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2778U - 디가우징 수행 시기를 설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가우징 수행 시기를 설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2778U
KR19980062778U KR2019970007167U KR19970007167U KR19980062778U KR 19980062778 U KR19980062778 U KR 19980062778U KR 2019970007167 U KR2019970007167 U KR 2019970007167U KR 19970007167 U KR19970007167 U KR 19970007167U KR 19980062778 U KR19980062778 U KR 1998006277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gaussing
signal
display device
osd
microcompu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71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문종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700071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2778U/ko
Publication of KR1998006277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2778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디가우징 동작을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수행할 수 있도록 OSD 화면을 이용하여 세팅하고, 마이컴이 이 상태를 인식하여 설정시기에 맞게 제어하므로써 디가우징 실시에 따른 소음에 의한 불쾌감을 해소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지자계등에 의해 발생되는 색상의 번짐 상태를 원래의 색상으로 회복시키는 동작을 하는 디가우징 회로의 동작 수행 여부를 마이컴의 출력신호에 따라 제어할 수 있는 디가우징 콘트롤러를 부가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디가우징 수행 시기를 설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본 고안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디가우징 수행을 사용자가 원하는 시기에 맞게 설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컴퓨터 시스템의 정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화상의 형태로 출력하는 대표적인 컴퓨터 주변기기이다. 도 1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중심으로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컴퓨터(100)는 키보드 신호를 인가 받아 처리하고 처리된 결과에 따라 데이터를 발생하는 CPU(110)와, 상기 CPU(110)로부터 출력되는 데이터를 인가 받아 영상 신호(R,G,B)로 처리하고 이를 동기시키기 위한 수평 동기신호 (H_Sync) 및 수직 동기신호(V_Sync)를 출력하는 비디오 카드(12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상기 컴퓨터(100)내의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영상 신호(R,G,B) 및 수평/수직 동기신호를 인가 받아 후단에 상 조정 신호와 기준 발진 신호 등의 조절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210)과, 상기 마이컴(210)의 동작을 위한 화면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버튼(Button)부(220)와, 상기 마이컴(210)으로부터 출력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화면 제어 신호와 기준 발진 신호를 인가 받아 라스터(Raster)를 동기시키는 수평 및 수직 출력 회로부(230)와, 상기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신호를 인가 받아 증폭하여 표시하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240)와, 상기 마이컴(210)과 상기 수평 및 수직 출력 회로부(230)와 상기 비디오 신호 처리부(240)에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250)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200) 내부의 각 블럭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컴퓨터(100)의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H-Sync)와 수직 동기 신호(V-Sync)는 각종 화면 제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마이컴(210)에서 인가 받는다. 수평 동기 신호(H-Sync) 및 수직 동기 신호(V-Sync)를 인가 받은 마이컴(210)은 제어 버튼(Button)부(220)에서 인가되는 화면 제어 신호에 따라 화면에 표시되는 상을 조정하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수평 및 수직 발진 신호 처리기(231)는 톱니파 발생 회로의 온/오프 동작의 스위칭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수직 펄스를 수직 드라이브 회로(232)로 인가하게 된다.
수직 펄스를 인가 받은 수직 드라이브 회로(232)는 일반적으로 1단의 수직 증폭형이 많이 사용되며,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에 입력을 가하고 에미터 단자에서 출력 전압을 꺼내는 에미터 팔로우(Emitter Follower)형을 많이 사용된다. 따라서, 이득보다는 직선성 개선의 동작을 한다.
수직 드라이브 회로(232)로부터 출력되는 전류 신호를 인가받은 수직 출력 회로(233)는 수직 편향요크(Deflection Yoke)(V-DY)를 통해 흐르는 수직 동기 펄스에 부합된 톱니파 전류를 만들게 되고, 그에 따라 수직 주사 주기가 결정된다.
수평 및 수직 발진 신호 처리기(231)로부터 출력되는 수평 발진 신호는 수평 드라이브 회로(234)에 인가된다. 수평 드라이브 회로(234)는 수평 출력 회로(235)를 온/오프 시키기 위한 충분한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수평 드라이브 회로(234)로부터 출력되는 전류를 인가 받은 수평 출력 회로(235)는 수평 편향요크(H-DY)에 톱니파 전류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톱니파 전류에 의해 수평 주사 주기가 결정된다.
