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5736A -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 Google Patents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5736A
KR19980075736A KR1019970012017A KR19970012017A KR19980075736A KR 19980075736 A KR19980075736 A KR 19980075736A KR 1019970012017 A KR1019970012017 A KR 1019970012017A KR 19970012017 A KR19970012017 A KR 19970012017A KR 19980075736 A KR19980075736 A KR 199800757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n beam
focusing
focusing electrode
elect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4177B1 (ko
Inventor
조성호
안성기
김윤진
김현철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12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4177B1/ko
Priority to IDP980486A priority patent/ID19478A/id
Priority to US09/052,946 priority patent/US6094004A/en
Priority to CN98108286A priority patent/CN1114223C/zh
Publication of KR19980075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5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1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1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58Arrangements for focusing or reflecting ray or beam
    • H01J29/62Electrostatic lenses
    • H01J29/622Electrostatic lenses producing fields exhibiting symmetry of revolution
    • H01J29/624Electrostatic lenses producing fields exhibiting symmetry of revolution co-operating with or closely associated to an electron gun

Landscapes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형 칼라수상관 또는 고정세도 산업용 모니터(Monitor)에 사용되는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 전자빔의 편향량에 따른 비점수차를 보정하여 화면의 주변부에서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전자빔을 방사하는 복수개의 전자방사수단, 제어전극과 가속전극으로 구성된 삼극부와, 상기 전자빔을 형광면에 집속시키기 위한 주정전 집속렌즈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집속전극과 양극전극으로 구성하되, 상기 집속전극을 제 1,2 집속전극으로 형성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제 1 집속전극(17)에 원과 수직변이 긴 직사각형이 조합된 키홀형상의 전자빔통과공(17a)을 형성하고 제 2 집속전극(18)에는 원과 수직변이 긴 직사각형이 조합된 키홀형상의 전자빔통과공(18b) 또는 원형상의 전자빔통과공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집속전극에 형성된 전자빔통과공의 상,하에는 수평 전극판(23) 또는 버링 전극판(24)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본 발명은 대형 칼라수상관 또는 고정세도 산업용 모니터(Monitor)에 사용되는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써, 좀더 구체적으로는 전자빔의 편향량에 따른 비점수차를 보정하여 화면의 주변부에서의 해상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칼라수상관의 종단면도로써, 칼라수상관은 내면에 형광체층(2)이 형성되고, 상기 형광체층과 일정간격 유지되게 섀도우 마스크(shadow mask)(3)가 고정된 패널(panel)(1)과, 후방에 가느다란 네크부(4a)가 형성되며 패널과 융착 고정되는 펀넬(funnel)(4)과, 상기 네크부에 수용되어 전자빔(7)을 형광면측으로 방사하는 전자총(5)과, 상기 전자총이 탑재되어 네크부에 실링(sealing)되는 스템(6)과, 상기 펀넬의 네크부(4a) 외주면에 설치되어 전자총(5)에서 방사되는 전자빔(7)을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는 편향요크(8) 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전자총(5)의 스템(6)측에 위치한 음극(cathode)(도시는 생략함)내부에 설치된 히터(heater)가 발열하면 음극에서 발생된 전자빔이 편향요크(8)에 의해 형성된 자계에 의해 편향된 다음 색선별역할을 하는 섀도우 마스크(3)를 통과한 후 패널(1)의 내면에 도포된 형광체층(2)과 부딪혀 형광체를 발광시키게 되므로 화상이 재현된다.
도 2는 전자총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상기한 전자총(5)은 삼극부와 주렌즈부로 구성되는데, 삼극부는 히터(9)가 내장되어 인라인형으로 배열되는 음극(10)과, 상기 음극에서 방열된 열전자를 제어 및 가속시키는 제어전극(11)과 가속전극(12)으로 구성되고, 주렌즈부는 삼극부에서 생성된 전자빔(7)을 집속 및 최종적으로 가속시키는 집속전극(13)과 양극(1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전극(11)은 접지되고 가속전극(12)에는 500 ∼ 1,000V, 양극(14)에는 25 ∼ 35KV의 고전압이 인가되며, 집속전극(13)에는 양극전압의 20 ∼ 30%의 중간전압이 인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전자총(5)은 각 전극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어 전위를 형성함에 따라 전극사이에 렌즈를 형성하게 된다.
