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72701A - 반자동 용접기의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반자동 용접기의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72701A
KR19980072701A KR1019970007633A KR19970007633A KR19980072701A KR 19980072701 A KR19980072701 A KR 19980072701A KR 1019970007633 A KR1019970007633 A KR 1019970007633A KR 19970007633 A KR19970007633 A KR 19970007633A KR 19980072701 A KR19980072701 A KR 199800727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trol
control system
welding machin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7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3659B1 (ko
Inventor
오선옥
Original Assignee
최기환
주식회사 세지상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환, 주식회사 세지상공 filed Critical 최기환
Priority to KR1019970007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3659B1/ko
Publication of KR19980072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2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3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3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 B23K9/0953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using compu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 Welding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자동 용접기의 신규한 제어시스템을 개시한다.
종래에는 제어케이블이 다수의 신호선으로 구성되어 취급 및 사용이 불편하며, 전원케이블과 한 조립체로 구성하는 경우 잡음과 리플 전류의 혼입으로 적절한 제어가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서로 사용전위가 다른 복수의 제어신호들을 와이어 피더에서 시리얼신호로 전송한 후 용접기에서 패럴렐신호로 재생하여 차별적으로 증폭함으로써 동일한 제어신호를 재현하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신호선을 1 내지 수개로 감소시켜 제어케이블이 가스호스내에 수납될 수 있게 되며, 카드형의 구성으로 기존의 용접장치에 그대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반자동 용접기의 제어시스템
본 발명은 반자동 용접기의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호가스 금속 아아크 용접의 반자동용접기에 사용되기에 적합한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호가스 금속 아아크 용접(shield gas metal arc welding)은 보호가스로 용접분위기를 형성하여 용접효율과 품질을 향상시키고 피복아아크 용접으로 불가능한 재질의 용접을 가능하게 하는 용접방법이다. 보호가스 금속 아아크 용접에는 또한 TIG(Tungsten Inert Gas) 용접법등 비(非)용극(溶極)식 용접법과, MIG(Metal Inert Gas)나 탄산가스(Co2) 또는 MAG(Metal Active Gas) 용접법등 소모성 전극을 사용하는 용극식 용접법이 있다. 용극식 보호가스 금속 아아크 용접에 있어서는 소모성 전극으로 금속제 와이어(wire)를 사용하여 용접봉의 연속공급을 도모하고 있는데, 이때 와이어(wire)를 송급(送給)하는 것이 와이어 송급장치이다.
도 1에는 반자동 탄산가스용접기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는데, MIG용접기등 용극식 보호가스 금속 아아크 용접기는 대략 이와 대동소이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도 1에서, 전원(AC)에 접속된 용접기(V)는 용접전류를 공급하며 탄산가스(MIG 경우는 불활성가스, MAG 경우는 혼합가스)는 가스 봄베(gas bombe : B)에서 공급된다. 와이어(W)의 연속공급을 위해서는 와이어 피더(wire feeder : F)가 사용되는데, 와이어(W)는 이 와이어 피더(F)에 설치된 스풀(spool : S)에 감겨진 상태에서 와이어 송급장치(F)에 의해 토오치(torch : T)로 공급된다.
와이어 피더(F)는 용접작업의 편의를 위해 휴대 가능한 크기 및 중량으로 구성되어 용접기(V) 및 가스봄베(B)간에는 통상 수십m 길이의 전원케이블(P) 및 제어케이블(C)과 가스호스(G)로 연결된다.
전원케이블(P)로 공급된 용접전류는 와이어피더(F)에서 송급되는 와이어(W)에 접속되고, 가스호스(G)로 공급된 탄산가스등의 분위기가스는 토오치(T)에서 와이어(W)의 주위로 분사된다. 한편 제어케이블(C)는 와이어피더(F) 또는 별도의 제어기에서 용접기(V)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의 반자동용접기 구성에 있어서는 전원케이블(P)과 제어케이블(C) 그리고 가스호스(G)가 각각 별개로 구성되어 수십 m나 연장되므로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문제가 있었다.
