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5295U - 선풍기 - Google Patents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5295U
KR19980065295U KR2019980015445U KR19980015445U KR19980065295U KR 19980065295 U KR19980065295 U KR 19980065295U KR 2019980015445 U KR2019980015445 U KR 2019980015445U KR 19980015445 U KR19980015445 U KR 19980015445U KR 19980065295 U KR19980065295 U KR 199800652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wing
fan
propeller
case
direc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544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석
Original Assignee
박재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석 filed Critical 박재석
Priority to KR201998001544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5295U/ko
Publication of KR199800652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295U/ko

Links

Landscapes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사방(四方)으로 송풍이 가능함은 물론 송풍방향을 상하로도 임의 조절할 수 있는 선풍기에 있어서 송풍효과를 가일층 증대시킬 수 있고 구조의 단순화로 원가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개량된 선풍기를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사방으로 송풍을 행할 수 있는 사방 송풍형 선풍기(21)에 있어서, 케이스(2)상에 고정설치되는 모터(26)의 출력축(27)을 수직방향으로 축설치하고, 상기 출력축(27)에는 수개의 프로펠러(28)를 축방향으로 길이고정하여 송풍구동부(23)를 구성하고, 송풍구동부(23)의 사방 외측으로 송풍용 그릴 내지 망체로 이루어지는 송풍안내부(24)를 구성하여 구조의 단순화로 원가절감에 기여할 수 있고, 선풍기로 유입된 바람을 바로 다양한 형상 및 갯수로 부착되는 프로펠러(28)가 행하도록 함으로서 송풍효율을 배가하고 원활한 송풍이 행해질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선풍기
본 고안은 선풍기(a mechanical fan)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사방(四方)으로 송풍이 가능함은 물론, 송풍방향을 상하로 임의 조절할 수 있는 선풍기에 있어서 송풍효과 증대 및 원가절감 등에 기여할 수 있도록 개량한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선풍기는 공지된 바와 같이 하단의 베이스 상에 높이조절 가능한 포스트를 형성하고, 상기 포스트 상부에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 및 송풍방향을 택일할 수 있는 각도조절수단, 상기 구동수단의 출력축에 송풍용 프로펠러을 설치하고, 송풍용 프로펠러의 외면부에는 안전망을 설치한 선풍기와, 상기와 동일한 구조를 갖되 벽면 등에 고정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선풍기 등으로 대분할 수 있는바, 기존의 이러한 유형의 선풍기들은 고정상태에서 각도조절수단의 각도조절 폭에 한정하여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각도조절 폭은 통상 180°이상을 넘지 못하는 정도여서 거의 부채꼴 형태로 송풍을 행하는 실정이며 사방으로의 송풍은 불가능하였으며, 상하 각도조절 역시 상측이나 하측 등 선택된 일방향으로만 송풍이 가능하여 어느 방향은 상측, 어느 방향은 하측 등 송풍방향이 상하 양방향으로 모두 선택할 수 있는 선풍기는 부재하였던 것이다.
그러한 연유로 인하여 선풍기를 사용코자 하는 사용자가 선풍기 주위로 1명 이상이 있을 경우 송풍방향을 통상 각도조절수단을 사용하여 각운동하도록 조절하는바, 이러한 경우 송풍은 각도조절수단에 의해 각운동하면서 행하여져 특정한 1인에게는 송풍이 간헐적으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고, 상하방향도 하나의 방향을 택일하여야 하므로 사용자마다 원하는 상하방향으로 송풍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하였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의 고안자 겸 출원인은 사방으로 송풍이 가능함은 물론, 송풍방향을 상하로 임의 조절할 수 있는 선풍기를 기히 선출원한 바 있는데(출원번호:1998년 실용신안등록출원 제 호), 이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선풍기(1)의 송풍구동부(3)를 케이스(2)의 하측에 형성하고, 상기 송풍구동부(3)의 프로펠러(8)의 회전으로 상방으로 송풍되는 바람을 사방으로 상하각도 조절하여 송풍할 수 있는 송풍용 유도닥트(10)와 송풍그릴(11)로 이루어진 송풍안내부(4)를 케이스(2) 상측에 설치함으로서 비교적 차거운 공기를 공급받아 사용자에게 사방으로 강약조절된 송풍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종래 제한된 각도범위내에서만 송풍이 가능한 선풍기에 비하여 각도제한없이 일시에 사방으로 송풍을 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사방으로 지속적인 송풍이 가능하고, 송풍 방향에 따라 송풍방향을 송풍그릴(11)을 상하로 각도조절하여 상하 송풍방향도 임의로 구분하여 조절송풍할 수 있으며, 프로펠러(8)가 케이스(2)의 하측부위에 설치되어 프로펠러(8) 부위가 케이스(2) 및 송풍그릴(11) 등에 의해 차단되어 있으므로 어린아이들이 고속으로 회전하는 프로펠러에 손 등을 집어넣어 상해를 입을 수 있는 폐단 등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던 것인바,
