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454U - 에어컨디셔너의 풍향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에어컨디셔너의 풍향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454U
KR19980064454U KR2019970009143U KR19970009143U KR19980064454U KR 19980064454 U KR19980064454 U KR 19980064454U KR 2019970009143 U KR2019970009143 U KR 2019970009143U KR 19970009143 U KR19970009143 U KR 19970009143U KR 19980064454 U KR19980064454 U KR 1998006445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otor
wind direction
operat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91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54133Y1 (ko
Inventor
황유철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700091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133Y1/ko
Publication of KR1998006445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45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1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1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컨디셔너의 풍향조절장치에 관한것으로, 수평블레이드는 배열된 수평블레이드 중 어느 하나를 파지하여 의욕하는 방향으로 이를 단순히 회전시키면 그 풍향조절이 수행되는 것에 비해, 수직블레이드는 모우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출력기어가 감속기어에 맞물려 있으므로, 모우터의 전원을 차단하고 어느 일방향으로 송풍할때, 이의 송풍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는 다시 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한다.
따라서, 송풍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스위치 조작이 번거로울 뿐더러, 그 변경에 있어서도 수직블레이드의 왕복이동 도중 스위치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확한 위치로 이를 조정하는 것이 불편했던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예시도면 도 3 및 도 4 에서와 같이, 풍향조절장치 기어박스(12)내의 감속기어(16)와 출력기어(13) 사이에 전달기어(20)와 이와 면접촉되어 일정 토크 이상에서만 회전되어 회전력 전달을 차단하는 작동기어(22)로 이루어진 아이들기어(24)가 설치된 것이다.
따라서, 모우터를 구동시키면 그 구동력이 전달기어와 이에 접촉된 작동기어(22)를 통해 캠(11)으로 전달되어 수직블레이드를 가동시킴과 더불어 모우터가 정지된 상태에서 임의로 풍향을 조절할 때에는 수직블레이드를 수조작으로 작동시키면 아이들기어(24)의 작동기어(22)만이 회전되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해소되고 상품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에어컨디셔너의 풍향조절장치
본 고안은 에어컨디셔너의 풍향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풍향조절장치 기어박스내의 감속기어와 출력기어 사이에 아이들 기어가 설치되어 수조작으로도 풍향조절이 가능한 에어컨디셔너의 풍향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냉매를 이용한 열교환으로 실내를 냉각시키는 에어컨디셔너의 열전달은 대류로써 이루어지고 있음은 주지된 사실이다.
따라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같이 실내의 더운공기를 빨아들이는 흡구(2)가 케이스(1)의 하부에 형성되고, 냉각된 공기의 송풍을 위한 토출구(3)가 케이스(1) 상단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송풍되는 냉각 공기의 용이한 대류를 위하여 상기 토출구(1)에 풍향조절장치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 도 2 는 예시도면 도 1 의 A 부 분리 사시도 및 그 작동 개요도이다.
송풍방향의 조절은 다수의 블레이드가 냉각공기의 유동을 변경시킴으로써 수행되며, 송풍방향은 토출구에서 수평방향과 수직방향, 그리고 이들의 조합으로 조절되므로 블레이드 역시 수평블레이드(4)와 수직블레이드(5)로 구분된다.
수평블레이드(4)의 양단에는 상기 케이스의 토출구에 결합되는 힌지축(6)이 형성되어 있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단의 힌지축 반대측에는 작용축(7)이 형성되어 있고, 각 수평블레이드(4)의 작용축(7)은 작용대(8)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작용축(7)에 힘을 가해 수평블레이드(4)의 각도를 조절하면, 상기 하나의 작용축(7)으로 부터 작용대(8)를 통하여 다른 작용축(7)에도 그 힘이 전달되고, 이에 따라 작용대(8)로 연결된 수평블레이드(4) 전체가 동일한 각도로 회동되는 것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어느 하나의 수평블레이드(4)를 파지하여 임의의 각도로 조절하면 이에 따라 다른 수평블레이드(4)가 같이 연동되어 상하방향의 풍향이 조절된다.
