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5027A - 셀단위 망구조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지역교통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셀단위 망구조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지역교통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5027A
KR19980065027A KR1019980022634A KR19980022634A KR19980065027A KR 19980065027 A KR19980065027 A KR 19980065027A KR 1019980022634 A KR1019980022634 A KR 1019980022634A KR 19980022634 A KR19980022634 A KR 19980022634A KR 19980065027 A KR19980065027 A KR 199800650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information
location
mobile communication
inform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226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8645B1 (ko
Inventor
김창열
김순아
이민환
Original Assignee
장준호
주식회사 컴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준호, 주식회사 컴완 filed Critical 장준호
Priority to KR10199800226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8645B1/ko
Publication of KR19980065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6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1Traffic information broadcas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의 특성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 이용자의 셀/존위치를 자동추적하여 이를 기반으로 해당위치에서 실질적으로 필요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과 그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자동위치추적은 단문메세지서비스와 이동통신단말기가 가지고 있는 셀정보를 이용하는 방법과, 교환기에 연계되어있는 방문객 위치등록기(VLR)의 정보를 이용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로 문자 또는 음성의 교통정보를 받게 된다.

Description

셀단위 망구조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지역교통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본 발명은 교통정보안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셀단위 망구조의 이동통신망(이하 이동통신망) 이용자의 위치를 자동감지하여 해당지역과 그 인근 지역의 교통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로 음성 또는 단문메세지로 제공하는 정보 서비스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교통정보 제공 매체로는 방송, 유선전화, PC통신, 인터넷, 호출기 등이 사용되고 있다. 방송을 통한 서비스로는 교통방송 등에서 행하고 있는 공중파를 통한 일방적인 방송형태를 들수 있다. 이는 수도권 내지는 광역시권의 일반도로 전체와 전국의 고속도로를 정보 영역으로 하고 있으나, 제공방식이 이용자에 의한 선택적 방법이 아닌, 일방적 방법이므로 정보의 양에 비해 실제 이용자들에게는 효율적으로 서비스되지 못하고 있다.
전화나 PC통신을 이용한 방법은 서비스 이용자와 교통정보 제공자간의 양방향 통신으로 비교적 효율적인 정보제공이 가능하다. 하지만, PC통신을 이용할 경우 무선으로 컴퓨터를 이용해 서비스 제공자와 통신한다는 것은 보편화되지 않았으므로, 가정이나 여타 옥내에서만 정보습득이 가능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교통정보의 이용자가 대부분 차량운행중에 정보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볼 때 이동성이 떨어지는 PC통신방식은 교통정보서비스에 적합치 않는 매체이다. 전화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동통신의 많은 보급으로 이동중에도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실제로 ARS형태로 교통정보가 서비스되고 있다. 그러나, ARS형태의 서비스는 자신이 필요로하는 교통정보를 검색하기 위해서 이용이 불편할 뿐 아니라 안내멘트를 확인하며 수번의 버튼입력을 행해야 한다. 이러한 방법은 운전중 조작에는 많은 위험이 따른다. 인터넷을 이용한 서비스에는 현재 국내에선 도로교통안전협회가 서울의 주요가로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가 있고, 국외에서는 TranSmart라는 회사가 대도시를 대상으로 특정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한 교통정보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하지만, 인터넷이라는 매체를 이용하기에는 이동성이 결여되고, 교통정보를 알아내기 위한 초기접속과정이 다른 매체에 비해 비교적 복잡하다고 볼 수 있다. 이외에도 교통정보 수신전용의 특수한 단말기를 이용한 서비스도 있다. 영국의 TrafficMaster라는 회사에서 제공하고 있는 이 서비스는 그 특정 단말기의 전원만 켜두고, 고속도로의 특정지역을 지나가면, 인근에서 교통상황이 좋지 않은 경우, 라디오를 일시 중지시키고, 교통정보를 음성으로 보내준다. 이 서비스는 새로운 부가장비를 필요로한다는 점에서, 교통정보를 직업적으로 자주 접해야하는 이용자가 아니라면, 부적합하다고 볼 수 있다.