이러한 선출원 고안의 경우 케이스(2)의 하측에서 송풍된 바람이 상방으로 이동하여 송풍안내부(4)를 경유하여 바람이 사용자에게 송풍이 이루어지므로 원활한 송풍 및 송풍되는 바람의 강약조절에 일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송풍효율을 보다 증대시켜 송풍되는 바람의 강약조절이 용이하고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개량된 선풍기를 제공코자 함에 고안의 기술적 과제를 둔 것이다.
도 1은 본원 출원인이 선출원한 선풍기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의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프로펠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프로펠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21:선풍기 22:케이스
23:송풍구동부 24:송풍안내부
25:캐스터 26:모터
27:출력축 28:프로펠러
29:공기유입공 30:송풍그릴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3는 본 고안의 내부 구성 단면도, 도 4,5는 본 고안에 있어서 프로펠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등으로서,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선풍기(21)는 개략 원통형, 또는 사각형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케이스(22)와, 상기 케이스(22) 상측 또는 하측(도시한 예는 상측인 경우임)의 송풍구동부(23), 상기 송풍구동부(23)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송풍안내부(24)로 이루어진다.
케이스(22)의 하단에는 이동수단인 캐스터(25)가 부착되고, 케이스(22) 상측 송풍구동부(23)에는 모터(26)를 수직방향으로 고정하여 이의 출력축(27)을 케이스(22)의 하측으로 수직방향으로 축설치하여, 출력축(27)상에는 개략 직사각형 등으로 이루어지는 프로펠러(28)를 축방향으로 길이고정하고, 수개의 공기유입공(29)을 케이스(22)의 하단 바닥면에 관통되게 형성하여 모터(26)의 기동으로 프로펠러(28)가 회전하면 공기유입공(29)을 통하여 케이스(22) 내부로 유입된 공기가 상방으로 유입되면서 프로펠러(28)의 회전에 의해 송풍구동부(23)의 외측부인 송풍안내부(24)로 유도송풍이 행하여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송풍구동부(23)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송풍안내부(24)는 송풍구동부(23) 상에서 발생된 바람이 케이스(22) 사방으로 유도송풍될 수 있도록 케이스(22)에 사방으로 형성된 송풍그릴(30)을 따라 송풍될 수 있도록 구성하거나, 또는 송풍그릴(30) 대용으로 소정 메쉬수를 가진 망체(미도시)로 구성토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프로펠러(28)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프로펠러(28)의 형상을 개략 반구형으로 구성한 경우이며, 이때 케이스(22)의 형상 역시 이에 부합하는 구형 등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프러펠러(28)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서, 프러펠러(28)를 만곡형으로 형성하고 이를 전기한 도 2,3 보다는 그 갯수를 증감시켜 송풍효율을 배가하면서도 송풍시 소음은 줄일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한 경우이다.
도면중의 미설명부호 31은 전원코드, 32는 스위치판넬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고안은 선풍기(21)에서 송풍되는 바람을 사방으로 상하방향 조절 등을 하면서 효율적으로 송풍할 수 있으며, 안전성도 극히 우수한 것으로서, 이의 작용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 보기로 한다.
전원코드(31)를 전원콘센트에 연결한 후 스위치판넬(32)상의 스위치를 ON하면 케이스(22) 상측의 모터(26)가 기동하여 모터(26)의 출력축(27)상에 축방향으로 길이고정된 프로펠러(28)가 소정 회전수로 회전하면서 케이스(22) 하측에 형성된 공기유입공(29)을 통하여 비교적 상부공기 보다는 온도가 낮은 하부의 차거운 공기가 케이스(22) 내부로 유입되어 프로펠러(28)에 의해 바로 사방으로 송풍이 행하여지고, 사방으로 송풍되는 바람은 송풍안내부(24)에 의해 사방으로 분산되어 사용자에게 송풍이 행하여지는 것이다.
특히 본 고안의 선풍기(21)는 케이스(22)의 하측에서 유입된 바람을 바로 프로펠러(28)로 유입하여 케이스(22) 외측으로 사방송풍을 행함으로서 송풍과정이 단축되어 송풍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것이며, 송풍용 프로펠러(28)가 송풍가이드 역할도 동시에 수행하므로 제품의 구조를 보다 단순화하여 염가로 제작이 가능하며, 프로펠러(28)의 형상이나 갯수 등을 적정의 수로 조절할 경우 바람의 강약 및 송풍시 소음발생문제 등도 동시에 해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시하는 사방 송풍형 개량 선풍기(21)는 그 구성을 보다 단순화시켜 제품의 원가절감에 기여하여 대외 가격경쟁력을 높일 수 있으며, 선풍기로 유입된 바람을 바로 다양한 형상 및 갯수로 출력축(27)이 축방향으로 길이고정되는 프로펠러(28)가 행하도록 함으로서 송풍효율을 배가할 수 있는 등 그 기대되는 효과가 예상외로 다대한 것이다.