반면, 좌우방향의 풍향은 건물구조상 좌우방향의 공간이 크고, 또한 좌우방향으로 고루게 냉각공기를 송풍시켜야 냉각효과가 좋으므로, 이러한 좌우방향의 풍향을 조절하는 수직블레이드(5)는 모우터로 반복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수직블레이드(5) 역시 수평블레이드(4)와 마찬가지로 힌지축(6')과 작용축(7'), 그리고 작용대(9)가 형성되어 있으며, 작용대(9)에는 이를 반복적으로 좌우이동 시키기 위해 가이드 홈(10)과 캠(11)이 설치되어 있다.
즉, 모우터(미도시)의 구동력을 전달받고 이것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는 기어박스(12)의 최종 출력기어(13)의 회전축(14)에 캠(11)이 결합되고, 이러한 캠(11)의 작용핀(15)이 가이드 홈(10)에 삽입되어 있어, 모우터의 회전에 따라 캠(11)이 회전되고, 작용핀(15)에 전달된 회전운동이 가이드 홈(10)을 통해 작용대(9)의 좌우 왕복운동으로 변환되어 풍향이 조절되는 것이다.
상기 모우터는 에어컨디셔너에 내장된 컨트롤유니트에 의해 제어되며, 스위치(또는 리모트 컨트롤)를 통해 상술된 바와같이 그 송풍을 좌우 왕복운동시키거나, 모우터로의 전원을 차단하여 어느 일방향으로만 송풍되도록 되어 있다.
상술된 바와같이 에어컨디셔너에는 냉각공기의 송풍방향을 조절하기 위하여 블레이드가 장착되어 있다.
그러나, 수직블레이드(5)는 기어박스(12)의 출력기어(13)와 연동되므로, 어느 일방향으로 송풍하기 위한 방향조절시, 그때마다 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하므로 방향조절이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상기 수평블레이드는 배열된 수평블레이드 중 어느 하나를 파지하여 의욕하는 방향으로 이를 단순히 회전시키면 그 풍향조절이 수행되는 것에 비해, 수직블레이드는 모우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출력기어(13)가 감속기어(16)에 맞물려 있으므로, 모우터의 전원을 차단하고 어느 일방향으로 송풍할때, 이의 송풍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는 다시 스위치를 조작하여야 한다.
따라서, 송풍방향을 변경하기 위한 스위치 조작이 번거로울 뿐더러, 그 변경에 있어서도 수직블레이드(5)의 왕복이동 도중 스위치를 조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정확한 위치로 이를 조정하는 것이 불편한 것이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모우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면서도 수조작으로 그 송풍방향이 자유롭게 조정가능한 에어컨디셔너의 풍향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에어컨디셔너의 풍향조절장치 기어박스내의 감속기어와 출력기어 사이에 전달기어와 이와 면접촉되어 일정 토크 이상에서만 회전되는 작동기어로 이루어진 아이들기어가 설치된 것이다.
따라서, 모우터를 구동시키면 그 구동력이 전달기어와 이에 접촉된 작동기어를 통해 캠으로 전달되어 수직블레이드를 가동시킴과 더불어 모우터가 정지된 상태에서 임의로 풍향을 조절할 때에는 수직블레이드를 수조작으로 작동시키면 아이들기어의 작동기어만이 회전되므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해소되는 것이다.
도 1 은 일반적인 에어컨디셔너의 외관 설명도,
도 2 는 종래 풍향조절장치를 나타낸 도 1 의 A 부 분해사시도 및 작동개요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를 나타낸 개요도,
도 4 는 본 고안에 따른 아이들 기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2 - 기어박스, 13 - 출력기어,
16 - 감속기어, 20 - 전달기어,
22 - 작동기어, 24 - 아이들 기어,
26 - 와셔, 28 - 지지판,
30 - 지지축, 32 - 스플라인,
34 - 압박면, 36 - 지지턱,
38 - 요홈,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과 함께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기어박스(12)내의 감속기어(16)와 출력기어(13)가 연동되고, 출력기어(13)의 회전축(14)에 캠(11)이 결합된 에어컨디셔너의 풍향조절장치에 있어서, 감속기어(16)와 출력기어(13) 사이에는 감속기어(16)와 맞물려 연동되는 전달기어(20)와 출력기어(13)와 맞물려 연동되는 작동기어(22)로 이루어져 일정토크 이상인 경우 회전력 전달이 차단되는 아이들 기어(2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디셔너의 풍향조절장치이다.