또한, 안정된 직류(DC) 전압을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이하 CRT라 칭함)(244)의 애노드(Anode)(244a)에 공급하기 위해 플라이백 트랜스포머(FlyBack Transformer; 이하 FBT라 칭함)(237)가 사용된다.
FBT는 누설 인덕턴스와 고압 회로(236)의 분포 용량에 의한 고조파를 이용하여 큰 고압을 발생하여 CRT(244)의 애노드(Anode)(244a) 단자에 인가하게 된다.
고압을 인가 받은 애노드(Anode) 단자는 비디오 신호 처리부(240)에서 증폭되어 출력되는 영상 신호(R,G,B)의 휘도를 조정하게 된다. OSD-IC(241)는 마이컴(210)에서 출력되는 화면 제어 신호에 따른 OSD데이터를 인가 받아 OSD 이득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비디오 프리 앰프(242)는 OSD-IC(241)로부터 출력되는 OSD 이득 신호와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인가되는 영상 신호(R,G,B)를 인가 받는다. 비디오 프리 앰프(242)는 저전압 증폭기로 낮은 영상 신호(R,G,B)를 증폭시켜 일정한 전압 수준을 유지하게 된다.
가령 예를 들어, 1VPP 미만의 신호를 4 ∼ 6VPP의 신호로 증폭시킨다. 이와 같이 4 ∼ 6VPP의 신호로 증폭 된 것을 비디오 메인 앰프(243)는 40 ∼ 60VPP 의 신호로 증폭하여 각 화소에 에너지를 공급하게 된다. 비디오 메인 앰프(243)에서 증폭된 영상 신호는 CRT(244)의 캐소드(Cathode)에 인가되어 화면을 통해 영상을 표시된다.
또한, OSD가 선택되는 경우에는 비디오 프리 앰프(242)에서 OSD가 선택되어 일정 레벨로 증폭된 후, 비디오 메인 앰프(243)에서 최종 증폭되어 CRT(244)의 화면에 OSD 데이터를 표시하게 된다. CRT(244)에 표시되는 OSD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기능 또는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 전압을 공급하는 전원 회로부(250)는 상용 교류를 입력받는 교류(Alternative Current; 이하 AC라 칭함)입력단(251)을 통해 교류를 입력받는다. AC입력단(251)을 통해 출력되는 교류를 입력받은 디가우징 회로(252)는 지자계 또는 외부 조건에 의해 발생되는 색상의 번짐 상태를 원래의 색상으로 회복시키는 동작을 한다.
또한, 정류기(253)를 통해 정류되어 출력되는 직류는 스위칭 트랜스포머(254)로 인가된다. 직류를 인가 받는 스위칭 트랜스포머(254)는 스위칭 동작을 하여 전압 레귤레이터(255)를 통해 디스플레이 장치(200) 내에 필요로 하는 각종 구동 전압을 공급하게 된다. 이때, 만일 비디오 카드(120)로부터 동기 신호(Sync)의 입력여부에 따라 마이컴(210)은 DPMS(Display Power Management Signaling) 모드 신호를 전압 레귤레이터(255)로 인가하여 편향 전압을 제어하므로써 소비전력을 절감하게 된다.
펄스폭변조회로(Pulse Width Modulation-IC; 이하 PWM-IC)(256)의 구형파 펄스는 스위칭 장치의 온/오프 드라이브 동작을 시키며, 펄스 폭의 변화는 도전 시간(Conduction Time)을 증가 감소시켜 출력 전압의 안정화 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지자계의 영향을 받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장치의 위치를 어떤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색 장애(Purity 저하)가 나타나는 경우가 발생한다.
그 원인은 지구상에 존재하는 자장 때문에 음극선관(244)의 쉐도우 마스크(Shadow Mask), 주변 샤시 및 금속류등이 쉽게 자화되어 이 자계와 지자기의 합성 자계가 CRT(244)내의 전자 빔(Beam)을 약간 흔들리게 하기 때문이다.
전자 빔(Beam)이 쏠리는 방향은 자계 방향과 전자 빔(Beam)방향과의 상대적 관계에 의해서 결정되는데 화면 전체가 한 방향으로 쏠리지 않고 부분적으로 나타나게 된다.