즉 용접기(V)로부터 작업현장의 와이어 피더(F)까지 세 가닥의 케이블 및 호스(P, C, G)가 연장되므로 그 부피와 중량이 매우 클 뿐아니라, 선박건조나 철골구조물 등과 같이 대형 구조물을 건조하는 경우에는 다수의 용접작업이 동시에 진행되므로 작업현장에 각각 세 가닥인 다수의 케이블 및 호스(P, C, G)가 복잡하게 연장되어 안전사고 등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세 가닥의 케이블 및 호스(P, C, G)를 케이블 타이(cable tie)나 하네스(harness)등으로 결속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 경우는 용접기의 설치나 이동시 매우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한편 이러한 세 가닥의 케이블 및 호스(P, C, G)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피더(F)에 접속된다. 즉 전원케이블(P) 및 제어케이블(C)은 각각 커플러(coupler : K1, K2)를 통해, 그리고 가스호스(G)는 니플(nipple : N)을 통해 와이어 피더(F)의 접속부(L)에 접속되어 토오치(T)로 연결된다.
이와같이 케이블 및 호스(P, C, G)가 각각 독립적으로 접속되므로 이들 커플러(K1, K2)나 니플(N)이 분리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수십 m에 이르는 긴 경로에서 서로 독립적인 세 가닥의 케이블 및 호스(P, C, G)중의 어느 하나에 손상이나 누설이 발생된 경우에도 이를 발견해내기 매우 어렵다. 예를 들어 가스호스(G)가 니플(N)로부터 이탈되거나 그 연장경로상에서 손상이 발생되어 가스의 공급이 중단되거나 유량이 부족한 경우에도 그대로 용접이 진행되어 용접부에 결함이 발생되는 문제나, 제어케이블(C)이 분리되어 용접전류등이 부적절한 경우에도 전원케이블(P)이 접속되어 있으면 그대로 용접이 진행되는 문제 등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전원케이블(P)과 제어케이블(C), 그리고 가스호스(G)를 통합하여 취급과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여러 가지 제안들이 이루어진바 있다.
그 하나는 도 3에 도시된 구조인바, 이는 1987. 9. 5자 실용신안공고 제87-2569호로 개시된 용접용 케이블이다.
도 3에서, 케이블 조립체(11)는 그 중앙에 가스호스(G)가 배열되고 그 외측을 도전선(導電線 : 13)들로 이루어진 전원케이블(P)이 싸고 있으며, 다시 그 외측에 절연체(15)로 절연된 신호선(12)들이 제어케이블(C)을 이뤄 절연피복(14)으로 피복되어 있다. 여기서 가스호스(G)와 도전선(13)간에는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이 라이너(liner)로 삽입된다.
이와 같은 케이블 조립체(11)는 매우 컴팩트(compact)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근본적인 문제점을 안고 있어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 못하다.
즉 CO2용접 등 보호가스용접은 기본적으로 아아크 용접이므로 대전력이 필요한 바, 고전압 또는 고전류의 전원이 전원케이블(P)로 공급되지 않으면 안된다. 예를들어 일반적인 CO2용접에 사용되는 전원전압은 18 내지 52V 정도이지만 그 전류는 200 내지 500A의 매우 큰 대전류가 된다.
따라서 전원케이블(P) 주위에는 강한 자장이 형성되는 바, 도 3의 구성에서는 제어케이블(C)의 신호선(12)들이 얇은 층의 절연체(15)만을 이격하여 전원게이블(P)의 도전선(13)에 인접하므로 신호선(12)에 유도전류등에 의해 큰 잡음이 혼입되어 적절한 용접장치의 제어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큰 리플(ripple) 전류에 의해 용접장치에 손상이 야기되는 문제도 있던 것이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것은 1995. 5. 3자 본원인에 의해 1995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9333호로 출원된 용접케이블 조립체이다.
