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8981U - 수족관 - Google Patents

수족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8981U
KR19980068981U KR2019980018418U KR19980018418U KR19980068981U KR 19980068981 U KR19980068981 U KR 19980068981U KR 2019980018418 U KR2019980018418 U KR 2019980018418U KR 19980018418 U KR19980018418 U KR 19980018418U KR 19980068981 U KR19980068981 U KR 199800689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quarium
cylinder
fish tank
fish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84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중학
Original Assignee
김중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중학 filed Critical 김중학
Priority to KR20199800184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8981U/ko
Publication of KR199800689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981U/ko

Links

Landscapes

  • Farming Of Fish And Shellfish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족관에 관한것으로서 단순한 수족관의 형상과 구조를 벗어나 일반 수요자로 하여금 환상적인 심미감을 불러 일으키게 함에 충분 한 인테리어기능이 부가된 수족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은 일측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풍구가 관통되고 그 상단 내주에 돌출된 지지턱을 갖고 내부에 조명전구와 에어수단인 에어펌프가 구성된 받침대와, 상기 지지턱 상면부에 안착된 상부가 개구되고 바닥면 중앙부에 위로 돌출된 끼움구에 투명체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상, 하로 유입공이 관통된 원기둥을 억지 끼움 구성한 원형의 어항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원기둥과 어항내에서 분출되는 공기방울과 조명전구에서 발산되는 빛이 서로 조화를 이뤄 새로운 심미감을 가질 뿐만 아니라, 원기둥내의 수초식물에서 생성되는 산소를 어항내로 유입시킴으로써 어항속의 산소의 용존량을 높여 어항속에서 생존하는 관상어의 호흡작용에 도움을 주어 별도의 에어수단 없이도 어항속의 관상어가 생존할 수 있도록 한 매우 획기적인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수족관
본 고안은 수족관에 관한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의 어항내에 투명체로 이루어진 원기둥을 구성하여서 이 원기둥 내에 수초 식물을 자라게해서 원형의 어항 하부에서 나오는 조명과 어우러지게 하여 심미감을 주는 인테리어적인 기능을 부여 할 뿐만 아니라 수초 식물에서 나오는 산소를 원형의 어항내부로 유입시켜 어항내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켜 어항내에서 유영하는 물고기의 호흡작용에 도움을 줌으로써 별도의 에어수단없이도 어항속의 물고기가 생존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수족관은 측면과 전후면이 투명재로 형성되고 상부가 개구되거나 아니면 상부에 뚜껑을 형성하고 그 뚜껑내부에 조명등을 설치하여서 어항속을 밝히게끔 구성하며, 어항의 내부에 돌이나 기타 조형물과 수초로 꾸미고 꾸며진 어항내부를 물로 채운 후 관상어를 넣어 물고기의 유영과 꾸며진 조형물이나 수초등을 관상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꾸며진 수족관은 수족관의 내부에 넣어진 수초식물들에 의해서 어항의 내면이나 기타 어항내부에 꾸며진 조형물들에 이끼등으로 인해서, 어항내부가 탁하게되고, 또한 관상어의 호흡작용이 원화하지 못하게 되어 어항의 물을 자주 갈아주어야만 할 뿐만 아니라, 수족관을 덮고 있는 뚜껑 내부에 설치된 조명등에 의해 수족관의 물이 상승하게 되어, 수초식물이 성장하는데에 악역향을 주게되어 수초식물과 관상어와의 광합작용이 원만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상기와 같이 단순하게 구성된 수족관은 보면 볼수록 심미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수족관내부의 인조조경들이 주는 느낌이 삭막하여 꾸며진 수족관의 내부를 자주 바꾸어 주거나 하여 수족관의 단순한 구성에서 오는 지루함을 달래곤 하였으나 단순함이 주는 느낌은 크게 벗어날수는 없는 실정이며 점차 고도로 발달하고 있는 산업문화에 따른 