또한 CRT의 좌우회전(Swievel)이 이루어질 때에도 색얼룩이 발생되어 칼라가 제대로 표현되지 않게된다.
따라서 CRT의 색 순도(Purity)가 지자계 또는 외부 조건에 의해 색상의 번지는 상태를 원래의 색상으로 회복시키기 위하여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CRT 주위에 디가우징 회로(252)을 달아 순간적으로 (2∼8초) 전류를 가해 회복시키는 디가우징 회로를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디가우징 회로(252)는 전원 공급 초기 상태에서 5 초동안 하이신호가 입력된다. 이때 포지스터(P)의 고유 저항값에 의해 디가우징 회로(252)에 큰 전류가 흐른다.
그 이후에는 도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포지스터(P)의 저항값이 점점 커짐에 따라 감쇄되어 로우상태가 되어 디가우징 회로(252)에는 전류가 거의 흐르지 않게 된다. 또한 필요시 수동 스위치(SW)를 온(ON)시켜 디가우징 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초기 디스플레이 장치를 동작시킬 때 자동으로 소자기능을 수행하거나, 혹은 사용 도중에 CRT의 회전 등에 의하여 CRT가 자화될 경우 사용자가 매뉴얼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소자회로를 동작시켜 소자 기능을 수행토록하여 CRT의 자화를 제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디가우징 동작에는 전원 인가와 함께 고전압을 상기 디가우징 회로(252)에 인가시킴에 따라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켤 때 쩡하는 소리가 발생한다. 이러한 소음에 대해 일부 사용자는 청각적 불만을 갖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본 고안은 이러한 불만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디가우징 동작의 실행을 선택적으로 셋팅시킬 수 있도록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디가우징 동작 수행 시점의 셋팅을 OSD 화면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공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컴퓨터로부터 색상신호(R,G,B) 및 동기신호(H/V Sync)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화면 제어 신호에 따른 OSD데이터를 인가 받아 비디오 프리앰프회로에 OSD 이득 신호를 출력하는 OSD-IC와, 지자계등에 의해 발생되는 색상의 번짐 상태를 원래의 색상으로 회복시키는 동작을 하는 디가우징 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디가우징 회로의 동작 수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디가우징 콘트롤러를 부가하여 구성하므로써 상기 마이컴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디가우징 수행 시기를 셋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이컴에 의한 디가우징 타임 설정에는 OSD화면이 사용되는 점이 본 고안의 다른 특징이다.
여기에서 디가우징 타임의 설정 종류에는 파워 온(Power ON)때와, 임의적 신호 입력시와, 파워 오프( Power OFF)때로 구분하여 셋팅가능한 점은 부수적 특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가우징 회로,
도 3은 디가우징 동작에 따른 포지스터에 흐르는 전류의 파형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고안의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요지가 디가우징 실시의 선택적 세팅에 있으므로 도 4에서와 같이 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즉 마이컴(210)의 제어신호를 받아 디가우징 회로(252)의 동작 여부를 조절하는 디가우징 콘트롤러(300)가 마이컴(210)과 디가우징 회로(252) 사이에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가 제어버튼부(220)를 이용하여 디가우징 실시의 세팅을 의도할 때, 마이컴은 OSD-IC(241)에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 때 OSD-IC(241)의 이득 신호는 비디오 프리앰프(242) 및 비디오 메인 앰프(43)를 거쳐 증폭되어 CRT(244)에 화상으로 나타난다.
이 때 셋팅을 위한 화상의 일 예는 아래의 [표 1]에서와 같이 나타난다.
[표 1]
DEGAUSSING SETTING
Power ON Power OFF Select
YES YES YES
[표 1]의 예는 디폴트(default)로 정해진 값을 나타내며, 셋팅이 완료된 상태에서 재 세팅을 원할 때에는 최근의 기억 정보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디가우징의 실시를 파워 온(Power ON), 설정 키(Key-ON), 파워 오프(Power OFF)로 선택할 수 있다.