도 4에서, 동축(同軸)으로 배열된 가스호스(G) 및 제이케이블(C)은 8자형의 절연피복(14)에 의해 전원케이블(P)과 병렬로 배열되어 있다(16은 피복재임).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는 제어케이블(C)의 신호선(12)들이 파워케이블(P)의 도전선(13)들을 둘러싸지 않고 이와 충분히 이격되므로 신호케이블(C)에 잡음이 혼입(混入)되거나 리플전류가 발생하는 문제를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선출원 케이블조립체(11)는 단면이 원형이 아니라 8자형이므로 제조와 취급이 도 3의 구성에 비해 다소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케이블 조립체(11)들의 구성상의 문제는 제어케이블(C)이 지나치게 많은 신호선(12)들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이 신호선(12)은 일반직으로 9개 내지 12개로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이 다수의 신호선(12)들의 다발로 케이블조립체(11)의 제어케이블(C)이 구성되므로 이들이 상당한 단면적을 차지하게 되어 케이블조립체(11)의 부피와 중량이 커지고, 이에 따라 용접장치의 설치와 사용에 여러 가지 문제를 초래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신호선(12) 및 제어케이블(C)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들은 실제적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선의 다발에 불과하다.
도 5에는 I1 내지 I9의 신호(이하 신호선과 동일 부호를 혼용함)를 전송하는 9개의 신호선(12 : I1∼I9)으로 구성된 제어케이블(C)을 예시하고 있는 바, 이 제어케이블(C)은 작업자가 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와이어피더(도 1의 F)에서 수십 m 떨어진 용접기(도 1의 V)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도 5에 예시된 예에서, I1은 와이어(W)를 송급하는 송급모터(M)의 전원선으로 9-31V(기준 24V)가 인가되고, I2는 공통접지선(0V)이며, 13은 인칭(inching)시 송급모터(M)의 공회전을 위한 스위치선으로 15V가 인가되며, I4는 토오치(T)의 스위치선으로 24V가 인가되고, I5는 가스봄베(B)로부터의 가스공급을 차단하는 솔레노이드밸브(SOL)의 제어선으로 역시 24V가 인가된다. 나머지 신호선(I6∼I9)들은 각각 크레이터(crater) 유무선택이나 용접전압이나 송급모터(M)의 속도 제어를 위한 신호선들로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전위가 인가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제어케이블(C)의 각 신호선(12 : I1∼I9)들은 실제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개폐스위치의 전선을 수십 ㎜ 연장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이러한 신호(I1∼I9)들을 디지털화함으로써 종래의 제어케이블(C)의 신호선(12 : I1∼I9)들을 감소시켜 케이블 조립체(11)의 단면을 경감하고자 하는 아이디어가 종래 착안되지 않은 바는 아니지만, 근본적으로 각 신호선(12 : I1∼I9)의 사용전위가 서로 다를 뿐아니라, 다수의 릴레이와 솔레노이드등이 필요하게 되어 그 원가가 크게 상승되고 실제적으로 릴레이나 솔레노이드 등으로 구성되는 스위치들을 구동할만한 전력의 송출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어 당분야에서 아직껏 디지털 제어시스템이 제안되거나 실용화된 바 없다.