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7741A - 볼 베어링 장치 - Google Patents

볼 베어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7741A
KR19980077741A KR1019970014981A KR19970014981A KR19980077741A KR 19980077741 A KR19980077741 A KR 19980077741A KR 1019970014981 A KR1019970014981 A KR 1019970014981A KR 19970014981 A KR19970014981 A KR 19970014981A KR 19980077741 A KR19980077741 A KR 19980077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guide groove
shaft
bearing device
ball bea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4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08036B1 (ko
Inventor
이창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14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8036B1/ko
Publication of KR19980077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7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8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80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5/00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 F16C35/04Rigid support of bearing units; Housings, e.g. caps, covers in the case of ball or roller bearings
    • F16C35/06Mounting or dismounting of ball or roller bearings; Fixing them onto shaft or in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nting Of Bearings Or Other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볼 베어링장치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제조 공정수를 줄이고, 제품의 원가를 절감하며, 베어링장치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 대상물의 회전 중심부에 위치하는 축과, 그 축이 삽입되고 축과 일정한 간극을 이루는 삽입구를 구비한 부싱을 구비한 구동장치의 구성요소로서, 상기 축 또는 부싱중 어느 하나가 회전 대상물과 일체로 회전할 때 발생되는 마찰을 해소하기 위하여 축의 길이 방향으로 한곳 이상 구비되는 볼 베어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볼 베어링장치는 상기 축의 외주면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한 내측 가이드홈과, 상기 부싱의 내주면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한 외측 가이드홈과, 상기 내측 가이드홈과 외측 가이드홈 사이에 개재되는 볼과, 상기 볼을 상기 내측 가이드홈과 외측 가이드홈 사이에 개재시키기 위한 볼 장착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볼 베어링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볼 베어링장치
본 발명은 볼 베어링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볼 베어링창치의 구성을 간략화 하여, 제조 공정수를 줄이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한 볼 베어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컴퓨터, 오디오 시스템, 영상 기기 등과 같은 정보, 매체 산업의 기술력이 증가되면서 상기 각종 기기의 크기는 소형화되고, 소형화에 따라 더욱 미세하고 정밀한 성능을 갖는 기기의 부품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며, 특히, 컴퓨터의 경우 기억장치의 하나인 하드 디스크(HDD)의 스핀들 모터 구동장치 및 레이져 프린터의 폴리건 미러 구동장치, 오디오 시스템의 경우 레이저 디스크 및 컴팩트 디스크 구동 장치, 영상 기기의 경우 VCR 헤드 및 캠코더의 구동 장치등은 공통적으로 구동장치에 결합되어 있는 회전축과 회전체를 고속회전시킴으로서 원하는 데이터의 저장 및 탐색, 데이터 재생 등의 작업을 하게 되는데, 이때 회전축은 매우 고속으로 회전하게 됨으로 고속 회전에 의한 축 떨림 및 축 흔들림, 축 진동 등은 고속회전시 제품의 성능에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 오게 됨으로 이와 같은 기기들에는 모두 고속회전에 의한 문제점들을 보안하기 위해 기계요소중 하나인 베어링이 사용되고 있으며, 그 종류로는 구름 베어링인 볼 베어링장치와 미끄럼 베어링인 유체 베어링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볼 베어링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베어링부재가 두곳에 설치된 볼 베어링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볼 베어링장치는 회전 대상물의 회전 중심에 위치한 축(1)과 상기 축(1)이 끼워지고, 그 축(1)과 일정한 간극을 가지는 축삽입부(3)를 구비한 부싱(5)과, 상기 축(1)과 부싱(5)의 회전 마찰을 해소하기 위하여 그들 사이에 압입되는 베어링부재(7)를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한 베어링부재(7)는 축의 외주면 소정위치에 압입되는 내륜(9)과 부싱(5)의 내주면 소정위치에 압입되는 외륜(11) 및 상기 내륜(9)과 외륜(11) 사이에 개재되는 다수의 