특히, 집속전극(13)과 양극(14)사이에는 각각 인가되는 전압의 차이로 인해 정전렌즈(주렌즈)가 형성되므로 삼극부에서 생성된 전자빔(7)이 형광면의 중앙에서 집속된다.
이때 형광면의 중앙에 집속되는 전자빔(7)은 펀넬(4)의 네크부(4a) 외주면에 설치된 편향요크(8)에 의해 화면의 전 영역으로 편향된다.
통상 인라인( in-line)형 전자총을 이용한 칼라수상관에서는 적, 녹, 청 3개의 전자빔이 수평으로 나란히 배열되기 때문에 3개의 전자빔을 형광면의 한 곳에 수렴시키기 위해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8)는 비균일자계를 이용한 자기집중형( self-convergence)을 적용하고 있다.
상기 자기집중형을 적용한 편향요크에서 생성되는 자계의 분포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편향자계는 핀쿠션(pincushion)형으로 하고, 수직편향자계는 배럴(barrel)형으로 하므로써 형광면에서의 집중의 어긋남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도 3c 및 도 3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편향자계 및 수직편향자계는 2극 성분과 4극 성분으로 분리하여 설명할 수 있는데, 2극 성분은 전자빔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시키는 역할을 하고, 4극 성분은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집속하고 수평방향으로는 발산하는 역할을 하므로 인해 비점수차가 발생되고, 이에 따라 전자빔 스포트가 왜곡된다.
비록 균일에 가까운 자계라도 미세한 핀쿠션이나, 배럴자계 성분때문에 형광면의 주변부에서는 전자빔(7)이 현격한 비점수차를 받게 되므로 전자빔 스포트가 왜곡된다.
도 4a 및 4b에서는 이러한 전자빔 스포트의 왜곡현상을 더욱 더 구체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a 및 4b에 의하면, 화면 중앙부에서는 편향자계가 가해지지 않으므로 전자빔 스포트가 정확한 원형의 형상을 갖지만, 그 주변부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발산되고, 수직방향으로는 과집속되어 왜곡된 고밀도의 횡장형 코어(15)와 그 상,하로 저밀도의 상퍼짐 현상인 헤이즈(haze)(16)가 발생되므로 화면 주변부에서의 해상도가 열화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칼라수상관이 대형화될수록, 또는 편향각이 커질수록 더욱 심화된다.
상기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전자빔이 화면 주변부로 편향될 때 편향신호에 동기되어 비점수차를 보정하여 주는 방법이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 보정수단으로는 집속전극(13)을 분할 형성하여 제 1 집속전극과 제 2 집속전극으로 구성하고, 상기 집속전극사이에는 4극자 렌즈가 형성되도록 4극자 전극을 설치하여 비점수차를 보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 실시예인 일본 특허 평2-79340호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종래 집속전극의 일 예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로써, 전자빔을 생성하는 삼극부와, 상기 전자빔을 집속시키는 주렌즈를 가지며, 주렌즈를 형성시키는 집속전극(13)이 제 1 집속전극(17)과 제 2 집속전극(18)으로 2분할되어 있다.
상기 제 2 집속전극(18)은 양극(14)측에 대향되게 설치되고, 제 1 집속전극(17)은 상기 제 2 집속전극과 대향되게 설치된다.
상기 제 1 집속전극(17)에 수평이 수직보다 긴 하나의 수평장공(19)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집속전극의 내부에는 3개의 원형 전자빔통과공(20a)이 형성된 가이드 인너(2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집속전극을 향하는 가이드 인너(20)의 일측면에 형성된 양측 전자빔통과공(20a)에는 제 2 집속전극(18)을 향해 수직평판전극(21)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집속전극(17)과 대향하는 제 2 집속전극(18)에 3개의 원형 전자빔통과공(18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전자빔통과공의 상,하에는 제 1 집속전극(17)을 향하도록 수평평판전극(22)이 설치되어 상기 제 1 집속전극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대향하고 있는 형태를 띠고 있다.
