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5951A - 워셔액 분무범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워셔액 분무범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5951A
KR19980075951A KR1019970012374A KR19970012374A KR19980075951A KR 19980075951 A KR19980075951 A KR 19980075951A KR 1019970012374 A KR1019970012374 A KR 1019970012374A KR 19970012374 A KR19970012374 A KR 19970012374A KR 19980075951 A KR19980075951 A KR 199800759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er
injection
washer liquid
injection hole
spraying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영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1019970012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5951A/ko
Publication of KR19980075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5951A/ko

Links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셔액 분무범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분사구에 형성된 분사홀의 크기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 되어 있어 고압으로 워셔액을 분사하는 경우 물의 소비가 많고 분사 범위 또한 일정하여 워셔액이 앞유리창에 골고루 분사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예시도면 도 3 내지 도 5 와 같이 기존의 워셔노즐(2)에 설치된 분사구(8)의 분사홀(9)에 일측 외주면에 나사부(16)가 형성된 분사관(14)을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상기 분사관(14)을 통해 워셔액이 분사되는 분사관(14)의 후단부 내주면에 원뿔 형상의 분사편(20)과 일체로 형성된 지지대(22)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16)에는 분사관(14)의 분사용홀(28)을 따라 흐르는 워셔액의 분무 및 분사범위를 조절하는 조절구(18)가 조립되어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워셔액을 분사시킬 때 분사되는 범위를 조절하는 조절구를 분사관에 조립하여 필요시 사용자가 선택하여 앞유리창에 워셔액을 분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워셔액 분무범위 조절장치
본 발명은 워셔액 분무범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의 앞유리창에 워셔액을 골고루 넓게 분사시켜 워셔액의 낭비를 방지하도록 한 워셔액 분무범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에서 전면 유리는 자동차 운행시에 시계 확보를 위해 매우 중요한 부분이므로 와이퍼를 사용하여 항상 깨끗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와이퍼만 사용하는 경우 전면 유리가 긁히거나 와이퍼 브레이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유리 세정효과를 높이기 위해 세정액(워셔액)을 분사시켜 유리 전면에 뿌린 다음 와이퍼로 닦아내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워셔액 분사기구와 와이퍼를 첨부된 예시도면 도 1에 표현된 바와 같이 설명하면, 워셔액 분사기구는 엔진룸의 내부에 세정액을 저장하는 워셔탱크(5)와 운전석의 워셔 스위치(미도시됨)의 켜짐에 의해 작동하는 워셔모터(6)와 워셔탱크(5)에 저장된 워셔액이 흐를 수 있도록 워셔탱크(5)와 연결된 호스(4) 및 호스(4)를 통해 최종적으로 앞유리창(1)에 분사되도록 본네트(3)의 후단에 설치되는 워셔노즐(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워셔노즐(2)은 앞유리창(1)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워셔모터(6)를 회전시켜 워셔탱크(5)에 저장된 세정액을 워셔노즐(2)을 통해 분출시켜 앞유리창(1)에 뿌려지도록 형성된 것이다.
즉, 건조시 이물질이나 먼지 등이 앞유리창(1)에 묻어 있어 운전자의 시계를 방해하는 경우 상기 워셔노즐(2)을 통해 워셔액을 앞유리창(1)에 분사시킨 다음 와이퍼(7)를 작동시켜 앞유리창(1)에 묻은 상기 이물질 및 먼지 등을 깨끗히 닦아내어 전방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워셔노즐(2)은 첨부된 예시도면 도 2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네트(3)의 상단에 삽입되어 설치되고, 워셔노즐(2)의 일측에 구형 형상의 분사구(8)가 설치되고, 분사구(8)의 내측 중심에 분사홀(9)이 형성되어 이 분사홀(9)을 통해 워셔액이 분사되는 것이다.