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제어시스템은 하나 또는 수개의 신호선만으로 와이어 피더로부터 용접기를 원격제어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반자동 탄산가스 용접기의 일반적인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도 2는 종래의 접속방식에 있어서, 케이블 및 호스의 접속부위를 보이는 요부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용접케이블 조립체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 4는 본원인의 선출원 용접케이블 조립체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제어시스템을 보이는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 제어시스템을 보이는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서 제어신호의 바람직한 형태를 보이는 파형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어신호의 더욱 바람직한 형태를 보이는 파형도,
도 9a 및 b는 각각 본 발명에 의해 달성가능한 용접케이블 조립체의 구성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V : 용접기 F : 와이어 퍼더(wire feeder)
11∼19 : 제어신호 110 : 시리얼(serial)신호
CPU1 : 송출(送出)제어부 CPU2 : 수신제어부
A/D : A/D 변환부 D/A1∼D/A3 : D/A 변환부
P/S : 병직렬변환부 S/P : 직병렬변환부
AMP1,AMP2 : 증폭부
상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제어시스템은 복수의 제어신호를 A/D 변환하는 A/D 변환부와, A/D변환된 디지틸 신호를 시분할하여 시리얼(serial)신호로 송출하는 송출제어부가 와이어피더에 구비되고, 송출제어부로부터 신호선을 따라 인가된 시리얼신호를 패럴렐(parallel)신호로 재생하는 수신제어부와, 이 수신제어부로부터의 재생신호를 D/A변환하는 D/A변환부와, 이 D/A변환부로부터의 아날로그(analog)신호를 소요전위로 증폭하는 증폭부를 용접기에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구성은 와이어 피더로부터 송출된 패럴렐 상태의 아날로그신호를 용접기에서 그대로 재현하게 되므로, 기존의 와이어피더 및 용접기에 본 발명 제어시스템을 부가하는 것만으로 기존의 와이어피더와 용접기 자체의 구성을 변경하거나 릴레이 또는 솔레노이드 등의 고가의 제어요소를 부가할 필요가 없게 된다.
또한 제어케이블의 신호선을 수개 내지 1개로 대폭적으로 절감할 수 있게 되어 케이블 조립체의 단면을 매우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6에서, 본 발명에 의한 제어시스템은 와이어피더(F)에 구비된 송출부와 용접기(V)에 구비된 수신부가 제어케이블(C)의 (바람직하기로 하나의) 신호선(2)으로 연걸되어 구성된다.
송출부와 수신부는 바람직하기로 각각 한 카아드형태의 회로기판상에 구성되어 도 1등에 도시된 와이어피더(F)와 용접기(V)에 각각 결합구성되는 바, 이에 따라 종래의 와이어피더(F) 및 용접기(V)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요소의 변경이나 부가가 전혀 필요없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제어시스템은 와이어피더(F)의 송출부 전단의 제어신호(I1∼I6)를 용접기(V)의 수신부 후단에서 그대로 재현하여야 하는 바, 이하 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와이어피더(F)의 송출부를 살펴보면 9개의 패럴렐 상태인 아날로그신호들인 제어신호(I1∼I6)들은 A/D변환부(A/D)를 통해 디지털 신호(I1'∼I9')로 변환된다. 여기서 제어신호(I1∼I6)들은 9V∼31V, 15V나 24V등의 각각의 전위를 가지거나 A/D번환부(A/D)로 출력되는 디지털 신호(I1'∼I9')의 전위는 디지털 IC의 출력전위인 0V 또는 5V의 값을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은 디지털 신호(I1'∼I9')들은 송출제어부(CPU1)로 입력되어 시리얼신호로 변환되는데, 바람직하기로 송출제어부(CPU1)는 래치(latch)부(LC1)와 병직렬변환부(P/S)를 구비한다.
래치부(LC1)는 송출제어부(CPU1)의 내부 클럭에 따라 A/D변환부(A/D)로부터의 디지털 신호(I1'∼I9')들의 통과를 소정의 타이밍(timing)에 따라 교호적으로 래칭(latching)함으로써 시분할하게 된다.
이와 같이 시분할된 디지털 신호(I1'∼I9')들은 병직렬변환부(P/S)를 통해 일련의 시리얼신호(110)로 변환하여 신호선(2)으로 송출된다.
여기서 래치부(LC1)에서의 디지털 스위칭에 의해 시분할된 디지털 신호(I1'∼I9')들은 병직렬변환부(P/S)에서 그대로 합성되어 도 7과 같은 시리얼신호(I10)를 형성할 수 있다.
