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9226A - 영지버섯 노랑병 방제약제 - Google Patents

영지버섯 노랑병 방제약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9226A
KR19980069226A KR1019970006173A KR19970006173A KR19980069226A KR 19980069226 A KR19980069226 A KR 19980069226A KR 1019970006173 A KR1019970006173 A KR 1019970006173A KR 19970006173 A KR19970006173 A KR 19970006173A KR 19980069226 A KR19980069226 A KR 19980069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noderma lucidum
vinclozoline
yellow
ganoderma
control ag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6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3525B1 (ko
Inventor
조광연
최경자
이종규
김병섭
Original Assignee
이서봉
재단법인 한국화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서봉, 재단법인 한국화학연구소 filed Critical 이서봉
Priority to KR1019970006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3525B1/ko
Publication of KR19980069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9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3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35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7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3
    • A01N43/781,3-Thiazoles; Hydrogenated 1,3-th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01,3-Diazoles; Hydrogenated 1,3-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9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10Carbamic acid derivatives, i.e. containing the group —O—CO—N<; Thio analogues thereof
    • A01N47/18Carbamic acid derivatives, i.e. containing the group —O—CO—N<; Thio analogues thereof containing a —O—CO—N< group, or a thio analogue thereof, directly attached to a heterocyclic or cycloaliphat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5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cyclopropane 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300/00Combinations or 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covered by classes A01N27/00 - A01N65/48 with other active or formulation relevant ingredients, e.g. specific carrier materials or surfactants, covered by classes A01N25/00 - A01N65/4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영지버섯은 동양에서 오랜 옛날부터 각종 질병에 유효한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는 약용버섯으로 알려져 왔다. 그리고 최근에는 약용으로 뿐만 아니라 건강음료의 주원료로도 이용되기 때문에 대량으로 수요되고 있으며 앞으로 이 시장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국내에서는 1980년대 중반부터 하우스내에서 인공적으로 영지버섯을 재배하기 시작하여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매년 늘어나고 있으며 UR협정 체결 이후에는 농가에서 고소득 대체작목으로 더욱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1980년대 후반부터 강화, 신탄진 등지의 영지 버섯 재배하우스내에서 발생하기 시작한 영지버섯 노랑병은 매년 발생율이 늘어나 전국적으로 확대되고 있으며, 병이 심한 강화, 신탄진 등의 지역에서는 폐농하는 사태까지 벌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영지 재배시 발생하여 큰 피해를 주고있는 영지 노랑병 방제를 위하여 영지 노랑병에 대하여 방제효과가 있는 농약 조성물 빈클로졸린, 트리포린, 트리사이클라졸, 프로시미돈, 이마잘릴, 누아리몰, 캡타폴, 만코제브, 플루아지남, 트리아디메폰, 트리플루미졸, 다이클로플루아니드, 프로클로라츠, 프로피네브, 디티올란, 피시엔비, 클로로탈로닐, 이프로디온, 베노밀, 플루실라졸, 트리클라미드, 티오페네이트 메틸에 관한 것이다. 