상기 분사구(8)는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분사구(8)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분사구(8)에 형성된 분사홀(9)의 크기가 항상 일정하게 유지 되어 있어 고압으로 워셔액을 분사하는 경우 물의 소비가 많고 분사 범위 또한 일정하여 워셔액이 앞유리창에 골고루 분사되지 않은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워셔노즐이 지닌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량의 앞유리창에 워셔액을 골고루 넓게 분사시켜 워셔액의 낭비를 방지하도록 한 워셔액 분무범위 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존의 워셔노즐에 설치된 분사구의 분사홀에 일측 외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분사관을 삽입하여 결합시키고, 상기 분사관을 통해 워셔액이 분사되는 분사관의 후단부 내주면에 원뿔 형상의 분사편과 일체로 형성된 지지대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에는 분사관의 홀을 따라 흐르는 워셔액의 분무 및 분사범위를 조절하는 조절구가 조립되어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워셔액의 분무 범위를 넓은 영역과 좁은 영역중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의 워셔액 분사기구와 와이퍼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 는 종래의 워셔노즐을 절개하여 보인 단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분무범위 조절장치의 분사관과 조절구를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구를 풀어 워셔액을 좁은 영역으로 분사시키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조절구를 잠궈 워셔액을 넓은 영역으로 분사시키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 워셔노즐,8 - 분사구,
9 - 분사홀,14 - 분사관,
16 - 나사부, 18 - 조절구,
20 - 분사편, 22 - 지지대,
24 - 결합부, 26 - 원통관,
28 - 분사용홀, 30 - 홀.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그 구성과 작용효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워셔노즐(2)에 설치된 분사구(8)의 분사홀(9)에 일측 외주면에 나사부(16)가 형성된 분사관(14)이 삽입되어 설치되고, 분사관(14)의 후단부 내주면에 원뿔 형상의 분사편(20)과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대(22)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16)에 워셔액의 분무 범위를 조절하는 조절구(18)가 조립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상기에 상술한 분사관은 첨부된 예시도면 도 3에 표현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분사구(12)의 분사홀에 삽입되는 원통형의 결합부(24)가 형성되고, 결합부(24)와 일체로 결합부(24)의 직경보다 더 큰 원통관(26)의 외주면에 나사부(16)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원통관(26)과 결합부(24)는 한 몸체로 형성된 것으로 그 내부에는 워셔액이 흐를 수 있도록 분사용홀(28)이 형성된다.
그리고 분사관(14)의 후단부 즉 원통관(26)의 외측부 내주면에 지지대(22)의 일측면이 일정한 각도로 벌어지면서 일체로 형성되고, 지지대(22)의 타측은 중심점에 모여 상기 지지대(22)의 타측이 일체로 연결되며 지지대(22)의 중심에 원뿔 형상의 분사편(20)이 일체로 연결된 것이다.
상기 지지대(22)와 지지대(22) 사이에는 분사용홀(28)이 형성되어 워셔액이 분사용홀(28)을 통해 분사되고, 지지대(22)가 본 발명에서는 3개 형성되면서 지지대(22)와 지지대(22) 사이의 각도가 120°로 형성되었으나 지지대(22)를 필요에 따라 2개 및 그 이상 형성할 수 있다.
조절구(18)는 원통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그 내주면에 나사부(16)가 형성되어 상기 분사관(14)의 나사부(16)에 조립되고, 분사관(14)의 분사용홀(28)을 통해 흐르는 워셔액의 분사 범위를 조절하는 것이다.
상기 조절구(18)가 분사관(14)에 조립되어 워셔액을 좁은 영역으로 분사되는 경우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4에 표현된 바와 같다.
즉, 조절구(18)가 분사관(14)에 조립된 상태에서 그 나사부를 따라 좌우로 이동될 수 있으며 조절구(18)를 풀어 조절구(18)의 홀(30)과 분사편(20) 사이가 이격되어 있어 워셔액이 분사용홀(28)을 통과한 다음 분사편(20)의 하측면에 부딪힌 다음 다시 조절구(18)의 내측면으로 분사되어 최종적으로 홀(30)을 통해 분사되는 것이다.