따라서 삼극부(beam forming)에서 생성된 전자빔이 2분할된 제 1,2 집속전극(17)(18)을 통과할 때 각 전극에 설치된 수직평판전극(21)과 수평평판전극(22)을 통과하게 되므로 주렌즈에서 집속되어 화면에 상(image)을 맺게 된다.
특히, 전자빔(7)이 주변부로 편향될 때 제 1 집속전극(17)의 전압(static전압)은 일정하게 고정되어 동작되지만, 제 2 집속전극(18)에 인가되는 전압(dynamic전압)은 전자빔의 편향량에 따라 변한다.
즉, 4극자 전극에 의해 4극자 렌즈가 동작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브라운관(cathode ray tube)이 대형화되거나, 편향각이 크면 클수록 제 2 집속전극(18)에 인가되는 전압이 제 1 집속전극(17)에 인가되는 전압보다 높다.
상기 제 2 집속전극(18)에는 TV 또는 모니터의 회로에서 파라보라(parabola)파형으로 공급되며, 보통 제 1 집속전극(17)의 전압보다 300V ∼ 1,000V정도 높게 인가된다.
상기 제 2 집속전극(18)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자빔(7)이 제 1 집속전극(17)과 제 2 집속전극(18)의 전압차이로 인해 형성된 4극자 렌즈(Quadrupole lens)를 통과하면서 전자빔의 형태가 종장형으로 변하여 주렌즈를 통과하게 되므로 편향요크(8)의 비균일자계에 의해 발생된 주변부의 헤이즈(16)를 개선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하, 4극자 렌즈에 대해 도 4를 참고로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는 전자빔이 편향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전자빔이 화면 중앙에서는 수평 및 수직방향에서 거의 정확하게 집속되지만, 전자빔이 주변부로 편향되었을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도 4a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것이 주변부로 편향될 때의 편향요크(8)에 의한 비점수차 및 전자빔 궤도를 나타낸 것이다.
편향요크(8)는 전자빔(7)을 수평방향으로 발산시키고, 수직방향으로는 집속시키는 역할을 하여 전자빔(7)이 주변부로 편향될 때 수평방향에서는 거리차에 의한 오버 포커싱성분과 편향요크에 의한 언더 포커싱성분이 서로 상쇄되어 거의 정확한 집속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나, 수직방향에서는 거리차에 의한 오버 포커싱성분과 편향요크의 수직방향의 오버 포커싱성분이 중첩되어 심한 오버 포커싱현상을 나타내므로 전자빔이 주변부로 편향될 때 전자빔의 수직방향에서의 상퍼짐현상이 심하게 나타나 화면 주변부에서의 해상도를 열화시키게 된다.
도 4b는 이러한 상퍼짐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4극자 전극을 적용하였을 때의 설명도이다.
주렌즈의 집속력을 동일하게 유지한 상태에서 4극자 렌즈에 의한 편향요크의 비점수차를 보정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편향요크(8)의 수평방향 발산력만큼 4극자 렌즈가 전자빔(7)을 수평방향으로 집속시켜 주고, 편향요크(8)의 수직방향 집속량만큼 4극자 렌즈가 전자빔을 수직방향으로 발산시키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주렌즈 약화성분인 다이나믹(dynamic)전압이 필요하게 되는데, 상기 주렌즈 약화성분은 도 4b에서와 같이 수평 및 수직방향에서 일치된 전자빔을 필요로 하는 주변부의 위치에 접속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적절한 4극자 렌즈와 인가되는 다이나믹전압으로 전자빔이 화면의 주변부에서 최적의 집속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상기 4극자 전극은 어느 1모델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크기의 칼라수상관에 적용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4극자 전극의 설계는 집속전압비(집속전극전압과 양극전압의 비)에 따라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4극자 전극을 집속전압비가 다른 모델에 적용하기 위해 가장 간단하게 설계할 수 있는 방법은 제 1 집속전극(17)의 내부에 설치된 가이드 인너(20)의 깊이를 조정하는 것이다.