반면, 이동통신은 일반적으로 많은 사람에게 보급되어 있으며, 이용하기 간편하고, 특히, 망의 특성을 활용하여 단말기 소지자의 위치를 자동으로 감지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하지만, 이러한 이동통신의 특성을 교통정보 제공서비스에 활용하려는 움직임은 거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 이용자가 교통정보 요구시 위치를 자동으로 감지하여 인근지역의 교통정보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이동통신망의 위치등록, 셀정보보유 등의 특성을 활용하여 부가장비 없이 이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도 l은 지역교통정보서비스의 전체구성도
도 2는 교신지역과 교통정보권역 예시도 (단일)
도 3은 교신지역과 교통정보권역 예시도 (복수)
도 4는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의 구성도
도 5는 이동통신망의 시스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l0 : 이동통신단말기 ll : 이동통신망
l2 :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 l3 : 교통정보제공원
30 : 기지국 40 : 통신부
41 : 출력부 42 : 처리부
43 : 저장부 420 : 교통정보수집부
421 : 교통정보가공부 422 : 교통정보생성부
51 : 방문객위치등록기 (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
52 : 교환기
53 : 단문메세지서비스센터 (SMS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
본 발명은 이동통신망을 통한 교통정보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동통신망의 특성을 이용하여 이동통신단말기 이용자의 위치를 수백미터 오차내에서 자동추적하고, 추적된 위치를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해당지역의 교통정보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도면 1에 그 구성을 나타내었다. 상기 교통정보제공원(13)은 CCTV, 감지기, 통신원 등으로부터 속도와 기타 유고정보를 보유하고 이를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으로 실시간으로 전송한다.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12)은 교통정보제공원(13)으로부터 받은 원시교통정보를 가공하고 이동통신망의 통화지역구분단위인 셀/존을 기준으로 분류하여 저장한다. 여기서, 존(Zone)이란 셀을 이동통신망이 임의로 10개 내지 20개 정도씩 묶은 영역을 말한다. 또한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12)은 이동통신단말기(10) 이용자가 교통정보를 요구하였을 때, 교환기나 SMC로부터 받은 이용자 위치정보로부터 셀/존을 파악하여 가공/분류되어 있는 해당지역 교통정보를 내보낸다. 이동통신망은 이용자가 교통정보를 요구하는 호를 하였을 때 이를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12)으로 연결하고 단말기로부터 오거나, 자체보유하고 있는 셀/존 위치정보를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12)에 제공한다.
다음으로, 교신지역과 교통정보권역을 도시한 제 2도와 제 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교신지역이라함은 특정 기지국(30)과 교신할 수 있는 통상 셀이라 부르는 통신영역범위를 말하며, 상기 교통정보권역이라함은 특정 교신지역에게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에서 전달하게 되는 교통상황지역의 범위를 말한다.
제 2도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교신지역이고, 실선으로 표시된 부분이 교통정보권역으로 교신지역에서 청취할 수 있는 교통정보는 그 지역의 교통흐름에 따른 이동범위를 고려하여 교신지역에 비해 넓은 범위의 교통정보를 안내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제 3도에 도시된바와 같이 기지국(30)이 각각 (가), (나), (다)지점에 설치됐을 경우 상기기지국(30)들에 의한 교신지역은 점선으로 표시된 a, b, c부분이며, 교통정보권역은 실선으로 표시된 A, B, C부분이다.