이들은 단제 및 합제로서 영지 노랑병 방제제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들중 빈클로졸린, 트리포린, 트리사이클라졸, 프로시미돈, 이마잘릴은 영지의 생장에도 영향이 적어 영지노랑병 방제제로 사용이 가능하다. 이중 특히 빈클로졸린은 실내실험뿐만 아니라 영지재배 포장에서도 영지 노랑병에 대해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Description

영지버섯 노랑병의 방제약제
본 발명은 영지버섯 노랑병의 방제 약제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히는 영지버섯 재배시에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영지버섯 노랑병을 방제하기 위하여 빈클로졸린, 트리포린, 트리사이클라졸, 프로시미돈, 이마잘릴, 누아리몰, 캡타폴, 만코제브, 플루아지남, 트리아디메폰, 트리플루미졸, 다이클로플루아니드, 프로클로라츠, 프로피네브, 디티올란, 피시엔비, 클로로탈로닐, 이프로디온, 베노밀, 플루실라졸, 트리클라미드 및 티오페네이트 메틸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또는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영지버섯 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영지버섯은 서양에서는 온대지역의 수목, 주로 참나무류, 밤나무류, 복숭아나무류 등의 고사한 활엽수에서 자라면서 목재를 부패시키는 목재 부후담자균의 일종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중국, 일본, 우리나라 등 동양에서는 오래 전부터 영지버섯을 백병에 듣는 선약, 불로장생의 영약으로 알려져 불로초라 불렀으며, 한방 및 민간에서 재래약물요법으로 활용되어 왔다. 그리고 오늘날 지금까지 막연하게 알려진 영지버섯의 효능이 점차 과학적으로 입증되면서 차세대 성인병 예방약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따라서 영지는 대량으로 수요되고 있다. 국내에서는 1980년대 중반부터 하우스내에서 인공적으로 영지버섯을 재배하기 시작하여 재배면적과 생산량이 매년 늘어나고 있으며 UR협정 체결 이후에는 농가에서 고소득 대체 작목으로 더욱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영지버섯의 인공재배기술은 많이 개발되어 있으나 인공재배시에 발생되는 병해를 방제하는 기술은 취약한 상태이다. 1980년대 후반부터 강화, 신탄진 등지의 영지버섯 재배 하우스내에서 발생하기 시작한 영지 노랑병은 매년 발생률이 늘어나고 있으며 병 발생이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고 병이 심하게 진전된 경우에는 폐농하는 사태까지 벌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영지 노랑병에 대한 연구 중에 노량병 병반으로부터 선택배지를 사용하여 원인균을 순수분리하였으며, 이 병원균을 인공적으로 접종하여 병원성 실험을 한 결과 분리한 균이 노랑병을 일으킨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그리고 이 병의 원인균은 자낭균류에 속하는 Xylogone sphaerospora임을 학회에 보고하였는데, 이것은 우리나라에서는 음으로 보고되는 진균이며 영지버섯 재배시에 문제가 되는 노랑병 병원균으로는 세계적으로도 처음인 결과이다. 그러므로 이 병에 대한 피해가 급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지 노랑병 방제를 위한 농약에 대한 연구는 전혀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자들은 이 병의 신속하고 정확한 방제를 위하여 예의 연구한 바, 영지버섯은 담자균류이고 노랑병균은 자낭균류로 분류학상 둘 다 곰팡이이므로 방제약제는 선택성을 가져야 하는 것에 주목하여 각종 약제를 스크리닝한 바, 빈클로졸린, 트리포린, 트리사이클라졸, 프로시미돈, 이마잘릴, 누아리몰, 캡타폴, 만코제브, 플루아지남, 트리아디메폰, 트리플루미졸, 다이클로플루아니드, 프로클로라츠, 프로피네브, 디탄올란, 피시엔비, 클로로탈로닐, 이프로디온, 베노밀, 플루실라졸, 트리클라미드, 티오페네이트 메틸에서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이 영지노랑병균을 죽였으며, 이중 특히 빈클로졸린, 트리포린, 트리사이클라졸, 프로시미돈, 이마잘릴은 영지버섯의 생장과 자실체 형성에는 거의 영향이 없으며 영지 노랑병균만을 선택적으로 죽이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영지버섯은 담자균류이고 노랑병균은 자낭균류로 양자 모두 곰팡이류에 속한다. 