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3810A - 하이드로카본 유체로부터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하이드로카본 유체로부터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810A
KR19980063810A KR1019970066065A KR19970066065A KR19980063810A KR 19980063810 A KR19980063810 A KR 19980063810A KR 1019970066065 A KR1019970066065 A KR 1019970066065A KR 19970066065 A KR19970066065 A KR 19970066065A KR 19980063810 A KR19980063810 A KR 199800638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late
plates
housing
st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6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0856B1 (ko
Inventor
스탠리 지. 나쉬
Original Assignee
린다 시그텐호르스트
애널리틱 시스템즈 레보러토리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린다 시그텐호르스트, 애널리틱 시스템즈 레보러토리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린다 시그텐호르스트
Publication of KR19980063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8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8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8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6Filters making use of electricity or magnet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023Separation using Lorentz force, i.e. deflection of electrically charged particles in a magnetic fiel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liquids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5/02Sepa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전기적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정전기적 필터는 비전기적 전도 유체로부터 입자들을 제거한다. 한 쌍의 전기 전도체는 필터내의 전류 소비량을 제어하도록 선택된 복수의 직류 전압 레벨들 중 하나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터 하우징을 통하여 연장한다. 구멍 뚫린 동일한 복수의 전기 전도 플레이트는 판의 방향을 역전시키므로써 전도체들중 각각의 하나씩에 연결된다. 연속판은 교호적으로 양과 음이 배치된다. 각 플레이트 쌍들 사이에는 다공성의 폼 필터 패드가 위치한다. 필터 하우징내에서 유체 유동 방향에 대하여 결정된 음극의 전도 플레이트로부터 양극의 전도 플레이트 사이가 아닌, 양극의 전도 플레이트로부터 음극의 전도 플레이트 사이에 폼 패드식으로 영구 자석이 위치하며, 영구 자석의 자계는 다공성의 폼 필터 패드내에 포함된 입자들을 휘젓기 위하여 하나의 극성이 있는 플레이트 주위에 형성된 코로나와 상호 작용한다.

Description

하이드로카본 유체로부터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시스템
본 발명은 오염된 유체로부터 입자들을 제거하므로써 오염된 유체를 정화하기 위한 정전기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써, 더 특별하게는 상기의 입자 제거용 소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설명 방식의 우수한 필터 시스템을 도시한 미국특허 제 5,149,422 호와 제 5,242,587 호를 참조한다. 그러나 상기 특허에 묘사된 시스템은 100갤론 내지 2000갤론 범위의 용량을 갖는 저수조의 유체를 처리하도록 이용된다. 비용, 서비스, 관리는 상기와 같은 대규모 시스템에 알맞다. 기술적으로 이들 특허 시스템들은 상기의 특수한 대규모 체적에는 제한받지 않지만, 그들은 예를 들어 내부에서 10갤론 내지 40갤론 저수량 정도의 유체를 처리하도록 이용되는 소형 시스템에서 사용하기는 완전하게 실용적이지는 않다. 대형과 소형 스케일의 차이는 대용량의 체적을 수용하기 위한 역학적 구조, 조립 방법, 필요 동력의 크기, 기타의 필요성 때문이다. 미국 특허 제 5,556,522 호에는 또 다른 그리고 약간 유사한 대규모 시스템이 도시되어 묘사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특허에 설명된 대규모 시스템을 단지 축소한다고 해서 소형 시스템을 만족시킬수는 없다. 게다가 소형 시스템에서는 사출 성형 소성품을 사용하며, 저비용으로 조립하며, 해체하지 않고 부품들을 교환하며 시스템내에 재조립하며, 공장이나 서비스 센터에 필터를 반송해야 한다.
