 헤어클립에 있어서의 한쪽의 포지부재를 내면측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4는, 헤어클립에 있어서의 다른쪽의 포지부재를 내면측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5는, 도 2의 V-V선에 있어서의 단면사시도.
도 6은, 헤어클립의 머리카락을 잡는데 사용하는 빗살측을 펼친 상태를 표시하는 종단측면도.
도 7은, 헤어클립를 머리카락에 장착한 상태를 예시하는 사시도.
*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
(1A), (1B) --------------------- 포지부재.
(2) ----------------------------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
(21) --------------------------- 돌기,
(3) ---------------------------- 경첩,
(30) --------------------------- 중추부분,
(4) ---------------------------- 코일스프링,
(4a), (4b) --------------------- 선단부,
(5) ---------------------------- 개폐용 레버편,
(6) ---------------------------- 장식편,
(7) ---------------------------- 차폐용 빗살,
(8) ---------------------------- 피봇용 돌편,
(81) --------------------------- 돌출부(계지부(係止部)),
(82) --------------------------- 층계부(계지부),
(10) --------------------------- 헤어클립.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헤어클립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사용하지 않는 자연상태에 있어서의 헤어클립 전체의 사시도, 도 2는 평면도, 도 3 및 도 4는 헤어클립의 한쌍의 포지부재를 각각 내면측에서 바라본 정면도, 도 5 및 도 6은 헤어클립의 종단측면도, 도 7은 사용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표시하듯이, 본 헤어클립(10)은, 폭방향의 한쪽으로 늘어나는,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을 보유하는 한쌍의 포지부재(1A), (1B)가, 경첩(3)에 의하여 머리카락을 올리는데 쓰이는 빗살(2)…을 서로 상대측의 빗살(2)…사이로 진입시키는 상태와, 이들 빗살(2)…을 분리시키는 상태(도 6참조)로 개폐가 자유롭게하게 피봇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그 경첩(3)의 중추부분(30)에는 코일스프링(4)이 감기며, 이 코일스프링(4)의 직선형상인 양 단부(4a), (4b)가 양 포지부재(1A), (1B)의 내면에 압접되고, 이것으로서 양 포지부재(1A), (1B)는 각각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측이 닫히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양 포지부재(1A), (1B)는, 도 3 및 도 4에서도 표시하듯이 대략 비슷한 형상을 보유하는 경질합성수지 성형물로 되고,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의 늘어나는 측과 반대측에, 긴쪽 방향 중앙으로 위치된 귀형상의 개폐용 레버편(5)과, 긴쪽 방향 양 측으로 위치한 삼각틀 형상인 장식편(6), (6)이 외향으로 만곡하여 튀어나옴과 동시에, 긴쪽 방향 중앙에서 개폐용 레버편(5)에 대하어 분기하는 모양으로 차폐용 빗살(7)…이 내향으로 튀어나오고, 또, 내면측으로는 긴쪽 방향으로 떨어져서 대향하는 한쌍의 혀형상의 피봇용 돌편(8), (8)이,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과 차폐용 빗살(7)…의 사이로 위치하여 돌출설치되어 있다.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은 내면측을 오목하게하여 만곡된 끝이 가늘어진 띠모양의 판형상이고, 그 6개가 포지부재(1A), (1B)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서 평행형상으로 배치하고 있다. 따라서, 각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의 내면에는, 돌기(21)가, 포지부재(1A)에서는 도 3와 같이 2개씩, 포지부재(1B)에서는 도 4와 같이 3개씩, 이 빗살(2)의 긴쪽 방향에 따라서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차폐용 빗살(7)…은 직선 형상인 끝이 가늘어진 각 봉모양이고, 포지부재(1A)에서는 도 3과 같이 4개, 포지부재(1B)에서는 도 4와 같이 5개가 그 폭으로 대략 동등한 간격으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있다. 또한,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 및 차폐용 빗살(7)…의 선단은 완곡하게 되어있다.
양 포지부재(1A), (1B)에 있어서의 한쌍의 피봇용 돌편(8), (8)의 대향 간격은, 포지부재(1A)측의 쪽이 포지부재(1B)측 보다도 넓고, 이것에 의하여 포지부재(1A)의 피봇용 돌편(8), (8)의 내측으로 포지부재(1B)의 피봇용 돌편(8), (8)이 겹쳐서 배치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각 피봇용 돌편(8)에는 투공(8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겹친 배치상태에서 연통된 투공(8a)…으로 경첩(3)의 중추부분(30)을 삽입하여 통하게 함으로써 양 포지부재(1A), (1B)가 피봇되어 있다.