따라서, 임의의 방제약제를 사용하면 담자균류인 영지버섯과 자낭균류인 노랑병균을 함께 죽이거나, 심지어는 영지버섯만을 죽이는 결과에 이른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담자균류인 영지버섯과 자낭균류인 노랑병균은 양자 곰팡이이므로 이론적으로 선택성을 밝히는 것은 곤란하여 모든 방제약제를 시험에 의하여 확인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자는 입수가능한 모든 약제를 사용하여 확인하여 본 결과, (RS)-3-(3,5-디클로로페닐)-5-메틸-5-1,3-옥사졸리딘-2,4-디온 (빈클로졸린), N,N'-[피페라진-1,4-디일비스[(트리클로로메틸렌]]디포름아미드 (트리포린), 5-메틸-1,2,4-트리아졸로[3,4-b][1,3]벤조티아졸(트리사이클졸), N-(3,5-디클로로페닐)-1,2-디메틸시클로프로판-1,2-디카르복스이미드 (프로시미돈), 알릴 1-(2,4-디클로로페닐)-2-이미다졸-1-일 에틸에테르(이마잘릴), 3-(3,5-디클로로페닐 이소프로필-2,4-디옥소이미다졸리딘-1-카르복스이미드 (이프로디온), 메틸 1-(부틸카르바일)-벤즈이미다졸-2-일카르바메이트 (베노밀), 비스(4-플루오로페닐)(메틸)(1H -1,2,4-트리-1-일메틸)실란 (플루실라졸), RS)-N-(1-부톡시-2,2,2-트리클로로에틸)살리실아미드 (트리미드), 디메틸 4,4'-(o-페닐렌)비스(3-티알로파네이트) (티오페네이트 메틸), (E)-4-클로로-α-트리플루오로-N(1-이미다졸-1-일-2-프로폭시에틸리덴)-o-톨로이딘 (트리플루미졸), 디로플루오로메틸티오-N',N'-디메틸-N-페닐술파미드(디클로플루아미드), N-프로필-N-[2-트리클로로페녹시)에틸]이미다졸-1-카르복스이미드 (프로클로라츠), 폴리메릭 징크 프로필렌-비스(디티오카르바메이트) (프로피네브), 5,10-디히드로-5,10-디옥소나프톨[2,3-b]-1,4-디티온-2,3-디카르보니트릴 (디치아논), 펜타클로로니트로벤젠 (피시엔비), 테트라클로로이소프탈로니트릴 (클로로탈로닐), (±)-2-클로로-4'-플루오로-α-(피리미딘-5-일)벤즈히드릴 알코올 (누아리몰), N-(1,1,2,2-테트라클로로에틸티오)시클로헥스-4-엔-1,2-디카르복스이미드 (캡타폴), 망간 에틸렌비스(디티오카르바메이트) (폴리메릭)의 아연 착체 (만코제브), 3-클로로-N-(3-클로로-5-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α,α,α-2,6-디니트로-ρ-톨루이딘 (플루아지남) 및 1-(4-클로로페톡시)-3,3-디메틸-1-(1H-1,2,4-트리아졸-1-일)부타논 (트리아디메폰)은 영지노랑병균을 잘 죽이며, 특히 (RS)-3-(3,5-디클로로페닐)-5-메틸-5-비닐-1,3-옥사졸리딘-2,4-디온 (빈클로졸린), N,N'-[피페라진-1,4-디일비스[(트리클로로메틸)메틸렌]]디포름아미드 (트리포린), 5-메틸-1,2,4-트리아졸로[3,4-b][1,3]벤조티아졸(트리사이클라졸), N-(3,5-디클로로페닐)-1,2-디메틸시클로프로판-1,2-디카르복스이미드 (프로시미돈), (±)-알릴 1-(2,4-디클로로페닐)-2-이미다졸-1-일 에틸에테르 (이마잘릴)은 선택적으로 영지 노랑병균을 방제하고, 영지 버섯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러한 약제들은 현재 시판중의 공지의 약제이나, 영지의 노랑병에 사용하였다는 보고는 없다.
상기 약제들을 영지버섯 종균 배양용 배지(원목)을 종균 배양전에 일정 농도로 분부하거나, 침지하고 원목에 종균을 배양하거나, 또는 이미 재배한 원목에 분무하여 농랑균의 방제를 실시한다.
또한, 상기 약제의 사용량은 영지버섯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이다. 시험에 의하면 약제성분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으나, 일반적으로 2~250 ppm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2~50 ppm이다.
상기 약제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로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의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시험관내에서 기존 살균제 39종에 대하여 영지와 영지 노랑병균에 대한 균사생장억제실험을 수행하였다. 살균된 영양한천배지에 시험하고자 하는 약제의 각 농도가 되도록 약제를 첨가하여 직경 9cm의 페트리디쉬에 약제영양배지를 만든다. 이 배지의 중앙에 직경 8mm의 균사조각을 올려놓고 25℃ 항온기에서 배양하여 약제 무처리구의 균의 생장과 비교하여 억제정도를 조사하였다. 약제 무처리구의 균총이 약제배지를 완전히 덮기 직전에 캘리퍼를 사용하여 균총의 크기를 측정하였다. 기존 살균제 39종에 대하여 실험을 수행한 결과 영지노랑병균을 죽이는 살균제는 22종이었다(표 1). 그 중 5종은 영지보다 영지병원균을 더 효과적으로 죽이는 살균제였으며(표 2, 3, 4, 5, 6), 특히 빈클로졸린은 영지의 균사생장에는 거의 영향이 없으며 영지병원균만을 선택적으로 죽이는 살균제였다(표 2). 그리고 빈클로졸린과 이마잘릴, 빈클로졸린과 트리포린의 합제도 또한 우수한 방제효과가 있었다(표 7, 8). 따라서 빈클로졸린은 우리의 선발기준에 가장 적합하여 영지 노랑병에 대한 포장시험을 수행하였다. 빈클로졸린은 현재 놀란이라는 상품명으로 비닐하우스 재배시 발생하는 잿빛곰팡이병 방제약제로 등록되어 있다. 그러나 빈클로졸린이 영지 노랑병균(Xylogone sphaerospora)을 죽인다는 사실은 전혀 보고된 바 없으며, 영지 노랑병 방제제로서의 용도에 대한 보고 또한 전무하다.
