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5180U - 이중 개폐 가능한 캡 - Google Patents

이중 개폐 가능한 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5180U
KR19980065180U KR2019980014888U KR19980014888U KR19980065180U KR 19980065180 U KR19980065180 U KR 19980065180U KR 2019980014888 U KR2019980014888 U KR 2019980014888U KR 19980014888 U KR19980014888 U KR 19980014888U KR 19980065180 U KR19980065180 U KR 1998006518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lower cap
ring
outlet
upper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48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9470Y1 (ko
Inventor
이영재
Original Assignee
이영재
주식회사 재우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재, 주식회사 재우정밀 filed Critical 이영재
Priority to KR20199800148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9470Y1/ko
Publication of KR1998006518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18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94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9470Y1/ko

Link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상부캡부(70)와 하부캡부(60)로 이루어져 재사용을 방지하는 이중 개폐 가능한 캡으로, 하부캡부(60)의 하부캡(61) 상단에서 연장된 하부캡 배출구(63)에 직경이 작아지도록 하는 턱부(64)를 두고 턱부(64)에는 직경방향으로 수평을 이룬 수평부(64-1)와 수평부 내경에서 상향 경사진 테이퍼부(64-2)를 형성하고, 하부캡 배출구(63)의 턱부(64) 대응 부위에는 분리벽(73)을 중심으로 상부캡(71)과 링부(72)가 힌지바(74)와 분리공(75)이 교대로 일체로 결합된 방식의 상부캡부(70)가 결합되고, 하부캡부(60)의 하부캡 배출구(63)에는 상기 상부캡(71)의 보조돌기(79)에 대응하여 실링 결합되는 누액차단돌기(67)를 가지며, 상부 캡부(70)의 상단부 구조는 상부캡(71)의 측벽의 눌림을 용이하도록 내부로 만곡한 만곡부(77)를 이루는 이중 개폐 가능한 캡이며, 상부캡부만 분리시켜 하부캡부를 통하여 내용물을 필요한 양만큼만 직접 먹을 수 있고, 하부캡을 분리시켜 내용물을 컵에 따른 다음 선택적으로 먹을 수도 있어 편리하다.

Description

이중 개폐 가능한 캡
본 고안은 이중 개폐 가능한 캡에 관한 것으로, 병의 내용물 위조를 방지하는 기능(부정사용 방지기능)을 가지며 상단을 연장하여 배출구를 가지는 하부캡부와, 하부캡부에 결합하여 배출구를 개폐하며 역시 위조 방지 기능을 가지고 눌러서 상부캡을 열 수 있는 기능의 상부캡부와의 결합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이중 개폐 가능한 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정 방지용 캡은 도 1 내지 도 3 에서와 같이 제 1 및 제 2 캡부로 이루어지는바, 내부에서 용기를 밀폐 가능케 하는 환상의 밀폐프랜지(15)가 수직으로 돌출된 제 1 캡부(11)와, 제 1 캡부(11)와 연결벽(19)으로 연결되는 원통형의 제 2 캡부(12)와, 제 2 캡부(12)에 일단이 고정되어 연결벽(19)을 절단토록 하는 손잡이(14)로 이루어진다. 제 1 캡부(11)와 제 2 캡부(12)는 연결벽(190으로 연결되는바, 그 계면 내부에 제 1 홈(18)이 형성되고, 제 1 홈(18)에 의하여 얇은 연결벽(19)이 형성된다. 이때 제 1 캡부(12) 중간 부분 내주연에는 제 2 홈(20)이 형성되며, 제 1 홈(18)과 제 2 홈(20)사이에는 리브(26)가 형성되고, 제 1 캡부(11)하부 외주연에는 외부턱부(17)가 이루어져 연결벽(19)을 지탱케 한다.