또, 포지부재(1A)의 피봇용 돌편(8), (8)의 서로 대향하는 측면에는 볼록한 줄기부분(81)이 설치되는 한편, 포지부재(1B)의 피봇용 돌편(8), (8)의 선단측에는 층계부(82)가 형성되어 있고, 양 포지부재(1A), (1B)의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측을 닫히는 회동방향, 결국 코일스프링(4)의 설치방향에 있어서, 돌출부(81)의 선단이 층계부(82)와 계합한다.
따라서, 사용하지 않는 자연상태에 있어서의 헤어클립(10)은, 도 5에 표시하듯이, 돌출부(81)의 선단이 층계부(82)와 계합하여 안정하게 유지되지만, 서로의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이 상대측의 빗살(2)…사이로 진입함과 동시에, 서로의 차폐용 빗살(7)…이 빗살의 선단부 만을 상대측의 빗살(7)…사이로 맞물리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때,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은, 서로 상대측의 빗살(2), (2)사이로 진입된 상태에 있어서 인접하는 빗살(2)과의 사이로 틈이 생기도록 배치되며, 또 차폐용 빗살(7)…은 서로 맞물린 빗살 선단부를 정상으로 하는 지붕모양으로 배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본 헤어클립(10)의 양 측의 개폐용 레버편(5), (5)을 코일스프링(4)의 설치에 반항하여 서로 끌어당기면, 도 6에 표시하듯이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측이 열림과 동시에, 차폐용 빗살(7)…측의 서로의 맞물림이 깊어진다. 이것에 의하여, 양측의 차폐용 빗살(7)…은, 도시된 실선과 같이 평탄한 맞물림 상태, 도시 가상선과 같이 치합부를 낮게하는 상태로 되어서 코일스프링(4)위를 덮는다. 또한, 양 포지부재(1A), (1B)의 차폐용 빗살(7)…은, 사용하지 않는 자연상태에 있어도 빗살 선단부가 맞물리고 있으므로, 상기한 개폐용 레버편(5), (5)이 끌어당길때에 양측의 빗살의 선단부가 충돌해서 치합 곤란으로 빠질 염려가 없고, 원활히 조작할 수 있다. 또, 이 빗살 선단부만의 맞물림에 의하여 그 맞물림의 깊고 얕음의 변화량이 커지고, 그것으로써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측의 열리는 정도를 크게 설정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의 헤어클립(10)은, 그것을 사용할 때, 개폐용 레버편(5), (5)을 손으로 잡아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측을 열리게한 상태에서, 예컨대 도 7에 표시하듯이, 원하는 모양으로 정돈된 머리카락 다발(11)의 위에 대고, 개폐용 레버편(5), (5)을 느슨하게 잡아 양측의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에 의하여 밑의 머리카락층(12)을 떠넣음으로써, 다발형태의 머리카락(11)을 포지고정시킨다. 이때,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이 내면측을 오목하게 하는 만곡형상으로 되어 있고 또한 열리는 정도도 크므로, 정돈된 머리카락 다발(11)의 볼륨이 큰 경우에서도 지장없이 포지고정 할 수 있다.
이 머리카락의 장착상태에 있어서는, 맞물림 정도를 깊게 한 차폐용 빗살(7)…에 의해서 경첩(3)의 코일스프링(4)이 덮어 숨겨지고, 외관상으로는 그 코일스프링(4)의 존재를 알 수 없고, 외관이 대단히 양호하고, 장식편(8) 및 개폐용 레버편(5)의 장식기능에 더하여, 차폐용 빗살(7)…자체도 빗살 선단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돋보이는 좋은 형태로 되어서 장식부로서 기능하므로, 머리카락의 장식으로서 머리카락에 우수한 미관을 부여한다. 또,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이 만곡형상인 데다가, 내면의 돌기(21)…가 머리카락층 속으로 깊숙히 들어가서 앵커효과를 발휘하며,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사이의 틈으로 머리카락이 끼워들어가서 멈추는 힘이 커지므로, 헤어클립(10)의 장착상태가 안정하여 위치가 빗나갈 염려가 없다.
