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5399A - 비동기신호를 동기식 전송망에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비동기신호를 동기식 전송망에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5399A
KR19980065399A KR1019970000361A KR19970000361A KR19980065399A KR 19980065399 A KR19980065399 A KR 19980065399A KR 1019970000361 A KR1019970000361 A KR 1019970000361A KR 19970000361 A KR19970000361 A KR 19970000361A KR 19980065399 A KR19980065399 A KR 199800653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yte
asynchronous signal
transmission network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0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종석
이종훈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70000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5399A/ko
Publication of KR19980065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399A/ko

Links

Landscapes

  • 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동기신호를 동기식 전송망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을 검출하는 회로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 및 프레임들의 위치맞춤 정보를 한번만 전송하기 때문에 위치맞춤정보가 있는 자리에 에러가 발생할 시 야기되는 오동작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바이트단위의 프레임을 생성한 후 프레임위치를 바이트단위로 사용하여 수신단에서 프레임검출이 용이하도록 하고, 위치맞춤 정보를 여러번에 걸쳐서 전송하여 위치맞춤 정보가 있는 자리에 에러가 발생할 시 오동작의 확률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Description

비동기신호를 동기식 전송망에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 생성방법
본 발명은 비동기신호를 동기식 전송망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기식 전송망은 비동기신호를 다중화처리하여 멀티프레임 구조를 가지는 신호로 생성한 후 전송하게 된다. 이때 비동기신호는 국제통신연합(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의 ITU-T G.703에 권고되어 있는 64Kbps의 신호이다. 이 신호를 다중화처리한 후 동기식 전송망으로 전송하는 경우의 처리구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 1을 참조하면, AM(Asynchronous Multiplexing) 12는 비동기신호를 입력하여 디지털의 계위(hierarchy)신호들을 형성하는 다중화처리의 동작을 수행하고, SM(Synchronous Multiplexing) 14는 상기 AM 12에 의해 형성된 디지털의 계위신호들을 입력하여 다중화처리한 후 출력한다. 그리고 STM(Synchronous Transport Module)-n 16은 상기 SM 14에 의해 다중화처리된 신호들을 입력하여 155.52×nMbps의 동기신호로 동기식 전송망에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비동기신호를 다중화처리한 후 동기식 전송망으로 전송하는 종래의 비동기신호 전송과정은 크게 비동기신호에 대한 프레임(frame)을 생성하는 과정과, 위치맞춤(stuffing) 등과 같은 과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비트단위의 프레임구조를 사용하거나 바이트단위의 프레임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비트단위의 프레임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경우에는 프레임의 위치를 나타내는 비트들이 여러 곳에 존재하게 되어 수신시 프레임을 검출하는 회로의 구성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달리 바이트단위의 프레임을 생성하여 전송하는 경우에는 프레임들의 위치맞춤 정보를 한번만 전송하기 때문에 위치맞춤정보가 있는 자리에 에러가 발생할 시 오동작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동기신호를 동기식 전송망에 전송하는 경우에 프레임 검출회로의 구성을 간단하게 하기 위한 프레임 생성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동기신호를 동기식 전송망에 전송하는 경우에 위치맞춤 정보가 있는 자리에 에러가 발생할 시 오동작의 확률을 감소시키기 위한 프레임 생성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이트단위의 프레임을 생성한 후 프레임위치를 바이트단위로 사용하여 수신단에서 프레임검출이 용이하도록 하고, 위치맞춤 정보를 여러번에 걸쳐서 전송하여 위치맞춤 정보가 있는 자리에 에러가 발생할 시 오동작의 확률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동기식 광전송망으로 비동기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 비동기신호를 다중화 처리하는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멀티프레임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생성된 멀티프레임의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비동기신호는 5바이트(bytes)×10프레임(frame)의 멀티프레임(multiframe)으로 생성된 후 동기식전송망으로 전송된다. 이와 같이 비동기신호는 바이트단위의 프레임으로 구조된 후 전송되기 때문에 비트단위로 구조되는 경우에 발생하던 문제점, 즉 다중화처리회로가 복잡해지는 문제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비동기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5바이트(bytes)×10프레임(frame)의 멀티프레임으로 생성된다. 매 프레임의 시작인 제1프레임의 제1바이트에는 프레임바이트(Frame Byte)가 삽입된다. 제2프레임의 제1바이트, 제3프레임의 제1바이트, 그리고 제4프레임의 제1바이트에는 위치맞춤을 위한 정보(P#N#)가 삽입되는데, 상기 정보는 하나의 채널당 3비트로 할당되었으며 2비트 이상이 변하는 경우에 선언하도록 한다. 따라서 그 비트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에 한 비트만을 검사하는 것보다 발생할 수 있는 오동작의 확률이 줄어들게 된다.
제5프레임 내지 제8프레임의 제1바이트에는 각 채널별 부위치맞춤을 위한 정보(Negative #n)가 삽입된다. 제5프레임의 제2바이트와, 제6프레임의 제3바이트와, 제7프레임의 제4바이트에는 각 채널별 정위치맞춤을 위한 정보(Positive #n)가 삽입된다. 제9프레임의 제1바이트에는 대국으로 전송을 위한 송신용 경보가 삽입되며, 제10프레임의 제1바이트에는 신호오류의 감시를 위한 패리티(Parity)정보가 BIP-8이 삽입된다. 상기 BIP-8은 비트오율(Bit Error Rate)의 계산을 위해 사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이트단위의 프레임을 구성하여 수신시 프레임검출을 용하하게 하며 그 구성이 단순화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에러발생시에도 위치맞춤 정보비트를 복합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오동작의 확률이 적어져서 안정된 전송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않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1. 비동기신호를 동기식 전송망으로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 생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신호를 연속하는 위치맞춤정보를 포함하는 바이트단위의 프레임으로 생성한 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비동기신호를 동기식 전송망으로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 생성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동기신호를 5바이트×10프레임의 멀티프레임으로 생성하는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의 제1바이트에는 프레임바이트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 내지 제3프레임의 제1바이트에는 바이트의 위치맞춤을 위한 정보가 연속하여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제5프레임 내지 제8프레임의 제1바이트에는 각 채널별 부위치맞춤을 위한 정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5프레임의 제1바이트, 상기 제6프레임의 제2바이트, 상기 제7프레임의 제3바이트, 상기 제8프레임의 제4바이트에는 각 채널별 정위치맞춤을 위한 정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제9프레임의 제1바이트에는 대국으로 전송하기 위한 송신용 경보에 대한 정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제10프레임의 제1바이트에는 신호오류 감시를 위한 패리티정보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00361A 1997-01-09 1997-01-09 비동기신호를 동기식 전송망에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 생성방법 KR1998006539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361A KR19980065399A (ko) 1997-01-09 1997-01-09 비동기신호를 동기식 전송망에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361A KR19980065399A (ko) 1997-01-09 1997-01-09 비동기신호를 동기식 전송망에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 생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399A true KR19980065399A (ko) 1998-10-15