도 7에서, 시리얼신호(I10)는 래치부(LC1)에서의 시분할에 따라 제 1신호로부터 제9신호까지 순차적으로 반복되는데, 바람직하기로 각 신호의 전단에는 이 구분을 용접기(V)의 수신부에 인식시키기 위한 개시펄스가 부가되고, 개시펄스에 이어 각 제어신호(I1∼I6)에 대응하는 신호펄스들이 따르게 된다.
여기서 제어신호(I1∼I6)의 크기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펄스의 개수로서 나타나거나 (PCM방식), 또는 신호펄스의 폭으로 나타날 수 있다.(PWM방식).
도 7에서는 모든 제어신호(I1∼I9)를 D/A변환하여 시리얼전송하는 것으로 전제하고 있으나, 소요전력이 커지는 경우에는 이를 수신부에서 A/D 재생하여 증폭한다고 하더라도 제어에 필요한 충분한 전력을 얻기 곤란한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어느 한 신호(I1∼I9), 예를 들어 송급모터(M)의 전원선(I1)의 전위를 기준전위로 하고, 도 7의 시리얼신호(I10)를 이 기준전위에 신호전위로 부가하여 전송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러한 도 8의 전송방식은 높은 전위(9∼31V)의 기준전위를 반송파(盤松波)로 하여 낮은 전위(0 또는 5V)의 신호전위를 전송하는 방식으로 기준전위에 의해 고전력을 재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시 도 6으로 돌아가, 신호선(2)의 전후단에는 각각 필터부(FT1, FT2)가 구비되어 신호선(2)에 인접한 전원케이블(P : 도 6에는 도시안됨)등으로부터의 잡음의 혼입을 차단하고 전류의 역류등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케이블(C)에 대한 주된 잡음원(源)은 전원케이블(P)이 되는 바, 이는 전원케이블(P)에 대전력이 통과하기 때문이다. 이때 잡음 또는 리플(ripple)전류의 주기는 주로 전원케이블(P)을 통과하는 전류의 주기(예를 들어 60㎐)의 정수배가 된다.
이에 따라 시리얼신호(I10)의 진송주파수, 즉 제어신호(I1∼l9)를 A/D변환하는 샘플링(sampling)주파수를 고주파로 할수록 제어신호(I1∼I9)의 정확한 전송이 가능하게 되며, 전력재생에도 유리하게 된다.
바람직하기로 시리얼신호(I10)의 전송주파수는 1000㎐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기로 9000Hz 이상이 된다.
용접기(V)측의 수신부에는 신호선(2)을 통해 시분할 전송된 시리얼신호(I10)를 다시 패럴렐상태의 복수의 제어신호(I1∼I9)들로 직병렬변환하여 재생하는 수신제어부(CPU2)가 구비된다.
수신제어부(CPU2)는 시리얼신호(I10)의 개시펄스에 동기되어 신호펄스들을 직병렬 변환하는 직병렬변환부(S/P)와, 여기서 변환된 단속적 신호들을 연속된 신호로 래칭하여 재생하는 래치부(LC2)를 구비한다.
수신제어부(CPU2)에서 재생된 제어신호(I1∼I9)는 패럴렐상태의 디지털 신호인바, 그 후방에는 이를 아날로그신호로 재생하는 D/A변환부(D/A1∼D/A3)가 구비된다.
그런데 디지털 제어에 사용되는 IC등의 구동전위는 0∼5V이므로 D/A변환부(D/A1∼D/A9)에서 재생된 제어신호들은 그 파형만 최초의 제어신호(I1∼I9)와 동일할뿐 그 최고전위는 5V가 된다.
이에 따라 D/A변환부(D/A1∼D/A3)의 후방에는 증폭부(AMP1, AMP2)가 구비되어, 제어신호를 소요전위가 되도록 증폭함으로써 원래의 제어신호(I1∼I9)를 재현해내게 된다.
