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650U - Stabilizer bar assembly for cars with reinforcement brackets - Google Patents

Stabilizer bar assembly for cars with reinforcement bracke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650U
KR19980064650U KR2019970009349U KR19970009349U KR19980064650U KR 19980064650 U KR19980064650 U KR 19980064650U KR 2019970009349 U KR2019970009349 U KR 2019970009349U KR 19970009349 U KR19970009349 U KR 19970009349U KR 19980064650 U KR19980064650 U KR 199800646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bar
bar assembly
vehicle
welded
stab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349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허성호
Original Assignee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귀, 기아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귀
Priority to KR2019970009349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4650U/en
Publication of KR199800646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650U/en

Links

Landscapes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탄성 중량의 증가로 인한 승차감을 저하시키지 않는 동시에 스테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특성이 변함이 없이, 스테빌라이저 바와 빔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스테빌라이저 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스테빌라이저 바 조립체는 자동차가 주행할 때, 휠로부터의 수직 하중과 자동차가 곡선로를 주행할 때 발생되는 차체에 전달하지 않도록 비틀림 하중을 흡수하기 위하여, 원형의 막대 스프링으로 만들어지는 스테빌라이저 바와, 스테빌라이저 바를 감싸도록 역 U자 형상을 하는 빔을 포함하며, 스테빌라이저 바와 빔의 중간 위치에 위치되어,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스테빌라이저 바가 용접 연결되며, 빔의 하향 평행면에 외주면이 용접 연결되는 판 형상의 보강 브라켓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abilizer bar assembl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trength of the stabilizer bar and the beam can be reinforced without reducing the riding comfort due to the increase of the inelastic weight and at the same time without changing the torsion characteristics of the stabilizer bar. The stabilizer bar assembly is a stabilizer bar made of a circular rod spring for absorbing torsional loads so as not to transmit to the body loads generated when the vehicle travels, vertical loads from the wheels and the vehicle travels on a curved road, A plate having an inverted U-shape beam to surround the stabilizer bar, and position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stabilizer bar, the stabilizer bar is welded to a hole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welded to the downward parallel plane of the beam. It has a reinforcing bracket in shape.

Description

보강 브라켓을 가지는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바 조립체Stabilizer bar assembly for cars with reinforcement brackets

본 고안은 자동차의 현가 장치에 관한 것이고,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가 주행할 때 발생되는 수직 하중 및 비틀림 하중에 대한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수직 하중 및 비틀림 하중을 고르게 분산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보강 브라켓을 가지는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바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spension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has a structure that can evenly disperse vertical and torsional loads while reinforcing strength against vertical and torsional loads generated when the vehicle is running. A stabilizer bar assembly of a motor vehicle having a reinforcing bracket.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현가 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자동차가 주행할 때 차축이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체나 하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 특히, 전륜 현가 장치는 프레임과 차축 사이를 연결하여 차의 중량을 지지하고, 차륜에서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동시에, 자동차의 조향 장치가 일부 설치된다.In general, a suspension device of a vehicle connects the axle and the body so that vibrations or shocks received by the axle from the road surface are not directly transmitted to the body when the vehicle is driven,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the body or loads and improving ride comfort. to be. In particular, the front wheel suspension system is connected between the frame and the axle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vehicle, absorb vibrations generated from the wheel, and at the same time, some steering device of the vehicle is installed.

후륜 현가 장치는 통상 자동차의 구동륜이 후방에 있으므로, 후차축 및 후방 현가는 전동 장치의 일부로서 구동력을 차체에 전달함과 동시에 자동차의 후부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는 기능을 한다.Since the rear wheel suspension usually has the driving wheels of the vehicle at the rear, the rear axle and the rear suspension serve as a part of the transmission to support the load applied to the rear of the vehicle while transmitting the driving force to the vehicle body.

제 1 도에는 종래의 스테빌라이저 바형 후륜 현가 장치의 스테빌라이저 바 조립체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스테빌라이저 바형 현가 장치에 사용되는 스테빌라이저 바 조립체의 스테빌라이저 바 스프링(1)은 스프링 강으로 된 막대의 형상을 하며, 스프링 강의 막대를 비틀면 강성에 의하여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되려는 성질을 이용한 것으로, 스프링력은 스테빌라이저 바(1)의 길이, 단면적에 의해 결정되며, 코일 스프링과 마찬가지로 진동의 감쇠 작용이 없으므로 쇽 업소바를 병행할 필요가 없다.1 schematically shows a stabilizer bar assembly of a conventional stabilizer bar type rear wheel suspension. The stabilizer bar spring (1) of the stabilizer bar assembly used in the stabilizer bar type suspension device has the shape of a rod made of spring steel, and uses the property of returning to the original shape by rigidity when the rod of the spring steel is twisted. The spring force is determined by the length and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tabilizer bar 1, and like the coil spring, there is no vibration damping action, so there is no need to use a shock absorber in parallel.