본 발명의 관점에 따라, 필터는 동시에 미끄러지는 2개의 사출 성형품을 갖는 하우징내에 동봉된다. 그 후에 그들은 소수의 단순 나사에 의하여 서로 결합한다. 하우징의 한 쪽 부품은 시스템용 전력을 포함한다. 하우징의 다른 쪽 부품은 플라스틱 폼 패드에 의해 복수의 정전기적 플레이트로부터 분리된 교호적 극성의 복수의 정전기적 플레이트에 의하여 형성된 필터 스택(stack)을 포함한다. 플레이트에는 유체 유동을 용이하게 하도록 충분히 개방된 영역을 갖는 구멍이 뚫려 있다. 폼은 폼을 통하여 직접 연장하는 초소형 구멍(microscopic pores)이 있는 스트로(straw)를 갖는다. 그리하여 처리해야 할 유체는 플레이트내의 구멍과 플라스틱 폼의 스트로를 통하여 통과할 수도 있다.
미국, 펜실베니아주 19022, 에디스톤, 이스트 세컨드 스트리트 1500 소재의 더 테크니컬 프러덕츠 그룹사는 포아멕스(Foamex)라는 상표로써 판매하는 것과 같은 고성능 폼을 개발하였다. 이 폼 재료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 뼈대 구조가 3차원인 완전 격자형의 요변성 폴리에스테르 우레탄 폼(fully-reticulated flexible polyester urethane foam)은, 매질의 각 셀이 모든 주위 셀과 완전히 상호 연결된 아주 뛰어난 다공성 및 투과성 재질을 생성한다.
플레이트들중 교호적인 것들은 직류 전원의 양극에 연결된다. 플레이트들중 나머지들은 전원의 음극에 연결된다. 각 플레이트는 한쪽 측면상에 플레이트를 스택내로 미끄러지게 하므로써 단순히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도 있는 아암을 갖는다. 따라서 양 또는 음의 정전기적 전하 사이의 선택은 정전기적 플레이트를 전환하는 단순 방법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폼의 모든 다른 패드는 영구 자석을 포함한다. 이들 자석들은 유체 유동 방향에 상대적인 방향인 양으로부터 음 사이의 폼 패드내에 존재한다. 유체 유동 방향에 다시 한 번 상대적인 방향을 취하므로써 음으로부터 양 사이의 폼 패드내에는 자석이 존재하지 않는다.
금속 파이프, 커플링 등이 필터 하우징으로부터 공유 영역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음의 플레이트가 접지 전위에 놓이는 것은 중요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첨부한 도면을 통하여 다음 설명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필터를 위한 완전히 조립된 2개의 부분 하우징의 사시도
도 1a는 하우징을 통하여 흐르며 처리중인 유체의 통로를 도시한 저면도
도 2는 필터 스택을 수용한 필터 부품으로부터 분리된 전원과 몇 개의 정전기적 플레이트와 필터 스택으로부터 제거된 폼 패드를 갖는 도 1의 2개의 하우징 부품의 사시도
도 3은 2개의 정전기적 플레이트, 폼 패드, 2개의 전기 전도체 바아를 갖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폼 패드내의 초소형 스트로와 세라믹 마그네틱을 도시하도록 부분적으로 파단한 폼 패드의 측면도
도 5는 플레이트의 스택과 폼 패드를 도시하며 필터 스택을 형성하는 전기력과 자기력계 배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처리된 유체로부터 제거될 때 입자들이 폼내에 수집되는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예를 들어 3개로 분리된 전압을 가하기 위한 변압기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교류파형의 선택된 위상각에서 전기적으로 스위치 오프와 스위치 온에 따라 3개의 전압들 중 어느 것이 발생될 수 있는가를 그래픽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서 선택된 위상각에 기인한 동력의 디지털 출력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 : 필터 하우징27, 29 : 잭
30 : 플랜지44, 46 : 파일롯트 램프
62 : 아암74 : 플라스틱 폼 패드
필터 하우징(20)은 각각 사출 성형품인 2개의 부품(22, 24)을 갖는다. 필터 부품(22)은 폼 패드로 서로 분리되어 평행하게 이격된 복수의 정전기적 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필터 스택을 수용한다. 하우징 부품(24)은 예를 들어 여기서는 5,000, 10,000, 15,000볼트인 복수의 직류 전압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전달할 수도 있는 전원을 수용한다.