볼(13)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한 내륜(9) 및 외륜(11)에는 볼(13)을 가이드 하기 위하여 축의 원주 방향으로 일정 깊이의 볼 가이드홈(15)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볼 베어링장치는 구성 부품수가 많아서 제조 원가가 상승되고, 다수의 제작 작업 공정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베어링장치의 진동이나 축의 길이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 축(1)에 압입된 내륜(9)과 부싱(5)에 압입되어 있는 외륜(11)이 축의 길이방향으로 이탈되어 베어링의 기능을 상실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상기한 볼 베어링장치는 축과 부싱 사이에 개재되는 별도의 내륜 및 외륜을 구비하여야 하는 구조로 되어, 다수의 구성 부품으로 인한 제조 공정이 많으며,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가 있으며, 구조적으로 내륜 및 외륜니 축의 길이방향으로 압입되어 있으므로, 장기간의 진동이나 구성품의 자중에 의해 압입된 위치를 이탈하여 베어링 기능을 상실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볼 베어링장치의 구성을 간략화하여 제조 공정수를 줄이고, 제품의 원가를 절감하며, 베어링장치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볼 베어링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베어링수단이 두곳에 설치된 볼 베어링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볼 베어링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베어링부재가 두곳에 설치된 볼 베어링을 도시하고 있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축 20 : 부싱
22 : 축 삽입구 31 : 내측 가이드홈
33 : 외측 가이드홈35 : 볼
41 : 볼 삽입구멍43 : 나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볼 베어링장치는 회전 대상물의 회전 중심부에 위치하는 축과, 그 축이 삽입되고 축과 일정한 간극을 이루는 삽입구를 구비한 부싱을 구비한 구동장치의 구성요소로서, 상기 축 또는 부싱중 어느 하나가 회전 대상물과 일체로 회전할 때 발생되는 마찰을 해소하기 위하여 축의 길이 방향으로 한곳 이상 구비되는 볼 베어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볼 베어링장치는 상기 축의 외주면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한 내측 가이드홈과, 상기 부싱의 내주면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한 외측 가이드홈과, 상기 내측 가이드홈과 외측 가이드홈 사이에 개재되는 볼과, 상기 볼을 상기 내측 가이드홈과 외측 가이드홈 사이에 개재시키기 위한 볼 장착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볼 베어링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베어링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볼 베어링장치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베어링수단이 두곳에 설치된 볼 베어링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한 볼 베어링장치는 회전 대상물을 고속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일반적으로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회전 대상물을 회전시킨다.
상기한 볼 베어링장치는 회전 대상물의 중심에 위치한 축(10)과, 그 축(10)이 삽입되고, 그 축(10)과 일정한 간극을 이루는 축 삽입구(22)를 구비한 부싱(20)과, 상기한 부싱(20)이 축(10)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위한 베어링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한 베어링수단은 상기 축(10)의 외주면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한 내측 가이드홈(31)과 상기 부싱(20)의 내주면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한 외측 가이드홈(33)과 상기 내측 가이드홈(31)과 외측 가이드홈(33) 사이에 개재되는 볼(35)과 상기 볼(35)을 상기 내측 가이드홈(31)과 외측 가이드홈(33) 사이에 개재시키기 위한 볼 장착수단을 포함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 내측 가이드홈(31)은 상기 볼(35)의 일정 부위를 수용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며, 축(10)의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깊이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외측 가이드홈(33)은 상기 볼(35)의 일정 부위를 수용할 수 있는 깊이로 형성되고, 상기 부싱(20)의 원주 방향으로 동일한 깊이와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측 가이드홈(12)과 상호 대응할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한 볼(35)은 상기 내측 가이드홈(31)과 외측 가이드홈(33) 사이에 개재되며, 완전한 구에 가깝게 형성된다.
상기한 볼 장착수단은 상기 내측 가이드홈(12)과 외측 가이드홈(33) 사이에 볼(35)을 개재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부싱(20)의 외주면에서 외측 가이드홈(33)으로 연통하는 볼 삽입구멍(41)을 형성하고, 끝단부가 상기 외측 가이드홈(33)과 동일한 곡면을 가지는 나사(43)를 상기 볼 삽입구멍(41)에 나사 결합하여 이루어 진다.