따라서, 코일스프링(4)의 압압력은 양 포지부재(1A), (1B)의 배치를 변형시키도록 작용하지만, 이 작용력이 차폐용 빗살(7)…의 서로의 맞물림 부분에서 막아지므로 상기한 변형은 억제된다. 따라서, 본 헤어클립(10)에서는, 양 포지부재(1A), (1B)의 피봇용 돌편(8)…에 비틀어진 방향으로 힘이 작용하지 않고, 이들 피봇용 돌편(8)…의 파손이 발생하기 어려우며, 우수한 내구성을 발휘한다.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양 포지부재(1A), (1B)의 차폐용 빗살(7)…이 직선형상인 것을 표시했지만, 청구항 1 및 2의 구성에 있어서는, 이들 차폐용 빗살(7)…은 예컨대 중추부분(30)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선에 따른 만곡 형상등, 다른 형태로 하여도 좋다. 또, 사용하지 않는 자연상태에서 양 포지부재(1A), (1B)를 일정 자세로 유지하기 위한 상호간에 계합하는 계지부는, 예시된 피봇용 돌편(8), (8)에 설치된 볼록한 줄기부분(81)과 층계부(82)의 짜맞춤 이외에 여러 가지로 구성할 수 있지만, 피봇용 돌편(8), (8)을 달리하는 부위로 설치하는 경우는 구조적으로 복잡하게 된다.
그 외로, 본 발명에 관한 헤어클립에서는,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의 살의 수, 돌기(21)의 수 및 배치, 차폐용 빗살(7)…살의 수와 차폐폭, 개폐용 레버편(5) 및 장식편(6)의 형상등, 세부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이외에 여러 가지 설계 변경이 가능하다.
청구항 1의 발명에 의하면, 경첩을 개재하여 피봇된 한쌍의 빗모양의 포지부재에 의해서 원하는 모양으로 정돈된 머리카락 다발을 포지고정하는 헤어클립으로서, 양 포지부재가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과 동시에 차폐용 빗살을 구비하고, 이 차폐용 빗살이 경첩의 중추부분을 감은 코일스프링의 윗쪽에서 서로 맞물리고, 머리카락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그 코일스프링을 덮어숨기므로, 외관이 훌륭하고 장식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상기한 경첩의 피봇부에 비틀림 방향으로 무리한 힘이 작용되지 않아, 이것으로써 그 피봇부가 파손되기 어렵고, 높은 내구성을 구비하고, 또 머리카락에 대한 탈착의 조작성의 용이함을 제공한다.
청구항 2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헤어클립에 있어서, 특히 양 포지부재의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측의 열리는 정도를 크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정돈된 머리카락 다발의 볼륨이 큰 경우에도 지장없이 포지고정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헤어클립에 있어서, 머리카락의 장착상태에 있어서 양 포지부재의 차폐용 빗살이 평탄형상 내지 치합부를 낮게 하는 맞물림 상태로 되므로, 그 차폐용 빗살의 빗살 선단부가 바깥쪽으로 돌출되지 않으며, 이것으로써 돋보이고, 보다 우수한 장식성을 발휘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헤어클립에 있어서, 양 포지부재의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이 내면측을 오목하게 하는 만곡형상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볼륨이 큰 머리카락 다발을 훌륭하게 정돈해서 고정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헤어클립에 있어서, 양 포지부재의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은 내면측으로 복수의 돌기를 보유하므로써, 머리카락의 장착 상태가 안정하여 위치가 밧나갈 염려가 없다.
청구항 6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헤어클립에 있어서, 양쪽 포지부재의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이 폐합된 상태에서 빗살사이로 틈이 생기며, 이 틈으로 머리카락을 끼워 넣음으로써 멈추는 힘이 커지므로, 머리카락의 장착 상태가 보다 안정된다.
청구항 7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헤어클립에 있어서, 양쪽 포지부재의 경첩의 중추부분을 축받이하는 피봇용 돌편에 설치된 계지부가 사용하지 않는 자연상태에서 서로 계합하므로, 그 상태에서 양쪽 포지부가 안정된 폐자세로 유지됨과 동시에, 이들 계지부를 다른 부위에 독립하여 설치하는 구성에 비교하여 구조적으로 간소하게 된다.
청구항 8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헤어클립에 있어서, 양쪽 포지부재가 개폐용 레버편의 양측으로 장식편을 보유하므로, 머리카락에 장착됐을 때에 보다 높은 장식효과가 얻어진다.

Claims (8)

  1. 폭방향 한쪽으로 늘어나는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을 보유하는 경질합성수지 성형물로 된 한쌍의 포지부재(1A), (1B)가, 경첩(3)에 의해서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을 서로 상대측의 빗살사이로 진입시키는 상태와 양쪽빗살(2), (2)을 분리시키는 상태로 개폐가 자유롭게 피봇됨과 동시에, 그 경첩의 중추부분(30)을 감은 코일스프링(4)의 양 단부(4a), (4b)의 압접에 의해서 서로의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을 닫히는 방향으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헤어클립(10)에 있어서, 상기한 양쪽포지부재(1A), (1B)는,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의 늘어나는 측과는 반대측에, 외향으로 튀어나온 개폐용 레버편(5)과, 내향으로 튀어나온 차폐용 빗살(7)을 구비함과 동시에, 이 차폐용 빗살과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의 사이로 경첩이 구성되고, 사용하지 않는 자연상태에서는 양쪽 포지부재(1A), (1B)의 차폐용 빗살이 맞물린 상태로 되어 있고, 또한 상기의 코일스프링의 설치에 반항하여 양쪽 포지부재(1A), (1B)의 개폐용 레버편을 접근시킨 때에,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측이 열림과 동시에 차폐용 빗살의 맞물림이 깊어져서 상기한 코일스프링 위를 덮도록 설정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양쪽포지부재(1A), (1B)의 차폐용 빗살(7)은, 사용하지 않는 자연상태에 있어서 빗살 선단부만이 서로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클립.