이를 사용할 때는 도 3a와 같이 병(C)의 목부(N) 상단의 상단 프랜지(21)가 제 1 캡부(11)의 밀폐프랜지(15)에 밀접하여 제 1 캡부(11)와 목부(N)가 밀폐된다. 아울러 제 2 캡부(12)의 제 2 홈(20)에 목부(N)의 돌출 리브(25)가 끼워져서, 제 2 캡부(12)가 목부(N)와 결합된다. 이때 리브(26)는 당접하는 목부(N)의 외주연을 눌러 주어 연결벽(19)의 손상을 막아 준다. 이 상태에서 손잡이(14)를 잡아당기면 연결벽(19)이 뜯어지게 되어 제 2 캡부(12)가 목부(N)에서 분리된다. 이 경우 제 1 캡부(11)는 상단 프랜지(21)에 의해 그대로 결합 고정되어 도 3b와 같은 상태를 유지하고 필요시 제 1 캡부(11)를 목부(N)에서 다시 분리시켜 내용물을 꺼내 사용할 수 있으며, 일부 내용물이 남아 있을 경우 제 1 캡부(11)를 다시 상단프랜지(21)에 끼움 고정시켜 사용하면 된다. 따라서 제 2 캡부(12)를 손잡이(14)로써 분리시키지 않으면 제 1 캡부(11)를 열 수 없게 되어, 식품 용기에 사용할 경우 내용물의 바꿈을 미연에 방지(위조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의 캡은 연결벽(19)이 얇아서 성형시 성형 불량이 많이 발생하고, 캐핑시에도 불량이 많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어, 도 4 와같이 개량 사용되고 있다. 즉, 통상의 캡부(31)와, 병목에 고정되는 링상의 링부(32)와, 이들을 연결하는 일정 간격의 공간(33)을 두고 설치된 힌지바(34)로 이루어지고, 링부(32)에는 병목에 끼움 고정이 가능토록 턱부(35)가 형성된다.
또한 최근에는 생수 용기 등에 설치되어 병마개를 이중으로 개폐 가능토록 한 캡이 사용되고 있는바, 이는 도 5 와같이 병(41)의 목에 설치되며 중앙 상부에 하부캡 배출구(42)를 가지고 재사용 방지 기능의 링부(43)가 결합된 하부캡(44)과, 하부캡 배출구(42)에 결합되며 역시 재사용 방지 기능의 링부(53)를 가지고 상부캡 배출공(52)이 상단에 형성된 상부캡(54)과, 상부캡(54)을 개폐하는 개폐 마개(56)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캡(44)은 일정 간격의 공간 간격을 두고 설치된 힌지바(45)에 의하여 상호 결합되어 재사용 방지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부캡(54)에도 역시 위조 방지 기능을 수행토록 힌지바(55)에 의하여 상부캡(54)과 결합된다. 상기 하부캡 배출구(42)는 하부캡(44)의 상부 중앙에서 연장되어 돌출한 관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에는 지지 기둥(46)에 의하여 하부캡 배출구(42)와 연결되어 하부캡 배출공(47)을 제공토록 이루어진 하부캡 보조 마개(48)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캡(54)의 상부 중앙에는 상기 하부캡 보조 마개(48)에 의하여 개폐되는 상부캡 배출공(52)이 형성되며, 상부캡(54)의 내주연 하부에는 하부캡 배출구(42)와의 이탈을 방지하는 고정돌륜(57)이 형성된다. 이를 사용할 때는 하부캡(44)의 하부캡 배출구(42) 상단에 상부캡(54)을 일체로 프레싱하여 하부캡(44)에 상부캡(54)이 일체로 결합토록 한다. 물론 이때 하부캡(44)은 힌지바(45)를 통하여 링부(43)와 일체로 결합된 상태이고, 상부캡(54) 역시 링부(53)가 힌지바(55)에 의하여 일체로 결합된 상태의 것이다. 이 상태의 일차 조립품을 병의 목에 위치시켜 2차로 프레싱하여 결합시키고, 개폐 마개(56)를 사용하여 상부캡(54)을 덮도록 결합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하부캡(44)을 병(41)에 먼저 결합시키고, 이어 상부캡(54)을 프레싱에 의하여 결합시킨 다음 개폐마개(56)를 사용하여 캐핑 공정을 완성할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사용할 때는 개폐마개(56)를 열고 상부캡(54)을 잡고 위로 당기면 힌지바(55)가 링부(53)와 분리되면서 링부(53)는 남고 상부캡(54)이 도 5 의 좌측 부분과 같이 상승하게 된다. 