예시도면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풍향조절장치를 나타낸 개요도로서, 본 고안은 기어박스(12)내에 설치되던 출력기어(13)와 감속기어(16)사이에 일정 토크이상에서 공회전되는 아이들 기어(24)가 설치되어, 수조작으로도 수직블레이드가 이동되도록 하였다.
즉, 상기된 바와같이 종래에 수직블레이드가 스위치의 조작으로만 그 풍향조절이 가능할 수 밖에 없었던 것은, 수직블레이드를 이동시키는 캠(11)이 기어박스(12)의 출력기어(13)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있는데, 이러한 출력기어(13)는 기어박스(12)의 다른 감속기어(16)들과 맞물려 있으므로 모우터가 정지되어 있으면 캠(11)이 작동되지 않고 이로인해 수직블레이드의 풍향조절이 곤란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모우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면서도 모우터의 정지시 수직블레이드를 움직여 출력기어(13)에 그 토크가 전달될때 이에 출력기어(13)가 공회전되도록 아이들 기어(24)가 출력기어(13)와 감속기어(16) 사이에 설치된 것이다.
이를 위한 아이들 기어(24)는 상기 감속기어(16)들로 부터의 구동력을 전달하여 출력기어(13)에 이것을 전달, 캠(11)과 작용대(9)를 구동시켜야 하며, 또한 수직블레이드의 수조작으로는 공회전 될 것이 요구된다.
따라서, 아이들 기어(24)는 감속기어(16)로 부터 구동력을 전달받는 전달기어(20)와 이와 면접촉되어 그 마찰력으로 감속기어(16)의 구동력을 전달하고, 일정토크 이상시, 즉 수직블레이드를 수동작시켜 그 토크가 전달되면 공회전되는 작동기어(22)인 2중으로 형성된 것이며, 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면 도 4 는 아이들 기어(24)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전달기어(20)와 작동기어(22)는 지지대(40)로 리벳결합되고 그 결합력이 와셔(26)의 탄성력을 통해 마찰력을 부여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지지대(40)는 지지판(28)과 지지축(30)으로 되어 있고, 지지축(30)은 전달기어(20)와 스플라인(32)으로 결합되어 일체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지지대(40)의 지지축(30)은 작동기어(22)에 단순히 관통되어 작동기어(22)에 공회전을 부여하며, 이러한 작동기어(22)와 전달기어(20) 사이에 와셔(26)가 삽입되고, 지지축(30)의 선단이 전달기어(20)와 리벳결합되면서, 그 결합력이 와셔(26)에 탄성력을 작용시키고 이것이 마찰을 위한 수직항력이 되어 작동기어(22)는 마찰력을 극복하지 않는 이상 회전되지 않는다.
