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3444U - 정수기용 수위센서의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수위센서의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3444U
KR19980063444U KR2019970007953U KR19970007953U KR19980063444U KR 19980063444 U KR19980063444 U KR 19980063444U KR 2019970007953 U KR2019970007953 U KR 2019970007953U KR 19970007953 U KR19970007953 U KR 19970007953U KR 19980063444 U KR19980063444 U KR 199800634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evel
level sensor
water
tube
fixed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95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석근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70007953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3444U/ko
Publication of KR199800634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3444U/ko

Links

Landscapes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수기용 수위센서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패널에 고정되는 피팅에 서로 연통하도록 수위센서와 호스를 설치함으로써 수위센서의 분해 및 조립을 용이하게 실현하도록 한 정수기용 수위센서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수위센서의 고정구조는 지면과 수직하게 설치되는 중공의 관(21), 상기 관(2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관(21)의 길이 방향으로 수위에 따라 이동하는 플로트(22), 그리고 상기 관(21)의 소정 높이에 설치되는 리드스위치(23)를 포함하는 수위센서의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관(21)의 하측에 밀봉 설치된 센서고정부재(40), 그리고 정수기의 고정패널(33)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측에 상기 센서고정부재(40)의 하부가 착탈 가능하게 밀봉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 정수탱크와 연통하는 호스(4)가 착탈 가능하게 밀봉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벌크헤드피팅(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기용 수위센서의 고정구조
본 고안은 정수기용 수위센서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고정패널에 고정되는 피팅(fitting)에 서로 연통하도록 수위센서와 호스를 설치함으로써 수위센서의 분해 및 조립을 용이하게 실현하도록 한 정수기용 수위센서의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기는 수돗물 또는 약수와 같은 자연수(이하 원수)를 여과하기 위한 장치로서, 원수를 다양한 종류의 여과 수단을 통과시킴으로써,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나 유해 물질을 제거하고 인체에 유익한 물질만이 포함되는 음용수를 제공하는 기기이다.
상기 정수기는 여과된 정수만을 공급하는 정수기, 여과된 정수를 냉각시켜 공급하는 냉정수기, 여과된 정수를 냉각 및 승온시켜 공급하는 냉온정수기 등과 같이 다양한 종류의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정수기는 통상적으로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탱크, 냉수를 저장하는 냉수탱크, 온수를 저장하는 온수탱크 중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수로 구비되며, 이들 탱크에는 정수의 저장 상태를 파악하고, 수위를 제어하기 위한 수위센서가 설치된다.
도 1은 종래에 사용되는 냉온정수기의 냉수탱크(1)와 온수탱크(11) 및 이들 탱크에 부착되어 수위를 감지하는 냉수 수위센서(2)와 온수 수위센서(12)를 도시하는 정수기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그리고 상기 냉수탱크(1)와 온수탱크(11)는 각각의 하단부가 호스(3)에 의하여 연통되며, 상기 수위센서(2,12)는 다른 호스(4,14)에 의해서 상기 탱크들(1,11)의 하단부에 각각 연통되어 있다.
상기 냉수 수위센서(2)와 온수 수위센서(12)는 그 원리가 동일하므로 하나의 수위 센서 즉 냉수 수위센서(2)의 고정구조에 대해서만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냉수 수위센서(2)는 냉수탱크(1)와 하단부가 연통하는 중공의 관(21)이 지면과 연직하게 설치되며, 상기 관(21)의 내부에는 정수의 상하 이동에 따라서 연동하는 플로트(22)가 내장되고, 상기 관의 외부에는 상기 플로트(22)에 구비되는 자석에 의하여 전기를 단속하는 다수의 리드스위치(23)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부착된다.
상기 냉수 수위센서(2)의 종래 고정구조는 상기 관(21)의 하단부에 중공의 센서고정부재(30)가 연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센서고정부재(30)의 하단부에 연결호스(31)가 억지끼움으로 설치되고, 상기 연결호스(31)의 선단에 연질의 호스(4)가 탄성밴드(32)에 의하여 고정되는 구조이다.