Family

ID=65952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0361A KR19980065399A (ko) 1997-01-09 1997-01-09 비동기신호를 동기식 전송망에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539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967A (ko) * 2001-05-23 2001-07-25 유병두 발포성형제품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69967A (ko) * 2001-05-23 2001-07-25 유병두 발포성형제품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0763B2 (en) Data transmission in an SDH network
US6493847B1 (en) Sonet B2 parity byte calculation method and apparatus
EP0684712A3 (en) Line terminating equipment in SDH networks, using forward error correcting codes
US5544172A (en) Method for the digital transmission of data
US618870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facing between communication networks
US5331630A (en) Renewal method and apparatus for AU-4 and TU-3 pointers of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KR100215593B1 (ko) 통신용 엘에스아이(lsi)
CA2086146C (en) Logical machine for processing control information of telecommunication transmission frames
US5946300A (en) Device for transferring information between two digital signal generators
US20020018493A1 (en) Digital data transmission system
US5790557A (en) Apparatus for implementing the function of a virtual container-11 and a tributary unit group-2 in a synchronous digital hierarchy
JP2006270888A (ja) 伝送装置
KR19980065399A (ko) 비동기신호를 동기식 전송망에 전송하기 위한 프레임 생성방법
US20020067746A1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multi-frame in multiplex transmission and method of doing the same
CN1667985B (zh) Sdh/sonet未装载插入方法及设备
KR100358382B1 (ko) 동기식 광전송 시스템에서 직렬입력 데이터의 병렬처리를위한 매핑장치
US5579310A (en) Method for switching through digital signals
CN100490404C (zh) 一种实现同步数字传送网络中业务传输的方法
CN101527609A (zh) 一种告警信息传递方法、告警信息发送装置及接收装置
US6937625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verting an STM-1 signal into a sub-STM-1 signal and vice-versa in radio transmission
US20020159483A1 (en) SDH/SONET frame byte alignment unit
WO2017118042A1 (zh) 通道状态的确定方法及装置
JP2867943B2 (ja) Sdh伝送システムの遅延変動吸収方法
KR100205014B1 (ko) 동기식 다중화 구조에서 브이씨-11와 티유지-2의 통합기능 실현장치
FI91697C (fi) Menetelmä synkronisessa digitaalisessa tietoliikennejärjestelmässä käytettävän signaalin vastaanottamiseksi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