그러면 하부캡 보조 마개(48)와 상부캡 배출공(52) 사이에 일정한 배출 통로가 형성되므로 이를 통하여 병(41) 내용물을 밖으로 배출할 수가 있다. 물론 일시에 배출할 때는 하부캡(44)을 돌려 링부(43)를 남기고 힌지바(45)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하부캡(44)을 열면 하부캡(44)에 일체로 결합된 상부캡(54)과 개폐마개(56)까지 함께 병(41) 목에서 분리된다. 그 상태에서 내용물을 배출하면 된다. 이와 같은 방식은 하부캡(44)에 상부캡(54)과 개폐마개(56)를 연이어 결합하는 즉, 3개의 부품의 결합 상태를 이루므로 그 만큼 조립성이 나빠지고, 하부캡(44)에 일체로한 하부캡 배출구(42)에 상부캡(54)과 개폐 마개(56)를 함께 지지토록 구성하여야 하고 하부캡 배출구 상단에 일체로 구성하므로 크게 구성하기가 어려운 하부캡 보조 마개(48)에 의한 직경을 가지는 상부캡 배출공(52)을 통하여 내용물을 배출하므로 배출 량이 작은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이를 해소코자 하는 것으로, 위조 방지 기능의 하부캡부와 상부캡부가 결합된 이중 개폐 가능한 캡에서 하부캡부의 하부캡 배출구에 상부캡의 링부 분리를 용이하도록 수평부와 테이퍼부를 가지는 턱부를 형성하여, 상부캡을 눌러 개폐되는 기능을 수행토록하고, 상부캡부와 하부캡부의 2개 부품으로 이중 개폐를 가능토록 하는 이중 개폐 가능한 캡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하부캡 배출구에 직경이 작아지도록 하는 턱부를 두고 턱부에는 수평을 이루는 수평부와 수평부의 내경에서 상향 경사진 테이퍼부를 이루게 하고, 하부캡 배출구에는 높이 중앙부에 누액차단돌기를 두어 상부캡과의 실링을 수행토록하여 상부캡의 지지력을 증대하도록 결합된 구성의 이중 개폐 가능한 캡을 제공한다.
도 1 은 종래의 위조 방지 기능의 캡 사시도,
도 2 는 도 1 의 확대 사시도,
도 3a 은 병에 결합한 경우의 요부 단면도,
도 3b 은 사용한 경우를 보인 상태의 요부 단면도,
도 4 는 종래의 위조 방지 기능을 하는 캡의 다른 예를 보인 정면도,
도 5 는 종래의 이중 개폐 가능한 구조의 예를 보인 일부 절결 정면도,
도 6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7 은 도 6 의 A-A 선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9 는 본 고안의 상부캡이 분리된 경우를 보인 단면도,
도 10 은 본 고안의 상부캡을 보인 단면도,
도 11 은 본 고안의 상부캡의 일 예를 보인 평면도,
도 12 는 도 11 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0;하부캡부 61;하부캡
62;링부 62-1;턱부
62-2;힌지바 63;하부캡 배출구
64;턱부 64-1;수평부
64-2;테이퍼부 66;배출구 67;누액차단돌기 68;배출공 69;링부 걸림돌기 70;상부캡부 71;상부캡 72;링부 72-1;링부 차단돌륜 72-2;링부 기준돌륜 73;분리벽 74;힌지바 75;분리공 76;측벽 77;만곡부 78;내부 밀폐프랜지 78-1;외부 밀폐프랜지 78-2;분리홈 79;보조돌기
즉 본 고안은 상부캡부와 하부캡부로 이루어져 재사용을 방지하는 이중 개폐 가능한 캡에서, 하부캡부의 하부캡 상단에서 연장된 하부캡 배출구 높이 중앙부에 직경이 작아지도록 하는 턱부를 두고, 턱부에는 직경방향으로 수평을 이룬 수평부와 수평부 내경에서 상향 경사진 테이퍼부를 형성하고, 하부캡 배출구의 턱부대응부위에는 분리벽을 중심으로 상부캡과 링부가 힌지바와 분리공이 교대로 일체로 결합된 방식의 상부캡부가 결합되고, 하부캡부의 하부캡 배출구에는 상기 상부캡의 보조돌기에 대응하여 실링 결합되는 누액차단돌기를 가지며, 상부 캡부의 상단부는 상부캡의 측벽의 눌림을 용이하도록 내부로 만곡한 만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개폐 가능한 캡을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은 본 고안의 사시도, 도 7 은 도 6 의 A-A 선 단면도, 도 8 은 본 고안의 사용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9 는 본 고안의 상부캡이 분리된 경우를 보인 단면도, 도 10 은 본 고안의 상부캡을 보인 단면도, 도 11 은 본 고안의 상부캡의 일 예를 보인 평면도, 도 12 는 도 11 의 b 부분 확대도로,