2개의 부품(22, 24)들은 필터 하우징 부품(22)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2개의 바아(26, 28) (도 1, 2, 3)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기적 하우징 부품(24)내에서 잭(27, 29)으로 고정된다. 기계적으로, 2개의 하우징 부품들은 필터 하우징 부품(22)으로부터 연장되며 전기적 하우징 부품의 리드(32) 아래에 고정되는 플랜지(30)로 연결된다. 나사(34)가 리드(32)와 플랜지(30)를 관통하여 완전하게 기계적으로 연결한다. 전기적으로는, 2개의 하우징 부품들이 바아(26, 28)와 잭(27, 29)에 상호 연결된다 (도 1a). 하우징 부품(24)에서 전력 팩은 커넥터(36)에서 외부 전원에 연결된다. 2개의 하우징 부품들 사이의 기계적 연결을 더욱더 강화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하우징 부품(24)의 대응 단부면상에 몰드된 2개의 스프라켓(37)내로 삽입되도록 플라스틱 하우징 부품(22)의 단부면상에 2개의 포스트(35)(도 2)가 몰드된다.
유체 공급 및 제거용 연결부와 통로는 도 1a에 가장 잘 도시되어 있다. 사용되거나 더러운 유체 흐름(F1)은 고정부(38)에서 하우징 부품(22)에 들어가며, 하우징을 통하여 흐르며(화살표 F2), 고정부(40)를 경유하여 청정된 그리고 회복된 유체 흐름(F3)으로서 유출한다. 유체가 하우징 부품(22)을 통과하는 동안(화살표 F2), 대체로 임의의 유체는 너무 깨끗하게 제공되어, 시스템이 정전기적 전하로 부터 발생하는 효과에 의존하기 때문에 전기적 전도 유체가 아니다.
전원의 음전위와 모든 음의 정전기적 플레이트는 접지 상태에 있다. 이것은 정전기적 플레이트가 15,000볼트 직류 전압 정도로 높을 수도 있으며 유동 유체 흐름이 필터로부터, 그리고 파이프, 고정부와 어떤 다른 인접한 전기적 전도 구조체상에 전달될 수 있는 전기적 전하를 끌어 올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분명한 것은, 그러한 전압은 작업 영역에서 위험상태라는 것이다.
하우징 부품(24)내의 전력팩은 임의의 편리하고 적절한 전압을 발생할 수도 있다. 본 시스템은, 상업적인 전원인 110볼트 또는 220볼트와 같은 전원에 필터를 연결 사용하는 입력 단자(36)를 선택하므로써, 5,000, 10,000, 15,000볼트의 직류 전압들 중 선택된 하나를 사용한다. 하우징 부품(24)내의 전력팩은 도면 번호 42에서 스위치 온 및 오프된다 (도 2). 2개의 파일롯트 램프(44, 46)는 각각 녹색광 또는 빨간색광이며, 이들은 진행과 중단 상황을 표시한다.
상기 모듈 구조체의 장점은, 하우징 부품(24)내의 전원이나 하우징 부품(22)내의 필터 중 어느 하나는 관리를 위해 제조자가 교환하거나 반환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또한 시스템이 개선됨에 따라, 필터 부품(22) 또는 전원 부품(24) 중 어느 하나는 새로운 디자인으로서 업그레이드될 수도 있다.
도 2는 필터 하우징 부품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다. 하우징 부품(22)의 내부에 내부 하우징 벽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성형 클리트(molded cleats)나 리브(48)가 주기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구멍 뚫린 정전기적 플레이트(50, 52)는 리브(48)에 의하여 형성된 트랙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도 있는 식의 디맨젼을 갖는다. 이들 플레이트들은 그들의 전 표면을 가로질러 균일하게 구멍이 뚫려 있다 (몇 개의 구멍을 도면에 P1으로 표시하여 도시한다). 단부 공간(54, 56)들이 물이나 유사한 외부 유체 등등을 수집하도록 비어 있으며, 이것은 처리중인 유체내에 끌려갈 수도 있다.
