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3399A - 무선 팩시밀리의 특정 휴대장치 호출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팩시밀리의 특정 휴대장치 호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3399A
KR19980073399A KR1019970008639A KR19970008639A KR19980073399A KR 19980073399 A KR19980073399 A KR 19980073399A KR 1019970008639 A KR1019970008639 A KR 1019970008639A KR 19970008639 A KR19970008639 A KR 19970008639A KR 19980073399 A KR19980073399 A KR 19980073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rtable device
fax
call
det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8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명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70008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73399A/ko
Publication of KR19980073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3399A/ko

Links

Landscapes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무선 팩시밀리에서 특정 휴대장치를 호출하는 방법.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각각의 아이디를 가지고 있는 다수의 휴대장치들을 구비한 무선 팩시밀리에 있어서, 발신자가 팩시밀리에서 송출하는 음성안내정보에 근거하여 특정 휴대장치를 선택하며 팩시밀리가 선택신호에 근거하여 특정 휴대장치를 호출할 수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무선 팩시밀리의 특정 휴대장치 호출방법이, 링 검출시 음성안내장치에서 음성안내정보를 송출하는 과정과, 사용자번호 선택신호가 검출될시 상기 선택신호에 맞는 휴대장치 아이디를 무선전화부의 메모리에서 독출하여 아이디에 해당하는 휴대장치를 호출하는 과정과, 휴대장치로부터 응답신호가 검출될시 무선 팩시밀리의 고정장치와 휴대장치간에 무선라인이 형성되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무선 팩시밀리장치에서 통화를 원하는 특정 휴대장치만을 호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팩시밀리의 특정 휴대장치 호출 방법
본 발명은 다수의 휴대장치들을 구비한 무선 팩시밀리의 특정 휴대장치 호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성안내장치를 구비한 무선 팩시밀리 장치의 특정 휴대장치 호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의 무선 팩시밀리의 동작 흐름도를 도 1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는 111단계에서 링 검출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링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계속해서 링 검출여부를 판단하며, 링이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는 113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113단계에서 CNG(calling) 톤 신호가 검출되는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CNG 톤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는 11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무선 팩시밀리 장치의 본체 및 휴대장치 전부를 호출한다. 반면 상기 CNG 톤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는 117단계로 진행하여 팩스 모드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선 팩시밀리는 음성 통신을 수행할 때, 발신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특정 사용자를 선택하여 통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지 않았다. 즉, 외부에서 전화가 걸려올 때마다 본체 및 휴대장치 전부를 호출해야만 했고, 따라서 상기 발신자가 원하지 않은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시 상기 사용자는 상기 발신자가 원하는 사용자를 육성으로 호출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휴대장치들을 구비한 무선 팩시밀리 장치에서 상기 다수의 휴대장치들 중 특정 휴대장치만을 호출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무선 팩시밀리의 특정 휴대장치 호출방법이, 링 검출시 상기 음성안내장치에서 음성안내정보를 송출하는 과정과, 사용자번호 선택신호가 검출될시, 상기 선택신호에 맞는 휴대장치 아이디를 상기 무선전화부의 메모리에서 독출하여 상기 아이디에 해당하는 휴대장치를 호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장치로부터 응답신호가 검출될시 상기 무선 팩시밀리의 고정장치와 상기 휴대장치간에 무선라인이 형성되는 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무선전화 겸용 팩시밀리의 동작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팩시밀리의 블록 구성도.