상부캡부(70)와 하부캡부(60)로 이루어져 재사용을 방지하는 이중 개폐 가능한 캡으로, 하부캡부(60)의 하부캡(61) 상단에서 직경이 작도록 연장된 하부캡 배출구(63)에 직경이 보다 작아지도록 하는 턱부(64)를 두고 턱부(64)에는 하부캡 배출구(63)의 직경 방향 중심으로 연장된 수평의 수평부(64-1)와, 수평부 내경부에서 상향으로 경사지게 테이퍼진 테이퍼부(64-2)가 형성된다. 하부캡 배출구(63)의 턱부(64) 대응 부위에는 분리벽(73)을 중심으로 상부캡(71)과 링부(72)가 힌지바(74)와 분리공(75)이 교대로 일체로 결합된 방식의 상부캡부(70)가 결합되고, 하부캡부(60)의 하부캡 배출구(63)에는 상기 상부캡(71)의 보조돌기(79)에 대응하여 실링 결합되는 누액차단돌기(67)를 가지며, 상부 캡부(70)의 상단부는 상부캡(71)의 측벽의 눌림을 용이하도록 내부로 만곡한 만곡부(77)를 포함한다. 상기 링부(72)에 대응하는 하부캡 배출구(63)에는 링부 걸림돌기(69)가 외향으로 돌출되고, 링부 걸림돌기(69)에 대응하는 링부(72)에는 링부 걸림돌기(69)와 결합하도록 기능 하는 링부 차단돌륜(72-1)이 수평 기준으로 아래에 설치되고, 링부 걸림돌기(69)의 수평선상의 상부에 해당하는 링부(72)에는 링부(72)와 분리벽(73)의 분리시 힘의 기준점을 제공하는 링부 기준돌륜(72-2)이 구성된다. 하부캡부(60)의 하부캡 배출구(63)의 상단인 배출구(66)의 내 외면은 상부캡(71)의 대응 부위에 형성된 내부 밀폐프랜지(78)와, 외부 밀폐프랜지(78-1)로 밀폐되고, 외부 밀폐프랜지(78-1)의 하단부에는 배출구(66)의 누액차단돌기(67)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분리홈(78-2)을 형성하고, 외부 밀폐프랜지(78-1) 내측면의 상하에는 각각 실링용 보조돌기(79)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을 사용할 때는 도 7 및 도 8 과같이 결합 포장된 상태를 기초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병의 도시는 생략하였다. 우선 상부캡부(70)를 조작하여 병의 내용물을 먹고자 할 때는 도 7 의 상태에서 상부캡(71)을 잡고 도 8 과같이 직경이 작아지도록 밀면 상부캡(71)의 하단이 수평부(64-1)에 의하여 중심 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분리벽(73)을 이루는 힌지바(74)가 분리되면서 링부(72)가 상부캡(71)에서 분리된다. 이 경우 상부캡(71)의 측벽(76) 내면에는 살 보강용 보강살(76-1)이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어 측벽(76)의 형태 변형을 방지토록 한다. 또한 상기 분리벽(73)에는 도 10 내지 도 12에 보인바와 같이 도 12 에서 측벽(76)과 결합되는 링부(72)를 연결하는 힌지바(74)와, 힌지바(74) 사이사이에서 측벽(76)과 링부(72)를 분리시키는 공간인 분리공(75)이 이루어져 있으므로, 측벽(76)과 링부(72)의 결합이 쉽게 분리된다. 또한 링부(72)에는 기준링(72-2)이 내면 상부에 있어 도 8 과같이 상부캡(61)을 안으로 밀 때 링부(72)가 그 상태를 유지하는 기준점을 제공하므로 힌지바(74)가 쉽게 분리되도록 한다. 이어 힌지바(74)가 분리되면 상부캡(61)의 하단부는 테이퍼부(64-2)를 타고 상승하면서 상부캡(71)내부의 외부 밀폐프랜지(78-1)에 형성된 보조돌기(79)와 배출구(66)에 형성된 누액 차단돌기(67)의 결합을 자동 해제토록 하므로 써 자연스럽게 상부캡(71)이 하부캡 배출구(63)에서 도 9 와같이 분리된다. 이 경우 또한 상부캡(71)은 만곡부(77)에 의하여 측벽(76)과 만나는 각도가 상대적으로 작아진 상태이므로 도 9 와같이 상부캡(71)을 누를 때 측벽(76)이 쉽게 직경방향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기능 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병을 기울여 내용물을 배출공(68)을 통하여 배출토록 하여 손쉽게 내용물을 먹을 수 있다. 