상기한 볼 삽입구멍(41)은 볼(35)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상기 축(10)과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하면 제작이 용이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볼 베어링장치는 축(10)의 외주면에 형성한 내측 가이드홈(31)과 부싱(20)의 내주면에 형성한 외측 가이드홈(33)이 볼(35)을 가이드 하고, 이들 사이에 볼(35)이 끼워져 베어링 기능을 수행하므로 구성 부품이 간략화되며, 상기 볼 장착수단을 통하여 다수의 볼(35)들을 내측 가이드홈(31)과 외측 가이드홈(33) 사이에 개재시킬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볼(35)이 축(10)의 내측 가이드홈(31)과 부싱(20)의 외측 가이드홈(33) 사이에 개재되어, 축의 길이방향으로 발생하는 외력에 직접적으로 대응하므로, 베어링장치가 축의 길이방향으로 분해되는 문제를 해소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볼 베어링장치는 구성 부품수의 간략화를 통하여,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고, 베어링장치의 소형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베어링장치의 자체강성을 향상시켜 베어링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회전 대상물의 회전 중심부에 위치하는 축과, 그 축이 삽입되고 축과 일정한 간극을 이루는 삽입구를 구비한 부싱을 구비한 구동장치의 구성요소로서, 상기 축 또는 부싱중 어느 하나가 회전 대상물과 일체로 회전할 때 발생되는 마찰을 해소하기 위하여 축의 길이 방향으로 한곳 이상 구비되는 볼 베어링장치에 있어서, 상기 볼 베어링장치는 상기 축의 외주면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한 내측 가이드홈과, 상기 부싱의 내주면에 소정의 깊이로 형성한 외측 가이드홈과, 상기 내측 가이드홈과 외측 가이드홈 사이에 개재되는 볼과, 상기 볼을 상기 내측 가이드홈과 외측 가이드홈 사이에 개재시키기 위한 볼 장착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볼 베어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볼 장착수단은 부싱의 외주면에서 외측 가이드홈으로 연통하는 볼 삽입구멍을 형성하고, 상기 외측 가이드홈의 곡면과 동일한 곡면을 선단부에 형성한 나사를 상기 볼 삽입구멍에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볼 베어링장치.
KR1019970014981A 1997-04-22 1997-04-22 볼 베어링 장치 KR100208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4981A KR100208036B1 (ko) 1997-04-22 1997-04-22 볼 베어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4981A KR100208036B1 (ko) 1997-04-22 1997-04-22 볼 베어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7741A true KR19980077741A (ko) 1998-11-16
KR100208036B1 KR100208036B1 (ko) 1999-07-15

Family

ID=19503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4981A KR100208036B1 (ko) 1997-04-22 1997-04-22 볼 베어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803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057B1 (ko) * 2005-08-26 2007-03-08 주식회사 덕신 밀폐형 압축기의 트러스트 볼 베어링
US7583923B2 (en) 2004-05-06 2009-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aring structure and fus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bearing structure
KR20180073315A (ko) * 2016-12-22 2018-07-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이중동작 로드 지지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83923B2 (en) 2004-05-06 2009-09-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Bearing structure and fusing device for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bearing structure
KR100689057B1 (ko) * 2005-08-26 2007-03-08 주식회사 덕신 밀폐형 압축기의 트러스트 볼 베어링
KR20180073315A (ko) * 2016-12-22 2018-07-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가스절연 개폐장치의 이중동작 로드 지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8036B1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4637A (en) Disk rotating device having dynamic-pressure fluid bearings
KR100208036B1 (ko) 볼 베어링 장치
US5934810A (en) Hemispheric fluid bearing apparatus
KR100228891B1 (ko) 유체 베어링장치
JP2002098157A (ja) 玉軸受
KR19990009291A (ko) 반구 베어링 장치
KR19980077743A (ko) 유체 베어링장치
KR100228897B1 (ko) 유체 베어링장치
KR0183806B1 (ko) 공기베어링이 설치된 스핀들모터
KR100196934B1 (ko) 드러스트 베어링장치
KR100213921B1 (ko) 반구형 베어링의 조립방법
KR200151198Y1 (ko) 베어링장치
KR100233013B1 (ko) 스텝 베어링 구조
KR100224610B1 (ko) 유체 베어링 장치
KR100196937B1 (ko) 유체 베어링 장치
KR100208014B1 (ko) 드러스트 베어링장치
KR100242006B1 (ko) 부분 베어링
JP2970124B2 (ja) 回転ヘッドドラム装置
KR100224603B1 (ko) 역류구가 형성된 유체 베어링 장치
KR100196924B1 (ko) 가변 간극을 갖는 저어널 베어링 장치
KR100196933B1 (ko) 동압형 유체 베어링장치
KR100213900B1 (ko) 반구형 베어링의 조립방법
KR100196935B1 (ko) 드러스트 베어링장치
KR100224604B1 (ko) 저어널 베어링장치
KR19980067760A (ko) 반구형 베어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