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5092U - 바코드가 이용된 동화 출력장치 - Google Patents

바코드가 이용된 동화 출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5092U
KR19980065092U KR2019980013952U KR19980013952U KR19980065092U KR 19980065092 U KR19980065092 U KR 19980065092U KR 2019980013952 U KR2019980013952 U KR 2019980013952U KR 19980013952 U KR19980013952 U KR 19980013952U KR 19980065092 U KR19980065092 U KR 1998006509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code
fairy tale
moving picture
pack
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139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현
Original Assignee
이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현 filed Critical 이동현
Priority to KR20199800139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5092U/ko
Publication of KR1998006509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092U/ko

Links

Landscapes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바코드가 이용된 동화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화책(10)의 각 문장(12)이나 각 단어에 부여된 바코드(11)의 고유 번호를 핸드 스캐너(21)로 인식하게 하고, 인식된 고유 번호를 통해 동화팩(23)에 저장된 해당 내용의 동화를 음성이나 소리로 출력되게 한 것으로, 동화책(10) 및 학습지의 내용에 기록된 바코드(11)를 인식하기 위해 소정 모양을 가진 핸드 스캐너(21)와; 동화책에 기록된 바코드의 고유 번호 별로 해당되는 동화 내용이 음성정보로 저장된 기억 수단(동화팩(23))과; 핸드 스캐너(21)에 의해 인식된 바코드(11)의 고유 번호를 입력하여 기억 수단(동화팩(23))으로부터 해당 내용의 음성 정보를 찾아 이를 출력하는 마이컴(50)과; 마이컴(5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변환 및 증폭한 후 음성신호로 이를 출력하는 출력부(70)로 구성하여, 어린이들의 학습 욕구 및 학습 효과를 증대한 바코드가 이용된 동화 출력장치이다.