[표 1] 영지노랑병균에 대한 억제율(%, 평균)
[표 2] 빈클로졸린의 균사생장 억제율(%, 평균)
[표 3] 이마잘릴의 균사생장 억제율(%, 평균)
[표 4] 프로시미돈의 균사생장 억제율(%, 평균)
[표 5] 트리포린의 균사생장 억제율(%, 평균)
[표 6] 트리사이클라졸의 균사생장 억제율(%, 평균)
[표 7] 빈클로졸릴(A)과 이마잘릴(B) 합제의 균사생장 억제율(%, 평균)
[표 8] 빈클로졸린(A)과 트리포린(B) 합제의 균사생장 억제율(%, 평균)
[실시예 2]
빈클로졸린을 1000pm 용액으로 제조한 후, 영지가 활착된 원목을 약제용액에 2시간 동안 침지한 후 꺼내어 풍건시켰다. 영지노랑병 병반으로부터 분리한 원인균을 영지버섯 종균배양용 배지에 접종하여 25-27℃의 배양기에서 약 3주일 정도 균사가 충분히 생장하도록 하였으며, 이 균사체를 포장시험의 접종원으로 사용하였다. 약제처리하여 풍건시킨 영지 원목폿트 위에 준비한 접종원을 50ml 씩 놓고 얇게 펴서 접종하고 원목폿트 위에 모래를 덮고 가습하면서, 영지의 자실체가 형성되도록 관리하였다. 실험한 원목중 자실체가 형성된 원목의 백분율을 조사하였다.
[표 9] 영지 노랑병에 대한 방제효과(%, 평균)
약제를 침지한 경우에는 원목폿트 중 57%에서 영지버섯이 형성되었으나 약제무처리구에서는 노랑병이 발생하여 원목폿트 전체의 영지가 썩어 영지버섯 자실체가 전혀 형성되지 못하였다(표 9). 상기 포장실험으로부터 빈클로졸린은 영지노랑병에 대해 방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영지를 2년 동안 재배한 포장으로 영지 노랑병이 발생하기 시작하였으나 아직 심하지 않은 포장에 약제를 처리하여 병 방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상품으로 시판되는 빈클로졸린 500ppm이 되도록 약제용액을 만든 후에 물뿌리게를 사용하여 영지 원목폿트 위에 모래가 젖도록 흠뻑 분무하였다. 약제는 2회 처리하였는데, 1차 약제처리는 1차 영지 수확 직후인 7월 20일에 그리고 2차는 2차 영지 수확 후의 월동직전인 10월 16일에 실시하였다. 그리고 월동한 후 다음해에 원목폿트 중 자실체를 형성한 것의 밴분율을 조사하였다.
[표 10] 영지노랑병에 대한 방제효과(%, 평균)
약제 무처리구에서는 영지 원목폿트 중 49%가 영지 자실체를 형성하였으나 빈클로졸린 분무처리구에서는 82%에서 영지가 형성되었다. 그러므로 빈클로졸린의 방제가는 65%였다(표 10). 상기 시험으로부터 빈클로졸린은 강력한 영지 노랑병 방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제 약제를 사용하면 영지 버섯에 영향을 주지 않고, 영지 노랑병을 유효하게 방제할 수 있다.

Claims (7)

  1. 빈클로졸린, 트리포린, 트리사이클라졸, 프로시미돈, 이마잘릴, 누아리몰, 캡타폴, 만코제브, 플루아지남, 트리아디메폰, 트리플루미졸, 다이클로플루아니드, 프로클로라츠, 프로피네브, 디탄올란, 피시엔비, 클로로탈로닐, 이프로디온, 베노밀, 플루실라졸, 트리클라미드 또는 티오페네이트 메탈로부터 선택된 것을 유효량으로 함유하는 영지 노랑병의 방제 약제.
  2. 제1항에 있어서, 약제 성분중 선택된 2종 이상을 함유하는 방제 약제.
  3. 제1항에 있어서, 약제성분이 빈클로졸린, 트리포린, 트리사이클라졸, 프로시미돈 또는 이마잘릴으로부터 선택된 것이 특징인 방제 약제.
