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5456A - 지리정보시스템(gis)용 좌표체계 변환 방법 - Google Patents

지리정보시스템(gis)용 좌표체계 변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5456A
KR19980065456A KR1019970000470A KR19970000470A KR19980065456A KR 19980065456 A KR19980065456 A KR 19980065456A KR 1019970000470 A KR1019970000470 A KR 1019970000470A KR 19970000470 A KR19970000470 A KR 19970000470A KR 19980065456 A KR19980065456 A KR 19980065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rdinate system
longitude
coordinates
latitude
conver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04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16077B1 (ko
Inventor
김성룡
김영만
백송훈
김효실
안병익
김민
Original Assignee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준, 한국전기통신공사 filed Critical 이준
Priority to KR10199700004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6077B1/ko
Publication of KR19980065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6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60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0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3/00
    • G01S7/28Details of pulse systems
    • G01S7/285Receivers
    • G01S7/295Means for transforming co-ordinates or for evaluating data, e.g. using comput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Remote Sens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리정보시스템의 기반 데이터베이스로 사용되는 전자지도의 좌표체계 변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재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적용 가능한 경위도좌표, TM, UTM, WGS84 체계 상호간에 좌표를 변환시키기 위한 지리정보시스템용 좌표체계 변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지리정보시스템용 좌표체계 변환 방법은 포인트 단위, 파일 단위, 전자지도 도엽단위로 사용자 입력을 받아 국내에서 사용가능한 모든 지리정보 시스템 좌표체계로 좌표를 변환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입력을 받아들이고 GUI 환경의 초기 환경을 설정하며, 변환 대상 및 변환 종류를 설정하여 12개의 좌표체계별로 변환하여 최종적으로 출력 파일 설정 및 좌표를 출력하는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지리정보시스템(GIS)용 좌표체계 변환 방법
본 발명은 지리정보시스템(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이하, GIS라 한다)의 기반 데이터베이스로 사용되는 전자지도의 좌표체계 변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현재 지리정보시스템에서 적용 가능한 경위도 좌표, TM, UTM, WGS84 체계 상호간에 좌표를 변환시키기 위한 지리정보시스템용 좌표체계 변환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서로 다른 데이터 공급자, 또는 공급 기관으로부터 지리정보 데이터를 받음으로써 좌표체계의 불일치로 인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국내에서는 TM(Transverse Mercator), UTM(Universal Transverse Mercator), WGS84(World Geodetic System 1984) 등의 서로 다른 좌표체계를 상호 혼용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기반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의 자료 교환시에는 좌표체계가 변환되지 않음에 따라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지 못하고 극단적으로는 지리정보 데이터베이스를 재구축하여 사용하므로써 많은 예산 및 시간의 낭비 요소를 초래하였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파일이나, GIS 도엽 단위로 좌표 변환이 이루어져야 되는 사용자 요구 사항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는 포인트 단위로만 좌표변환이 이루어져 각기 다른 공급업체에서 서로 다른 좌표체계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을 때 데이터베이스의 공유 문제가 많은 문제점으로 대두되었다. 또한 좌표 체계를 연동하는 프로그램들도 필요에 따라 일부 모듈만을 구현하여 사용함으로써 어떠한 좌표체계라도 연동할 수 있는 프로그램 즉, 유연성(Flexibility)을 가진 프로그램의 구현에도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포인트 단위, 파일 단위, 전자지도 도엽 단위로 사용자 입력을 받아 국내에서 사용 가능한 모든 GIS 좌표 체계 상호간에 좌표체계를 변환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리정보시스템용 좌표체계 변환 과정의 전체적인 처리 흐름도,