2개의 전도 바아(26, 28)가 하우징 부품(22)의 전체 길이와 하우징 부품(24)내의 전력팩에 의하여 에너지화되는 잭(27, 29)내로 대체로 완전하게 연장한다. 바아들중 하나(여기서는 28)는 양의 전압이다. 바아들중 다른 하나(여기서는 26)는 음의 전위(접지)이다. 이것은 바아(28)가 접지에 대하여 양의 전위 5,000, 10,000, 15,000들 중 하나임을 의미한다.
모든 구멍 뚫린 정전기적 플레이트들은 단일 구성품이다. 도 2와 도 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50)는 한 쪽에는 아암(62)을 가지며 다른 쪽에는 없다. 그 결과 플레이트(50)가 트랙(48) 아래쪽으로 미끄러지므로써 하우징내에 삽입될 때, 아암(62)은 플레이트 전위를 하우징 부품(24)내의 전력팩으로 공급된 양의 전압 레벨까지 끌어 올리는 바아(28)와 접촉하여 확실하게 전기 접촉한다. 반대쪽(63)은 아암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바아(26)와 접촉하지도 않는다. 여기서 플레이트(52)가 플레이트(50)에 비교되어 전환된다는 점에 주목하자. 아암(68)은 오른쪽에 있으며 그 결과 바아(28)와 접촉한다. 그리하여 플레이트(52)는 도 3에서 EG로 표시된 것과 같은 음의 접지 전위 상태에 놓인다.
플레이트(50)가 회전할 때 다음 플레이트(72) (도 2)가 회전할 것이며, 그 결과 바아(28)가 사용되며 플레이트(72)는 양의 전위에 놓인다. 같은 방식으로, 각 플레이트는 그것의 이웃 플레이트에 상대적으로 회전하여 플레이트 전위의 순차는 (-), (+), (-), (+), .....이 된다.
하우징 부품(22)에 탑 커버(58) (도 1)를 부착하므로써 정전기적 플레이트와 전도 바아(26, 28)들 사이에 우수한 전기적 연결을 보장하도록 충분한 접촉 압력을 제공할 것이다.
다공성 플라스틱 폼 패드(74) (도 3)가 전기 절연재료로 제작되며 플레이트(50, 52)들 사이에 위치한다. 마찬가지로 하우징 부품(22)내에 각각의 한 쌍의 플레이트 사이에는 유사한 폼 패드가 위치한다. 이러한 각 패드들은, 예를 들어 도면 번호 76과 같은 초소형 통로(micropassageway) (소위 스트로)에 의하여 표면을 가로질러 균일하게 투과되는 다공성 재질로 제작된다. 총괄하여, 이들 스트로는 처리중인 유체를 상대적으로 용이하게 통과시키는 통로를 갖는 폼을 통하여 개방된 영역을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세라믹인 2개의 수직으로 배치된 영구 자석(80, 82)이, 하우징 부품(22)을 통한 유체 유동(F2)의 방향에 상대 방향(즉, 유체가 음의 플레이트(52)를 통하여 유동하기 전에 양의 플레이트(50)를 통하여 유동하는 것)으로 취하여 양(+)의 플레이트로부터 음(-)의 플레이트까지의 사이 공간에 위치한 절연 폼 패드(74)의 중심에 삽입되어 있다. 유체 유동(F2) 방향에 다시 한 번 상대적으로 취한 음(-)의 플레이트로부터 양(+)의 플레이트들 사이에 위치한 다른 폼 패드들중 어느 것에도 자석은 존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코로나(84) (도 5)가 양(+)의 플레이트들 주위에 형성되기 때문이다. 이 코로나는 D1 방향 (시계 방향)에 작용하는 역계(force field)를 갖는다. 자석(80, 82)은 코로나(84)와 상호 접촉하는 환상형의 플럭스계(86)을 갖는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상형 플럭스계(86)는 임의의 장소(D2)에서는 코로나가 유체내에 떠 있는 입자들을 교란시키는 것을 돕지만 다른 장소(D3)에서는 반대이다. 플라스틱 폼 패드(74)를 통하여 스트로(76)내에 제한되지 않는다면, 유체내의 입자는 플럭스(86)와 코로나(84)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얻어지는 결과력계에 대체로 잡힌 일정 운동 상태에 놓일 것이다. 역계내의 다른 위치에서 다른 효과는 더 큰 랜덤한 교반을 생성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입자들이 스트로(76) 내에만 제한되기 때문에, 이러한 교반은 그들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폼(88, 90)내에 잡히도록 한다.