  3. 제2항에 있어서, 양쪽 포지부재(1A), (1B)의 차폐용 빗살(7)은, 평행직선 형상으로 튀어나오고, 사용하지 않는 자연상태에 있어서 서로 맞물린 빗살 선단부를 정상으로 하는 지붕모양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측이 열린 사용상태에 있어서 평탄형상 내지 치합부를 낮게 하는 치합상태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클립.
  4. 제1항 내지 제2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쪽 포지부재(1A), (1B)의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은, 내면측을 오목하게 하는 만곡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클립.
  5. 제1항 내지 제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쪽 포지부재(1A), (1B)의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은, 내면측으로 복수의 돌기(21)가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클립.
  6. 제1항 내지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쪽 포지부재(1A), (1B)의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은, 서로 상대측의 빗살 사이로 진입된 상태에 있어서 인접하는 빗살과의 사이로 틈이 발생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클립.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쪽의 포지부재(1A), (1B)의 내면측으로 한 쌍의 피봇용 돌편(8)이 긴쪽 방향으로 떨어져서 돌출 설치되고, 양쪽 포지부재의 피봇용 돌편끼리의 겹치는 부분으로 상기한 경첩(3)의 중추부분(30)의 양 단부가 관통하여 축받이 됨과 동시에, 상대하는 피봇용 돌편에 양쪽 포지부재(1A), (1B)의 머리카락을 잡는 빗살(2)측이 닫히는 회동방향에 있어서 서로 계합하는 계지부(81), (8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클립.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 포지부재(1A), (1B)는, 차폐용 빗살(7)과 개폐용 레버편(5)이 긴쪽 방향 중앙부에 분기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개폐용 레버편의 양측에 외향으로 튀어나온 장식편(6)을 보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클립.
KR1019970016418A 1997-04-30 1997-04-30 헤어클립 KR1002193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6418A KR100219397B1 (ko) 1997-04-30 1997-04-30 헤어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6418A KR100219397B1 (ko) 1997-04-30 1997-04-30 헤어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796A true KR19980078796A (ko) 1998-11-25
KR100219397B1 KR100219397B1 (ko) 1999-09-01

Family

ID=19504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6418A KR100219397B1 (ko) 1997-04-30 1997-04-30 헤어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93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569Y1 (ko) 2010-09-17 2012-09-21 박언정 헤어클립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35683Y2 (ko) * 1985-03-06 1989-10-31
JPH0243902U (ko) * 1988-09-21 1990-03-2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9397B1 (ko) 1999-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21285B2 (ja) 髪止め具
KR100255428B1 (ko) 가방 클립
JP2512273B2 (ja) 髪止め具
US7461662B2 (en) Hair clip
US4245377A (en) Jewelry chain clasp
US6634066B2 (en) Upper stopper device for slide fastener
US4480447A (en) Finger ring and insert therefor
US5396912A (en) Structure of barrette
US5135126A (en) Case equipped with a one-piece clasp
KR100196002B1 (ko) 슬라이드 파스너용 자동 잠금 슬라이더
US5748571A (en) Plastic top shell
KR19980078796A (ko) 헤어클립
US2045282A (en) Bracelet
KR100898865B1 (ko) 머리 핀
US5355899A (en) Arched hairclip
KR930008620B1 (ko) 벨트 연결용 버클
US4198732A (en) Adjustable clasp construction for bracelets and the like
GB2185393A (en) Umbrella cloth mounting assembly
US20220053895A1 (en) Timepiece component provided with a cap
US2255008A (en) Bracelet
US2663924A (en) Bracelet end connection
CA2113057C (fr) Accessoire de goulotte et goulotte equipee d'un tel accessoire
JP4593093B2 (ja) 軟質ボードへの取り付け用ピン
EP0860616B1 (fr) Dispositif d'agrafage d'une pièce sur un support
KR840002714Y1 (ko) 장신구용 조임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1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3

Year of fee payment: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