도 3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팩시밀리 고정장치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팩시밀리 휴대장치의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팩시밀리의 동작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팩시밀리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팩시밀리의 블록 구성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무선 팩시밀리는 크게 고정장치4와 다수의 휴대장치3들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장치4는 팩스통신부1과 무선전화부2로 구성된다. 상기 팩스통신부1는 발신자가 팩스통신을 요구할시 팩스모드를 수행하며, 상기 무선전화부2는 발신자가 음성통신을 요구할시 특정 휴대장치3를 호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무선전화부2는 각각의 휴대장치3들의 아이디(ID)들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있으며, 발신자가 어떤 특정 휴대장치3와의 통화를 원할 때 상기 아이디를 포함한 RF신호를 상기 멀티 휴대장치3들에 송출한다. 그러면 상기 휴대장치3들 중 상기 아이디와 같은 아이디를 가지고 있는 휴대장치3는 응답신호를 상기 무선전화부2에 송출하며, 비로소 고정장치4는 특정 휴대장치3과의 무선라인을 형성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팩시밀리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팩시밀리의 구성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무선 팩시밀리는 크게 무선전화부2와 팩스통신부1로 구성된다.
먼저, 팩스통신부1의 구성을 보면, 제어부10은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팩시밀리 전반을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0에 내장된 메모리는 프로그램 및 서비스 데이터를 저장하는 롬(ROM)과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램(RAM)으로 구성된다.
NCU(Network Control Unit)11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전화라인을 모뎀12로 연결하며, 내부에 링검출부를 구비하며 착신 링을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0에 제공한다.
모뎀12는 상기 NCU11를 통해 입력되는 변조신호를 복조하고 상기 NCU11를 통해 전화라인으로 송출할 신호를 변조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로부터 제공되는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DTMF(dual tone multi-frequency)를 송출하는 다이얼링기능을 수행한다.
스캐너13은 송신 또는 복사모드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공급되는 원고를 독취하여 화상데이타로 변환한 후 상기 제어부10에 제공한다. 프린터14는 수신되는 화상데이타 또는 독취된 화상데이타를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인쇄한다. DTMF검출부15는 상기 NCU로부터 제공되는 DTMF신호를 검출하며, 상기 검출된 신호를 제어부10에 제공한다.
스위칭부17은 터미널 Sa와 Sb와 Sc로 구성되며, 한편 상기 제어부10의 제어가 없을시엔 팩스통신부1의 병렬 전화 접속단자18로 스위칭되어 있다가, 외부에서 음성통신을 요구할시 무선전화부2로 스위칭된다.
음성안내장치16은 DSP(digital signal processing), 코덱, 음성메모리부로 구성되며, 링 검출시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음성안내정보를 송출한다. 상기 음성안내정보로는 휴대장치의 아이디(사용자 번호) 및 호출방법, 팩스모드를 수행하기 위한 방법, 음성안내정보 이용방법 등이 있다.
다음으로 무선전화부2의 구성을 보면, 무선전화부 제어부20은 무선전화부2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과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데이타를 일시적으로 저장하기 위한 램으로 구성되어 있는 메모리를 구비한다. 상기 메모리는 또한 각각의 휴대장치3들에 대응되는 각각의 아이디를 저장한다.
RF송신부22는 상기 무선전화부 제어부20의 제어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를 대역 변조하여 안테나AT1을 통해 무선 출력한다. RF수신부23은 상기 안테나AT1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복조하여 음성신호처리부21로 출력함과 동시에 수신되는 데이터들를 복조하여 상기 고정장치 제어부20으로 출력한다.
음성신호처리부21은 상기 스위칭부17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RF송신부22로 인가하고, RF수신부23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증폭한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팩시밀리의 휴대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 구성을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휴대장치 제어부30은 휴대장치3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하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과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램으로 구성된 메모리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는 상기 휴대장치3를 특정지울 수 있는 아이디를 저장한다.
키패드35는 각종 기능 및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키들과 다이얼링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숫자키를 구비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눌러지는 키에 대응되는 키데이타를 휴대장치 제어부30으로 출력한다.
RF송신부32는 상기 휴대장치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음성신호처리부31로부터 출력되는 송신 음성신호나 휴대장치 제어부30으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타를 안테나AT2를 통해 출력한다. RF수신부33은 상기 안테나AT2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복조하여 음성신호처리부31로 출력함과 동시에 수신되는 데이터들를 복조하여 상기 휴대장치 제어부30으로 출력한다.