음(-)의 유동 방향(F2)에서 양(+)의 유동 방향으로 플레이트(52, 72)들 사이에 위치한 폼 패드(92)내에는 자석이 존재하지 않는다. 코로나가 접지에서 음(-)의 플레이트를 형성하지 않는다. 그 결과 폼 패드(92)내에는 입자 포획물이 나타나지 않는다.
일단 입자 포획물(88, 89) (도 6)이 충분히 만들어지며, 필터 하우징 부품(22)은 폼에 잡힌 입자들의 대부분을 세척하도록 백 플러시(back-flush)된다. 그러나 충분한 시간이 지난 후에는, 더 이상 단순한 백 플러시로써 폼을 청소할 수 없다. 이러한 일이 발생할 때, 폼 패드는 매우 단단하고 딱딱하게 되어 버리고 난 후 새로운 폼 패드로 교환한다.
초창기 특허 제 5,149,422 호와 제 5,242,587 호에 도시한 필터내의 폼을 교환하기 위해서는, 대규모 스케일의 필터에는 적절하지만 소형 필터에는 경제성이 없는 완전한 분해와 크리닝이 필요하다. 그러나 현재의 디자인에서는 필요할 때마다 플레이트와 폼을 단순히 접어넣을 수도 있거나 교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장점은 모든 시스템에 대하여 모든 부품들이 균일하다는 것이다. 필터링은 하이드로카본 유체내에 만들어진 추가의 패키지로서 변화가 필요하다. 그리하여 필터링되어야 하는 유체를 제조하는 거의 모든 제조업자에게는 변화가 필요하다. 이것은 대부분의 필터가 특정 사용자의 필요성에 맞추어 디자인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초창기 시스템에서는, 양(+)의 플레이트로부터 음(-)의 플레이트 사이에 공간이 최대 효율을 얻을 수 있는 것보다 더 많이 또는 더 적게 되도록 변화되었을 것이다.
필터링은 필터 스택내의 전류 소비량에 직접 비례한다. 그 결과, 본 발명에서는 전류 소비량이 바아(26, 28)를 통하여 적용된 전압 레벨을 선택하므로써 제어된다. 그리하여 플레이트들 사이의 공간을 변화시킬 필요가 없다. 관심의 대상이 되는 하이드로카본 유체에서는 3개의 직류 전압 5,000, 10,000, 15,000 볼트가 가장 최선이라 것을 발견하였다. 그 결과 필터링되어야 할 유체가 변화할 때, 이들 전압들 중 하나는 보통 필터링되어야 할 유체내의 추가 패키지에 기초하여 선택된다. 어떤 다른 전압이 필요하다면, 전력팩을 하우징 부품(24)으로 교환하기만 하면 된다.
도 7은 이러한 3개의 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변환 장치를 도시한다. 초기의 와인딩(W1)을 통하여 적절한 전원(예를 들어 110V 또는 220V 60Hz의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전원)이 연결된다. 효율면에서, 5,000 볼트에 대하여 스위치(S1, S2)는 제 2 와인딩(W2)으로부터 출력 전압을 취하기 위하여 폐쇄된다. 10,000 볼트에 대하여 스위치(S1, S2)는 제 2 와인딩(W3)으로부터 출력 전압을 취하기 위하여 폐쇄된다. 15,000 볼트가 완전히 필요할 때, 스위치(S1, S2)는 두 개의 제 2 와인딩(W2, W3)으로부터 출력 전압을 취하기 위하여 폐쇄된다.