이동통신단말기(10)가 교신지역 a에서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12)으로 호를 보내면, 이동통신단말기(10)가 궁극적으로 접하게 되는 교통정보는 교통정보권역 A의 교통정보가 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로 하여 지역교통정보 가공/분류/생성하는 방식과 위치추적방식, 교통정보전달방식으로 분류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1] 지역교통정보 생성방식
상기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12)은 크게 처리부(42), 통신부(40), 출력부(41), 저장부(43)로 구성되며 도면 4와 같이 나타낸다. 상기 처리부는 다시 교통정보수집부(420), 교통정보 가공부(421), 교통정보생성부(422)로 나누어진다. 먼저 원시 교통정보가 처리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겠다. 교통정보제공원(13)으로부터 통신부(40)를 통해 들어온 원시교통정보는 처리부(42)에서 가공/분류되어 저장부(43)에 저장하게 된다. 상기 처리부에서 원시교통정보가 가공/분류되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교통정보수집부(420)에서 디지털화 되어있는 정보나, 통신원의 음성정보 등 교통정보제공원(13)으로부터의 원시교통정보를 입력받아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들을 정형화된 형태로 변환시킨다. 교통정보가공부(421)에서는 각각의 교신지역에 대해서 교통정보권역을 미리 설정하고, 교통정보수집부(420)으로부터 들어온 교통정보가 A 교통정보권역에 포함되면 a 교신지역에서 들을 수 있도록, 교통정보가 B 교통정보권역에 포함되면 b 교신지역에서들을 수 있도록 지역코드와 교통정보코드를 할당한 뒤 저장부(43)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상기의 방식으로 가공되어 저장된 교통정보들이 이동통신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형태에 대해 설명하고자 한다. 이동통신망(11)으로부터 교통정보를 요구하는 호가 들어왔을 때, 호에 대한 정보가 교통정보생성부(422)로 보내진다. 교통정보생성부(422)는 이동통신망(11)으로부터 이미 제공받은 이용자들의 셀/존 위치정보에서 해당 이용자의 셀/존 위치를 찾아, 이로부터 해당 위치에서 가장 필요로 할 것 으로 예상되는 교통정보코드들을 저장부(43)로부터 추출, 출력부로 전송한다. 즉, 이용자가 어느 교신지역에 들어있는가 하는 정보가 이동통신망(11)으로부터 들어오면, 교통정보생성부(422)는 그 교신지역과 부합하는 교통정보권역의 교통정보들을 저장부(43)에서 추출하여 출력부로 전송한다. 이동통신망으로부터 위치정보를 받는 방식에 대해서는 [2] 위치추적방식에서 설명하겠다. 상기 교통정보생성부(422)로부터 이용자에게 제공될 교통정보를 넘겨받은 출력부(41)는 전송된 교통정보코드로부터 이용자의 호형태에 따라 음성을 합성해 할당된 음성채널로 보내주거나, 문자메세지를 작성하여 단문메세지로 보내주게된다.
[2] 위치추적방식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자동위치추적 교통정보제공에 있어서 이동통신 이용자의 위치를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이 획득하는 방식은 다음의 세가지로 나뉜다. 도 5의 이동통신망시스템 구성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첫째,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12)이 교환기(52)로 위치정보를 요구하는 방식이다. 기존의 이동통신망에서는 이동통신단말기가 on/off할때나 존간을 이동할 때, 기지국의 요구가 있을 경우 등에 기지국으로 존정보를 전송하게 되어 있는데 이를 위치등록이라 한다.
전송되어온 존 정보는 교환기(52)로 전해져 교환기와 연계되는 방문객 위치등록기(51)(VLR : Visitor Location Register)에 저장된다. 위치정보요구방식은 상기 VLR의 정보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동통신 이용자가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12)으로 교통정보를 요구했을 때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12)은 교환기(52)에 해당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요구하고, 위치정보를 요구받은 교환기(52)는 VLR(51)에 저장된 해당 이용자의 존정보를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12)으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둘째, 교환기가 위치정보를 자동으로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이동통신 이용자가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으로 호를 보냈을 때 상기 위치정보요구방식과 같이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이 교환기에 해당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요구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교환기(52)가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12)으로 전송하는 방식이다. 즉, 이동통신망에서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으로의 호가 들어오면, 교환기(52)가 자동으로 VLR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검색해서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으로 보내주는 방식이다.
