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6410A - 교환시스템의 무선호출 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교환시스템의 무선호출 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6410A
KR19980066410A KR1019970001918A KR19970001918A KR19980066410A KR 19980066410 A KR19980066410 A KR 19980066410A KR 1019970001918 A KR1019970001918 A KR 1019970001918A KR 19970001918 A KR19970001918 A KR 19970001918A KR 19980066410 A KR19980066410 A KR 19980066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r
subscriber
service
call
trunk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1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70001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6410A/ko
Publication of KR19980066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6410A/ko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교환시스템의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이, 임의의 내선가입자가 무선호출 서비스 요구시 해당 내선가입자를 보류시키고, 지정된 페이저 국선에 링착신시 상기 보류 상태의 내선가입자와 통화로를 형성하여 착신호를 서비스한다.

Description

교환시스템의 무선호출 서비스방법
본 발명은 교환기의 호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호출기 사용자의 통화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무선호출기는 호출자가 발신하여 무선호출기 가입자에게 호출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한다. 이때 상기 무선호출기 가입자는 경보 등올 자신이 호출되었음을 확인하고, 무선호출기의 표시부 상에 표시된 호출자의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하여 호출자와 통화를 하게된다. 또한 발신전용단말기(CT-2) 사용자의 경우에는 단말기에 착신 기능이 없으므로, 호출기를 동시에 사용하여 착신 기능과 유사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발신전용단말기 사용자 간의 통화는 불가능하다. 또한 일부 발신전용단말기에 무선호출기 기능을 부가하여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는 장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무선호출기 사용자는 자신이 호출된 경우 통화를 원하는 호출 가입자와 통화를 시도하게 되는데, 이런 경우 호출가입자가 교환기를 이용하여 교환수가 중계를 하는 경우, 또는 그룹 링을 사용하여 여러 내선가입자에 링착신이 되는 경우, 무선호출기의 가입자는 자신을 호출한 발신자를 찾아서 통화를 시도하여야 한다. 이런 경우 상기 무선호출기의 가입자는 자신을 호출한 발신가입자와 통화를 위하여 여러 단계의 절차를 거쳐야 하므로 번거로운 문제점이 야기된다.
또한 발신전용단말기의 경우, 자신이 통화를 원하는 다른 수신자에게 무선호출기를 사용하여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착신 기능이 없으므로 무선호출기 가입자와 통화를 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많은 사용자들은 발신전용단말기 보다는 휴대용 전화기를 선호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시스템에서 무선호출기 가입자 및 발신전용단말기 가입자들의 착신 통화 기능을 서비스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환시스템의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이, 임의의 내선가입자가 무선호출 서비스 요구시 해당 내선가입자를 보류시키고, 지정된 페이저 국선에 링착신시 상기 보류 상태의 내선가입자와 통화로를 형성하여 서비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교환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환시스템에서 내선가입자의 무선호출 서비스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교환기의 내선가입자가 외부에서 무선호출 기능을 서비스 받는 과정을 도시하는 흐름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을 서비스하기 위한 교환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제어부111은 통화 스위칭을 제어하고 사용자에게 각종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키텔레폰 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롬112는 기본 호(call) 및 각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상기 제어부111의 프로그램 및 초기 서비스 데이타를 저장한다. 램113은 상기 제어부111에서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스위칭회로114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각종 톤(tone) 및 음성데이타를 스위칭한다. 가입자회로115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가입자전화기(도시하지 않음)에 통화 전류를 공급하는 동시에 상기 가입자전화기와 상기 스위칭회로114 간의 신호를 인터페이스한다. 링발생기116은 링신호를 발생하여 가입자선로에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가입자 전화기는 내선가입자가 된다. 또한 상기 가입자회로115와 상기 내선가입자를 연결하는 선로는 가입자선로가 된다. 국선회로119는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국선을 시저(seizure)하여 국선 통화 루프를 형성하며, 국선과 상기 스위칭회로114 간의 신호를 인터페이스한다. 여기서 국선은 상기 국선회로119와 국설교환기 간을 연결하는 선로를 말한다.
톤발생기118은 상기 제어부111의 제어하에 각종 톤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스위칭회로114로 출력한다. DTMF수신기(Dual Tone Muti-Frequency Receiver)120은 상기 스위칭회로114에서 입력되는 DTMF신호를 분석하여 디지탈데이타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11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회로114로 상기 DTMF수신기120에 입력되는 DTMF신호는 상기 국선가입자가 발생한 전화번호 또는 내선가입자가 발생한 전화번호가 된다. DTMF송신기121은 상기 제어부111이 출력하는 디지탈 데이타를 DTMF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스위칭회로114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DTMF송신기121을 출력하는 DTMF신호는 내선 측에서 국선 측을 호출할 시 발생한 국선가입자의 전화번호가 된다.