상기 집속전극(13)에 인가되는 집속전압은 양극(14)에 인가되는 전압의 약 20 ∼ 33%정도 된다.
상기 집속전압비가 낮을 경우 4극자 전극의 액션(action)은 약화되지만, 집속전압이 높은 경우에는 주렌즈가 약화되기 때문에 렌즈경이 커지게 되므로 4극자렌즈의 액션이 둔감하게 작용된다.
여기서, 둔감하게 작용된다는 것은 조립오차에 둔감하다는 의미도 갖지만, 4극자 렌즈의 액션이 강해져야 된다는 의미도 동시에 갖는다.
종래의 전자총은 4극자 렌즈의 액션이 강하게 작용되도록 하기 위한 좋은 방법이지만, 금형의 가공성, 부품의 조립성, 소요부품의 수량이 많아지는 등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제 1 집속전극(17)의 내부에 용접 고정된 가이드 인너(20)에 2개의 수직평판전극(21)을 용접하여야 된다는 것이다.
즉, 가이드 인너(20)에 2개의 수직평판전극(21)을 용접하여야 되므로 부품의 용접작업성이 저하되었음은 물론 정확한 용접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조립성이 매우 불리하여 생산성이 저하되었고, 또한 불량률이 증가되었다.
둘째, 수직평판전극(21)의 평판이 외부의 충격이나, 외력에 의해 쉽게 변형되어 용접작업시 수직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각도가 변형되는 불량을 발생시키므로 포커싱특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으로 작용되었다.
셋째, 제 1 집속전극(17)에 대향되게 제 2 집속전극(18)에 용접되는 수평평판전극(22)도 수직평판전극(21)과 마찬가지로 외부의 충격에 약해 정확히 직각상태를 유지하기 힘들고 더욱이 용접공정에서 이러한 상황은 더욱 악화된다.
넷째, 많은 부품과 많은 용접공정으로 인해 전극의 변형이 불가피하고 따라서 전자총의 품질산포가 심해져 불량률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품질에 대한 보증이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그 구조를 개선하여 별도의 수직평판전극 및 수평평판전극을 설치하지 않고도 전자빔의 편향량에 따른 비점수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전자빔을 방사하는 복수개의 전자방사수단, 상기 전자빔의 방사량 조절 및 크로스오버를 형성하기 위한 제어전극과 가속전극으로 구성된 삼극부와, 상기 전자빔을 형광면에 집속시키기 위한 주정전 집속렌즈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집속전극과 양극전극으로 구성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자방사수단 및 복수개의 전극들을 일정간격 유지되게 인라인으로 배치함과 함께 상기 복수개의 집속전극중 적어도 1개의 집속전극에 고정전압을 인가하여 고정전압 집속전극역할을 하는 제 1 집속전극을 형성하고, 나머지 집속전극중 적어도 1개의 집속전극에 전자빔 편향량에 따라 변화하는 가변전압을 인가하여 가변전압 집속전극역할을 하는 제 2 집속전극을 형성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제 1 집속전극에 원과 수직변이 긴 직사각형이 조합된 키홀형상의 전자빔통과공을 형성하고 제 2 집속전극에는 원과 수직변이 긴 직사각형이 조합된 키홀형상의 전자빔통과공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집속전극에 형성된 전자빔통과공의 상,하에는 수평전극판을 절곡형성하여서 된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르면, 전자빔을 방사하는 복수개의 전자방사수단, 상기 전자빔의 방사량 조절 및 크로스오버를 형성하기 위한 제어전극과 가속전극으로 구성된 삼극부와, 상기 전자빔을 형광면에 집속시키기 위한 주정전 집속렌즈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집속전극과 양극전극으로 구성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자방사수단 및 복수개의 전극들을 일정간격 유지되게 인라인으로 배치함과 함께 상기 복수개의 집속전극중 적어도 1개의 집속전극에 고정전압을 인가하여 고정전압 집속전극역할을 하는 제 1 집속전극을 형성하고, 나머지 집속전극중 적어도 1개의 집속전극에 전자빔 편향량에 따라 변화하는 가변전압을 인가하여 가변전압 집속전극역할을 하는 제 2 집속전극을 형성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제 1 집속전극에 원과 수직변이 긴 직사각형이 조합된 키홀형상의 전자빔통과공을 형성하고 제 2 집속전극의 전자빔통과공 상,하에는 제 1 집속전극을 향하도록 돌출됨과 동시에 수평방향이 절취된 버링 전극판을 형성하여서 된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이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칼라수상관의 종단면도