따라서 홀(30)을 통과한 워셔액은 좁게 분사되어 앞유리창에 뿌려지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워셔액을 넓은 영역으로 분사시키려면 첨부된 예시도면 도 5에 표현된 바와 같이, 조절구(18)를 최대한 잠궈 분사편(20)의 끝단부가 조절구(18)의 홀(30)에 접촉하도록 한다.
즉, 워셔액이 분사용홀(28)을 통과하고, 분사편(20)의 하측면을 부딪혀 최종적으로 홀(30)을 통해 분사될 때 홀(30)에 분사편(20)이 긴밀히 밀착하여 홀(30)을 거의 막은 상태에서 분사되므로 넓은 영역으로 분사되어 안개 상태로 분무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워셔액을 분사시킬 때 분사되는 범위를 조절하는 조절구를 분사관에 조립하여 필요시 사용자가 선택하여 앞유리창에 워셔액을 분사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워셔노즐(2)에 설치된 분사구(8)의 분사홀(9)에 나사부(16)가 형성된 분사관(14)이 삽입되어 설치되고, 분사관(14)의 후단부 내주면에 원뿔 형상의 분사편(20)과 일체로 형성되는 지지대(22)가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나사부(16)에 워셔액의 분무 범위를 조절하는 조절구(18)가 조립되어 이루어진 워셔액 분무범위 조절장치.
KR1019970012374A 1997-04-03 1997-04-03 워셔액 분무범위 조절장치 KR199800759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374A KR19980075951A (ko) 1997-04-03 1997-04-03 워셔액 분무범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374A KR19980075951A (ko) 1997-04-03 1997-04-03 워셔액 분무범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951A true KR19980075951A (ko) 1998-11-16

Family

ID=659541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374A KR19980075951A (ko) 1997-04-03 1997-04-03 워셔액 분무범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595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819B1 (ko) * 2014-08-26 2016-01-07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엠지 차량의 워셔노즐 방향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2819B1 (ko) * 2014-08-26 2016-01-07 주식회사 케이티에이엠지 차량의 워셔노즐 방향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98036A (en) Windshield washer nozzle assembly
KR19980075951A (ko) 워셔액 분무범위 조절장치
KR100398112B1 (ko) 자동차용 회전식 와셔액 분사 노즐
KR100447319B1 (ko) 와이퍼 암에 구비된 워셔액 분사 구조
JPS6135241Y2 (ko)
JPH09188226A (ja) 液垂・劣化防止ワイパーブレード
KR100194193B1 (ko) 자동차 백미러용 물방울 제거장치
KR19980028239A (ko) 풍압식 와셔노즐의 분사각도 조절장치
KR19990052019A (ko) 에어압을 이용한 와이퍼 장치
KR200206215Y1 (ko) 분사기
KR19980055135U (ko) 차량의 와셔액 분사장치
KR19980049887U (ko) 차량용 와셔 노즐 어셈블리
KR19980038030U (ko) 차량용 윈드실드 와셔 노즐
KR19980068350U (ko) 와셔액 분사노즐이 내장된 와이퍼 블레이드
KR19980062232A (ko) 분사노즐 내장형 와이퍼
KR19990034569A (ko) 자동차의 윈드실드 와셔 노즐
KR19990060158A (ko) 와셔액 분사 노즐구조
KR19980059448A (ko) 자동차용 자체 분사식 와이퍼
KR19980027995U (ko) 와셔액 공급장치
KR19980026710U (ko) 와셔액 분사압 조절장치
KR19980044974A (ko) 와셔액 분사각 조절이 가능한 와셔노즐
KR19990005853U (ko) 자동차의 카울에 설치된 와셔 노즐
KR19980041741U (ko) 세척수 노즐이 부착된 윈드쉴드 와이퍼
KR19990019884A (ko) 와셔 노즐의 연결 튜브 구조
KR20000018550U (ko) 자동차용 와셔액 분사노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