물론 상기 센서고정부재(30)는 정수기 본체(미도시)에 고정되는 고정패널(33)에 고정된다.
그래서 도 1 및 도 2에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냉수 탱크(1)에 정수가 유입되어 수위를 형성하게 되면 이 수위와 동일하게 일부의 정수가 냉수 수위센서(2)의 관(21)에 유입되며, 이때 플로트(22)가 상기 관(21)의 길이 방향으로 수위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플로트(22)가 이동하여 플로트(22)의 자석이 관(21)의 외부에 고정된 리드스위치(23)에 접근하게 되면 상기 리드스위치(23)가 작동되어 현재의 수위를 감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위센서를 고정하는 구조는 수위센서를 분해할 경우에 연결호스(31)를 센서고정부재(30)로부터 분리하여 수위센서를 고정패널(33)로부터 분리하게 되며, 수위센서를 조립할 경우에 분해의 역순으로 다시 조립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수위센서 고정구조는 분해한 뒤에 다시 조립할 경우에 센서고정부재(30)와 연결호스(31) 사이의 밀봉 상태가 불량하게 되어 정수가 유출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고정부재(30)와 연결호스(31)를 억지끼움으로 조립하기 때문에 조립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다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위센서를 고정패널(33)에 고정하고 호스(4)와 연결시키는 조립 공수가 많기 때문에 생산성을 저하시킨다는 또다른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고정패널에 고정되는 피팅에 서로 연통하도록 수위센서와 호스를 설치함으로써 수위센서의 분해 및 조립을 용이하게 실현하도록 한 정수기용 수위센서의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지면과 수직하게 설치되는 중공의 관, 상기 관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관의 길이 방향으로 수위에 따라 이동하는 플로트, 그리고 상기 관의 소정 높이에 설치되는 리드스위치를 포함하는 수위센서의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관의 하측에 밀봉 설치된 센서고정부재, 그리고 정수기의 고정패널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측에 상기 센서고정부재의 하부가 착탈 가능하게 밀봉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 정수탱크와 연통하는 호스가 착탈 가능하게 밀봉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벌크헤드피팅을 포함하는 정수기용 수위센서의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도 1은 수위센서가 정수기의 냉수탱크와 온수탱크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종래에 관련하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로서, 종래 수위센서의 고정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정수기용 수위센서의 고정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수탱크 2 : 냉수 수위센서
3,4,14 : 호스 11 : 온수탱크
12 : 온수 수위센서 21 : 관
22 : 플로트 23 : 리드스위치
30,40 : 센서고정부재 33 : 고정패널
41 : 실리콘 50 : 벌크헤드피팅
52 : 너트 53 : 실링
60 : 착탈체 61 : 외향플랜지
62 : 슬롯 63 : 탄성부
63a : 돌출부 63b : 돌출편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정수기용 수위센서 고정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수위센서 고정구조는 지면과 수직하게 설치되는 중공의 관(21), 상기 관(2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관(21)의 길이 방향으로 수위에 따라 이동하는 플로트(22), 그리고 상기 관(21)의 소정 높이에 설치되는 리드스위치(23)를 포함하는 수위센서에 적용된다.