도 2는 전자총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3a ∼ 3d는 수평편향자계 및 수직편향자계를 설명하기 위한 자계분포도
도4a 및 도 4b는 비점수차에 의해 전자빔 스포트의 왜곡이 일어나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5는 종래 집속전극의 일 예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7 : 제 1 집속전극17a, 18b : 전자빔통과공
18 : 제 2 집속전극20 : 가이드 인너
23 : 수직 전극판24 : 버링 전극판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 6a, 도 6b 및 도 7a, 도 7b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로써, 본 발명은 부품수를 줄여 용접횟수를 줄이고, 변형 및 충격에 강하도록 제 2 집속전극(18)에 형성되어 수평평판전극역할을 하는 수평 전극판(23)의 높이(돌출량)를 대폭 축소하였다.
제 1,2 집속전극(17)(18)사이에 형성되는 4극자 렌즈를 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종래의 수직평판전극과 수평평판전극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수직평판전극과 수평평판전극이 없이도 충분한 4극자 렌즈의 강도를 지녀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6a 및 도 6b에서는 고정전압 집속전극역할을 하는 제 1 집속전극(17)은 (-)로, 그리고 가변전압 집속전극역할을 하는 제 2 집속전극(18)은 (+)로써 작용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4극자 렌즈의 액션(action)을 강하게 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전자빔에 대하여 액션이 일어날 수 있도록 종래의 제 1 집속전극(17)에 형성된 하나의 장공(19)을 원형과 수직변이 긴 직사각형의 조합형태인 키홀(Key-hole)형 전자빔통과공(17a)으로 형성한다.
그 이유는 종래의 전자총에서는 4극자 렌즈의 액션을 강하게 하기 위해 수평평판전극과 수직평판전극을 높게 형성하여야 되었으므로 부피가 큰 형상의 전극을 부착하여야 되었다.
또한, 4극자 렌즈의 액션을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음극(-)과 양극(+)의 전위차를 크게 하여야 하는데, 제 1 집속전극(17)과 제 2 집속전극(18)사이의 전위차를 크게 하는데는 회로상의 문제, 전극간의 방전문제 등을 고려하여야 되므로 상당히 제한적이다.
종래의 전자총에서 부피에 비해 액션이 작은 것은 전자빔과 전극간의 거리가 멀고 제 2 집속전극(18)의 대향면인 제 1 집속전극(17)의 형상이 장공(19)으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는 4극자 렌즈의 액션을 강화시키기 위해 음극(-)역할을 하는 제 1 집속전극(17)에 수평측이 수직측에 비해 더욱 음극(-)이 강(强)하도록 전자빔통과공(17a)의 형상을 수직폭이 수평폭에 대비하여 크도록 형성한다.
또한, 조립 및 제작성을 고려할 때 수평폭의 축소는 제한적이고 수직폭의 확대는 상대적으로 쉽기 때문이다.
반면, 양극(+)역할을 하는 제 2 집속전극(18)에는 제 1 집속전극(17)과 반대로 4극자 렌즈의 액션을 강하게 하기 위해 수직측이 수평측에 비해 더욱 양극이 강하도록 전자빔통과공(18b)의 형상을 수평폭이 수직폭에 대비하여 크도록 형성하여야 되지만, 상기 제 2 집속전극에 형성되는 전자빔통과공(18b)간의 간격이 협소하여 수평폭을 확대시키는데 상당히 제한을 받는다.