선택가능한 출력을 생산하는 또 다른 방식은, 상업적으로 이용가능한 사인파형(94) (도 8)으로 선택된 위상에 따라 발화하도록 디자인된 전자 스위치(예를 들어 SCR)를 사용하는 것이다. SCR이 위상각(A1)에서 발화한다면, 상대적으로 좁은 일련의 펄스 전압(96) (도 9의 A로 도시함)이 발생되어 5,000 볼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SCR이 위상각(A2)에서 발화한다면, 도 9의 B로 도시한 바와 같은 더 넓은 일련의 펄스 전압(98)이 발생하며 10,000 볼트를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SCR이 위상각(A3)에서 발화한다면, 역시 더 넓은 일련의 펄스 전압(100)이 도 9의 C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발생하며 15,000 볼트를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전압 선택이 어떻게 이루어지는가에 관계없이, 전류 소비량은 필터의 물리적인 구조를 변화시킬 필요없이 시스템에 특별한 유체를 필터링하도록 제거될 수도 있다.
이 분야에 능숙한 기술자들은 본 발명을 어떻게 변경할 수 있는가를 쉽게 감지할 것이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원래의 범주와 기본 개념내에 있는 모든 동등한 구조를 포함하도록 만들어질 것이다.

Claims (14)

  1. 비전기적 전도 유체로부터 입자들을 제거하는 정전기적 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함께 고정되는 2개의 필터 하우징 부품들을 포함하며,
    한 쌍의 전기적 전도 바아는 상기 하우징 부품들중 하나를 통하여 연장하며,
    상기 하우징 부품들중 다른 것에서의 수단은 접지 전위와 복수의 직류 저압 레벨들중 선택된 것에서 상기 한 쌍의 전도 바아를 에너지화하며,
    필터 스택은 상기 하나의 하우징 부품내에 있으며,
    상기 스택은 동시에 상기 2개의 바아들 모두가 아니라 둘 중에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전기적 전도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 스택중에서 상기 플레이트들중 연속된 것들은 상기 플레이트가 교호적으로 양과 음인 상기 2개의 바아들중 하나에 교호적으로 연결되며,
    필터 수단은 상기 필터 스택에서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들 사이에 위치한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와 필터 수단은 유체가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 부품과 스택을 통하여 적어도 주어진 방향으로 유동하도록 개방된 영역을 가지며,
    영구 자석 수단은, 상기 유체 유동의 상기 주어진 방향에 대하여 음으로부터 양까지의 상기 전도 플레이트의 다른 한 쌍 사이가 아니라 상기 유체 유동의 상기 주어진 방향에 대하여 결정된 한 쌍의 상기 양과 음 플레이트 사이에 있는 상기 필터 수단들중 몇 개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직류 전압 레벨은 5,000, 10,000, 15,000 볼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직류 전압은 양의 전압인 상기 전기적 전도 플레이트들중 일부 주위에 코로나를 발생시키며, 상기 영구 자석은 상기 유체 유동의 주어진 방향에 대하여 결정된 양의 플레이트로부터 음의 플레이트 사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양의 전압을 갖는 전기적 전도 플레이트에 대한 상기 영구 자석의 위치는 상기 영구 자석의 자기 플럭스계가 상기 유체내의 상기 입자들의 난류 이동을 일으키도록 상기 코로나와 접촉하는 식으로 놓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들은 상기 바아들중 하나와 접촉하도록 한 쪽에 돌출부를 갖는 대체로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교호적인 양과 음의 플레이트의 양극은 상기 플레이트들을 전환하여 상기 돌출부가 상기 플레이트의 반대쪽 측면상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6. 정전기적 필터에 있어서,
    복수의 동일한 정전기적 플레이트를 갖는 필터 스택을 수용한 필터 하우징과,
    상기 필터 스택을 따라 연장된 한 쌍의 직류 전도 소자와,
    2개의 방향들중 어느 하나에서 상기 플레이트를 장착하는 수단과,
    상기 각 플레이트들은 상기 전도 소자들 중 하나와 접촉하며, 상기 스택내에 있는 상기 플레이트의 회전 방향중 임의의 것에 의존하여 대응하는 직류 전압의 양극을 가지며,
    상기 각 플레이트와 상기 필터 스택을 형성하는 이웃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한 필터 패드와,
    상기 필터 스택을 완전히 분해하지 않고도 상기 플레이트를 상기 필터 스택에 삽입하고 필터 스택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상기 장착 수단과,
    상기 정전기적 플레이트와 상기 대응 직류 전압의 양극 사이에 접촉 압력을 적용하는 폐쇄된 상기 하우징에 응답하는 수단과,
    유체가 유동하기에 적당하도록 내부에 개방된 영역을 갖는 상기 각 플레이트와 필터 패드와,
    상기 유체내의 입자들을 교반하여 상기 패드의 개방된 영역에서 개방된 영역을 통하여 이동하는 입자들이 상기 필터내에 잡히게 하는 수단과,