셋째, 휴대단말기가 단문메세지로 위치정보를 전송해오는 방식이다. 교환기의 VLR의 정보를 이용하는 상기의 방식들과 달리, 이동통신단말기가 셀정보를 단문메세지형태로 전송하는 것이다. 단문메세지서비스는 이동통신망에서 제공하고 있는 무선패킷데이타통신의 일종으로 이동통신망 내의 단문메세지서비스센터(53)(SMSC : Short Message Service Center)에서 이를 담당한다. 그리고, 이동통신단말기는 On상태에서 항시 해당 셀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경우에 따라 교환기에 위치등록한다. 단말기 위치정보 전송방식은 상기 단문메세지서비스와 이동통신단말기가 가지고 있는 셀정보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용자가 교통정보서비스로 지정된 번호로 호시도시 단말기가 자동으로 셀위치정보를 단문메세지로 변환하여 전송하고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은 단문메세지서비스센터(53)를 통해 이를 받아 이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는 방식이다.
[3] 정보전달방식
[2]는 교통정보서비스에 필수적인 이용자의 위치를 이동통신망의 특성을 이용하여 파악하는 방식에 대해 기술하였다. 다음은, 교통정보 서비스시스템의 출력부(41)에서 이용자에게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우선, [도5]에서 특정 이용자가 A 교신지역에서 접한 교통정보를 α라 하고, B 교신지역에서 들을 수 있는 교통정보를 β라고 하며, α와 β가 겹치는 부분을 γ라고하자. 여기서 α는 A 교통정보권역에 속한 교통정보이고, β는 B 교통정보권역에 속한 교통정보이다. 이때,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은 이용자가 A 교신지역에서 α를 듣다가 B교신지역으로 이동해 갈 때, γ가 아니면서 β에 속하는 정보만을 접하게 구성되도록한다.
이제, 이용자가 받는 서비스 방식에 따라 분류하여 설명하도록 하겠다.
첫째, 음성서비스방식으로 이는 ARS서비스를 예로 들수 있다.
상기 ARS방식의 경우 이용자가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12)으로 호를 보내면, 이동통신망(11)은 교환기를 통해 호를 연결하는 동시에 해당 단말기번호를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12)의 ARS서버로 넘겨준다. 그러면, ARS서버는 호에 대해 음성채널을 할당하고 그 채널에 해당하는 단말기번호를 교통정보생성부(422)에 보낸다. 교통정보생성부(422)는 상기 위치추적방식에 의해 얻은 위치정보들을 단말기번호로 검색하여 이용자의 위치정보를 이용, 해당교통정보코드를 찾아 이용자의 단말기번호와 함께 ARS서버로 보내준다. ARS서버에서는 교통정보생성부(422)로부터 들어온 교통정보코드를 음성교통정보로 변환한 후 해당하는 채널로 보내준다.
둘째, 문자서비스방식으로 이는 단문메세지를 예로 들수 있다. 상기 단문메세지 방식의 경우 이용자가 단문메세지로 교통정보요구 메세지를 보내면 SMSC(53)는 요구메세지와 더불어 단말기번호를 함께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12)의 교통정보생성부(422)로 전송한다. 교통정보생성부(422)에서는 상기 위치추적 방식에 의해 획득된 위치정보에 기반해서 생성한 교통정보코드를 출력부(41)로 보내고, 출력부(41)는 교통정보코드를 교통정보 단문메세지로 변환한 후 해당 이용자에게 보내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불특정다수에 대한 일방적인 정보전달형태나, 부가장비를 필요로 하는 교통정보서비스들과는 달리 이동통신망의 특성을 활용하여 이용자의 위치를 자동추적하고 이를 고려하여 해당위치에서 실제 필요할 것으로 예상되는 교통정보를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제공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행 ARS에서의 방식인 전화번호+원하는 가로의 코드번호로 해당가로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번잡함과 시간적소요를 단축하고, 이용자가 가로의 코드번호를 인식하지 않아도 되므로 교통정보의 사용효율성을 극대화시키고 실제 이용자들에게도 경제적, 효과적인 방식의 서비스를 하게된다.