일반수요자들의 새로운 것을 찾게되는 수요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주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며, 본 출원인이 고안한 원기둥 형태의 수족관이 안출되어 실용화 되고는 있지만 점차적으로 새로움을 추구하는 수요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상기와 같은 수족관이 갖는 단순한 구성을 탈피하기 위해 여러 가지 고안들이 안출되고는 있으나 그다지 큰 효과는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수족관이 지닌 문제점을 감안하여 수족관의 단순한 구성에 의해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제반사항들을 일시에 해소하며 수족관의 기능이외에도 인테리어적인 기능을 부가하여 일반수요자로 하여금 다양한 형상의 수족관을 감상할 수 있도록 한 수족관을 제공하는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 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작동상태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받침대 2 : 어 항
3 : 원기둥 4 : 조명전구
5 : 에어펌프 7 : 받침판
11 : 통풍구 12 : 지지턱
21 : 끼움구 31 : 유입공
32 : 마 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하단부에 조명기구와 에어펌프를 내장한 원형의 받침대와, 이 받침대 상부에 구성된 지지턱내로 안치되는 원형의 어항과 이 어항내에 역시 투명체로 이루어진 원형기둥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받침대의 상부 내주연에 돌출된 지지턱에 안치된 어항은 착탈이 가능하게 구성하여 어항내부의 청소시나 기타 여러 가지 구성을 달리 하고자 할 경우 편리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어항내에 구성된 투명체로 이루어진 원기둥은 그 중앙부에 두 개의 구멍을 관통하여서 이 원기둥에서 자라는 수초식물에서 나오는 산소를 상기 어항내로 유입되도록 하여 어항내부에서 유영하는 관상어의 호흡작용을 원만하게 하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전체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인 수족관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수족관은, 일측 외주면에 통풍구(11)가 관통되고 그 상단 내주면에 원형으로 지지턱(12)을 갖는 받침대 내에 조명전구(4)와 에어수단인 에어펌프(5)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상기 받침대(1)의 상단부 내주면에 돌출된 지지턱(l2)에, 상부가 개구되고 바닥면 중앙부에 위로 돌출된 끼움구(21)가 형성된 원형의 어항(2)을 안치하고, 안치된 어항의 바닥면부 중앙에 돌출 형성된 끼움구(21)에 투명체로 이루어지고 중앙에서 아래쪽에 유입공(31)이 상,하로 관통된 원기둥(3)을 억지 끼움설치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받침대(1)의 일측외주면에 관통된 통풍구(11)는 상기 받침대(1)내에 구성된 조명전구(4)로부터 발산되는 열을 밖으로 분출하여 조명전구(4)의 열이 상기 어항(2)내부에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도록 하였다.
상기, 에어수단인 에어펌프(5)는 에어호스(51)(51)를 원형의 어항(2)과, 이 어항(2)의 바닥면 중앙에 끼움설치된 원기둥(3)에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에어호스(51)(51)를 어항(2)과 원기둥(3)내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어항(2)의 일측 바닥면과 상기 어항(2)내에 삽입되는 끼움구(21) 바닥면에 에어호스(51)(51)와 연결되는 작은 노즐을 구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일실시예를 토대로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인 수족관의 작용효과를 나타낸 작동상태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의 상부의 내부면에 돌출형성된 지지턱(12)에 받침판(7)을 안착한 후, 이 어항(2)의 바닥면 중앙에 형성된 끼움구(21)에 상기 원기둥(3)을 억지끼움 설치하여 이탈되지 않도록 한 본고안의 수족관에, 상기 어항(2) 내부의 바닥면에 모래나 자갈 또는 활성탄으로 이루어진 여과층을 구성한 후, 어항(2)과 원기둥(3)에 물을 적당하게 채운다.
상기 어항(2)과 원기둥(3)에 물을 채울시에는 어항(2)의 수위가 원기둥(3)의 수위가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이 채워진 어항(2) 내에 관상어를 그리고 상기 물이 채워진 원기둥(3)에 수초식물을 넣으면 본 고안에 따른 수족관의 설치가 완료된다.