    상기 필터내의 전기 소비량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직류 전압 전도 소자들 사이에 전압차를 조절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필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입자들을 교반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플레이트 주위 영역에서 코로나를 생성하는 레벨까지 상기 정전기적 플레이트들중 교호적인 것에 에너지화 하는 수단을 포함하며, 상호 작용하도록 상기 코로나에 충분히 가까이 자계를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전도 소자는 상기 필터 스택을 통하여 연장하는 한 쌍의 이격된 평행 바아와, 복수의 고전압들 중 선택된 것에 하나의 극성을 갖도록 상기 바아들 중 하나를 통전시키는 수단과, 접지 전위에서 상기 바아들 중 다른 것들을 유지하는 수단과, 돌출부와 나란하게 배치되어 상기 각각의 플레이트들은 상기 플레이트가 상기 바아의 한 쪽 또는 다른 쪽에 접촉하도록 또는 한 쪽 또는 다른 쪽상에 위치된 상기 돌출부를 갖는 상기 플레이트의 방향에 따라 상기 스택내로 삽입되는지에 의존하여 상기 바아들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상기 각 정전기적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의 각각은 상기 패드를 통하여 연장되며 상기 유체가 유동하도록 개방된 영역을 집합적으로 형성하는 스트로를 형성하여 내부에 초소형 구멍을 갖는 폼 패드이며, 상기 입자들은 상기 스트로를 둘러싸는 폼에서 잡혀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스트로내에 있는 동안 교반하므로써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을 폐쇄하므로써 반응하는 수단은 상기 정전기적 플레이트와 상기 접촉 바아 사이에서 접촉 압력을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 발생 수단은 상기 하우징내의 유체 유동 방향에 상대적으로 상기 양과 음의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한 상기 패드의 각각에 둘러싸인 적어도 하나의 세라믹 영구 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2. 제 1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제 2 하우징은 상기 양의 전위와 상기 접지에서 각각 상기 플레이트를 교호적으로 에너지화하는 전원을 수용하며 상기 수단은 상기 필터 하우징에 상기 제 2 하우징을 커플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 2 하우징의 커플링은 전기적 커플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 2 하우징의 커플링은 기계적 커플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KR1019970066065A 1996-12-06 1997-12-05 하이드로카본 유체로부터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시스템 KR1002708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324296P 1996-12-06 1996-12-06
US60/033242 1996-12-06
US8/863,861 1997-05-27
US08/863,861 US5891315A (en) 1996-12-06 1997-05-27 Filter system for removal of particles from hydrocarbonfluids
US08/863861 1997-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810A true KR19980063810A (ko) 1998-10-07
KR100270856B1 KR100270856B1 (ko) 2000-11-01

Family

ID=26709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6065A KR100270856B1 (ko) 1996-12-06 1997-12-05 하이드로카본 유체로부터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891315A (ko)
EP (1) EP0846497B1 (ko)
JP (1) JP3316508B2 (ko)
KR (1) KR100270856B1 (ko)
CA (1) CA2221915A1 (ko)
DE (1) DE69715572T2 (ko)
ES (1) ES2184037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822958D0 (en) * 1998-10-20 1998-12-16 Adept Technologies As Reactor for treating liquids
PL351182A1 (en) * 2001-12-13 2003-06-16 Abb Sp Zoo Electrostatic separator
US10197210B2 (en) 2015-07-16 2019-02-05 Hydra Heating Industries, LLC Magnetic closures for pipe insulation
US9914284B2 (en) 2015-08-06 2018-03-13 Hydra Heating Industries, LLC Magnetic insulation