도 1에 도시된 스테빌라이저 바형 현가 장치의 스테빌라이저 바 조립체에서, 차체와 스테빌라이저 바 차축은 횡력에 대해 강성을 유지하도록 설치되는 측방향 로드(lateral rod)에 의하여 연결되며, 차체와 스테빌라이저 바 차축은 코일 스프링에 의하여 연결된다. 이러한 스테빌라이저 바(1)를 감싸는 역 U자 형상의 빔(2)에 의하여 감싸지며, 스테빌라이저 바(1)의 단부에 고정된 플레이트(3)로부터 측방으로 연장하는 지지대(4)의 화살표 위치에서 자동차의 휠로부터 수직 하중이 작용한다. 이러한 휠의 수직 하중에 대하여 빔(2)의 상방에 위치된 스프링(5)에 아래로 향한 화살표와 같이 반력이 작용한다.In the stabilizer bar assembly of the stabilizer bar suspension shown in FIG. 1, the body and stabilizer bar axles are connected by lateral rods which are installed to maintain rigidity against lateral forces, and the body and stabilizer bars. The axle is connected by a coil spring. The position of the arrow of the support 4 which is enclosed by the inverted U-shaped beam 2 surrounding the stabilizer bar 1 and extends laterally from the plate 3 fixed to the end of the stabilizer bar 1. In the vertical load is applied from the wheel of the car. The reaction force acts as a downward arrow on the spring 5 located above the beam 2 against the vertical load of this wheel.

이러한 스테빌라이저 바(1)는 자동차가 곡선로를 주행할 때, 상기된 바와 같은 휠에 의한 수직 하중에 더하여 차체의 기울어짐으로 인한 비틀림 하중이 작용하게 되므로, 스테빌라이저 바(1)와 빔(2)은 상당한 강도를 가져야만 된다.The stabilizer bar 1 has a stabilizer bar 1 and a beam (because the torsional load due to the inclination of the vehicle body acts in addition to the vertical load by the wheel as described above when the vehicle runs on a curved road). 2) must have considerable strength.

그러나, 휠에 의한 수직 하중에 더하여 차체의 기울어짐으로 인한 비틀림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스테빌라이저 바 조립체의 강도를 보강시키기 위하여, 스테빌라이저 바 조립체의 두께를 증가시키면, 비탄성 중량(unsprung mass)의 증가로 인한 승차감의 저하 및 스테빌라이저 바 조립체의 비틀림 특성이 변하게 된다는 제약이 있었다.However, increasing the thickness of the stabilizer bar assembly to increase the strength of the stabilizer bar assembly in order to withstand the torsional load due to the tilting of the body in addition to the vertical load by the wheel, increases the unsprung mass. There was a restriction that the ride comfort due to and the torsion characteristics of the stabilizer bar assembly changed.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비탄성 중량의 증가로 인한 승차감을 저하시키지 않는 동시에 스테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특성이 변함이 없이, 스테빌라이저 바와 빔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스테빌라이저 바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bilizer bar assembl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trength of the stabilizer bar and the beam can be reinforced without reducing the riding comfort due to the increase of the inelastic weight and at the same time without changing the torsion characteristics of the stabilizer bar. There is.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바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1 is a schematic illustration of a stabilizer bar assembly of a conventional motor vehicle;

도 2는 도 1의 선 Ⅱ-Ⅱ를 따라서 취한 스테빌라이저 바 조립체의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bilizer bar assembly taken along line II-II of FIG.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 브라켓을 가지는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바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Figure 3 schematically shows a stabilizer bar assembly of a motor vehicle having a reinforcing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의 선 Ⅳ-Ⅳ를 따라서 취한 스테빌라이저 바 조립체의 단면도.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bilizer bar assembly taken along line IV-IV of FIG.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스테빌라이저 바 2 : 빔1: Stabilizer Bar 2: Beam

3 : 플레이트 4 : 지지대3: plate 4: support

5 : 스프링 10 : 보강 브라켓5: spring 10: reinforcement bracket

11 : 구멍 12 : 홈11: hole 12: groove

상기된 바와 같은 목적은, 자동차가 주행할 때, 휠로부터의 수직 하중과 자동차가 곡선로를 주행할 때 발생되는 차체에 전달하지 않도록 비틀림 하중을 흡수하기 위하여, 원형의 막대 스프링으로 만들어지는 스테빌라이저 바와;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를 감싸도록 역 U자 형상을 하는 빔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바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와 빔의 중간 위치에 위치되어,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가 용접 연결되며, 상기 빔의 하향 평행면에 외주면이 용접 연결되는 판 형상의 보강 브라켓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바 조립체에 의하여 달성된다.The purpose as described above is a stabilizer made of a circular rod spring for absorbing torsional loads so as not to transmit the vertical load from the wheels and the torsional body generated when the car is traveling on a curved path when the vehicle is running. Bar; In a stabilizer bar assembly of an automobile comprising an inverted U-shaped beam to surround the stabilizer bar, the stabilizer bar assembly is locat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stabilizer bar and the beam, and the stabilizer bar is welded to a centrally formed hole. It is achieved by a stabilizer bar assembly of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late-shaped reinforcement bracke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is welded to the downward parallel plane of the beam.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강 브라켓을 가지는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바 조립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도 3의 선 Ⅳ-Ⅳ를 따라서 취한 스테빌라이저 바 조립체의 단면도이다.3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bilizer bar assembly of a vehicle having a reinforcing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tabilizer bar assembly taken along the line IV-IV of FIG.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바 조립체는 보강 브라켓(10)이 막대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스테빌라이저 바(1)와, 스테빌라이저 바(1)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역 U자 형상을 하는 빔(2)의 중간 위치에 위치된다. 보강 브라켓(10)은 중앙에 형성된 구멍(11)에 스테빌라이저 바(1)가 관통하며, 구멍(11)의 내주면과 스테빌라이저 바(1)의 외주면이 용접 연결되며, 또한 빔(2)의 하향 평행면에 외주면이 용접 연결된다.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stabilizer bar assembl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so that the reinforcing bracket 10 surrounds the stabilizer bar 1 and the stabilizer bar 1 made of a bar spring. It is locat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beam 2 having an inverted U shape. The reinforcement bracket 10 has a stabilizer bar 1 penetrating the hole 11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le 11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bilizer bar 1 are welded to each other, and the beam 2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welded to the downward parallel plane.