도 3은 경위도 좌표계에서 TM, UTM, WGS84 좌표계로의 변환과정의 흐름도,
도 4는 TM 좌표계에서 경위도, UTM, WGS84 좌표계로의 변환과정의 흐름도,
도 5는 UTM 좌표계에서 경위도, TM, WGS84 좌표계로의 변환과정의 흐름도,
도 6은 WGS84 좌표계에서 경위도, TM, UTM 좌표계로의 변환과정의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중앙처리장치2 : 주기억장치
3 : 입출력 제어기4 : 보조기억장치
5 : 입출력장치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을 받아들이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의 초기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
사용자 입력을 제어하고 동작시킬 수 있는 주변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
포인트 단위, 파일 단위, 지리정보시스템용 도엽 단위로 좌표를 입력받아 변환 대상을 설정하는 단계 ;
상기 입력된 단위에 따라 경위도, TM, UTM, WGS84 좌표체계 상호간의 12개 변환과정 중에서 선택하여 좌표변환하는 단계 ; 및,
상기 좌표변환된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시스템용 좌표체계 변환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는 컴퓨터의 전체 동작을 제어 관리하고 작업을 수행하는 중앙처리장치(1), 중앙처리장치(1)에서 수행할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작업 수행중 이용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주기억장치(2)와, 내부 연결 버스에 접속되고 보조 기억 장치(4)와 입출력 장치(5)에 대한 입출력을 제어하는 입출력 제어기(3)로 구성된다. 상기 보조 기억 장치(4)는 대량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입출력 장치(5)는 키보드, 표시 장치, 프린터 등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장치에서 주기억장치(2)에는 본 발명의 GIS용 좌표체계 변환을 자동으로 변환해주는 프로그램이 저장되고 중앙처리장치(1)의 제어에 따라 수행되어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포인트 단위, 파일 단위, GIS 도엽 단위로 데이터를 입력받아 각기 다른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좌표 변환하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좌표 변환프로그램을 보조 기억 장치(4)에서 주기억장치(2)에 올린 후 중앙처리장치(1)에 의해 작업이 시작되면 GUI 환경의 초기환경을 설정하고(S1), 사용자 입력을 제어하고 동작시킬 수 있는 주변환경을 설정하며(S2), 사용자 입력 부분에서 포인트 단위, 파일 단위, GIS용 도엽 단위로 좌표를 입력받아 변환 대상을 설정한다(S3).
상기 과정 후 입력된 단위(포인트, 파일, GIS 도엽)에 따라 12개의 변환과정중에서 원하는 변환을 선택한다(S4). 좌표변환 종류는 경위도, TM, UTM, WGS84 좌표계 상호간에 12가지 변환이 발생한다. 선택된 변환종류에 따라 각기 서로 다른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실질적인 좌표 변환이 수행되어지고(S5), 최종적으로 선택되어진 단위별로 변환 좌표를 출력하게 된다(S6). 그리고, 출력된 파일의 메뉴 인터페이스 부분과 연결되는 과정이 순차적으로 수행된다(S7).
상기의 좌표 변환 프로그램을 순차적으로 수행한 후 사용자가 작업 종료를 지시하지 않는 한, 사용자 입력 부분에서 포인트 단위, 파일단위, GIS용 도엽 단위로 좌표를 입력받는 단계(S3) 이후로 프로그램의 수행을 분기 시켜 상기 과정을 반복수행한다.
도 3은 도 2의 좌표변환 수행과정(S5)에서 경위도로부터 TM, UTM, WGS84 좌표체계로 바꾸는 세부과정(S5a)을 나타내었다. 경위도로부터 TM(평면직각좌표체계)으로 변환하는 과정은 베셀타원체상의 경위도 좌표를 가우스상사이중 투영방식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전역을 3계로 구분하여 평면상의 직각좌표로 변환하는 것이며, 경위도로부터 UTM(만국지도좌표계)으로 변환하는 과정은 베셀타원체상의 경위도 좌표를 가우스크뤼게 투영법을 적용하여 UTM으로 변환하게 한다. 경위도로부터 WGS84(범지구측지좌표계)로 변환하는 과정은 좌표 상호간의 좌표변환을 버사-울프(Bursa-Wolf) 방식의 7매개변수(X, Y, Z 좌표, X, Y, Z 좌표의 회전변수, 이동 스케일변수)방식에 의하여 상사변환을 실시하게 된다.