음성처신호리부31은 송화기37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 또는 RF수신부33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증폭 처리한다. 링발생부36은 상기 휴대장치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상기 안테너AT2로부터 호출신호가 검출될 때 호출신호를 발생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특정 휴대장치를 호출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 5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제어부10은 511단계에서 NCU11의 링검출부에서 링이 검출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링이 검출되어질 때 상기 제어부10은 513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링이 검출되지 않을 때 상기 제어부10은 다시 상기 511단계로 되돌아가 계속 링 검출을 수행한다.
음성안내장치16은 상기 제어부10의 제어에 따라 상기 513단계에서 음성안내 정보를 송출한다. 상기 음성안내 정보의내용으로는 휴대장치의 아이디(사용자 번호) 및 호출방법, 상기 팩시밀리 장치가 팩스로 동작하기 위한 방법, 음성안내정보 이용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은 515단계에서 NCU11를 경유하여 DTMF검출부15에서 검출된 신호가 상기 사용자번호 선태신호인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이 상기 상용자번호 선택신호라고 판단할 경우, 상기 제어부10은 스위칭부17를 제어하여 터미널 Sa와 Sb를 연결하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NCU11를 상기 무선전화부2의 음성신호처리부21에 연결하며, 상기 제어부10은 음성통신을 수행하기 위해서 통화로를 무선전화부2로 형성한다. 반면 상기 제어부10이 상기 DTMF검출부15에서 검출된 신호가 상기 사용자번호 선택신호라고 판단하지 않을 경우 상기 제어부10은 527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527단계에서 CNG 톤 신호가 검출되는지를 검사한다. 즉 상기 발신자가 팩스모드 수행을 요구하는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CNG 톤 신호가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10은 52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무선 팩시밀리를 팩스로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반면 상기 527단계에서 상기 CNG 톤 신호가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0은 53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무선 팩시밀리의 팩스통신부1 및 휴대장치3 전부를 호출한다.
한편, 상기 무선전화부 제어부20은 517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번호 선택신호에 상응하는 휴대장치의 아이디를 메모리에서 독출한다. 그리고 상기 무선전화부 제어부20는 무선전화부2의 안테너AT1로 상기 아이디를 포함한 RF신호를 상기 멀티 휴대장치3들에 송출한다. 그러면 상기 휴대장치3들 중 상기 아이디와 같은 아이디를 가지고 있는 휴대장치3은 응답신호를 상기 무선전화부2에 송출하며, 상기 휴대장치3의 링발생기36은 휴대장치 제어부30의 제어에 따라 호출음을 발생한다.
그리고 휴대장치 제어부30은 521단계에서 상기 사용자가 상기 휴대장치3을 후크오프(HOOK OFF)하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사용자가 후크오프 하지 않는다면 상기 휴대장치 제어부30은 519단계로 되돌아가 계속해서 호출음을 발생하며, 상기 사용자가 후크오프 한다면 상기 휴대장치 제어부30은 523단계로 진행하여 휴대장치3와 고정장치4간의 통화채널을 형성한다. 그러면 상기 발신자는 비로소 525단계에서 자신이 원하는 사용자와 통화를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각각의 아이디를 가지고 있는 다수의 휴대장치들를 구비한 무선 팩시밀리 장치에 있어서, 발신자가 상기 팩시밀리에서 송출하는 음성안내정보에 의해서 사용자를 선택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신호에 의해 상기 팩시밀리가 특정 휴대장치만을 호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발신자가 통화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육성으로 호출해야만 하는 불편함을 피할 수 있다.