여기서 제어신호(I1∼I9)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단일한 전위가 아니라 9-31V(송급모터(M)의 전원), 15V(인칭등) 또는 24V(솔레노이드 밸브(SOL) 제어등)등 사용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 전위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증폭부(AMP1, AMP2) 역시 제어신호(I1∼I9)의 사용전위에 따라 서로 다른 증폭전위의 복수의 증폭부(AMP1, AMP2)들로 분리구성되고, D/A변환부(D/A1∼D/A3)도 각 증폭부(AMP1, AMP2)에 따라 분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와이어피더(F)의 송출부 전단에서의 제어신호(I1∼I9)를 용접기(V)의 수신부 후단에서 그대로 재현해낼수 있게 되므로 송출부와 수신부를 각각 카드형태의 회로기판으로 구성하면, 다른 기구적 구성을 변경하거나 추가할 필요없이 종래의 와이어피더(F)와 용접기(V)에 본 발명 제어시스템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멍 시스템의 적용에 의한 가장 큰 효과로는 케이블 조립체의 전원케이블의 신호선의 수를 수개 내지 1개로 크게 감소시킬수 있게 되는 바, 이에 따라 도 9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케이블 조립체의 구성을 채택할 수 있게 된다. 이들은 각각 동일자 출원되는 용접케이블 조립체(실용신안등록출원번호 추후보정)로 개시되는 것들이다.
먼저 도 9a에서, 케이블 조립체(1)는 절연피복(4)내에 고리형으로 배열된 도전케이블(3)로 구성되는 전원케이블(P)내에 가스호스(G)가 배열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어케이블(C)의 신호선(2)이 수개로, 도시된 실시예에서 3개로 감소되므로 제어케이블(C)은 가스호스(G)내에 배열될 수 있게 된다(5는 신호신(2)을 피복하는 절연체임).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제어케이블(C)이 별도의 면적을 차지하지 않으므로 케이블 조립체(1)의 단면이 크게 감소되고, 고전력이 통과하여 큰 자장을 형성하는 전원케이블(P)에서 자장이 서로 상쇄되는 그 내부에 제어케이블(C)이 배열되므로 자장에 의한 잡음혼입등의 우려가 없게 된다.
한편 도 9b에서는 제어케이블(C)이 하나의 신호선(2)으로 구성되는 바, 이에따라 별도의 절연체(도 9a의 5) 피복없이 신호선(2)은 한 나선(裸線)으로 구성될 수 있어 그 구성이 더욱 간략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블 조립체의 구성을 극히 단순하게 하여 취급과 사용이 간편하며 정확한 제어가 가능할뿐 아니라, 기존의 용접장치에 그대로 부가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제어시스템이 제공된다.

Claims (10)

  1. 제어케이블을 통해 와이어 피더로부터 용접기로 복수의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용접상태를 제어하는 반자동 용접기의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신호를 A/D변환하는 A/D변환부와, A/D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시분할하여 시리얼신호로 송출하는 송출제어부가 상기 와이어피더에 구비되고, 상기 송출제어부로부터 상기 제어케이블을 따라 인가된 상기 시리얼신호를 패럴렐신호로 재생하는 수신제어부와, 상기 수신제어부로부터의 재생신호를 D/A변환하는 D/A변환부와, 상기 D/A변환부로부터의 아날로그신호를 소요 전위로 증폭하여 상기 제어신호를 재생하는 증폭부가 상기 용접기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용접기의 제어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D변환부 및 송출제어부와, 상기 수신제어부 및 D/A 변환부 및 증폭부가 각각 카드형태의 회로기판상에 구성되어 상기 와이어피더 및 용접기에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용접기의 제어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출제어부가, 상기 A/D변환된 디지털 신호를 소정의 타이밍으로 래칭하는 래치부와, 상기 래치부에서 래칭된 신호를 상기 시리얼신호로 병직렬변환하는 병직렬변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용접기의 제어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제어부가 상기 시리얼신호를 직병렬변환하는 직병렬변환부와, 이로부터 변환된 신호들을 연속된 신호로 래칭하는 래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용접기의 제어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증폭부가 상기 제어신호의 사용전위에 따라 복수로 분리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용접기의 제어시스템.