따라서 수직측의 양극(+)을 수평측보다 강하게 하기 위해 제 1 집속전극(17)을 향해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6a 및 도 6b에서와 같이 제 1 집속전극(17)을 향해 수평 전극판(23)을 일체로 형성하거나, 다른 실시예로 도시한 도 7a 및 도 7b에서와 같이 제 1 집속전극(17)을 향해 버링 전극판(24)을 형성한다.
즉, 제 2 집속전극(18)에 제 1 집속전극(17)을 향해 폭이 좁은 수평 전극판(23)이나, 버링 전극판(24)을 형성하고 제 1 집속전극(17)의 전자빔통과공(17a)은 키홀형상으로 형성하며, 상기 제 1 집속전극과 제 2 집속전극의 간격은 방전에 필요한 최소한의 간격을 유지시켜야 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액션을 강화시키기 위해 종래의 제 1 집속전극(17)에 형성되던 개공부의 형상을 변경하여 원과 수직변이 긴 직사각형의 조합형태인 키홀형상의 전자빔통과공(17a)으로 구성하고, 제 2 집속전극(18)에는 일 실시예와 같이 원과 수직변이 긴 직사각형의 조합형태인 키홀의 상,하단면에 수평 전극판(23)을 대칭되게 제 1 집속전극(17)을 향하도록 절곡하여 형성하거나(도 6a), 또는 전자빔통과공(18b)의 둘레면에 걸쳐 제 1 집속전극(17)을 향해 버링(burring)을 형성한 다음 수평방향측을 잘라낸 형상과 같은 버링 전극판(24)을 형성한다.(도 7a)
상기 제 2 집속전극(18)의 중앙 전자빔통과공(18b)에 형성되는 수평 전극판(23) 또는 버링 전극판(24)의 높이를 양측 전자빔통과공의 높이와 각기 달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경우에 따라 제 1 집속전극(17)내의 형상이나, 전자총의 설계에 따른 주렌즈측의 집속력차이로 인해 4극자 렌즈의 액션이 달라져 이를 보정할 필요가 있을 경우 각 전자빔통과공에 형성되는 수평 전극판(23) 또는 버링 전극판(24)의 높이를 달리하여 제 1, 2 집속전극사이에서 4극자 렌즈의 액션을 보정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중앙 전자빔통과공에 형성되는 수평 전극판(23) 또는 버링 전극판(24)의 높이를 높게 형성하면 4극자 렌즈의 액션 강도가 더욱 강해진다.
그리고 제 1 집속전극(17)의 내부에 종래와 마찬가지로 가이드 인너(20)를 용접고정하면 4극자 렌즈의 액션을 적절히 조절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된다.
또한, 비대칭 주렌즈의 영향으로 발생될 수 있는 중앙전자빔과 외곽전자빔의 비점수차(Astigmatism)차이를 가이드 인너(20)의 전자빔통과공 형상을 도 6b 및 도 7b와 같이 키홀형상으로 변경하므로써 보상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제 2 집속전극(18)의 전자빔통과공(18b)에 형성되는 수평 전극판(23) 또는 버링 전극판(24)의 높이를 달리하여 4극자 렌즈의 액션강도를 보정하는 원리와 거의 동일하기 때문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수평평판전극 및 수직평판전극을 용접하지 않도록 되어 있어 용접작업에 따른 조립에 의한 누적공차를 최소화하게 되됨은 물론 4극자 렌즈 액션의 강도를 향상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제 1 집속전극(17)의 대향면인 제 2 집속전극(18)에 형성되는 수평 전극판(23) 또는 버링 전극판(24)의 높이를 낮추어 변형에 의해 발생되는 포커스품위 저하를 미연에 방지하게 되므로 전자총의 품질산포를 최소화하게 된다.