Claims (1)

  1. 사방으로 송풍을 행할 수 있는 사방 송풍형 선풍기(21)에 있어서;
    케이스(2)상에 고정설치되는 모터(26)의 출력축(27)을 수직방향으로 축설치하고, 상기 출력축(27)에는 수개의 프로펠러(28)를 축방향으로 길이고정하여 송풍구동부(23)를 구성하고;
    상기 송풍구동부(23)의 사방 외측으로 송풍용 그릴 내지 망체로 이루어지는 송풍안내부(24)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풍기.
KR2019980015445U 1998-08-11 1998-08-11 선풍기 KR199800652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445U KR19980065295U (ko) 1998-08-11 1998-08-11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5445U KR19980065295U (ko) 1998-08-11 1998-08-11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295U true KR19980065295U (ko) 1998-11-25

Family

ID=695106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5445U KR19980065295U (ko) 1998-08-11 1998-08-11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529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8795A1 (en) * 2000-08-26 2002-03-07 Chea Duk Lim Auto movable electric fan
WO2006016749A2 (en) * 2004-08-13 2006-02-16 Kyong Ho Park Four-direction electric fa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18795A1 (en) * 2000-08-26 2002-03-07 Chea Duk Lim Auto movable electric fan
WO2006016749A2 (en) * 2004-08-13 2006-02-16 Kyong Ho Park Four-direction electric fan
WO2006016749A3 (en) * 2004-08-13 2006-05-11 Kyong Ho Park Four-direction electric fa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23392A1 (en) Multi-directional tower fan
US8562398B2 (en) Airflow diffuser (diffuser fan) and air conditioner
WO2000049342A3 (en) Low speed cooling fan
US5924923A (en) Air conditioner indoor unit
CN203189282U (zh) 塔式风扇
KR200278255Y1 (ko) 선풍기
KR19980065295U (ko) 선풍기
JP3136859U (ja) 扇風機
KR101767054B1 (ko) 코안다 선풍기
CN212376941U (zh) 风扇组件
KR19980032253U (ko) 선풍기
JP3486734B2 (ja) 扇風機
CN2258927Y (zh) 辐射式自然风电扇
WO2006016749A2 (en) Four-direction electric fan
CN113108370A (zh) 一种导风组件及空调器
KR200219903Y1 (ko) 선풍기
KR19980044264A (ko) 입체형 선풍기
CN2577017Y (zh) 一种鼓风机
CN218817075U (zh) 一种多功能挂脖风扇
KR100603034B1 (ko) 사방향 선풍기
CN218717642U (zh) 一种循环扇
CN212376938U (zh) 风扇组件
KR200342931Y1 (ko) 하향 송풍식 선풍기
KR200203020Y1 (ko) 선풍기
KR970006210Y1 (ko) 360˚ 방향으로 바람을 불어주는 선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