도 4는 도 2의 좌표변환 수행과정(S5)에서 TM으로부터 경위도, UTM, WGS84 좌표체계로 바꾸는 세부모듈(S5b)에 대한 과정을 나타내었으며, TM에서 경위도 좌표계로의 변환은 원점경위도를 설정하고, 타원체 체원(A, E)을 설정하여 TM, Y, X 좌표를 경위도 좌표로 변환하는 방식에 의해 직접 이루어지나 UTM, WGS84 체계로의 변환은 경위도 좌표를 거쳐서 변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5는 도 2의 좌표변환 수행과정(S5)에서 UTM으로부터 경위도, TM, WGS84 좌표체계로 바꾸는 세부모듈(S5c)에 대한 과정을 나타내었으며 UTM에서 경위도 좌표계로의 변환은 UTM 구역(zone)을 설정하고 원점 보정량 및 타원체 제원(A, E)을 설정하여 UTM의 E, N 좌표를 경위도 좌표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직접 이루어지나 TM, WGS84 체계로의 변환은 경위도 좌표를 거쳐서 변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6은 도 2의 좌표변환 수행과정(S5)에서 WGS84 좌표체계로부터 경위도, TM, UTM 좌표체계로 바꾸는 세부모듈(S5d)에 대한 과정을 나타내었으며 WGS84 체계에서 경위도 좌표계로의 변환은 7 매개변수를 사용종류에 따라 설정하고 타원체 제원(A, E)을 설정하여 경위도 좌표계로 변환하는 방식에 의해 직접 이루어지나 TM, UTM으로의 변환은 경위도 좌표를 거쳐서 변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첫째, GIS용으로 구축된 데이터베이스를 국내의 적용 가능한 모든 좌표체계로 변환시켜줌으로써 좌표체계의 불일치로 인한 데이터베이스의 재구축 등에 소요되는 예산 및 인력의 낭비 요소를 없앴으며 ;
둘째, 현재 AVL 서비스(차량위치 확인 서비스)의 핵심 기술의 하나인 범지구위치 확인 시스팀(GPS)과 GIS에 사용되는 전자지도 사이에 서로 상이한 좌표체계를 상호 연동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서 본 발명을 바로 적용할 수 있게 하며 ;
셋째, 일반 개인용 PC의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개발함으로서 사용자 누구나가 쉽게 접근하여 사용할 수 있는 유연성을 제공해주는 효과를 수반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부가 등이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사용자 입력을 받아들이고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의 초기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
    사용자 입력을 제어하고 동작시킬 수 있는 주변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
    포인트 단위, 파일 단위, 지리정보시스템용 도엽 단위로 좌표를 입력받아 변환 대상을 설정하는 단계 ;
    상기 입력된 단위에 따라 경위도, TM, UTM, WGS84 좌표체계 상호간의 12개 변환과정 중에서 선택하여 좌표변환하는 단계 ; 및,
    상기 좌표변환된 결과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시스템용 좌표체계 변환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경위도 좌표계에서 TM 좌표계로의 변환은 베셀 타원체상의 경위도 좌표를 가우스상사이중 투영방식을 적용하여 평면상의 직각좌표로 변환하며, 경위도 좌표계에서 UTM 좌표계의 변환은 베셀 타원체상의 경위도 좌표를 가우스 크뤼게 투영법을 적용하여 변환하며, 경위도 좌표계에서 WGS84 좌표계로의 변환은 버사-울프(Bursa-Wolf) 방식의 7매개변수 방식에 의해 상사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시스템용 좌표체계 변환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TM 좌표계에서 경위도 좌표계로의 변환은 원점경위도를 설정하고, 타원체 제원(A, E)을 설정하여 TM Y, X 좌표를 경위도 좌료로 변환하며, TM 좌표계에서 UTM, WGS84 좌표계로의 변환은 TM 좌표계를 경위도 좌표계로 변환한 후 경위도 좌표계에서 UTM, WGS84 좌표계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시스템용 좌표체계 변환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경위도 좌표계에서 UTM 좌표계로의 변환은 베셀 타원체상의 경위도 좌표를 가우스 크뤼게 투영법을 적용하여 변환하며, 경위도 좌표계에서 WGS84 좌표계로의 변환은 버사-울프(Bursa-Wolf) 방식의 7매개변수 방식에 의해 상사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시스템용 좌표체계 변환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UTM 좌표계에서 경위도 좌표계로의 변환은 UTM 구역(zone)을 설정하고 원점 보정량 및 타원체 제원(A, E)을 설정하여 UTM의 E, N 좌표를 경위도 좌표로 변환하며, UTM 좌표계에서, TM, WGS84 좌표계로의 변환은 UTM 좌표계를 경위도 좌표계로 변환한 후 경위도 좌표계에서 TM, WGS84 좌표계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시스템용 좌표체계 변환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경위도 좌표계에서 TM 좌표계로의 변환은 베셀 타원체상의 경위도 좌표를 가우스상사이중 투영방식을 적용하여 평면상의 직각좌표로 변환하며, 경위도 좌표계에서 WGS84 좌표계로의 변환은 버사-울프(Bursa-Wolf) 방식의 7매개변수 방식에 의해 상사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시스템용 좌표체계 변환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WGS84 좌표계에서 경위도 좌표계로의 변환은 7매개변수를 사용종류에 따라 설정하고 타원체 제원(A, E)을 설정하여 경위도 좌표계로 변환하며, WGS84 좌표계에서 TM, UTM 좌표계로의 변환은 WGS84 좌표계를 경위도 좌표계로 변환한 후 경위도 좌표계에서 TM, UTM 좌표계로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시스템용 좌표체계 변환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경위도 좌표계에서 TM 좌표계로의 변환은 베셀 타원체상의 경위도 좌표를 가우스상사이중 투영방식을 적용하여 평면상의 직각좌표로 변환하며, 경위도 좌표계에서 UTM 좌표계로의 변환은 베셀 타원체상의 경위도 좌표를 가우스 크뤼게 투영법을 적용하여 변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리정보시스템용 좌표체계 변환 방법.