Claims (2)

  1. 다수의 휴대장치들과 팩스통신부 및 무선전화부를 구비하는 고정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장치내에 음성안내장치를 내장하는 무선 팩시밀리의 특정 휴대장치 호출방법에 있어서,
    링 검출시 상기 음성안내장치에서 음성안내정보를 송출하는 과정과,
    사용자번호 선택신호가 검출될시, 상기 선택신호에 맞는 휴대장치 아이디를 상기 무선전화부의 메모리에서 독출하여 상기 아이디에 해당하는 휴대장치를 호출하는 과정과,
    상기 휴대장치로부터 응답신호가 검출될시 상기 무선 팩시밀리의 고정장치와 상기 휴대장치간에 무선라인이 형성되는 과정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패시밀리의 특정 휴대장치 호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 검출시 송출되는 음성안내정보가 휴대장치 아이디에 대응되는 사용자번호를 포함하고 있어서 발신자가 상기 음성안내정보에 근거하여 통화하고자 하는 휴대장치를 선택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팩시밀리의 특정 휴대장치 호출방법.
KR1019970008639A 1997-03-14 1997-03-14 무선 팩시밀리의 특정 휴대장치 호출 방법 KR199800733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639A KR19980073399A (ko) 1997-03-14 1997-03-14 무선 팩시밀리의 특정 휴대장치 호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8639A KR19980073399A (ko) 1997-03-14 1997-03-14 무선 팩시밀리의 특정 휴대장치 호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3399A true KR19980073399A (ko) 1998-11-05

Family

ID=65984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8639A KR19980073399A (ko) 1997-03-14 1997-03-14 무선 팩시밀리의 특정 휴대장치 호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7339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0096A (en) Image communication system having improved line control
US5680449A (en) Communication apparatus for automatic dialing from a separate terminal
US6463129B1 (en) Call screening method of a facsimile system having a stationary main unit connected to a telephone network and a cordless portable unit
KR19980073399A (ko) 무선 팩시밀리의 특정 휴대장치 호출 방법
KR100229020B1 (ko) 휴대장치로 무선전화 겸용 팩시밀리장치의 동작상태 음성 알림방법
KR100233723B1 (ko) 팩시밀리장치에서 휴대장치의 호출에 응답한 동작상태 알림방법
KR19990020322A (ko) 무선팩시밀리에서 선택적으로 특정휴대장치를 호출하는 장치및 방법
US6614547B1 (en) Cordless facsimile system with telephone answering funct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270697B1 (ko) 무선인터폰 기능이 내장된 휴대장치를 갖는 무선팩시밀리에서 페이저 호출방법
KR19990019363A (ko) 음성우편기능을 갖는 무선 팩시밀리에서 화상정보 수신통보 방법
JP2001339527A (ja) 転送機能付き通信端末装置
KR0136440B1 (ko) 팩시밀리의 원격 제어 자동 송신 방법
KR0162837B1 (ko) 사설교환망에 연결된 단말기에서 국선을 잡는 방법
KR19990015773A (ko) 무선 팩시밀리장치에서 수신모드 자동 절환방법
KR19980072383A (ko) 통신단말기에서 수신 식별코드에 따른 착신 링 수신방법
KR19980065859A (ko) 무선전화 겸용 팩시밀리장치에서 음성 메세지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
KR19990019361A (ko) 원격제어에 의한 팩시밀리의 메모리 다이얼 리스트송신 방법
KR19990033871A (ko) 팩시밀리장치에서 수신 조회방법
KR19990020303A (ko) 휴대장치에서 송신자 전화번호 확인 방법
KR19990058053A (ko) 무선인터폰기능이 내장된 무선 팩시밀리에서 방문자 메시지녹음방법
JPS63318849A (ja) ダイヤル信号送出装置
KR19980074378A (ko) 음성우편기능을 갖는 팩시밀리에서 화상정보 수신 통보방법.
JPH0591238A (ja) コードレス・フアクシミリ装置
KR19980076375A (ko) 무선 전화장치에서 무선 휴대장치 호출방법
KR19980078525A (ko) 팩시밀리 무선휴대장치에서의 음악청취 서비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