이러한 와셔(26)의 탄성력 작용과 마찰을 위해 전달기어(20)의 내측면에는 중앙으로 경사져 와셔(26)의 일측면 중앙부위에 압박을 가하는 압박면(34)이 형성되어 있으며, 작동기어(22)의 내측면에는 상기 와셔(26)의 타측면 외주부위가 안착되는 지지턱(36)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작동기어(22)의 외측면에는 지지대의 지지판(28)이 안착되는 요홈(38)이 형성되어 있어, 지지축(32) 선단으로 리벳결합하면 지지판(28)을 지지점으로 결합력이 작용되고, 이것이 압박면(34)을 통해 와셔(26)에 탄성력을 가하게 되어 작동기어(22)를 압박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와셔(26)에 의한 압박과 마찰로 모우터의 회전시 그 회전력이 전달기어(20)와 작동기어(22)를 통해 출력기어(13)로 전달되어 상술된 캠(11)을 구동시키게 되며, 모우터의 구동이 정지되더라도 수직블레이드를 수조작으로 인한 출력기어(13)의 토크가 상기 마찰력을 극복하게 되면 전달기어(20)가 공회전 되고, 이에 따라 수직블레이드를 회전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에어컨디셔너의 풍향조절장치 기어박스(12)내의 감속기어(16)와 출력기어(13) 사이에 전달기어(20)와 이와 면접촉되어 일정 토크 이상에서만 회전되는 작동기어(22)로 이루어진 아이들기어가 설치됨으로써, 모우터를 구동시키면 그 구동력이 전달기어(20)와 이에 접촉된 작동기어(22)를 통해 캠(11)으로 전달되어 수직블레이드를 가동시킴과 더불어, 모우터가 정지된 상태에서 임의로 풍향을 조절할 때에는 수직블레이드를 수조작으로 작동시키면 아이들기어의 작동기어(22)만이 회전되므로 풍향조절이 용이하고 이에 따라 제품의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기어박스(12)내의 감속기어(16)와 출력기어(13)가 연동되고, 출력기어(13)의 회전축(14)에 캠(11)이 결합된 에어컨디셔너의 풍향조절장치에 있어서,
    감속기어(16)와 출력기어(13) 사이에는 감속기어(16)와 맞물려 연동되는 전달기어(20)와 출력기어(13)와 맞물려 연동되는 작동기어(22)로 이루어져 일정토크 이상인 경우 회전력 전달이 차단되는 아이들 기어(24)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컨디셔너의 풍향조절장치.
KR2019970009143U 1997-04-29 1997-04-29 에어컨디셔너의 풍향조절장치 KR2001541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143U KR200154133Y1 (ko) 1997-04-29 1997-04-29 에어컨디셔너의 풍향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9143U KR200154133Y1 (ko) 1997-04-29 1997-04-29 에어컨디셔너의 풍향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454U true KR19980064454U (ko) 1998-11-25
KR200154133Y1 KR200154133Y1 (ko) 1999-08-02

Family

ID=194999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9143U KR200154133Y1 (ko) 1997-04-29 1997-04-29 에어컨디셔너의 풍향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1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190A (ko) * 2014-11-11 2016-05-19 김재홍 조임수단이 구비된 스포츠 장갑
CN108638802A (zh) * 2018-06-25 2018-10-12 上美塑胶(南京)有限公司 一种电动扫风汽车出风口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6190A (ko) * 2014-11-11 2016-05-19 김재홍 조임수단이 구비된 스포츠 장갑
CN108638802A (zh) * 2018-06-25 2018-10-12 上美塑胶(南京)有限公司 一种电动扫风汽车出风口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54133Y1 (ko) 199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731105B (zh) 空调器及其控制方法
US4676146A (en) Fin swinging angle control apparatus
KR200154133Y1 (ko) 에어컨디셔너의 풍향조절장치
US5433661A (en) Air flow direction adjusting apparatus
CN111121174B (zh) 风机组件、窗机空调及其控制方法
KR0120413B1 (ko) 자동 루버
CN105240939B (zh) 一种空气调节装置及其使用方法
CN2470726Y (zh) 一种空调器室内机导风机构
CN217482851U (zh) 风道装置和空调器
CN216521745U (zh) 一种吹灰器
CN205048569U (zh) 一种空气调节装置
KR200303697Y1 (ko) 에어컨의 루버 구동장치
CN211261210U (zh) 一种格栅组件及厨房空调
CN216281706U (zh) 一种空调室内机的出风摆叶结构
CN215633887U (zh) 一种智能变速负压风机
CN217422141U (zh) 一种散热好的减速机
KR200314906Y1 (ko) 에어컨의 블레이드 작동구조
KR20030038953A (ko) 공기조화기의 풍향조절장치
KR100448523B1 (ko) 에어컨 실내기의 토출방향 조절장치
CN117190298A (zh) 风道装置和空调器
JPH06288607A (ja) 空気調和機における吹出口の水平羽根駆動装置
KR960004921Y1 (ko) 에어콘의 풍향조절장치
JPH024362Y2 (ko)
KR200335535Y1 (ko) 에어컨의 블레이드 구동장치
KR19990010642U (ko) 패키지형 에어컨의 토출구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4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