일단 상부캡(71)을 하부캡(61)에서 분리시켜 내용물을 먹고 나서는 도 9 상태에서 상부캡(71)을 하부캡 배출구(63)를 향하여 누른다. 이 경우 필요시 상부캡(71)의 외부 밀폐프랜지(78-1)에는 일정 간격의 분리홈(78-2)을 형성할 경우 외부 밀폐프랜지(78-1)의 하부 직경이 압박시 자연스럽게 커지게 되어 누액차단돌기(67)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한다.
한편 하부캡부(60)를 병에서 분리시킬 때는 도 8 의 상태에서 하부캡(61)을 잡고 마개를 따는 방향으로 돌리면 링부(62)는 턱부(62-1))에 의하여 병목의 고정링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힌지바(62-2)가 쉽게 분리되어 병목이 쉽게 노출된다. 일단 힌지바(62-2)가 분리되면 사용자는 병의 내용물이 한번은 배출된 것임을 알 수 있어 병의 내용물의 재사용을 방지(내용물 위조 방지)토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다.
아울러 상부캡부(70)도 일단 사용하면 링부(72)가 상부캡(71)에서 분리되므로(분리벽(73)의 절단) 사용자는 한 번 사용한 것임을 알 수가 있어 내용물의 위조를 방지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일단 사용한 경우라도, 상부캡(71)에는 밀폐프랜지(78, 78-1)와 보조돌기(79)가 형성되고, 밀폐프랜지(78, 78-1)와 보조돌기(89)는 누액차단돌기(67)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있어 별도의 보조 마개 없이도 상부캡 자체로 내용물의 누출 없이 마개 기능을 수행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하부캡 배출구에 직경이 작아지도록 하는 턱부를 두고 턱부에는 수평을 이루는 수평부와 수평부의 내경에서 상향 경사진 테이퍼부를 이루게 하고, 하부캡 배출구에는 높이 중앙부에 누액차단돌기를 두어 상부캡과의 실링을 수행토록 하여 상부캡의 지지력을 증대하도록 결합된 구성의 이중 개폐 가능한 캡을 제공하므로, 2개의 구성 요소(상부캡부와 하부캡부)로 위조 방지 기능과 이중 개폐 기능을 겸할 수 있어 구성이 간단하고 사용이 간편하다. 또한 본 고안은 하부캡에 상부캡만을 결합하는 구성이므로 하부캡 배출구의 직경이 상대적으로 굵어지고 또한 개폐 가능한 별도의 보조 마개가 필요 없어 내용물의 추출이 용이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3)

  1. 상부캡부(70)와 하부캡부(60)로 이루어져 재사용을 방지하는 이중 개폐 가능한 캡으로, 하부캡부(60)의 하부캡(61) 상단에서 연장된 하부캡 배출구(63)에 직경이 작아지도록 하는 턱부(64)를 두고 턱부(64)에는 직경방향으로 수평을 이룬 수평부(64-1)와 수평부 내경에서 상향 경사진 테이퍼부(64-2)를 형성하고, 하부캡 배출구(63)의 턱부(64) 대응 부위에는 분리벽(73)을 중심으로 상부캡(71)과 링부(72)가 힌지바(74)와 분리공(75)이 교대로 일체로 결합된 방식의 상부캡부(70)가 결합되고, 하부캡부(60)의 하부캡 배출구(63)에는 상기 상부캡(71)의 보조돌기(79)에 대응하여 실링 결합되는 누액차단돌기(67)를 가지며, 상부 캡부(70)의 상단부는 상부캡(71)의 측벽의 눌림을 용이하도록 내부로 만곡한 만곡부(7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개폐 가능한 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부(72)에 대응하는 하부캡 배출구(63)에는 링부 걸림돌기(69)가 외향으로 돌출 되고, 링부 걸림돌기(69)에 대응하는 링부(72)에는 링부 걸림돌기(69)와 결합하도록 기능 하는 링부 차단돌륜(72-1)이 수평 기준으로 아래에 설치되고, 링부 걸림돌기(69)의 수평선상의 상부에 해당하는 링부(72)에는 링부(72)와 분리벽(73)의 분리시 힘의 기준점을 제공하는 링부 기준돌륜(72-2)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개폐 가능한 캡.