상기와 같은 교환기의 구조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의 변경은 필요로 하지않는다. 그리고 상기 페이저 서비스 지정 국선은 하드웨어 포트 수에 따라 프로그래머블하게 지정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교환시스템의 내선가입자가 무선호출기 가입자를 호출한 경우의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임의 내선가입자가 국선 발신 기능을 선택하면, 상기 제어부111은 스위칭회로114를 제어하여 가입자회로115의 해당 내선가입자 포트와 국선회로119의 설정된 국선포트를 연결하여 국선통화로를 형성한다. 이때 내선가입자가 발신을 하여 교환시스템이 이동통신서비스에 연결되어 통화중 상태이면, 상기 제어부111은 2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3단계에서 페이저서비스 키 입력이 있는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지정된 페이저 서비스키 입력이 발생되면, 상기 제어부111은 내부의 국선 데이터 베이스를 검색하여 페이저 서비스가 가능한 국선번호 데이터를 DTMF송신기121에 출력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111은 215단계에서 상기 스위칭회로114 및 톤발생기118을 제어하여 해당하는 내선가입자에 국선 보류음을 출력하고, 국선을 훅크온(hook on)시킨다. 이후 217단계에서 페이저 서비스 지정국선에 링이 착신되는가 검사한다. 이때 상기 지정된 상기 페이저 서비스 국선에 링신호가 착신되면 상기 제어부111은 2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219단계에서 페이저 서비스 지정 국선을 훅크오프하고, 105단계에서 상기 스위칭회로114를 제어하여 상기 톤발생기118에서 출력되는 보류음을 차단하고 상기 페이저 서비스 국선포트와 상기 내선가입자포트를 연결하여 통화 대기중인 내선가입자와 통화로를 형성한다. 이런 경우 상기 무선호출기의 가입자는 호출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한 후 교환원 또는 다른 내선가입자와 통화 절차를 하지 않고 바로 호출한 내선가입자와 통화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내선가입자가 무선호출기 가입자를 호출한 후, 설정시간 내에 페이저 서비스가 지정된 국선으로 링이 착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1은 223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통화 서비스 기능을 종료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교환시스템에서 내선가입자의 무선호출기를 호출하여 통화 서비스 동작을 살펴보면, 교환기 내선가입자가 무선호출기를 호출하는 경우 상기 교환시스템은 특정 국선을 페이징 전용 국선으로 지정한다. 그리고 상기 내선가입자가 호출시 페이저 국선번호를 페이저에 입력시키고, 교환기가 페이저 서비스를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위와 같은 기능은 내선가입자가 사용한 국선을 훅크온시키고, 상기 내선가입자에게 대기음을 들려주고, 이 페이저 국선번호에 무선호출기 가입자가 전화를 한다. 이때 링 착신이 되면, 상기 교환시스템은 페이저 서비스를 요구한 내선가입자에게 통화로를 연결시킨다. 이때 상기 교환기의 내선가입자 및 무선호출기의 가입자는 별도의 절차 없이 바로 통화가 이루어진다.
도 3은 교환시스템의 내선가입자가 외부에서 교환시스템을 이용하여 무선호출 기능을 서비스 받는 동작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교환시스템의 외부에서 서비스 등록된 내선 가입자가 무선호출에 의한 착신 통화 서비스를 받고자하는 경우, 교환시스템에서 지정된 페이저 서비스 지정국선을 호출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 페이저 서비스 기능이 지정된 국선에 착신링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11은 311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13단계에서 페이저 서비스 지정국선(이하 제1페이저 서비스 국선이라 칭한다)을 훅크오프(hook off)시키고, 315단계에서 페이저 서비스가 가능한 국선을 탐색한다. 이때 상기 페이저 서비스가 가능한 국선(이하 제2페이저 서비스 국선이라 칭한다)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111은 317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21단계에서 제2페이저 서비스 국선을 훅크오프하고, 323단계에서 제1페이저 서비스 국선에 연결된 사용자가 무선호출기의 가입자 번호를 다이알링한다. 이때 상기 발신가입자 측에는 안내 방송이 출력되며, 325단계에서 상기 안내 방송을 청취하고 국선 발신자가 발생하는 페이저 서비스의 기능 코드를 수신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111은 상기 325단계에서 탐색된 국선번호를 송출한 후 훅크온하고, 상기 발신가입자가 연결된 국선을 홀드시킨다.