본 고안의 수위센서 고정구조는 센서고정부재(40)가 상기 관(21)의 하측에 밀봉 설치되고, 정수기의 고정패널(33)에 설치되는 벌크헤드피팅(bulk head fitting)(50)은 상측에 상기 센서고정부재(40)의 하부가 착탈 가능하게 밀봉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 정수탱크와 연통하는 호스(4)가 착탈 가능하게 밀봉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센서고정부재(40)는 실리콘(41)에 의해서 수위센서의 관(21)과의 사이가 밀봉되어 있으며, 상기 벌크헤드피팅(50)은 하단부에 외향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너트(52)와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정수기의 고정패널(33)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벌크헤드피팅(50)의 상하부의 삽입구에는 각각 실링(53)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벌크헤드피팅(50)의 상하부의 삽입구에는 각각 외측단에 외향플랜지(61)가 형성되어 있고 길이 방향의 슬롯(62)에 의해서 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다수의 탄성부(6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탄성부(63)의 끝단에는 외향의 돌출부(63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내면에는 내향의 돌출편(63b)이 설치되어 있는 착탈체(60)가 삽입되어 있다. 상기 착탈체(60)의 내향의 돌출편(63b)은 금속제로 되어 있으며 탄성부(63)에 인서트사출에 의해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벌크헤드피팅(50)은 상기 상하부의 삽입구사이에는 직경 방향 안쪽으로 돌출되는 턱이 형성되어 있고, 삽입구의 내측부는 소직경으로 형성되며 외측부는 대직경으로 되어 있는데, 상기 대직경의 외측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감소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정수기용 수위센서의 고정구조는 다음과 같이 작용한다.
수위센서를 설치할 경우, 벌크헤드피팅(50)의 상하의 삽입구 내부에 실링(53)을 각각 설치한 후, 착탈체(60)를 각각 스냅식으로 삽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실링(53)과 착탈체(60)가 설치된 벌크헤드피팅(50)을 고정패널(33)의 아래에서 위쪽으로 설치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패널(33)을 통과한 상단의 나사부에 너트(52)를 나사결합하여 상기 고정패널(33)에 벌크헤드피팅(50)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수위센서가 고정된 센서고정부재(40)의 원통 형상의 하단부를 상기 벌크헤드피팅(50)의 상측의 착탈체(60)내에 삽입시키고, 정수탱크와 연통하는 호스(4)를 상기 벌크헤드피팅(50)의 하측의 착탈체(60)에 삽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센서고정부재(40)의 원통 형상의 외부 둘레면에 실링(53)이 위치하게 되며, 상기 호스(4)의 외부 둘레면 소정 위치에 다른 실링(53)이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착탈체(60)의 돌출편(63b)에 의하여 탄성부(63)의 끝단부가 센서고정부재(40)또는 호스(4)와 강하게 밀착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센서고정부재(40)와 호스(4)를 강제로 상기 벌크헤드피팅(50)으로부터 이격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돌출편(63b)에 의하여 착탈체(60)가 함께 외측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 착탈체(60)의 이동이 있으면 벌크헤드피팅(50)의 삽입구의 대직경 외측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점점 직경이 감소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센서고정부재(40)와 착탈체(60) 사이, 또는 호스(4)와 착탈체(60) 사이가 탄성부(63)에 의해서 더욱 밀착된다.
따라서 작업자가 센서고정부재(40)와 호스(4)를 강제로 잡아당긴다 하더라도 센서고정부재(40) 또는 호스(4)가 벌크헤드피팅(5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된 상태에서 수위센서를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행한다.
상기 착탈체(60)가 벌크헤드피팅(5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한쪽 손으로 착탈체(60)를 잡고 다른 손으로 수위센서를 이동 즉 센서고정부재(40)를 벌크헤드피팅(5)의 외측으로 이탈시키면, 상기 착탈체(54)가 이동하지 않으므로 센서고정부재(40)가 탄성부(63)의 밀착력을 덜 받기 때문에 이탈하게 된다.