  6. 제 1항 또는 제 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D/A변환부가 상기 증폭부에 따라 복수로 분리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용접기의 제어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리얼신호가 상기 제어신호중의 어느 하나를 기준전위로 하여 신호전위를 부가한 형태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용접기의 제어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리얼신호의 전송주파수가 1000Hz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용접기의 제어시스템.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시리얼신호의 전송주파수가 900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용접기의 제어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케이블의 신호선이 하나 또는 수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자동 용접기의 제어시스템.
KR1019970007633A 1997-03-07 1997-03-07 반자동 용접기의 제어장치 KR100253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633A KR100253659B1 (ko) 1997-03-07 1997-03-07 반자동 용접기의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7633A KR100253659B1 (ko) 1997-03-07 1997-03-07 반자동 용접기의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2701A true KR19980072701A (ko) 1998-11-05
KR100253659B1 KR100253659B1 (ko) 2000-04-15

Family

ID=19499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7633A KR100253659B1 (ko) 1997-03-07 1997-03-07 반자동 용접기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36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2608B1 (ko) * 2014-04-29 2015-01-15 이병주 용접와이어 오토피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8169A (ja) * 1983-09-21 1985-04-1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溶接機
JPS6083780A (ja) * 1983-10-14 1985-05-13 Shindaiwa Kogyo Kk 溶接機遠隔制御装置
JPS6233068A (ja) * 1985-07-31 1987-02-13 Shin Meiwa Ind Co Ltd 溶接ロボットの制御装置における溶接電流溶接電圧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3659B1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248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ly controlling a welding system
US20180021873A1 (en) Welding system with power line communication
CN102596477B (zh) 远程焊接系统及悬架式操纵台
AU20052007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welding with multiple arcs
US20060027546A1 (en) Remotely controlled welding machine
NO20013170L (no) Apparat og fremgangsmate for sammensveising av ror
AU650208B1 (en) Flux cored arc welding electrode
DE69320550T2 (de) Mechanismus und Verfahren zum Steuern der Energieversorgungseinheit und/oder Hilfseinheiten einer Schweissmaschine mit Hochfrequenzsignalen
KR101073745B1 (ko) 용접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30184B1 (ko) 이산화탄소가스 용접기의 2라인 제어장치
IT234539Y1 (it) Torcia per saldatura a filo continuo con dispositivo di attacco del cavo a giunto sferico
KR100253659B1 (ko) 반자동 용접기의 제어장치
AU4111193A (en) Welding electrodes for producing low carbon bainitic ferrite weld deposits
KR100261027B1 (ko) 반자동 용접기의 제어시스템
KR101014254B1 (ko) 와이어 송급장치 부착용 통신장치
KR200170059Y1 (ko) 용접케이블 조립체
DE69432780D1 (de) Inertgaslichtbogenschweissdraht für temperaturbeständigen hochchromhaltigen ferritischen stahl
DE69815676D1 (de) Verbesserungen an oder mit bezug auf schweissdrahtvorschubgeräte
KR101665323B1 (ko) 용접기의 제어장치
KR19980060062U (ko) 용접케이블 조립체
KR0124083Y1 (ko) 용접 케이블 조립체
EP1015160B1 (en) Simplified command and control device for a coupling-welding machine for metal pipes in which the machine is inserted
JPH038583A (ja) パルスアーク溶接装置
CA2245655C (en) Simplified command and control device for a coupling-welding machine for metal pipes in which the machine is inserted
JPH09220664A (ja) アーク溶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