또한, 전자총의 조립에 따른 부품수가 줄어들게 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키게 되는 효과도 얻게 된다.

Claims (12)

  1. 전자빔을 방사하는 복수개의 전자방사수단, 상기 전자빔의 방사량 조절 및 크로스오버를 형성하기 위한 제어전극과 가속전극으로 구성된 삼극부와, 상기 전자빔을 형광면에 집속시키기 위한 주정전 집속렌즈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집속전극과 양극전극으로 구성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자방사수단 및 복수개의 전극들을 일정간격 유지되게 인라인으로 배치함과 함께 상기 복수개의 집속전극중 적어도 1개의 집속전극에 고정전압을 인가하여 고정전압 집속전극역할을 하는 제 1 집속전극을 형성하고, 나머지 집속전극중 적어도 1개의 집속전극에 전자빔 편향량에 따라 변화하는 가변전압을 인가하여 가변전압 집속전극역할을 하는 제 2 집속전극을 형성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제 1 집속전극에 원과 수직변이 긴 직사각형이 조합된 키홀형상의 전자빔통과공을 형성하고 제 2 집속전극에는 원과 수직변이 긴 직사각형이 조합된 키홀형상의 전자빔통과공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집속전극에 형성된 전자빔통과공의 상,하에는 수평전극판을 절곡형성하여서 된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2.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집속전극의 전자빔통과공 상,하에 형성된 수평 전극판을 제 1 집속전극과 서로 대향되게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3.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집속전극의 전자빔통과공 상,하에 형성된 수평 전극판을 제 1 집속전극에 형성된 전자빔통과공의 내부에 삽입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4. 제 1 항에 있어서,
    제 2 집속전극의 중앙 전자빔통과공 상,하에 형성된 수평 전극판과 외측 전자빔통과공의 상,하에 형성된 수평 전극판의 높이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5.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집속전극의 내부에 가이드 인너가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6. 제 5 항에 있어서,
    가이드 인너에 형성된 전자빔통과공중 적어도 1개의 전자빔통과공의 형상이 원과 수직변이 긴 직사각형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키홀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7. 전자빔을 방사하는 복수개의 전자방사수단, 상기 전자빔의 방사량 조절 및 크로스오버를 형성하기 위한 제어전극과 가속전극으로 구성된 삼극부와, 상기 전자빔을 형광면에 집속시키기 위한 주정전 집속렌즈를 형성하는 복수개의 집속전극과 양극전극으로 구성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자방사수단 및 복수개의 전극들을 일정간격 유지되게 인라인으로 배치함과 함께 상기 복수개의 집속전극중 적어도 1개의 집속전극에 고정전압을 인가하여 고정전압 집속전극역할을 하는 제 1 집속전극을 형성하고, 나머지 집속전극중 적어도 1개의 집속전극에 전자빔 편향량에 따라 변화하는 가변전압을 인가하여 가변전압 집속전극역할을 하는 제 2 집속전극을 형성하도록 된 것에 있어서, 제 1 집속전극에 원과 수직변이 긴 직사각형이 조합된 키홀형상의 전자빔통과공을 형성하고 제 2 집속전극의 전자빔통과공 상,하에는 제 1 집속전극을 향하도록 돌출됨과 동시에 수평방향이 절취된 버링 전극판을 형성하여서 된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8. 제 7 항에 있어서,
    제 2 집속전극의 전자빔통과공 상,하에 형성된 버링 전극판을 제 1 집속전극과 서로 대향되게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9. 제 7 항에 있어서,
    제 2 집속전극의 전자빔통과공 상,하에 형성된 버링 전극판을 제 1 집속전극에 형성된 전자빔통과공의 내부에 삽입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10. 제 7 항에 있어서,
    제 2 집속전극의 중앙 전자빔통과공 상,하에 형성된 버링 전극판과 외측 전자빔통과공의 상,하에 형성된 버링 전극판의 높이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11. 제 7 항에 있어서,
    제 1 집속전극의 내부에 가이드 인너가 고정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12. 제 11 항에 있어서,
    가이드 인너에 형성된 전자빔통과공중 적어도 1개의 전자빔통과공의 형상이 원과 수직변이 긴 직사각형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키홀형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19970012017A 1997-04-01 1997-04-01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KR1002441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017A KR100244177B1 (ko) 1997-04-01 1997-04-01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IDP980486A ID19478A (id) 1997-04-01 1998-04-01 Elektroda pemfokus dalam senapan elektron untuk tabung sinar katoda berwarna
US09/052,946 US6094004A (en) 1997-04-01 1998-04-01 Focusing electrode in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CN98108286A CN1114223C (zh) 1997-04-01 1998-04-01 用于彩色阴极射线管的电子枪中的聚焦电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017A KR100244177B1 (ko) 1997-04-01 1997-04-01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736A true KR19980075736A (ko) 1998-11-16
KR100244177B1 KR100244177B1 (ko) 2000-02-01

Family

ID=19501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017A KR100244177B1 (ko) 1997-04-01 1997-04-01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94004A (ko)