그리고 실링(53)은 벌크헤드피팅(50)과 센서고정부재(40) 또는 호스(4)사이의 틈새를 밀봉하여 정수가 누설되는 일이 없으며, 상기와 같은 센서고정부재(40) 또는 호스(4)의 분해 및 설치를 반복하더라고 실링(53)은 마모되지 않고 그 기능을 계속적으로 발휘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정수기용 수위센서의 고정구조는 벌크헤드피팅을 고정패널에 설치하면 수위센서와 호스를 각각 분해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분해와 조립을 반복하더라고 구조의 어떤 요소를 교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조립 및 정비가 용이하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고안은 기재된 고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고안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지면과 수직하게 설치되는 중공의 관(21), 상기 관(2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관(21)의 길이 방향으로 수위에 따라 이동하는 플로트(22), 그리고 상기 관(21)의 소정높이에 설치되는 리드스위치(23)를 포함하는 수위센서의 고정구조에 있어서,
    상기 관(21)의 하측에 밀봉 설치된 센서고정부재(40), 그리고
    정수기의 고정패널(33)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측에 상기 센서고정부재(40)의 하부가 착탈 가능하게 밀봉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고, 하측에 정수탱크와 연통하는 호스(4)가 착탈 가능하게 밀봉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어 있는 벌크헤드피팅(5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수위센서의 고정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고정부재(40)는 실리콘(41)에 의해서 수위센서의 관(21)과의 사이가 밀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수위센서의 고정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크헤드피팅(50)은 하단부에 외향플랜지가 형성되어 있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며, 너트(52)와의 나사결합에 의해서 정수기내의 고정패널(33)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수위센서의 고정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크헤드피팅(50)의 상하부의 삽입구에는 각각 실링(53)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수위센서의 고정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크헤드피팅(50)의 상하부의 삽입구에는 각각, 외측단에 외향플랜지(61)가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의 슬롯(62)에 의해서 측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다수의 탄성부(6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탄성부(63)의 끝단에는 외향의 돌출부(63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내면에는 내향의 돌출편(63b)이 설치되어 있는 착탈체(60)가,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수위센서의 고정구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착탈체(60)의 내향의 돌출편(63b)은 금속제로 되어 있으며 탄성부(63)에 인서트사출에 의해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수위센서의 고정구조.
KR2019970007953U 1997-04-16 1997-04-16 정수기용 수위센서의 고정구조 KR1998006344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953U KR19980063444U (ko) 1997-04-16 1997-04-16 정수기용 수위센서의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953U KR19980063444U (ko) 1997-04-16 1997-04-16 정수기용 수위센서의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3444U true KR19980063444U (ko) 1998-11-16

Family

ID=69683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953U KR19980063444U (ko) 1997-04-16 1997-04-16 정수기용 수위센서의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344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657B1 (ko) * 2008-01-25 2009-09-0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수위감지형 습식 공기청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5657B1 (ko) * 2008-01-25 2009-09-0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수위감지형 습식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487327B1 (en) Tap water purifier
CZ280970B6 (cs) Vzduchový filtr pro vnitřní prostor motorových vozidel
US4024064A (en) Liquid treating system and included filter assembly
KR960000280A (ko) 필터장치
KR19980063444U (ko) 정수기용 수위센서의 고정구조
KR101143960B1 (ko) 절전 밸브장치
CN107021571B (zh) 净洗仪
KR200202974Y1 (ko) 정수기의 휠터 카트리지 장착장치
CN210356262U (zh) 一种具有止水功能的滤芯、滤芯组件及净水机
KR20180133611A (ko) 정수기용 파우셋
KR920000938Y1 (ko) 보조 정수기
RU2136347C1 (ru) Фильтрующий модуль и фильтр для очистки жидкости
CN206530794U (zh) 一种可拆卸式连接管件
CN106865802B (zh) 净洗仪
JP3638988B2 (ja) 整水器
CN216823205U (zh) 一种带过滤功能的智能马桶盖及智能马桶
CN211259798U (zh) 水龙头
CN215809339U (zh) 一种带有抑垢装置的镁棒及其电热水器
KR19980063445U (ko) 정수기용 수위센서의 브래킷
KR970006098Y1 (ko) 정수기
CN207261764U (zh) 一种净饮设备及其净水龙头
KR200328745Y1 (ko) 정수용 필터
CN216868853U (zh) 一种可磁化净水的防电墙结构及电热水器
CN211117860U (zh) 一种开关
CN215327285U (zh) 水路板及净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