  4. 제3항에 있어서, 방제 약제가 빈클로졸린, 트리포린, 트리사이클라졸, 프로시미돈 또는 이마잘릴으로부터 선택된 2종 이상으로 배합된 방제 약제.
  5.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처리 약제의 농도가 2~250 ppm인 것이 특징인 방제 약제.
  6. 제5항에 있어서, 처리 약제의 농도가 2~50 ppm인 것이 특징인 방제 약제.
  7. 영지의 생장에는 거의 영향이 없으나 영지 노랑병균에 대하여는 생장억제효과 및 방제효과가 있는 빈클로졸린의 영지 노랑병 방제제로서의 용도.
KR1019970006173A 1997-02-20 1997-02-20 영지버섯 노랑병 방제약제 KR100223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173A KR100223525B1 (ko) 1997-02-20 1997-02-20 영지버섯 노랑병 방제약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6173A KR100223525B1 (ko) 1997-02-20 1997-02-20 영지버섯 노랑병 방제약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9226A true KR19980069226A (ko) 1998-10-26
KR100223525B1 KR100223525B1 (ko) 1999-10-15

Family

ID=19498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6173A KR100223525B1 (ko) 1997-02-20 1997-02-20 영지버섯 노랑병 방제약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35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29774A1 (en) * 2009-11-19 2013-05-23 The Director Of Chungcheongbuk-Do Agricultut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Novel xylogone ganodermophthora strain with antifungal activity, and composition including same for preventing plant diseas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129774A1 (en) * 2009-11-19 2013-05-23 The Director Of Chungcheongbuk-Do Agricultut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Novel xylogone ganodermophthora strain with antifungal activity, and composition including same for preventing plant diseases
US8591911B2 (en) * 2009-11-19 2013-11-26 The Director Of Chungcheongbuk-Do Agricultutal Research And Extension Services Xylogone ganodermophthora strain with antifungal activity, and composition including same for preventing plant diseas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3525B1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59245B2 (ja) トリコデルマの新規な分離菌、この分離菌を含有する殺菌組成物、並びにb.シネレアおよびs.スクレロチオルムに対するその使用
CN106508970B (zh) 一种复配杀菌组合物及其应用
CN111296466B (zh) 一种防治果树苗传病虫害的涂干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8353708B (zh) 一种西番莲茎基腐病的防治方法
CN109247176A (zh) 一种果树弱寄生病害绿色防控方法
KR20060015600A (ko) 항균ㆍ항바이러스 조성물
RU2216173C2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препарата для предпосевной обработки семян и вегетирующих растений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культур, плодовых деревьев и ягодных кустарников
KR102068090B1 (ko)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를 이용한 식물의 생육촉진용 조성물 및 그 용도
EP3666074A1 (en) Adjuvant composition, method of producing the adjuvant composi-tion and uses thereof
CN109805019A (zh) 杀真菌组合物及其应用
Smalley Benomyl for Practical Control of Dutch Elm Disease EB Smalley, CJ Meyers, RN Johnson, BC Fluke, and R. Vieau Professor and Research Specialist, respectively, Department of Plant Pathology, University of Wisconsin, Madison 53706; Village Forester, Village of River Hills, 7650 N. Pheasant Lane, Milwaukee 53217; Forestry Technician, Department of Public Works, Bureau of Forestry, City of Milwaukee, Milwaukee 53202; City
TW201041497A (en) Method for plant sterilization and insect elimination
CN114617127B (zh) 一种农药杀菌组合物及其应用
CN106508937B (zh) 一种含环酰菌胺和中生菌素的杀菌组合物及其应用
KR100223525B1 (ko) 영지버섯 노랑병 방제약제
JPH05262614A (ja) 生物的防除剤の製法
CN107372548A (zh) 含有克菌丹和氟唑环菌胺的农药组合物及其用途
CN109699665B (zh) 一种含有克菌丹的种衣剂及其应用
CN107242238B (zh) 异氰尿酸在防治玉米顶腐病中的应用
TW201427595A (zh) 一種防除樹木褐根病之組成物及方法
Shukla et al. Chemical control of blossom blight disease of sarpagandha caused byColletotrichum capsici
CN114342959B (zh) 一种同时防治黄瓜瓜蚜及黄瓜细菌性角斑病的组合物
EP0544039A1 (en) Production of enhanced biocontrol agents
Gea et al. Effectiveness of compost tea from spent mushroom substrate on dry bubble (Lecanicillium fungicola).
KR102048071B1 (ko) 벼 병충해 방지용 발포성 방제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