만일 사용자가 파워 온(Power ON)때와 파워 오프(Power OFF)때의 설정은 NO로 하고 디가우징에 설정 키를 누를 때로 세팅하고자 하면, OSD 화면은 아래의 [표 2]에서와 같이 나타난다.
[표 2]
DEGAUSSING SETTING
Power ON Power OFF Select
NO NO YES
[표 2]의 예와 같이 설정되었다면, 디스플레이 장치의 파워 온때나 오프때 디가우징 동작이 실행되지 않게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디가우징용 설정 키를 누를 때에만 디가우징이 실행된다.
한편, OSD 장치를 이용하여 디가우징 수행시기의 세팅을 완료하면 이를 마이컴에서 인지하여 해당 조건에 부합되도록 디가우징 콘트롤러(300)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을 통해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설정상태에 따라 디가우징이 실행되므로써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을 인가할 때마다 디가우징을 실행하므로써 발생되는 소음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자계에 의한 영향이 많지 않아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상 상태가 비교적 양호한 경우에도 강제로 디가우징 시킬 때 발생되는 전력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컴퓨터로부터 색상신호(R,G,B) 및 동기신호(H/V Sync)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 신호를 출력하는 마이컴과,
    상기 마이컴에서 출력되는 화면 제어 신호에 따른 OSD데이터를 인가 받아 비디오 프리앰프회로에 OSD 이득 신호를 출력하는 OSD-IC와,
    지자계등에 의해 발생되는 색상의 번짐 상태를 원래의 색상으로 회복시키는 동작을 하는 디가우징 회로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디가우징 회로의 동작 수행 여부를 제어할 수 있는 디가우징 콘트롤러가 부가되어 구성되어 상기 마이컴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디가우징 수행 시기를 셋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가우징 동작의 설정이 파워 온(Power ON)때와, 임의적 신호 입력시와, 파워 오프(Power OFF)때로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에 의한 디가우징 타임 설정에 OSD화면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970007167U 1997-04-08 1997-04-08 디가우징 수행 시기를 설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998006277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167U KR19980062778U (ko) 1997-04-08 1997-04-08 디가우징 수행 시기를 설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7167U KR19980062778U (ko) 1997-04-08 1997-04-08 디가우징 수행 시기를 설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2778U true KR19980062778U (ko) 1998-11-16

Family

ID=69683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7167U KR19980062778U (ko) 1997-04-08 1997-04-08 디가우징 수행 시기를 설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2778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7393B1 (ko) Pfc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전원 제어장치
KR19980085433A (ko) 리모콘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모니터의 파워 온/오프 방법
US6115033A (en) Video display device and a power saving method therefor
KR100303079B1 (ko) 마이콤의리셋(reset)을통한디스플레이모니터의파워온/오프장치및방법
KR100288580B1 (ko) Osd를이용한디스플레이모드표시방법
US6424341B2 (en) Device for and method of controlling OSD in muting video signals
US6275221B1 (en) Low consumption power circuit using an electronic switch in a display monitor
KR100238579B1 (ko) Dpms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bnc/d-sub 자동 선택 방법 및 장치
KR100263090B1 (ko) OSD를이용한상조정패턴(Pattern)을표시하는회로및방법
KR19980062778U (ko) 디가우징 수행 시기를 설정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0242841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하 왜곡 보정 회로
KR100247397B1 (ko) 사용자 의도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드 정보 컨트롤 장치 및 방법
KR100209505B1 (ko) 듀티(duty) 변경 회로
KR19990013697U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동 dpms구현 장치
KR19990001803U (ko) Osd 기능 도움말 음성 출력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0218007B1 (ko) 다중 동기 방식 모니터의 상 사이즈 자동 조정 방법
KR19990042243A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능키 재정의 방법
KR19990008997U (ko) 음성신호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장치의 전원제어장치
KR19990012255U (ko) 안전 차단 장치를 갖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0200453Y1 (ko) 디스플레이장치의편향요크커넥터이탈감지회로
KR100260826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평 포지션 조절회로
US6724975B1 (en) Products combining television and video recorder
KR19990016295A (ko) Osd 패스워드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팅 상태 보호 방법
KR19990008996U (ko) Osd를 이용한 해상 모드 변경 메시지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장치
KR0150092B1 (ko) 모니터의 영상 입력 처리 회로 및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