이때 상기 탐색된 페이저 서비스 국선에 링신호가 착신되면 상기 제어부111은 329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331단계에서 제2페이저 서비스 지정 국선을 훅크오프하고, 333단계에서 상기 스위칭회로114를 제어하여 상기 톤발생기118에서 출력되는 보류음을 차단하고 통화중 상태의 상기 제1페이저 서비스 국선포트와 상기 제2페이저 서비스 국선포트를 연결하여 통화 대기중인 내선가입자와 통화로를 형성한다. 이런 경우 상기 무선호출기의 가입자는 호출 가입자의 전화번호를 다이알링한 후 교환원 또는 다른 내선가입자와 통화 절차를 하지 않고 바로 호출한 내선가입자와 통화로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내선가입자가 무선호출기 가입자를 호출한 후, 설정시간 내에 페이저 서비스가 지정된 국선으로 링이 착신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111은 335단계에서 이를 감지하고, 통화 서비스 기능을 종료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교환기의 외부에서 페이저 서비스를 요구하는 과정을 살펴본다. 외부에서 교환기의 페이저 서비스용 특정 국선을 호출하여 페이저 서비스를 교환시스템에 요구하면, 상기 교환시스템은 페이저 가입자에게 사용 가능한 페이저 국선번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페이저 발신자는 페이저 대기음을 청취하고 대기한다. 그리고 상기 페이저 수신자는 수신받은 페이저 국선을 호출하며, 이때 교환시스템은 페이저 발신자와 수신자와의 통화를 연결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호출 서비스 기능은 무선호출기의 가입자가 호출을 감지한 후 해당 국선번호로 발시통화를 시도하면, 교환원이나 다른 내선가입자의 호 전환 없이 즉시 호출자와 통화로를 형성할 수 있게된다. 또한 발신전용단말기는 사용자간의 통화를 이루어주는 중계역할을 수행하여 발신전용 단말의 결점을 보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교환시스템의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임의의 내선가입자가 무선호출 서비스 요구시 해당 내선가입자를 보류시키고, 지정된 페이저 국선에 링착신시 상기 보류 상태의 내선가입자와 통화로를 형성하여 서비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시스템의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
  2. 교환시스템의 무선호출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페이저 서비스 국선으로 무선호출 기능 서비스 요구시, 상기 국선가입자를 대기시키고 제2 페이저서비스 국선을 탐색하여 무선호출 정보를 출력하며, 상기 제2페이저 서비스 국선으로 링 착신시 상기 페이저 서비스 국선들을 연결하여 호 서비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환시스템의 무선호출 서비스방법.
KR1019970001918A 1997-01-23 1997-01-23 교환시스템의 무선호출 서비스방법 KR199800664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918A KR19980066410A (ko) 1997-01-23 1997-01-23 교환시스템의 무선호출 서비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1918A KR19980066410A (ko) 1997-01-23 1997-01-23 교환시스템의 무선호출 서비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6410A true KR19980066410A (ko) 1998-10-15

Family

ID=65953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1918A KR19980066410A (ko) 1997-01-23 1997-01-23 교환시스템의 무선호출 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641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6173B1 (ko) 키폰시스템에서 자동 통화 구현방법
KR100406071B1 (ko) 통신시스템
KR20000005353A (ko)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서 신속한 음성 메일 액세스 시스템 및방법9
US6049719A (en) Communication system with automatic call diversion or forwarding
KR100232791B1 (ko) 키폰시스템에서 링착신방법
JPH0946437A (ja) 一斉指令伝達方法
KR19980066410A (ko) 교환시스템의 무선호출 서비스방법
KR0148891B1 (ko) 셀룰라폰의 디테치 방법
KR0184503B1 (ko) 키폰시스템에서 호 착신시 음악원 송출방법
KR100241883B1 (ko) 사설 교환기에서 내선과 통화중인 국선 호의 전환 방법
KR100238524B1 (ko) 발신자 전화번호가 제공되는 사설교환기에 연결된디지털폰에서 착신 전환방법
KR100285716B1 (ko) 교환기에서아날로그가입자를위한발신번전송방법
KR0168531B1 (ko) 종합통신망 전화기에서 악의 호 격퇴 구현 방법
KR100255372B1 (ko) 키폰시스템에서 호 연결경로 표시 방법
KR100324735B1 (ko) 키폰의 구내 페이징 시스템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KR100277063B1 (ko) 사설교환시스템의 전용선 재착신 방법
KR100194418B1 (ko) 사설교환시스템의 국선 착신 응답 방법
KR100506204B1 (ko) 사설교환기시스템에서강제자동응답절환방법
KR100234089B1 (ko) 키폰시스템에서 호 연속 전환방법
KR100241731B1 (ko) 페이저 응답호 자동 교환장치 및 방법
JPS58134542A (ja) 接続方式
KR100728433B1 (ko) 구내무선교환시스템 및 구내무선교환시스템에서의 착신방법
KR100255311B1 (ko) 사설교환기의전용선인입호착신방법
KR19990020628A (ko) 교환기에서 번호 변경 호 연결 방법
KR19990016005A (ko) 교환시스템의 국선호 착신 서비스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