Description

바코드가 이용된 동화 출력장치.
본 고안은 바코드가 이용된 동화 출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화책의 각 문장이나 각 단어에 부여된 바코드의 고유 번호를 핸드 스캐너로 인식하게 하고, 인식된 고유 번호를 통해 동화팩에 저장된 해당 내용의 동화를 음성이나 소리로 출력 함으로써 어린이들의 학습 욕구 및 학습 효과를 증대되게 한 바코드가 이용된 동화 출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코드는 굵은 선과 가는 선에 의해서 2진화하여 표시한 숫자나 문자의 코드로, 판매점의 상품장부, 상품의 태그 카드, 혹은 상품 자신에 인쇄되어 있으며, 그 상품의 번호나 단가등을 나타내며, 그 상품의 판매에 이코드를 광학적으로 판독시키는 포스(POS)시스템 등에서 사용된다.
또한, 바코드를 읽는 장치로는 바코드 리더, 혹은 바코드 판독기라 하는 장치가 있으며, 최근에는 간단한 핸드 스캐너가 널리 이용되는 추세이며, 이러한 장치는 바코드의 바(bar)의 중심 부근을 레이저 광선으로 횡단하면서 흑과 백의 바의 폭을 측정하여 표시되어 있는 숫자를 읽어내는 장치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코드는 상품을 구분하거나 혹은 상품 정보를 나타내는 데에만 사용됨으로써 그 이용범위가 제한되어 이용의 가치가 활성화되지 못하였다.
즉, 종래에는 바코드 및 핸드 스캐너등이 어린이들의 학습 교보재로서 활용되지 못하거나 혹은 학습에 이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동화책의 각 문장이나 어절 혹은 단어등에 고유번호가 부여된 바코드를 부여하고, 핸드 스캐너를 통해 그 바코드의 고유 번호를 인식할 수 있게 하며, 인식된 바코드의 고유 번호를 통해 동화팩에 저장된 해당 내용의 동화를 음성이나 소리로 출력함으로써 어린이들이 학습 효과나 혹은 학습 욕구를 증대될 수 있게 하는 바코드가 이용된 동화 출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문장이나 단어 및 그림 등의 일측에 기록되며 이를 구분하기 위한 각각의 고유 번호를 바코드를 통해 구분할 수 있게 된 서적(예:동화책)과; 상기 서적의 내용에 기록된 바코드를 인식하기 위해 소정 모양을 가진 핸드 스캐너와; 상기 서적에 기록된 바코드의 고유 번호 별로 해당 내용을 음성정보로 저장하는 기억 수단(예:동화팩)과; 상기 핸드 스캐너를 통해 인식된 바코드의 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기억 수단(동화팩)으로부터 찾아낸 해당 내용의 음성 정보를 소정의 방식으로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변환 및 증폭한 후 음성신호로 이를 출력하는 출력부로 구성되어짐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바코드 인식 및 출력장치의 구성을 보인 간단한 블럭도.
도 2 는 본 고안이 적용된 바코드가 동화책의 각 문장에 기록되어진 상태도.
도 3 은 본 고안의 장치가 이용되는 상태를 보인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동화책 11 : 바코드
12 : 동화 문장 20 : 바코드 출력 장치(본체)
21 : 핸드 스캐너 21-1 : 스캔 스위치
22 : 스피커 23 : 기억 수단(동화팩)
30 : 스캔부 40 : 바코드 인식부
50 : 마이컴 60 : 기억장치부
70 : 출력부 71 : 신호변환부
72 : 증폭부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예시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시된 도면의 도 1 은 본 고안이 적용된 바코드 인식 및 출력장치(20)의 구성을 보인 간단한 블록도이며, 도 2 는 본 고안이 적용된 바코드(11)가 동화책(10)의 각 문장(12)에 기록되어진 상태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의 장치에 대한 외부 사시도이다.
즉, 본 고안은 동화책(10)의 동화 내용을 필요에 따라 하나의 문장(12)이나 혹은 어절단위, 혹은 단어만 혹은 그림에 상응하는 일정한 소리를 출력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동화책(10)의 동화 내용에는 고유 번호가 부여된 각각의 바코드(11)가 소정의 위치에 기록되어지는 것을 전제로 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바코드(11)에 부여된 고유번호는 그 고유 번호별로 해당 내용의 동화를 음성 및 소리정보로 저장할 수 있게 한다.
음성정보나 소리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 수단(기억수단(23))은 예시된 도면에 도시된 동화팩(23)과 같이 본체(20)와의 삽입/이탈을 자유롭게 하되, 동화팩(23)만을 교체하면 다른 내용의 동화나 학습 내용도 간단히 본 고안의 장치에 의해 판독될 수 있게 한다.
물론, 저장수단(동화팩(23))에 저장된 음성 및 소리정보는 다른 장치를 통해 소정의 방법으로 녹음/입력되어 저장된다.
또한, 본 고안의 장치는 동화책(10)의 동화 내용에 기록된 여러 바코드(11)를 인식하기 위해 소정 모양을 가진 핸드 스캐너(21)가 본체(20)와 결합/연결된다.
특히, 본 고안이 적용된 핸드 스캐너(21)는 어린이들이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보다 소형으로 제작 할 수 있으며, 그 모양이나 형태가 어린이들의 취향에 맞도록 동물의 모양이나 필기도구의 형태로 특별히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 핸드 스캐너(21)의 손잡이 일측에는 스캔시 발광다이오드의 광선을 동화책(10)의 바코드(11)로 주사하기 위한 스캔 스위치(21-1)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핸드 스캐너(21)를 통해 읽혀지는 동화책(10)의 바코드(11)는 바코드 인식부(40)를 통해 그 고유 번호가 판독되며, 바코드 인식부(40)에 의해 판독된 고유 번호는 마이컴(50)에 인가되게 하며, 마이컴(50)은 인가된 바코드(11)의 고유 번호를 통해 기억부(동화팩(23))로부터 해당 내용의 동화 내용을 찾아 출력부(70)로 이를 출력 할 수 있게 한다.
마이컴(50)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동화내용)는 신호 변환부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며, 변환된 디지털 신호는 증폭부를 통해 증폭된 후 스피커(73)를 통해 음성신호로 출력된다.
즉, 본 고안은 공지된 바코드(11), 바코드 판독기(핸드 스캐너(21)), 저장수단, 음성 출력장치 등을 주합하여 용도에 맞게 구성되어지나, 바코드(11)가 이용되는 분야 및 그 활용 방법은 신규하고 진보한 특성을 가지며, 특히 본 고안의 장치는 어린이 들의 학습 효과와 학습의욕을 증대하기 위한 요지의 구성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해 본체(20)에 자유롭게 삽입 및 이탈되는 동화팩(23)은 본체(20)에 삽입된 후 동화 내용이나 학습 내용이 음성이나 소리정보로 저장된 저장수단이 되며, 마이컴(50)으로부터 필요한 정보만 읽혀져 바코드(판독된 바코드)(11)의 해당 내용만 출력부(70)로 출력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이 적용된 동화팩(23)은 한권의 동화나 학습 내용을 하나의 팩으로 저장될 수 있게 하며, 특히 해당되는 동화책(10)이나 학습지의 내용에 담긴 바코드(11)로부터 해당 내용만을 저장하게 됨으로써 그 동화책(10)이나 학습지하고만 반드시 병형되어 이용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본 고안이 적용된 핸드 스캐너(21)는 일반 핸드 스캐너(21) 보다도 어린이를 위해 소형으로 제작되며, 그 다양한 모양에 의해 어린이들이 보다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사용 욕구를 충족하는 작용을 한다.
즉, 본 고안의 장치는 동화 내용에 그 내용별로 바코드(11)가 부여된 동화책(10)과 병행하여 이용되는 특징이 있으나, 그 특징에 의해 어린이들의 학습 효과를 증대하고, 학습 욕구를 자극하게 됨으로써 어린이들 스스로 학습 할 수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장치는 동화 내용별로 바코드가 부여된 동화책으로부터 핸드 스캐너를 통해 고유 번호를 인식하고, 인식된 고유 번호를 통해 동화팩으로부터 해당되는 동화 내용을 찾아 음성이나 소리로 출력할 수 있게 됨으로써 어린이들의 학습 효과를 증대하고, 스스로 학습 욕구를 충족할 수 있게 한다.