CA2938285A1 (en) 2015-08-06 2017-02-06 Hydra Heating Industries, LLC Magnetic clasps for insulatio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2178A (en) * 1966-03-29 1974-12-03 E Griswold Electrostatic filtering for cleaning dielectric fluids
US4238326A (en) * 1979-09-21 1980-12-09 Wolf Bernard A Fluid processor apparatus and method
US4350590A (en) * 1981-02-25 1982-09-21 Robinson Norman R Filtration system
US4594138A (en) * 1984-05-17 1986-06-10 Thompson Donald E Fluid filter
US4800011A (en) * 1987-07-22 1989-01-24 Abbott Woodrow A Fluid filter with improved electrode and spacer configuration
US5242587A (en) * 1990-12-20 1993-09-07 Analytic Systems Laboratories, Inc. Filter with porous media and electrostatic and magnetic plates
US5149422A (en) * 1990-12-20 1992-09-22 Analytic Laboratories, Inc. Finite particle removal system
US5332485A (en) * 1991-06-18 1994-07-26 Contamco Corporation Electrostatic filter
US5556522A (en) * 1992-07-28 1996-09-17 Ingalls; Rex K. Filter assembly
US5352347A (en) * 1992-12-04 1994-10-04 Adfiltech Corporation Electrostatic filter for non-conductive liquids
US5571399A (en) * 1995-01-09 1996-11-05 Allen; Robert H. Electrostatic fluid filter and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0856B1 (ko) 2000-11-01
JP3316508B2 (ja) 2002-08-19
ES2184037T3 (es) 2003-04-01
EP0846497A1 (en) 1998-06-10
DE69715572D1 (de) 2002-10-24
EP0846497B1 (en) 2002-09-18
JPH10202146A (ja) 1998-08-04
DE69715572T2 (de) 2003-05-22
US5891315A (en) 1999-04-06
CA2221915A1 (en) 1998-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94226C (en) Electronic air filter
KR101119078B1 (ko) 부유물 포집장치
US7682492B2 (en) Electrocoagulation system
US5242587A (en) Filter with porous media and electrostatic and magnetic plates
US4800011A (en) Fluid filter with improved electrode and spacer configuration
RU2052299C1 (ru) Магнитный сепаратор высокого напряжения для влажных сред
CA2619154C (en) Woven electrostatic oil precipitator element
KR100270856B1 (ko) 하이드로카본 유체로부터 입자를 제거하기 위한 필터 시스템
US5149422A (en) Finite particle removal system
US3415735A (en) Apparatus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high-resistivity fluids
US5571399A (en) Electrostatic fluid filter and system
RU2116136C1 (ru) Электромагнитный сепаратор
RU2107552C1 (ru) Электрический очиститель диэлектрических жидкостей
RU2115459C1 (ru) Способ фильтрования жидко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208115982U (zh) 一种使用平板式静电过滤器的空气净化设备
CN207913960U (zh) 静电滤网组件以及静电滤网的安装固定放电设备
WO2003040044A1 (en) Conformable apparatus for removing particulate matter
RU2056951C1 (ru) Электроцентробежный очиститель жидкости
SU980775A1 (ru) Магнитно-электростатический фильтр
SU593714A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фильтрующих элементов
RU220241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диэлектрических жидкостей
RU2207192C1 (ru) Аппарат для очистки индустриальных масел
JP3130420U (ja) 静電浄油機
RU2058828C1 (ru) Электросепаратор веществ суспензий
RU2421266C1 (ru) Электроочиститель модульной конструкци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