도 4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브라켓(10)은 상부와 빔(2)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측부에 홈(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것은 중량을 감소시키기 위한 목적을 가진다.As shown in more detail in FIG. 4, the reinforcing bracket 10 has a space formed between the top and the beam 2, and a groove 12 is formed at the side. This has the purpose to reduce the weight.

상기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바 조립체에 의하면, 비탄성 중량의 증가로 인한 승차감을 저하시키지 않는 동시에 스테빌라이저 바의 비틀림 특성이 변함이 없이, 스테빌라이저 바와 빔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tabilizer bar assembly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ength of the stabilizer bar and the beam can be reinforced without changing the tors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tabilizer bar without reducing the riding comfort caused by the increase of the inelastic weight. Can be.

한편, 본 고안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specific preferred embodiment, any person having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can be variously modified. will be.

Claims (1)

주행할 때, 휠로부터의 수직 하중과 자동차가 곡선로를 주행할 때 발생되는 차체에 전달하지 않도록 비틀림 하중을 흡수하기 위하여, 원형의 막대 스프링으로 만들어지는 스테빌라이저 바와;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를 감싸도록 역 U자 형상을 하는 빔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바 조립체에 있어서,A stabilizer bar made of a circular rod spring for absorbing the vertical load from the wheel and the torsional load so that the vehicle does not transmit to the vehicle body generated when the vehicle travels on a curved road; In a stabilizer bar assembly of an automobile comprising a beam having an inverted U-shape to surround the stabilizer bar,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와 빔의 중간 위치에 위치되어, 중앙에 형성된 구멍에 상기 스테빌라이저 바가 용접 연결되며, 상기 빔의 하향 평행면에 외주면이 용접 연결되는 판 형상의 보강 브라켓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테빌라이저 바 조립체.The stabilizer bar is positioned at an intermediate position of the stabilizer bar and the beam, and the stabilizer bar is welded to a centrally formed hole, and has a plate-shaped reinforcement bracket hav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welded to the downward parallel plane of the beam. Riser bar assembly.
KR2019970009349U 1997-04-30 1997-04-30 Stabilizer bar assembly for cars with reinforcement brackets KR19980064650U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349U KR19980064650U (en) 1997-04-30 1997-04-30 Stabilizer bar assembly for cars with reinforcement bracke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349U KR19980064650U (en) 1997-04-30 1997-04-30 Stabilizer bar assembly for cars with reinforcement bracke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650U true KR19980064650U (en) 1998-11-25

Family

ID=69684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349U KR19980064650U (en) 1997-04-30 1997-04-30 Stabilizer bar assembly for cars with reinforcement bracke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4650U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57143A (en) Coupled torsion beam axle type rear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CN111660745A (en)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having a composite material spring
KR19980064650U (en) Stabilizer bar assembly for cars with reinforcement brackets
KR100369145B1 (en) Automotive driven-wheel suspension system
KR200237454Y1 (en) Passenger car rear upper arm structure
KR0140746Y1 (en) Leaf spring type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KR200270375Y1 (en) Suspension for vehicle
KR100261426B1 (en) Rear suspension
KR200150272Y1 (en) Suspension for vehicle
KR100507148B1 (en) Front suspension using vehicle frame
KR100482684B1 (en) Automobile rear suspension area mounting structure
KR0139695Y1 (en) Rebound bumper for upper control arm
KR100361296B1 (en) Rear suspension system for vehicle
KR19980068833A (en) Rigidity suspension links
KR19980028525U (en) Body coupling structure of automobile frame
KR100261425B1 (en) Car Rear Suspension
KR100667429B1 (en) Strut bar for an automobile
KR19980040149A (en) Anti pitch bar for suspension of automobile
KR20040110800A (en) U-typed strut for automobile
KR19980044942U (en) Cross member for vehicle suspension
KR19980049880U (en) Rigidity Suspension Tower
KR20030000865A (en) front wheel suspension for truck
KR19990012402U (en) Suspension of vehicle
KR19980033327U (en) Rear suspension with damper
KR19990024369A (en) Semi-trailer arm bracket with rigid reinforc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