Claims (6)

  1. Cell구조를 갖는 이동통신망의 특성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위치를 자동추적, 해당위치에 필요한 지역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 시스템에 있어서 ;
    셀 위치정보를 단문메세지로 전송하는 기능을 갖고있는 이동통신단말기와 이동통신망의 SMC를 통해 상기 단말기로부터 셀위치정보를 받거나, 교환기로부터 VLR에 저장되어있는 셀/존 위치정보를 받아, 이동통신단말기 이용자에게 음성 또는 문자의 형태로 해당지역과 관련된 지역정보를 서비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지역정보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2. 상기 1항에 있어서 ;
    이용자가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으로 호를 할 경우 교환기의 VLR에 저장되어 있는 이용자들의 셀/존위치정보를 자동으로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으로 전송하거나, 교환기가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으로부터 요구를 받았을 때 셀/존 위치정보를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방법 및 시스템
  3. Cell구조를 갖는 이동통신망의 특성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위치를 자동추적, 해당위치에 필요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 시스템에 있어서 ;
    이용자가 교통정보서비스로 지정된 번호로 호시도시 이동통신단말기가 자동으로 셀위치정보를 단문메세지로 변환하여 전송하며, 단문메세지서비스시스템을 거쳐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으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지역교통정보서비스방법 및 시스템
  4. Cell구조를 갖는 이동통신망의 특성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위치를 자동추적, 해당위치에 필요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 시스템에 있어서 ;
    각각의 교신지역에 대해서 교통정보권역을 설정하여 이동통신 단말기가 위치한 교신지역에 해당하는 교통정보권역 내의 정보를 이동통신단말기에 보내주는 방법 및 시스템
  5. Cell구조를 갖는 이동통신망의 특성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위치를 자동추적, 해당위치에 필요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 시스템에 있어서 ;
    고객이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에 호를 보내면, 고객의 위치가 변화하여도 고객이 버튼을 누르는 등의 추가적인 조작 없이 이동통신단말기의 위치에 따라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에서 계속적으로 해당되는 지역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6. Cell구조를 갖는 이동통신망의 특성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위치를 자동추적, 해당위치에 필요한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방법과 그 시스템에 있어서 ;
    이동통신단말기가 한 교신지역에서 다른 교신지역으로 이동해 들어갈 때, 두 교신지역의 교통정보권역들이 중첩되었을 때에는 교통정보서비스시스템에서 각 교통정보권역의 정보를 비교 분석하여 전 교신지역에서 제공되었던 교통정보는 새로운 교신지역에서 다시 제공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019980022634A 1998-06-17 1998-06-17 셀단위망구조의이동통신망을이용한지역교통정보서비스방법및시스템 KR100378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634A KR100378645B1 (ko) 1998-06-17 1998-06-17 셀단위망구조의이동통신망을이용한지역교통정보서비스방법및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22634A KR100378645B1 (ko) 1998-06-17 1998-06-17 셀단위망구조의이동통신망을이용한지역교통정보서비스방법및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027A true KR19980065027A (ko) 1998-10-07
KR100378645B1 KR100378645B1 (ko) 2007-11-30

Family

ID=40428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22634A KR100378645B1 (ko) 1998-06-17 1998-06-17 셀단위망구조의이동통신망을이용한지역교통정보서비스방법및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864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3536A (ko) * 2002-07-03 2004-01-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통신 망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KR100578147B1 (ko) * 2000-02-02 2006-05-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추적을 이용한 지역정보 서비스 방법
KR100720407B1 (ko) * 2000-08-24 2007-05-22 (주) 엘지텔레콤 위치 확인을 통한 모바일 서베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17413B1 (ko) * 2006-03-20 2008-03-2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동기식 cdma망을 이용한 교통정보 측정 방법 및 그시스템
WO2008123747A1 (en) * 2007-04-09 2008-10-16 Lg Electronic Inc. Providing and using of information on video related to traffic situation
KR100912347B1 (ko) * 2002-09-28 2009-08-14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 단말에의 교통정보 제공 방법