상기와 같이 설치가 완료된 후의 본 고안인 수족관은 에어펌프(5)를 작동시키면 원기둥과 어항내부로 연결된 에어호스(51)를 통해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어항(2)과 원기둥(3)내로 공기방울이 올라오게 된다.
상기 어항(2)속내로 상승되는 공기방울은 어항(2)속내의 관상어의 유영과 원기둥(3)에 연결된 에어호스(51)에서 분출되는 공기방울이 서로 조화를 이루게 되고, 또한 상기 어항(2)을 지탱하고 있는 받침대(1) 내에 구성된 조명전구(4)에서 발산되는 조명이 상기 받침판(7)을 통해서 원기둥(3)과 어항(2)내로 발산됨으로써 기존의 수족관과는 전혀 다른 심미감을 느끼게 된다.
상기 받침대(1)내의 조명전구(4)에서 발산되는 빛이 어항(2)과 원기둥(3)으로 유입됨이 가능한 것은 상기 어항(2)이 전체적으로 투명체로 이루어짐으로서 가능하다.
상기 원기둥(3)내에 넣어진 수초식물은 이산화탄소를 들이마시고 산소를 내뿜으로써 물고기의 호흡작용에 상당한 도움을 주게된다.
상기 원기둥(3)내의 수초식물에서 나오는 산소는 상기 원기둥(3)의 외주면에 상,하로 관통된 유입공(31)을 통해 원기둥(3)의 물이나 공기방울이 어항내로 이동될때에 원기둥(3)내의 수초식물에서 생겨나는 산소가 물과함께 어항내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어항(2)내의 용존산소량을 높이게 되어 관상어의 호흡작용을 원활하게 이루어지하여 상기 에어펌프의 작동을 미세하게 하여도 어항(2)내의 관상어가 생존하는 데에는 그다지 어려움이 없다.
상기 어항(2)을 지지하는 받침대(1)내에 구성된 조명전구(4)에서 발산되는 열은 그 일부는 받침대(1)의 일측면에 관통된 통풍구(11)를 통해서 외부로 빠져나오고, 일부는 상기 원기둥(3)과 어항(2)내부로 유입되어 수초식물과 관상어가 자라기에 알맞은 온도를 제공한다.
상기 원기둥(3)내에 넣어진 수초식물 대신에 고구마나 양파등을 넣어 자라게 하면 어린이의 학습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수초식물이 원기둥내에서 자라게됨으로써 어항속에 이끼등이 자주 발생하여 어항을 자주 청소하는 불편을 주던 종래 어항의 문제점을 일시에 해소한다.
상기 도면에는 원기둥(3)을 어항(2)보다 높게 구성하고, 또한 받침대(1)와 어항(2) 그리고 원기둥(3)을 원형으로 도시하고 상술하였으나, 이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목적범위를 일탈하지 않는한 원기둥(3)과 어항(2)과의 높이는 제한하지 않으며, 받침대(1)나 어항(2) 그리고 원기둥(3)의 형상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원기둥(3)내의 바닥면에 에어호스(51)와 연결된 노즐을 달리하여 원기둥(3)내의 물을 원기둥(3) 위로 상승하도록 하면 어항(2)과 분수가 어우러진 또 다른 수족관을 감상 할 수 가 있는 것으로 이때에, 원기둥(3)위로 상승되는 물은 그대로 어항(2)내로 낙하하게 되고 낙하된 물에 의해서 어항(2)의 수면이 상승하면 상기 원기둥(3)의 외주면에 상,하로 관통된 유입공(31)을 통해서 어항(2)내의 물이 다시 원기둥(3)내로 유입하게 되어 물은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순환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인 수족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어항(2)내에 끼움구성된 원기둥(3)내에 인조조화를 넣어 또 다른 인테리어적인 기능을 더한 것으로서, 이때에는 상기 원기둥(3)에 상, 하로 관통된 유입공(31)을 마개(32)로 막고 원기둥(3)내에 채워지는 물을 상기 어항(2)의 수위보다 높게 채워 원기둥(3)내에 상승하는 공기방울과 어항내에 상승하는 공기방울이 받침대(1)내에서 발산하는 조명전구(4)의 빛을 받아 어우러져 새로운 심미감을 느끼게 한다.