KR (1) KR100244177B1 (ko)
CN (1) CN1114223C (ko)
ID (1) ID19478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419A (ko) * 1998-07-24 2000-02-15 김영남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429212B1 (ko) * 2001-09-14 2004-04-29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416A (ko) * 1998-07-24 2000-02-15 김영남 인라인형 전자총을 구비하는 칼라음극선관
KR100274880B1 (ko) * 1998-12-11 2001-01-15 김순택 칼라음극선관용 다이나믹 포커스 전자총
US6196889B1 (en) * 1998-12-11 2001-03-06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an electron gun employing a thermionic source of electrons
JP2004095291A (ja) * 2002-08-30 2004-03-25 Hitachi Displays Ltd カラー陰極線管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68323A (en) * 1976-02-05 1979-12-18 Horst H. Blumenberg Unitized electron gun having electrodes with internal beam-shielding tubes
JPS59215640A (ja) * 1983-05-23 1984-12-05 Hitachi Ltd カラ−受像管用電子銃
JPH0719541B2 (ja) * 1985-04-30 1995-03-0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インライン型カラー受像管
US5027043A (en) * 1989-08-11 1991-06-25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on gun system with dynamic convergence control
US4990822A (en) * 1989-12-29 1991-02-05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Focusing electrode assembly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electron gun
KR0147541B1 (ko) * 1989-12-31 1998-08-01 김정배 음극선관용 다단집속형 전자총
US5170101A (en) * 1991-12-30 1992-12-08 Zenith Electronics Corporation Constant horizontal dimension symmetrical beam in-line electron gun
US5532547A (en) * 1991-12-30 1996-07-02 Goldstar Co., Ltd. Electron gun for a color cathode-ray tube
KR100189609B1 (ko) * 1995-07-28 1999-06-01 구자홍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9419A (ko) * 1998-07-24 2000-02-15 김영남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429212B1 (ko) * 2001-09-14 2004-04-29 엘지.필립스디스플레이(주)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14223C (zh) 2003-07-09
CN1197993A (zh) 1998-11-04
US6094004A (en) 2000-07-25
ID19478A (id) 1998-07-16
KR100244177B1 (ko) 200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986088B1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 low dynamic focus voltage
US6339293B1 (en) Cathoderay tube
KR100244177B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KR100213787B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KR200154147Y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KR100198562B1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프리 포커스 렌즈부
KR100596230B1 (ko) 칼라브라운관용 전자총
US5763992A (en) In-line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KR200271014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751306B1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34053B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KR10023215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9980028116A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구조
KR100418934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35999B1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KR100267978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29381Y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US20060108909A1 (en) Color cathode ray tube and electron gun used therein
KR100308051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US20020067118A1 (en) Electron gun for cathode ray tube
KR100209673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인라인(In-Line)전자총
KR100224977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35998B1 (ko) 컬러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집속전극
KR100234061B1 (ko) 칼라수상관용 전자총
JPH07147145A (ja) 陰極線管用電子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