US8175792B2 (en) 2006-03-20 2012-05-08 K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traffic information in CDMA network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22001A (ko) * 1991-05-27 1992-12-19 프레데릭 얀 스미트 교통 정보 수집 방법 및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KR980007091A (ko) * 1996-06-19 1998-03-30 조영선 이동통신을 이용한 자기위치 탐색 기능이 부가된 교통정보단말기
KR19980033559A (ko) * 1998-04-25 1998-07-25 박태형 씨티-2를 이용한 차량위치추적과 교통정보 생성/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8147B1 (ko) * 2000-02-02 2006-05-10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위치추적을 이용한 지역정보 서비스 방법
KR100720407B1 (ko) * 2000-08-24 2007-05-22 (주) 엘지텔레콤 위치 확인을 통한 모바일 서베이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40003536A (ko) * 2002-07-03 2004-01-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무선 통신 망을 이용한 교통 정보 서비스 시스템
KR100912347B1 (ko) * 2002-09-28 2009-08-14 주식회사 케이티 이동통신 단말에의 교통정보 제공 방법
KR100817413B1 (ko) * 2006-03-20 2008-03-27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동기식 cdma망을 이용한 교통정보 측정 방법 및 그시스템
US8175792B2 (en) 2006-03-20 2012-05-08 Kt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easuring traffic information in CDMA network
WO2008123747A1 (en) * 2007-04-09 2008-10-16 Lg Electronic Inc. Providing and using of information on video related to traffic situation
US8903635B2 (en) 2007-04-09 2014-12-02 Lg Electronics Inc. Providing and using of information on video related to traffic sit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8645B1 (ko) 2007-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46178B2 (en) System and method for accessing local services with a mobile terminal
EP0763807B1 (en) Traffic information estimation and reporting system
CN100381005C (zh) 通过通信网络提供精确位置信息的方法和装置
CN100559893C (zh) 一种用于激活基于定位的功能的方法、系统和设备
Caffery et al. Vehicle location and tracking for IVHS in CDMA microcells
KR970707698A (ko) 무선통신 등록관리 시스템(wireless communication registrtion management systems)
CN100359961C (zh) 无线通信网络和设备中的定位技术支持确定
SE9800294D0 (sv)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dvanced positioning systems in cellular communication networks
CN106973165B (zh) 车辆超员监测方法、车辆超员监测系统、运营商系统及移动终端
DE69923993D1 (de) Lokalisierungsdienste in einem paketfunknetz
US20020028681A1 (en) Method for collecting information and providing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locational and geographical information
KR100421364B1 (ko) 단거리 무선전용 통신망을 이용한 교통신호 제어 장치
KR19980065027A (ko) 셀단위 망구조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지역교통정보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BR9906769A (pt) Fornecimento de largura de faixa em um sistema de comunicação
KR100692635B1 (ko) 이동 단말기 위치에 따른 지역 기반 서비스 제공 방법 및장치
WO2000008867A3 (en) Method for providing a data service in a cdma communications system
KR100443334B1 (ko) 지피에스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목적지 관련정보제공방법
KR20010059647A (ko) 피씨에스 망을 이용한 교통 정보 수집 및 제공 시스템
KR20090002863A (ko) 위치 등록 메시지를 이용한 도로 통행 속도 분석 방법 및장치
WO1997019547A9 (en) Method for two-way communication and processing of control channel application specific data
KR20060028515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위치에 따른광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1426263A (zh) 一种终端设备定位方法、装置和终端设备
Weld Communications flow considerations in vehicle navigation and information systems
KR20070066579A (ko) Gps를 이용한 물품 위치 안내 기능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0399213B1 (ko) 위치등록 정보를 이용한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4 Change of applicant [paten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nd registration of full transfer of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