KR1019970000470A 1997-01-10 1997-01-10 지리정보시스템용 좌표체계 변환 방법 KR1002160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470A KR100216077B1 (ko) 1997-01-10 1997-01-10 지리정보시스템용 좌표체계 변환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470A KR100216077B1 (ko) 1997-01-10 1997-01-10 지리정보시스템용 좌표체계 변환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456A true KR19980065456A (ko) 1998-10-15
KR100216077B1 KR100216077B1 (ko) 1999-08-16

Family

ID=19494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0470A KR100216077B1 (ko) 1997-01-10 1997-01-10 지리정보시스템용 좌표체계 변환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60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547B1 (ko) * 1999-09-15 2002-01-24 강인준 지피에스 수신 신호의 정밀 좌표 해석을 통한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0935336B1 (ko) * 2008-01-04 2010-01-06 문정균 철도기준점을 이용한 철도중심선형 좌표변환방법
CN113064187A (zh) * 2021-04-07 2021-07-02 多彩贵州印象网络传媒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原始gps数据经纬度纠偏能力算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9745B1 (ko) * 2011-04-07 2011-08-26 지마텍 주식회사 해도용 도곽 파일 작성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547B1 (ko) * 1999-09-15 2002-01-24 강인준 지피에스 수신 신호의 정밀 좌표 해석을 통한 음성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0935336B1 (ko) * 2008-01-04 2010-01-06 문정균 철도기준점을 이용한 철도중심선형 좌표변환방법
CN113064187A (zh) * 2021-04-07 2021-07-02 多彩贵州印象网络传媒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原始gps数据经纬度纠偏能力算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16077B1 (ko) 1999-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77712B1 (en) Iteratively building displacement maps for image warping
Powell et al. A scalable image processing framework for gigapixel mars and other celestial body images
CN115794414B (zh) 基于并行计算的卫星对地通视分析方法、装置和设备
JPH04229321A (ja) データ伸長システムとその方法及びデータ圧縮・伸長システム
CN104504171A (zh) 一种基于统一建模环境的建模方法
CN109489654B (zh) 导航路线的呈现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100216077B1 (ko) 지리정보시스템용 좌표체계 변환 방법
US4633433A (en) Display system for displaying maps having two-dimensional roads
CN113065180A (zh) Gim解析方法和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764864A (zh) 一种基于Terraform的可视化资源编排方法
CN111127590A (zh) 一种二阶贝塞尔曲线绘制方法及装置
JPWO2006106829A1 (ja) 構造格子データの可視化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809762B2 (ja) 図形整形装置
CN111055278B (zh) 基于val3语言的机器人坐标自定位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CN113449485B (zh) 引线生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4741294A (zh) 一种页面的调试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8196848B (zh) 界面嵌入显示方法、装置、用户终端及可读存储介质
CN112989733A (zh) 电路分析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1324682A (zh) 基于GMap加载无地理坐标信息CAD数据方法及装置
CN113192189B (zh) 一种修正连接关系的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CN111309243B (zh) 一种信息显示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13470154B (zh) 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09934909B (zh) 重构3d模型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N113516710B (zh) 坐标定位方法、装置、电子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JPH0869525A (ja) ベクトルデータの変換方法及び変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