  3. 제 1 항에 있어서, 하부캡부(60)의 하부캡 배출구(63)의 상단인 배출구(66)의 내 외면은 상부캡(71)의 대응 부위에 형성된 내부 밀폐프랜지(78)와, 외부 밀폐프랜지(78-1)로 밀폐되도록 구성하고, 외부 밀폐프랜지(78-1)의 하단부에는 배출구(66)의 누액차단돌기(67)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는 분리홈(78-2)을 형성하고, 외부 밀폐프랜지(78-1) 내측면의 상하에는 각각 실링용 보조돌기(79)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 개폐 가능한 캡.
KR2019980014888U 1998-08-07 1998-08-07 이중 개폐 가능한 캡 KR2002094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888U KR200209470Y1 (ko) 1998-08-07 1998-08-07 이중 개폐 가능한 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4888U KR200209470Y1 (ko) 1998-08-07 1998-08-07 이중 개폐 가능한 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180U true KR19980065180U (ko) 1998-11-25
KR200209470Y1 KR200209470Y1 (ko) 2001-03-02

Family

ID=69510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4888U KR200209470Y1 (ko) 1998-08-07 1998-08-07 이중 개폐 가능한 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947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9470Y1 (ko) 200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734B1 (ko) 캔용 플라스틱 뚜껑
US20160244219A1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tamper-evident closure
US6769575B1 (en) Tamper evident plastic closure
US5405031A (en) Closure for a medicine bottle
US8272543B2 (en) Combination of full flow cap valve and neck finish
JP5182811B2 (ja) 蓋付き容器
DK161244B (da) Beholder
JP5542604B2 (ja) 注出容器
US6073809A (en) Snap-on tamper evident closure with push-pull pour spout
JP5991838B2 (ja) 複合容器蓋
WO1991003404A1 (en) Container closure with internal channels for washing an interthread space
JP4580064B2 (ja) ヒンジ付きキャップ
JP3938306B2 (ja) 注出キャップ
KR200209470Y1 (ko) 이중 개폐 가능한 캡
US6070766A (en) Tamper evident closure
US6024255A (en) Tamper evident closure with push-pull pour spout
CN211618667U (zh) 一种安全可靠的组合瓶盖及容器
JP4125402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200244521Y1 (ko) 이중개폐가능한캡
CN110668003A (zh) 一种安全可靠的组合瓶盖及容器
JP7346059B2 (ja) キャップ
US6073810A (en) Tamper-evident closure
JP2020070063A (ja) ヒンジキャップ
JP7417242B2 (ja) ヒンジキャップ
KR101020033B1 (ko) 병마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