상기 인조조화 대신에 수초식물을 그대로 넣어도 무방하며, 원기둥(3)내에 수초식물 대신에 조화를 넣어 감상 할 시에는 상기 에어수단인 에어펌프(5)로 어항(2)내의 용존산소량을 조절하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수족관은 단순한 수족관의 기능을 탈피한 것으로서, 원기둥과 어항내에서 분출되는 공기방울과 조명전구에서 발산되는 빛이 서로 조화를 이룸으로써 아름다운 수족관을 느낄수 있을 뿐만 아니라, 원기둥내의 수초식물에서 생성되는 산소를 어항내로 유입시킴으로써 어항속의 산소의 용존량을 높여 어항속에서 생존하는 관상어의 호흡작용에 도움을 주어 별도의 에어수단 없이도 어항속의 관상어가 생존할 수 있도록한 매우 획기적인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일측 외주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통풍구(11)가 관통되고 그 상단 내주에 돌출된 지지턱(12)을 갖고 내부에 조명전구(4)와 에어수단인 에어펌프(5)가 구성된 받침대(1)와, 상기 지지턱(12)의 상면부에 안착된 상부가 개구되고 바닥면 중앙부에 위로 돌출된 끼움구(21)를 갖는 어항(2)과, 상기 어항(2)의 중앙부에 구성된 끼움구(21)에 억지 끼워진 투명체로 이루어지고 외주면에 상, 하로 유입공이 관통된 원기둥(3)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족관.
KR2019980018418U 1998-09-26 1998-09-26 수족관 KR1998006898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418U KR19980068981U (ko) 1998-09-26 1998-09-26 수족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8418U KR19980068981U (ko) 1998-09-26 1998-09-26 수족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981U true KR19980068981U (ko) 1998-12-05

Family

ID=69510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8418U KR19980068981U (ko) 1998-09-26 1998-09-26 수족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8981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301B1 (ko) * 2007-11-19 2009-12-29 정희석 공기방울 유도관을 형성한 수족관
KR20160057565A (ko) * 2014-11-13 2016-05-24 (주)퐁당퐁당 치어용 부화통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4301B1 (ko) * 2007-11-19 2009-12-29 정희석 공기방울 유도관을 형성한 수족관
KR20160057565A (ko) * 2014-11-13 2016-05-24 (주)퐁당퐁당 치어용 부화통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41022B2 (en) Waterfall aquarium
US8166921B2 (en) Marginals aquarium plant system
US20080072835A1 (en) Combined pot and aquarium
US7073463B1 (en) Apparatus for an underwater terrarium
KR19980068981U (ko) 수족관
US6309714B1 (en) Decorative submersible fish tank sculpture
KR200389947Y1 (ko) 어항이 구비된 실내조경물
KR200386972Y1 (ko) 장식용 인조 수중생물체 및 그 수족관
CN209749496U (zh) 一种多景观鱼缸
CN210352733U (zh) 一种新型生态鱼缸
CN111296349A (zh) 一种带潜水压力式过滤系统的鱼缸
JP2013132238A (ja) プランター付水槽装置
KR101710135B1 (ko) 가습기
CN213369447U (zh) 一种用于鱼缸循环流水造景增氧过滤装置
JP3182271U (ja) 油膜処理装置
KR200239731Y1 (ko) 화분이 부설된 어항
CN206390047U (zh) 一种多功能水上盆景
KR200391297Y1 (ko) 화분과 어항이 부설된 캐릭터 인형
JP2009296976A (ja) 水槽
KR200330264Y1 (ko) 장식용 수족관
KR200424238Y1 (ko) 실내조경장치
CN201116721Y (zh) 一种含香料工艺蜡烛
KR200387048Y1 (ko) 실내 낚시 설비
KR20170000173U (ko) 화분을 구비한 관상용 어항
KR200344754Y1 (ko) 화분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