Claims (3)

  1. 문장이나 단어 및 그림 등의 일측에 기록되며 이를 구분하기 위한 각각의 고유 번호를 바코드를 통해 구분할 수 있게 된 서적(예:동화책)과;
    상기 서적의 내용에 기록된 바코드를 인식하기 위해 소정 모양을 가진 핸드 스캐너와;
    상기 서적에 기록된 바코드의 고유 번호 별로 해당 내용을 음성정보로 저장하는 기억 수단(예:동화팩)과;
    상기 핸드 스캐너를 통해 인식된 바코드의 번호를 입력하여 상기 기억 수단(동화팩)으로부터 찾아낸 해당 내용의 음성 정보를 소정의 방식으로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변환 및 증폭한 후 음성신호로 이를 출력하는 출력부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가 이용된 동화 출력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본체에 삽입 및 이탈이 자유로운 소정의 팩모양 형태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가 이용된 동화 출력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 스캐너는 그 손잡이의 일측에 스캔시 발광다이오드의 빛을 바코드로 주사하기 위한 스위치가 구비되고, 어린이의 취향에 맞도록 동물모양이나 소정의 필기 도구 모양을 가지며 소형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코드가 이용된 동화 출력장치.
KR2019980013952U 1998-07-28 1998-07-28 바코드가 이용된 동화 출력장치 KR1998006509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952U KR19980065092U (ko) 1998-07-28 1998-07-28 바코드가 이용된 동화 출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13952U KR19980065092U (ko) 1998-07-28 1998-07-28 바코드가 이용된 동화 출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092U true KR19980065092U (ko) 1998-11-25

Family

ID=69510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13952U KR19980065092U (ko) 1998-07-28 1998-07-28 바코드가 이용된 동화 출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5092U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826A (ko) * 1998-09-24 1999-11-05 김혜숙 식별 표시 코드를 이용한 물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20079239A (ko) * 2001-04-14 2002-10-19 이언식 학습기
KR20030013790A (ko) * 2001-08-09 2003-02-15 주식회사 씨엠테크 디지털 보이스 레코딩을 통한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0415236B1 (ko) * 2001-08-16 2004-01-16 주식회사 토토빌 정전유도방식의 전자펜을 이용한 학습장치
KR100472013B1 (ko) * 2001-11-26 2005-03-08 리오우 케네쓰 음성 바코드 스캔 장치
KR20050116461A (ko) * 2004-06-07 2005-12-13 김석호 바코드를 이용한 학습기
KR100909793B1 (ko) * 2007-10-02 2009-07-29 주식회사 월드전자기술 교육용 학습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826A (ko) * 1998-09-24 1999-11-05 김혜숙 식별 표시 코드를 이용한 물품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020079239A (ko) * 2001-04-14 2002-10-19 이언식 학습기
KR20030013790A (ko) * 2001-08-09 2003-02-15 주식회사 씨엠테크 디지털 보이스 레코딩을 통한 정보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0415236B1 (ko) * 2001-08-16 2004-01-16 주식회사 토토빌 정전유도방식의 전자펜을 이용한 학습장치
KR100472013B1 (ko) * 2001-11-26 2005-03-08 리오우 케네쓰 음성 바코드 스캔 장치
KR20050116461A (ko) * 2004-06-07 2005-12-13 김석호 바코드를 이용한 학습기
KR100909793B1 (ko) * 2007-10-02 2009-07-29 주식회사 월드전자기술 교육용 학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88152B2 (ja) バーコードリーダ
KR890002815A (ko) 음성 인코딩 및 합성시스템
JPH0236030B2 (ko)
US7055744B2 (en) Data encoding device and data decoding device
KR19980065092U (ko) 바코드가 이용된 동화 출력장치
SE9002049D0 (sv) Anordning foer att avaktivera prislappar
JPH06162247A (ja) 2次元コード読み取り用バーコードリーダ
Berger et al. Force of Labour
JPS62162181A (ja) 光学読取装置
KR200287162Y1 (ko) 바코드를 이용한 음성출력 장치
US6354499B2 (en) Code Image reading apparatus
JPS63149774A (ja) 定置型スキヤナ
KR20020090736A (ko)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텍스트 카드 및 이를 이용한바코드/음성 재생시스템과 그의 재생방법
JPS6391792A (ja) バ−コ−ド読取装置
KR20070026932A (ko)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어학용 학습기
JPH0431436B2 (ko)
TW297889B (ko)
KR20080107103A (ko) 학습용 학습지 및 출력장치
KR20110130321A (ko)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어학용 학습기
JPS6277685A (ja) 光学的文字読取装置
KR200264681Y1 (ko) 토킹카드, 토킹카드 플레이어와 이들로 구성된 토킹카드시스템
JP2005284103A (ja) 音声ガイドシステム
KR920018601A (ko) 상품관리장치
KR100759996B1 (ko)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어학용 학습기
WO2008091030A1 (en) A learning apparatus for languages using two-dimensional bar co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